KR100941363B1 - Traction apparatus of car - Google Patents

Traction apparatus of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363B1
KR100941363B1 KR1020070138173A KR20070138173A KR100941363B1 KR 100941363 B1 KR100941363 B1 KR 100941363B1 KR 1020070138173 A KR1020070138173 A KR 1020070138173A KR 20070138173 A KR20070138173 A KR 20070138173A KR 100941363 B1 KR100941363 B1 KR 10094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vehicle
horizontal
lif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0239A (en
Inventor
장일도
Original Assignee
장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도 filed Critical 장일도
Priority to KR102007013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363B1/en
Publication of KR2009007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2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3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B60D1/46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comprising a lifting mechanism, e.g. for coupling while l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에 있는 피견인차량은 물론 측면에 있는 피견인차량도 보다 수월하게 견인할 수 있는 차량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피견인차량이 안착되는 프레임상에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의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측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피견인차량을 리프트하는 리프트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owing device that can more easily tow the towing vehicle on the side as well as the towing vehicle on the rear side, and more particularly,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ame on which the towing vehicle is seated. A horizontal rail; A vertical rail extending downward in an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rail; A moving plate that is mov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rail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rail, and a lift plate provided to be able to pull out a towing vehicle at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moving cart. It relates to a vehicle towing apparatus comprising a; a lift unit configured to include.

수평레일, 수직레일, 리프트부 Horizontal rail, vertical rail, lift section

Description

차량 견인장치{TRACTION APPARATUS OF CAR}Vehicle Traction System {TRACTION APPARATUS OF CAR}

본 발명은 피견인차량이 안착되는 프레임상에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의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측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피견인차량을 리프트하는 리프트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고,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rizontal rail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ame on which the towing vehicle is mounted; A vertical rail extending downward in an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rail; A moving plate that is mov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rail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rail, and a lift plate provided to be able to pull out a towing vehicle at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moving cart. It relates to a vehicle tr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a lift unit configured to include;

구체적으로, 후방에 있는 피견인차량은 물론 측면에 있는 피견인차량도 보다 수월하게 견인할 수 있는 차량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owing apparatus that can more easily tow a tow vehicle at the rear as well as a tow vehicle at the side.

일반적으로, 차량 견인장치는 차량이 주행중 고장을 일으키거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차량이 자력으로 운행할 수 없을 경우 또는, 주정차금지위치에 차량을 주정차하여 이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기 위하여 견인차량에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a vehicle towing apparatus tow a towed vehicle when the vehicle fails while driving, a traffic accident occurs, and the vehicle cannot be driven by itself, or when the vehicle is stopped and moved to a stop position. It is provided in the towing vehicle for that purpos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량 견인장치는 대게 후방에 있는 피견인차량을 견인할 수 있을 뿐 측면에 있는 피견인차량은 견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vehicle traction device can usually tow the tow vehicle on the rear sid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w vehicle on the side cannot be tow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후방에 있는 피견인차량은 물론 측면에 있는 피견인차량도 보다 수월하게 견인할 수 있는 차량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traction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towed not only the towing vehicle in the rear but also the towing vehicle in the side, which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견인차량이 안착되는 프레임상에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의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측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피견인차량을 리프트하는 리프트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장치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rizontal rail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ame on which the towing vehicle is seated; A vertical rail extending downward in an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rail; A moving plate that is mov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rail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rail, and a lift plate provided to be able to pull out a towing vehicle at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moving cart. It provides a vehicle towing apparatus comprising a; a lift unit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수평레일은 상기 프레임상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후수평레일과; 상기 프레임상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좌우수평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수평레일과 좌우수평레일이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전후수평레일 및 상기 좌우수평레일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레일부가 상부면에 형성된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orizontal rail is a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frame; A rail portion having a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s and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at a portion where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s and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cross each other, is formed on the frame. It is preferable that a turntable formed in the is provided.

또한, 상기 수직레일에는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L"형상의 상하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대차는 상기 상하브라켓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ertical rail is further provided with an "L" shaped upper and lower brackets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rail, the moving cart of the lift portion is moved along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to be located inside the bottom of the frame It is preferable.

더불어,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대차의 측면에는 수직방향의 가이드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부의 리프트판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of the moving trolley of the lift portion, the lift plate of the lift portion is preferably fix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본 발명은 수평레일을 따라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측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대차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이동대차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상에 안착되는 피견인차량을 리프트하는 리프트판으로 구성되는 리프트부로 인해 후방에 있는 피견인차량은 물론 측면에 있는 피견인차량도 보다 수월하게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trolley which moves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a horizontal rail and moves up and down along a vertical rail; It is provided to the side of the moving trolley to be pulled out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and the lift unit consisting of a lift plate for lifting the towing vehicle seated on the frame by moving along the moving trolley when the moving trolley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this, the tow vehicle at the rear as well as the tow vehicle at the side can be towed more easily.

그리고, 상기 전후수평레일과 좌우수평레일이 교차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상기 턴테이블로 인해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대차가 상기 전후수평레일과 좌우수평레일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상기 리프트부가 후방에 있는 피견인차량은 물론 측면에 있는 피견인차량을 보다 효 율적으로 견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because the turntabl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s and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intersect, the moving cart of the lift unit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more easily along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s and the horizontal and horizontal rails. The lift unit is capable of towing the tow vehicle on the side as well as the tow vehicle on the side more efficiently.

또한, 상기 수직레일에 구비되는 상하브라켓을 따라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대차가 상기 프레임의 하부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차량 견인장치를 피견인차량에 보다 근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ing cart of the lift unit may move 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rame along the vertical brackets provided in the vertical rail, the vehicle towing apparatus may be closer to the towed vehicle.

아울러, 상기 리프트부의 리프트판이 상기 이동대차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트부가 특히, 측면에 위치한 피견인차량을 리프트 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에 피견인차량의 바퀴가 상기 프레임과 접촉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ft plate of the lift unit may be fixed by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moving trolley, the lift unit in particular lifts a towing vehicle located on the side, along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heel of the tow vehicl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ame during the movement proces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견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12는 리프트부(50)가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t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Figure 2, Figure 4 12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lift unit 50 tow the towed vehic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견인장치는 크게, 수평레일(10), 수직레일(30) 및 리프트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Vehicle t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large, including a horizontal rail 10, a vertical rail 30 and a lift unit (50).

먼저, 상기 수평레일(10)은 피견인차량(미도시)이 안착되는 프레임(5)상에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프레임(5)상에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horizontal rail 10 is formed on the frame 5 on which the towing vehicle (not shown) is seated, and may be formed to extend back, front, or left and right on the frame 5.

여기서, 상기 수평레일(10)의 단부에는 하부방향으로 상기 수직레일(30)이 연장형성된다.Here, the vertical rail 30 extends downward in the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rail 10.

한편, 상기 수평레일(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상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후수평레일(11)과; 상기 프레임(5)상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좌우수평레일(13);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rail (10) as shown in Figure 1 and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 (11)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frame (5);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13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rame 5;

이때, 상기 전후수평레일(11)과 좌우수평레일(13)이 교차되는 부분에는 상기 전후수평레일(11) 및 상기 좌우수평레일(13)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레일부(71)가 상부면에 형성된 원형형상의 턴테이블(70)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ail portion 71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 11 and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 13 is located at the portion where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s 11 and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13 intersect. A circular turntable 70 formed on the surface may be provided.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턴테이블(70)은 상기 프레임(5)의 하부에 구비되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축결합되는데, 이때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이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구동축을 따라 상기 턴테이블(7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urntable 70 is axially coupled to a drive shaft of a drive member such as a motor provided under the frame 5, wherei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ember rot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In this case, the turntable 70 rot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long the driving shaft.

이와 같이 상기 전후수평레일(11)과 좌우수평레일(13)이 교차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상기 턴테이블(70)로 인해 후술할 상기 리프트부(50)의 이동대차(51)가 상 기 전후수평레일(11)과 좌우수평레일(13)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상기 리프트부(50)가 후방에 있는 피견인차량(미도시)은 물론 측면에 있는 피견인차량(미도시)을 보다 효율적으로 견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turntable 70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s 11 and the right and left horizontal rails 13 intersect, the moving cart 51 of the lift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is horizontal and horizontal rails. The tow vehicle (not shown) in which the lift unit 50 is located at the rear, as well as the towing vehicle (not shown) can be moved along the 11 and the horizontal rail 13 more easily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tow more efficiently).

상기 수평레일(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견인차량(미도시)이 안착되는 프레임(5)상에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horizontal rail 10 is not limited to FIG. 1, but is made of a shape and structure that can be extended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ame 5 on which the towing vehicle (not shown) is seated. It is enough.

다음으로, 상기 수직레일(30)은 상기 수평레일(10)의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수평레일(10)의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5)의 측면 또는 후방에 위치하거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의 측면과 후방 모두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Next, the vertical rail 30 extends downwardly at an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rail 10, and extends downwardly at an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rail 10 to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5. Alternatively, it may be located at the rear or at both the side and the rear of the frame 5 as shown in FIG. 1.

상기 수직레일(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평레일(10)의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5)의 측면 또는 후방에 위치하거나 상기 프레임(5)의 측면과 후방 모두에 위치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vertical rails 30 are not limited to FIG. 1, and are formed to extend downwardly at an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rail 10 to be located at the side or the rear of the frame 5 or the frame 5. It is sufficient to have a shape and structure that can be located both on the side and the rear of the).

다음으로, 상기 리프트부(50)는 피견인차량(미도시)을 리프트하여 상기 프레임(5)상에 안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상기 수평레일(10)을 따라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레일(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51)와; 상기 이동대차(51)의 측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직레일(30)을 따라 상기 이동대차(5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이동대차(51)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5)상에 안착되는 피견인차량(미도시)을 리프트하는 리프트판(57);으로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lift unit 50 is to lift the towing vehicle (not shown) to be seated on the frame 5, and as shown in FIGS. 1 to 3, the horizontal rail 10 is larger. A moving cart 51 which moves along the vertical rails 30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rail 30;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obile cart 51 to be pulled out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when the mobile cart 5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rail 30 to move along the mobile cart 51 to the And a lift plate 57 for lifting a towing vehicle (not shown) seated on the frame 5.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대차(51)의 하부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홈(51a)에는 상기 전후수평레일(11), 상기 턴테이블(7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레일부(71) 및 상기 좌우수평레일(13)이 수용된다.More specifically, the groove 51a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cart 51 includes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s 11 and the rail portion 7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7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horizontal rail 13 is accommodated.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후수평레일(11), 상기 턴테이블(70)의 레일부(71) 및 상기 좌우수평레일(13)상에는 렉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rack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s 11, the rails 71 of the turntable 70, and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13.

이와 같이 상기 전후수평레일(11), 상기 턴테이블(70)의 레일부(71) 및 상기 좌우수평레일(13)상에 상기 렉부가 형성될 경우 상기 렉부에는 상기 이동대차(5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재(도 3의 53)의 구동축(도 3의 53a)에 구비된 피니언기어(도 3의 53b)가 맞물림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ack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s 11, the rail part 71 of the turntable 70, and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13, the rack part may be disposed at an inner side of the moving cart 51. The pinion gear (53b of FIG. 3) provided on the drive shaft (53a of FIG. 3) of the drive member (53 of FIG. 3) provided is engaged.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대차(5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상기 구동부재(53)의 구동축(53a)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렉부에 맞물림결합된 상기 피니언기어(53b)는 상기 구동부재(53)의 구동축(53a)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대차(51)는 상기 전후수평레일(11)과 상기 턴테이블(70)의 레일부(71)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거나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수평레일(13)과 상기 턴테이블(70)의 레일부(71)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drive shaft 53a of the drive member 5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ving cart 51 rot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pinion gear 53b meshed with the rack portion is Rotates along the drive shaft (53a) of the drive member 53, wherein the moving cart 51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portion 71 of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 11 and the turntable (70). As shown in FIG. 4 or along the rail portion 71 of the horizontal rail 13 and the turntable 70, the horizontal rail 13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전후수평레일(11)과 상기 턴테이블(70)의 레일부(71) 및 상기 좌우수평레일(13)상에 형성되는 렉부와, 상기 이동대차(5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재(53)의 구동축(53a)에 구비된 피니언기어(53b)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51)가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술되었으나, 반드시 상기 이동대차(51)가 상기 렉부와 상기 피니언기어(53b)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여러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51)가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 11, the rail portion 71 of the turntable 70 and the rack portion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13,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moving cart 51 Although the moving cart 51 is moved forward, backward, leftward, or leftward by the pinion gear 53b provided on the drive shaft 53a of the driving member 53, the moving cart 51 must be moved to the rack portion and the The pinion gear 53b does not have to be moved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and the moving cart 51 can be moved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by various other components.

그리고, 상기 이동대차(51)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레일(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cart 51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rail 30 as shown in FIG. 5.

여기서, 상기 이동대차(51)는 상기 이동대차(51)상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미도시)가 감겨지는 제 1도르래(도 5의 31)와; 상기 수직레일(30)상에 구비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대차(51)상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미도시)를 승하강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수직레일(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Here, the moving cart 51 may include a first pulley (31 in FIG. 5) in which a wire ro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moving cart 51 is wound; A driv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motor provided on the vertical rail 30 and moving up and down a wire ro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moving cart 5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I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rail 30.

단, 상기 이동대차(51)가 반드시 상기 이동대차(51)상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미도시)와; 상기 수직레일(30)상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대차(51)상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미도시)를 승하강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수직레일(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여러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수직레일(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a wire rope (not shown) to which the moving cart 51 is necessarily connected on the moving cart 51; A driving member (not shown) provided on the vertical rail 30 and moving a wire ro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moving cart 51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rail 30. It is not necessary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rail 30 by a number of other components, of course.

그리고, 상기 이동대차(51)의 측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리프트판(57)은 모터 등의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인장되 는 와이어로프 등에 의해 외부로 일정길이 인출되는 공지의 고가 사다리 및 소방차 사다리처럼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 plate 57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oving cart 51 to be pulled out at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has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by a driving member such as a motor and a wire rope tensioned by the driving member. It may be configured like a known elevated ladder and fire truck ladder being drawn out.

단, 상기 리프트판(57)이 반드시 모터 등의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인장되는 와이어로프 등에 의해 외부로 일정길이 인출되는 공지의 고가 사다리 및 소방차 사다리처럼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여러 구성요소에 의해 외측으로 일정길이 인출될 수 있다. However, the lift plate 57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figured like a known elevated ladder and a fire truck ladder, which are pulled out by a certain length to the outside by a driving member such as a motor and a wire rope tensioned by the driving member. It can be drawn out to a certain length by the component.

상기 리프트판(57)을 외부로 일정길이 인출시키는 구성요소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 component for drawing the lift plate 57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is a matter which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리프트부(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견인차량(미도시)을 리프트하여 상기 프레임(5)상에 안착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The shape and the structure of the lift unit 50 are not limited to FIGS. 1 to 3, and the lift unit 50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a structure in which a towing vehicle (not shown) may be lifted and seated on the frame 5.

다음으로, 상기 수직레일(30)에는 상기 수직레일(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L" 형상의 상하브라켓(9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리프트부(50)의 이동대차(51)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L"형상의 상하브라켓(9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5)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Next, the vertical rail 3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vertical bracket (90) of the "L" shape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rail 30, at this time, the moving cart of the lift unit (50) As shown in FIG. 6,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51 move along the “L” shaped upper and lower brackets 90 and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frame 5.

여기서, 상기 상하브라켓(90)은 상기 상하브라켓(90)상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미도시)가 감겨지는 제 2도르래(도 6의 91)와; 상기 상하브라켓(90)상에 구비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브라켓(90)상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미도시)를 승하강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수직레일(30)을 따 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Here,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90 and the second pulley (91 in Figure 6) is wound wire ro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90; A drive member (not shown)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90 and moving up and down a wire ro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9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It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rail (30).

단, 상기 상하브라켓(90)이 반드시 상기 상하브라켓(90)상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미도시)가 감겨지는 제 2도르래(91)와; 상기 상하브라켓(90)상에 구비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브라켓(90)상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미도시)를 승하강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수직레일(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여러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수직레일(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a second pulley (91) on which a wire rope (not shown) to which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90 are necessarily connected on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90 is wound; The vertical rail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90 and is driven by a driv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motor, which raises and lowers a wire ro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9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It is not necessary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30) and of course it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rail 30 by a number of other components.

한편, 상기 리프트부(50)의 이동대차(51)는 "L"형상의 상기 상하브라켓(90) 저면부 상면에 형성되는 레일부(미도시)상에 형성되는 렉부(미도시)와; 상기 이동대차(5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재(53)의 구동축(53a)에 구비되어 상기 렉부(미도시)에 맞물림결합되는 피니언기어(53b)에 의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ving cart 51 of the lift unit 50 is a rack portion (not shown) formed on the rail portion (not show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bracket 90 of the "L" shape; As shown in FIG. 6 by the pinion gear 53b which is provided in the drive shaft 53a of the drive member 53 provided in the inner side of the moving cart 51, and is engaged with the rack part (not shown). It may be located inside the bottom of (5).

단, 상기 리프투부의 이동대차(51)가 반드시 "L"형상의 상기 상하브라켓(90) 저면부 상면에 형성되는 레일부(미도시)상에 형성되는 렉부(미도시)와; 상기 이동대차(5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재(53)의 구동축(53a)에 구비되어 상기 렉부(미도시)에 맞물림결합되는 피니언기어(53b)에 의해 상기 프레임(5)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여러 구성요소에 의해 "L"형상의 상하브라켓(9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5)의 하부 내측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rack port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rail portion (not show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bracket 90 of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90 of the leaf-to-portion moving portion 51;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rame 5 by the pinion gear 53b which is provided on the drive shaft 53a of the drive member 5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ving cart 51 and engaged with the rack portion (not shown). It is not to be located in, it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5 by moving along the upper and lower bracket 90 of the "L" shape by various other components.

이와 같이 상기 수직레일(30)에 구비되는 상하브라켓(90)을 따라 상기 리프 트부(50)의 이동대차(51)가 상기 프레임(5)의 하부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차량 견인장치를 피견인차량(미도시)에 보다 근접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moving cart 51 of the lift unit 50 can move 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rame 5 along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90 provided on the vertical rail 30, the vehicle towing apparatus is towed by the towing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loser to the amount (not shown).

한편, 본 차량 견인창치가 피견인차량(미도시)에 보다 근접하게 될 경우 상기 리프트부(50)의 이동대차(51)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의 하부 외측으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towing window is closer to the towing vehicle (not shown), the moving cart 51 of the lift unit 50 moves again to the lower outer side of the frame 5 as shown in FIG. 7. do.

그리고, 상기 리프트부(50)의 리프트판(57)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인출되어 피견인차량(미도시)을 하부를 안착지지하게 된다.Then, the lift plate 57 of the lift unit 50 is drawn out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ure 8 to support the towing vehicle (not shown) to seat the lower portion.

여기서, 상기 리프트부(50)의 리프트판(57) 단부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피견인차량(미도시)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판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것이 좋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ating plate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towing vehicle (not shown) is seated may be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end of the lift plate 57 of the lift unit 50.

이는 상기 리프트부(50)의 리프트판(57)이 피견인차량(미도시)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리프트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lift in a state in which the lift plate 57 of the lift unit 50 supports the towing vehicle (not shown) more stably.

상기 리프트부(50)의 이동대차(51)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레일(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피견인차량(미도시)을 리프트 한 후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수평레일(13)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5)상에 피견인차량(미도시)을 안착시키게 된다.The moving cart 51 of the lift unit 50 moves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vertical rail 30 as shown in FIG. 9 to lift the towed vehicle (not shown), and as shown in FIGS. 10 and 11. As described above, the tow vehicle (not shown) is seated on the frame 5 by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rail 13.

상기 프레임(5)상에 피견인차량(미도시)이 안착될 경우 상기 리프트부(50)의 리프트판(57)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줄어들게 된다.When the towing vehicle (not shown) is seated on the frame 5, the lift plate 57 of the lift unit 50 is reduced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상기 리프트부(50)의 이동대차(51)의 측면에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가이드홈(51b)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부(50)의 리프트판(57)은 상기 가이드홈(51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되는 것이 좋다.Next,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guide groove 51b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of the moving cart 51 of the lift unit 50, and the lift unit 50 lifts the lift unit 50. Plate 57 is preferably fix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51b).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트부(50)의 리프트판(57)은 상기 리프트판(57) 상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미도시)가 감겨지는 제 3도르래(도 9의 59)와; 상기 이동대차(51)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판(57)상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미도시)를 승하강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도 3의 55);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51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ift plate 57 of the lift unit 50 includes a third pulley (59 in FIG. 9) in which a wire ro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lift plate 57 is wound; A driving member (55 in FIG. 3)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cart 51 and moving up and down a wire ro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lift plate 57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It can be fix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51b) by.

단, 상기 리프트부(50)의 리프트판(57)이 반드시 상기 리프트판(57) 상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미도시)가 감겨지는 제 3도르래(59)와; 상기 이동대차(51)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판(57)상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미도시)를 승하강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55)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51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여러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51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a third pulley 59 to which a wire rope (not shown) to which the lift plate 57 of the lift unit 50 is connected on the lift plate 57 is wound; The guid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cart 51 by a drive member 55 such as a motor for lifting up and down a wire ro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lift plate 57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The position is not to be fix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roove 51b, and may be fix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51b by various other components.

이와 같이 상기 리프트부(50)의 리프트판(57)이 상기 이동대차(51)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51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트부(50)가 특히, 측면에 위치한 피견인차량(미도시)을 리프트 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수평레일(13)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에 피견인차량(미도시)의 바퀴가 상기 프레임(5)과 접촉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Thus, since the lift plate 57 of the lift unit 50 can be fix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51b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oving cart 51, the lift unit 50 is In particular, the wheel of the tow vehicle (not shown) may be in contact with the frame 5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along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13 while the tow vehicle (not shown) located on the side is lifted. There is an advantag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수평레일(10)을 따라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레일(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51)와, 상기 이동대차(51)의 측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대차(5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이동대차(51)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5)상에 안착되는 피견인차량(미도시)을 리프트하는 리프트판(57)으로 구성되는 리프트부(50)로 인해 후방에 있는 피견인차량(미도시)은 물론 측면에 있는 피견인차량(미도시)도 보다 수월하게 견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cart 5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rail 10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rail 30 and the moving cart 51. A towing vehicle which is provided to be able to withdraw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side, and moves along the moving cart 51 when the moving cart 51 moves up and down (not shown) (not shown) Due to the lift unit 50 constituted by the lift plate 57 for lift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ow vehicle (not shown) at the rear as well as the tow vehicle (not shown) at the side can be easily tow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견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t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3 is a bottom view of FIG. 2,

도 4 내지 도 12는 리프트부가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to 12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lift unit tow the towed vehicl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5; 프레임, 10; 수평레일,5; Frame, 10; Rail,

11; 전후수평레일, 13; 좌우수평레일,11; Horizontal rail, 13; Horizontal rail,

30; 수직레일, 31; 제 1도르래,30; Vertical rail, 31; First pulley,

50; 리프트부, 51; 이동대차,50; Lift portion 51; Balance,

51a; 홈, 51b; 가이드홈,51a; Groove, 51b; Guide groove,

53, 55; 구동부재, 53a; 구동축,53, 55; Drive member 53a; driving axle,

53b; 피니언기어, 57; 리프트판,53b; Pinion gear, 57; Lift Plate,

59; 제 3도르래, 70; 턴테이블,59; Third pulley, 70; turntable,

71; 레일부, 90; 상하브라켓,71; Rail portion, 90; Brackets,

91; 제 2도르래.91; 2nd pulley.

Claims (4)

피견인차량이 안착되는 프레임상에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레일과; A horizontal rail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or horizontally on a frame on which the towed vehicle is seated; 상기 수평레일의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레일과; A vertical rail extending downward in an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rail;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측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피견인차량을 리프트하는 리프트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장치.A moving plate that is mov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rail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rail, and a lift plate provided to be able to pull out a towing vehicle at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moving cart. Lift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a vehicle tr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평레일은 상기 프레임상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후수평레일과; 상기 프레임상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좌우수평레일로 이루어지고,The horizontal rail is a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frame; It consists of a horizontal left and right rail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ame, 상기 전후수평레일과 좌우수평레일이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전후수평레일 및 상기 좌우수평레일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레일부가 상부면에 형성된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장치.And a turntable having a rail portion having a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s and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at a portion where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rails and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rails cros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직레일에는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L"형상의 상하브라켓이 더 구비되고,The vertical rail is further provided with a vertical bracket "L" shap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rail,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대차는 상기 상하브라켓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장치.The moving cart of the lift unit is moved along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ra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프트부의 이동대차의 측면에는 수직방향의 가이드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The guide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of the moving cart of the lift portion, 상기 리프트부의 리프트판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장치.The lift plate of the lif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is fix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position.
KR1020070138173A 2007-12-27 2007-12-27 Traction apparatus of car KR100941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173A KR100941363B1 (en) 2007-12-27 2007-12-27 Traction apparatus of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173A KR100941363B1 (en) 2007-12-27 2007-12-27 Traction apparatus of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239A KR20090070239A (en) 2009-07-01
KR100941363B1 true KR100941363B1 (en) 2010-02-11

Family

ID=4132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173A KR100941363B1 (en) 2007-12-27 2007-12-27 Traction apparatus of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36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236A (en) * 1991-11-08 1994-12-13 Masayuki Oguri Dolly with vehicle elevation transfer device
US6089818A (en) 1998-10-14 2000-07-18 Hill; Richard W. Towing lift accessory
KR200293763Y1 (en) 2002-07-25 2002-11-01 이재언 Illegal parking wrecker
KR20060104600A (en) * 2005-03-31 2006-10-09 김차규 Tow car for side lift mounted with loading res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236A (en) * 1991-11-08 1994-12-13 Masayuki Oguri Dolly with vehicle elevation transfer device
US6089818A (en) 1998-10-14 2000-07-18 Hill; Richard W. Towing lift accessory
KR200293763Y1 (en) 2002-07-25 2002-11-01 이재언 Illegal parking wrecker
KR20060104600A (en) * 2005-03-31 2006-10-09 김차규 Tow car for side lift mounted with loading 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239A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03343A (en) Dooly compartment self going type elevator
JP5656388B2 (en) Comb-type parking device
CN101560844A (en) Vertical lift type parking equipment
KR20090122360A (en) Rotary one-position-for-two-car parking equipment
KR100941363B1 (en) Traction apparatus of car
JP6284324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CN106481126B (en) A kind of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for realizing vehicle lifting by lifting cantilever
JP4678628B2 (en) Towing mechanism of hill carriage
CN110821248B (en) Intermediate layer vehicle-mounted board assembly and multilayer stereo garage
CN200988717Y (en) Car self travel type lift
CN210316711U (en) Upper layer parking space tray lifting mechanism for avoidance-free stereo garage
KR101460906B1 (en)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
JP5191371B2 (en) Rope guidance device for rope towed transportation equipment
CN110821249B (en) Multilayer stereo garage
CN110805338B (en) Bottom vehicle-mounted plate assembly and multilayer stereo garage
CN216836851U (en) Personnel transportation system
JP3062055B2 (en) Elevator for elevator-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JP3591073B2 (en) Multi-stage fork device
JP5787229B2 (en) Shelf-type bicycle parking facilities
CN210396294U (en) Rail stereo garage
JP2001227189A (en) Circularly circulating parking apparatus
JP7384692B2 (en) lift device
CN214141436U (en) Truck-mounted forklift and travelling mechanism thereof
CN212428240U (en) Simple parking equipment
KR20120011384A (en) Loading apparatus for vehicle towed by tow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