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906B1 -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906B1
KR101460906B1 KR1020130090972A KR20130090972A KR101460906B1 KR 101460906 B1 KR101460906 B1 KR 101460906B1 KR 1020130090972 A KR1020130090972 A KR 1020130090972A KR 20130090972 A KR20130090972 A KR 20130090972A KR 101460906 B1 KR101460906 B1 KR 10146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vehicle
wires
fram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모텍
김정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모텍, 김정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모텍
Priority to KR102013009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9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9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4Handicapped person hand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and, particularly, to a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e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frame fixed to the ceiling of the vehicle; a moving frame connected to the fixing frame to be able to carry out a straight reciprocating mo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moving frame to carry out the straight reciprocating mo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lifting wires which exten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moving frame and has a part to which wheelchair retaining means is connected; and a lifting operating unit for pulling or releasing the lifting wires.

Description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휠체어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lif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chair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장애인이 앉은 휠체어를 차량(특히, 승합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 시킬 경우, 차량에 설치된 휠체어 리프팅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는 휠체어가 위에 놓여지는 휠체어 안치판과 휠체어 안치판을 수직 및 수평이동 시키는 이동장치를 구비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는 이용 상 다음과 같은 불편함을 갖는다. 우선, 휠체어 안치판이 지면에 놓여져야 하기 때문에 지면이 균일하지 못하면 휠체어 안치판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전개될 수 없다. 또한, 휠체어 안치판은 휠체어가 용이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데, 이러한 경사면도 몸이 불편한 휠체어 탑승자에게는 오르기 힘들다. 그리고, 휠체어 안치판 위에 휠체어가 안치된 후에도 안전을 위하여 휠체어의 이동을 방지하는 잠금 과정이 요구된다. 또한, 지면이 좌우로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휠체어 안치판으로 휠체어를 이동시키기 매우 어렵다. 그리고, 리프팅 장치가 차량 내부를 가득 채우기 때문에, 차량 내부 공간 사용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휠체어 안치판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사고의 위험이 따른다.In some cases, a wheelchair lifting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may be used when a wheelchair, which a person with a disability has been sitting in, is riding or getting off a vehicle (in particular, a companion vehicle). BACKGROUND ART A conventional wheelchair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has a moving device fo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ving a wheelchair holding plate on which a wheelchair is placed and a wheelchair holding plate. However, such a conventional vehicle wheelchair lifting device has the following inconvenience in use. First, since the wheelchair holding plate must be placed on the ground, if the ground is not uniform, the wheelchair holding plate can not be stably deployed on the ground. In addition, the wheelchair holding plate ha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wheelchair can be easily lifted or lowered. Such an inclined surface is also hard to climb to a wheelchair occupant who is uncomfortable. And, after the wheelchair is placed on the wheelchair seat, a locking process is required to prevent movement of the wheelchair for safety. Further, when the ground surface is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it is very difficult to move the wheelchair with the wheelchair seat plate. Further, since the lifting device fills the inside of the vehicle, there is a limit in the use of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And,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wheelchair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heelchair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efficiently use a space inside a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면 상태나 차량의 자세에 상관 없이 휠체어 탑승자가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be easily and safely used by a wheelchair occupant regardless of the ground state or the posture of the vehicl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의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 상기 고정용 프레임에 수평방향 직선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용 프레임; 상기 이동용 프레임의 수평방향 직선왕복 운동을 구동시키는 프레임 구동부; 상기 이동용 프레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휠체어 걸림 수단이 연결된 부분을 구비하는 다수의 승강 와이어; 및 상기 다수의 승강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주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가 제공된다.A fixing frame fixed to the ceiling of the vehicle; A movable frame coupled to the fixing frame so as to be capable of linearly reciproc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rame driving unit for driving a horizontal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ing frame; A plurality of lifting wire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moving frame and having a portion to which the wheelchair engaging means is connected; And a lifting drive unit for lifting or releasing the plurality of lifting wires.

상기 고정용 프레임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레일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용 프레임은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2개의 이동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frame includes two guide rails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moving frame may include two moving rails which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two guide rails.

삭제delete

상기 다수의 승강 와이어는 상기 2개의 이동 레일 각각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 수단이 전방에 위치하는 2개의 전방 와이어와, 상기 걸림 수단이 후방에 위치하는 2개의 후방 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fting wires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two moving rails and include two front wires positioned in front of the engaging means and two rear wires positioned behind the engaging means.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2개의 전방 와이어를 구동시키는 전방 와이어 구동부와, 상기 2개의 후방 와이어를 구동시키는 후방 와이어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elevation driving unit may include a front wir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two front wires and a rear wir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two rear wires.

상기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는 상기 프레임 구동부와 상기 승강 구동부를 조종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wheelchair lif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rame driving part and the elevating driving par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forementioned vehicle wheelchair lifting device is installed on a ceiling.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휠체어 리프팅 장치가 차량의 천장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 탑승자가 와이어에 걸린 후크를 휠체어에 결합시키고 리모콘을 이용하여 조종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이용이 용이하고, 지면의 상태, 탑승 장소 등 주변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Specifically, since the wheelchair lif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vehicle, the internal space of the vehicl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Further, since the wheelchair occupant can connect the hook hooked on the wire to the wheelchair and manipulate it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it is easy to use, and is not affected by the surrounding conditions such as the ground condition and the boarding pl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가 승합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용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 내에서 이동용 프레임의 이동 레일이 지지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용 프레임의 이동 레일에서 승강 와이어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승강 구동부와, 다수의 승강 와이어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heelchair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ompeting vehic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chair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frame driving unit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movable rail of a movable frame is supported in a guide rail of the fixing frame shown in FIG. 2. FIG.
5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lifting wire is connected to a moving rail of a moving frame shown in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shown in FIG. 2 and a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wire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가 승합차량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휠체어 리프팅 장치(100)는 차량(V) 내부 공간의 천장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V)이 뒷문을 구비하는 승합차량으로서, 뒷문을 통해 개방되는 후방 출입구를 통해 휠체어(C)의 차량 출입이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a wheelchair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assenger vehicle. Referring to FIG. 1, the wheelchair lifting device 10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V).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vehicle V has a rear door, and that the wheelchair C can be moved into and out of the vehicle through a rear doorway opening through the rear do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휠체어 리프팅 장치(100)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휠체어 리프팅 장치(100)는 고정용 프레임(110)과, 이동용 프레임(120)과, 프레임 구동부(130)와, 승강 구동부(140)와, 다수의 승강 와이어(161, 162 ,163, 164)와, 리모콘(170)를 포함한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chair lifting device 100 shown in Fig. 2, the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fixing frame 110, a moving frame 120, a frame driving unit 130, a lifting and driving unit 140, a plurality of lifting wires 161 and 162 , 163, and 164, and a remote controller 170.

고정용 프레임(110)은 차량(도 1의 V)의 천장에 고정되어서, 휠체어 리프팅 장치(100) 전체를 지지한다. 고정용 프레임(110)은 제1, 제2 가이드 레일(111, 112)과, 다수의 연결 지지 부재(113a, 113b, 113c)를 구비한다.
The fixing frame 110 is fixed to the ceiling of the vehicle (V in Fig. 1) to support the entire wheelchair lifting device 100. The fixing frame 110 includes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111 and 112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supporting members 113a, 113b and 113c.

제1, 제2 가이드 레일(111, 112)은 서로 나란하게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다. 두 가이드 레일(111, 112)은 차량(도 1의 V)의 후방 출입구를 향하도록 길게 연장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 레일(111)의 내부에는 제1 가이드 레일(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제1 수용 공간(111a)이 마련된다. 제1 가이드 레일(111)의 하부에는 제1 개구부(111b)가 형성된다. 제1 개구부(111b)는 제1 가이드 레일(111)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제1 가이드 레일(111)의 출입구 방향 끝단은 개방되어 있다. 제2 가이드 레일(112)의 내부에는 제2 가이드 레일(112)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제2 수용 공간(112a)이 마련된다. 제2 가이드 레일(112)의 하부에는 제2 개구부(112b)가 형성된다. 제2 개구부(112b)는 제2 가이드 레일(112)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제2 가이드 레일(112)의 출입구 방향 끝단은 개방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111 and 112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parallel. The two guide rails 111 and 112 extend long toward the rear entrance of the vehicle (V in Fig. 1). Referring to FIGS. 2 and 3, a first receiving space 111a is formed in the first guide rail 111 so as to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rail 111. As shown in FIG. A first opening 111b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guide rail 111. The first opening 111b is elongat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rail 111. The opening end of the first guide rail 111 is open. The second guide rail 112 is provided with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112a which is elongat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rail 112. And a second opening 112b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guide rail 112. [ The second opening 112b is elongat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rail 112. The exit end of the second guide rail 112 is open.

다수의 연결 지지 부재(113a, 113b, 113c)는 두 가이드 레일(111, 112)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다수의 연결 지지 부재(113a, 113b, 113c)는 두 가이드 레일(111, 112)을 연결하도록 결합되어서, 고정용 프레임(110)을 구조적으로 강화시킨다. 다수의 연결 지지 부재(113a, 113b, 113c)는 차량(도 1의 V)의 천장에 적절한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되어서 고정된다.
The plurality of connection support members 113a, 113b, and 113c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wo guide rails 111 and 112 exte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supporting members 113a, 113b, and 113c are coupled to connect the two guide rails 111 and 112 to structurally strengthen the fixing frame 110. [ The plurality of connection supporting members 113a, 113b, and 113c are fastened and fixed to the ceiling of the vehicle (V in Fig. 1) through appropriate fastening means.

이동용 프레임(120)은 제1, 제2 이동 레일(121, 122)와, 다수의 지지대(140a)를 구비한다.The moving frame 120 includes first and second moving rails 121 and 122 and a plurality of supports 140a.

제1 이동 레일(121)은 제1 가이드 레일(111)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제1 가이드 레일(111) 내의 제1 수용 공간(111a)에 수용되어서 제1 가이드 레일(111)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제1 이동 레일(121)은 제1 상판부(121a)와, 제1 상판부(121a)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제1A, 제1B 수직벽(121b, 121b)을 구비한다. 두 수직벽(121b, 121c)은 서로 마주보면서 제1 가이드 레일(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두 수직벽(121b, 121c)은 제1 가이드 레일(111)에 형성된 제1 개구부(111b)를 통해 제1 가이드 레일(111)의 바깥으로 연장된다. 그에 따라, 두 수직벽(121b, 121c) 사이의 공간(121d)이 외부와 통한다.The first moving rail 121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rail 111 an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111a of the first guide rail 111, And mov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The first moving rail 121 includes a first upper plate portion 121a and first and second vertical walls 121b and 121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upper plate portion 121a. The two vertical walls 121b and 121c are elongat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rail 111 while facing each other. The two vertical walls 121b and 121c extend out of the first guide rail 111 through the first opening 111b formed in the first guide rail 111. [ As a result, the space 121d between the two vertical walls 121b and 121c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제2 이동 레일(122)은 제2 가이드 레일(112)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제2 가이드 레일(112) 내의 제2 수용 공간(112a)에 수용되어서 제2 가이드 레일(112)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제2 이동 레일(122)은 제2 상판부(122a)와, 제2 상판부(122a)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제2A, 제2B 수직벽(122b, 122b)을 구비한다. 두 수직벽(122b, 122c)은 서로 마주보면서 제2 가이드 레일(112)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두 수직벽(122b, 122c)은 제2 가이드 레일(112)에 형성된 제2 개구부(112b)를 통해 제2 가이드 레일(112)의 바깥으로 연장된다. 그에 따라, 두 수직벽(122b, 122c) 사이의 공간(122d)이 외부와 통한다.The second moving rail 122 is extend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rail 112 and is received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112a of the second guide rail 112, And mov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The second moving rail 122 has a second upper plate portion 122a and second A and second B vertical walls 122b and 122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upper plate portion 122a. The two vertical walls 122b and 122c are elongat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rail 112 while facing each other. The two vertical walls 122b and 122c extend outside the second guide rail 112 through the second opening 112b formed in the second guide rail 112. [ Thereby, the space 122d between the two vertical walls 122b, 122c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도 4에는 제1 가이드 레일(111) 내에서 제1 이동 레일(121)이 지지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이동 레일(121)의 상판부(121a)를 아래 양측(두 수직벽(121b, 121c)의 바깥쪽)에서 각각 지지하는 2개의 지지 롤러(125a, 125b)와, 제1 이동 레일(121)의 두 수직벽(121b, 121c)을 바깥쪽에서 가이드하는 2개의 측면 가이드 롤러(126a, 126b)가 제1 가이드 레일(111)에 구비된다. 지지 롤러(125a, 125b)와 측면 가이드 롤러(126a, 126b)는 제1 이동 레일(121)의 부드러운 이동을 돕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 롤러(125a, 125b)와 측면 가이드 롤러(126a, 126b)는 제1 가이드 레일(111)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다수 개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이동 레일(122) 내에서도 제2 이동 레일(122)이 동일한 구조로 지지되고 가이드된다.FIG. 4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moving rail 121 is supported in the first guide rail 111. 4, two supporting rollers 125a and 125b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portion 121a of the first moving rail 121 at both lower sides (outside the two vertical walls 121b and 121c) Two side guide rollers 126a and 126b for guiding the two vertical walls 121b and 121c of the one moving rail 121 from the outside are provided on the first guide rail 111. [ The support rollers 125a and 125b and the side guide rollers 126a and 126b smoothly move the first movable rail 121. [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125a and 125b and side guide rollers 126a and 126b are provid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rail 111. [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moving rail 122 is supported and guided in the same structure in the second moving rail 122 as well.

다수의 지지대(140a)는 두 이동 레일(121, 122)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다수의 지지대(140a)는 두 이동 레일(121, 122)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서, 이동용 프레임(120)을 구조적으로 강화시킨다.
A plurality of supports 140a ar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two moving rails 121, 122. A plurality of supports 140a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two moving rails 121 and 122 to structurally strengthen the moving frame 120. [

프레임 구동부(130)는 이동용 프레임(120)이 고정용 프레임(110)에 대하여 직선왕복이동하도록 이동용 프레임(120)을 구동시킨다. 이동용 프레임(120)의 이동에 의해 이동용 프레임(120)이 차량(도 1의 V)의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게 된다. 프레임 구동부(130)는 구동 모터(131)와, 동력 연결부(132)와, 구동 샤프트(133)와 제1, 제2 주행 롤러(134, 135)를 구비한다.The frame driving unit 130 drives the moving frame 120 so that the moving frame 120 linearly reciprocates with respect to the fixing frame 110. The moving frame 120 is moved in and out through the entrance of the vehicle (V in FIG. 1)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20. The frame driving unit 130 includes a driving motor 131, a power connecting unit 132, a driving shaft 133, and first and second driving rollers 134 and 135.

구동 모터(131)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프레임 구동부(13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131)로서 회전 전기 모터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131)가 연결 지지 부재(113c)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The driving motor 131 is bi-directionally rotatable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frame driving unit 130.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 rotary electric motor is used as the drive motor 131.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drive motor 131 is fixed to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113c.

동력 연결부(132)는 구동 모터(131)의 회전력을 구동 샤프트(133)로 연결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131)의 회전축이 구동 샤프트(133)와 직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며, 그에 다라 동력 연결부(132)는 베벨 기어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동력 연결부(132)는 적절한 회전수를 제공하기 위해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31)와 구동 샤프트(133)의 연결 관계에 따라서 동력 연결부(132)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power connection portion 132 connec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131 to the drive shaft 133.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ing motor 131 is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shaft 133, and the power coupling portion 132 is assumed to be a bevel gear. In addition, the power connection 132 may include a gearbox to provide a suitable number of revolutions. The power connection part 132 can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 motor 131 and the drive shaft 133. [

구동 샤프트(133)는 동력 연결부(132)를 통과하며 두 가이드 레일(111, 112)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된다. 구동 샤프트(133)의 양단부는 두 가이드 레일(111, 112)의 내부로 삽입된다.The drive shaft 133 passes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132 and extends across the two guide rails 111,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133 are inserted into the two guide rails 111, 112.

제1 주행 롤러(134)와 제2 주행 롤러(135) 각각은 제1 가이드 레일(111)의 수용 공간(111a)과 제2 가이드 레일(112)의 수용 공간(112a)에 위치한다. 제1 주행 롤러(134)는 구동 샤프트(133)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제1 이동 레일(121)의 상판부(121a)와 접한다. 제2 주행 롤러(135)는 구동 샤프트(133)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제2 이동 레일(122)의 상판부(122a)와 접한다. 제1 주행 롤러(134)와 제2 주행 롤러(135)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이동용 프레임(120)이 차량(도 1의 V)을 출입하게 된다.
The first driving roller 134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135 ar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1a of the first guide rail 111 and the receiving space 112a of the second guide rail 112, respectively. The first driving roller 134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133 and contacts the upper plate 121a of the first moving rail 121 while rotating. The second driving roller 135 is engaged with the driving shaft 133 and contacts the upper plate portion 122a of the second moving rail 122 while rotating. The moving frame 120 moves in and out of the vehicle (V in Fig. 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running roller 134 and the second running roller 135. [

승강 구동부(140)는 이동용 프레임(120)에 설치되어서 다수의 승강 와이어(161, 162, 163, 164)를 승강시킨다. 승강 구동부(140)는 후방 와이어 승강부와 전방 와이어 승강부를 구비한다.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moving frame 120 to lift and lower the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wires 161, 162, 163 and 164. The elevating driver 140 includes a rear wire elevator and a front wire elevator.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후방 와이어 승강부는 제1 승강 구동 모터(142)와, 제1 와이어 권취 롤러(144)와, 후방 제1A 방향 전환 롤러(145)와, 후방 제1B 방향 전환 롤러(146)와, 후방 제1 지지 롤러(147)와, 후방 제2A 방향 전환 롤러(145a)와, 후방 제2B 방향 전환 롤러(146a)와, 후방 제2 지지 롤러(147a)를 구비한다. 후방 와이어 승강부는 휠체어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후방 와이어(163, 164)를 승강시킨다. 후방 와이어 승강 구동 모터(142)는 이동용 프레임(120)의 지지대(140a)에 설치되며,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다.2, 5, and 6, the rear wire eleva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elevation driving motor 142, a first wire winding roller 144, a rear first-direction switching roller 145, A rear second A direction changing roller 145a, a rear second B direction changing roller 146a and a rear second supporting roller 147a do. The rear wire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lifts and lifts the two rear wires (163, 164) locat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wheelchair. The rear wir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otor 142 is installed on a support base 140a of the mobile frame 120 and is capable of bi-directional rotation.

후방 와이어 권취 롤러(144)는 후방 와이어 승강 구동 모터(142)에 의해 회전한다. 후방 와이어 권취 롤러(144)에는 2개의 후방 와이어(163, 164)가 권취된다. 후방 와이어 권취 롤러(14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2개의 후방 와이어(163, 164)는 함께 감기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2개의 후방 와이어(163, 164)는 함께 풀린다.The rear wire winding roller 144 is rotated by the rear wir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otor 142. Two rear wires 163 and 164 are wound around the rear wire winding roller 144. When the rear wire winding roller 144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two rear wires 163 and 164 are wound together, and when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two rear wires 163 and 164 are loosened together.

후방 제1A 방향 전환 롤러(145)는 제2 이동 레일(122)의 두 수직벽(122b, 122c) 사이에 형성된 공간(122d)에 위치한다. 후방 제1A 방향 전환 롤러(145)는 후방 와이어 권취 롤러(144)로부터 연장되어서 통로구멍(122c1)을 통해 두 수직벽(122b, 122c) 사이의 공간(122d)으로 들어온 제1 후방 와이어(163)를 공간(122d) 내에서 제2 이동 레일(122)이 들어가는 방향 쪽으로 진행방향을 변경시킨다.The rear first-A direction switching roller 145 is located in the space 122d formed between the two vertical walls 122b, 122c of the second moving rail 122. [ The rear first-A direction switching roller 145 extends from the rear-side wire winding roller 144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ear-side wire 163 which enters the space 122d between the two vertical walls 122b, 122c through the passage hole 122c1.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moving rail 122 enters in the space 122d.

후방 제1B 방향 전환 롤러(146)는 제1A 방향 전환 롤러(145)에 의해 전방 쪽으로 진행방향이 전환된 제1 후방 와이어(163)를 후방 쪽(즉, 제2 이동 레일(122)이 나가는 방향)으로 진행방향을 변경시킨다.The rear first B direction switching roller 146 is connected to the first rearward wire 163 whose forward direction has been switched forward by the first A direction switching roller 145 to the rear side (i.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moving rail 122 exits ) To change the direction of travel.

후방 제1 지지 롤러(147)는 제2 이동 레일(122)의 후방 끝단에 위치한다. 후방 제1 지지 롤러(147)는 제1B 방향 전환 롤러(146)에 의해 후방 쪽으로 연장된 제1 후방 와이어(163)가 아래로 연장된다. 후방 제1 지지 롤러(147)에 의해 휠체어가 지지된다.The rear first supporting roller 147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moving rail 122. The first rear support roller 147 is extended downward by the first rearward direction wire 163 extending rearward by the first B direction change roller 146. The wheelchair is supported by the first rear support roller 147.

후방 제2A 방향 전환 롤러(145a)와, 후방 제2B 방향 전환 롤러(146a)와, 후방 제2 지지 롤러(147a)는 제1 이동 레일(121)에 구비되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앞서서 설명한 후방 제1A 방향 전환 롤러(145), 후방 제1B 방향 전환 롤러(146) 및 후방 제1 지지 롤러(147)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방 후방 제2A 방향 전환 롤러(145a)와, 후방 제2B 방향 전환 롤러(146a)와, 후방 제2 지지 롤러(147a)는 제2 후방 와이어(164)를 안내하고 지지한다.
The rear second 2A direction switching roller 145a, the rear second B direction switching roller 146a and the rear second support roller 147a are provided on the first moving rail 121. Specifically, The rear first B direction switching roller 146, and the rear first support roller 147,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rear rear second A direction changing roller 145a, the rear second B direction changing roller 146a, and the rear second supporting roller 147a guide and support the second rear wire 164.

도 6을 참조하면, 전방 와이어 승강부는 제2 승강 구동 모터(141)와, 제2 와이어 권취 롤러(143)와, 전방 제1A 방향 전환 롤러(145b)와, 전방 제1B 방향 전환 롤러(146b)와, 전방 제1 지지 롤러(147b)와, 전방 제2A 방향 전환 롤러(145c)와, 전방 제2B 방향 전환 롤러(146c)와, 전방 제2 지지 롤러(147c)를 구비한다. 전방 와이어 승강부는 휠체어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전방 와이어(161, 162)를 승강시킨다. 전방 와이어 승강부의 구성은 앞서서 설명한 후방 와이어 승강부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6, the front wire eleva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elevation drive motor 141, a second wire take-up roller 143, a forward first A direction switching roller 145b, a front first B direction switching roller 146b, A front first supporting roller 147b, a front second A direction changing roller 145c, a front second B direction changing roller 146c, and a front second supporting roller 147c. The front wire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lifts and moves the two front wires 161 and 162 locat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wheelchair.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wire elevating por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rear wire elevating portio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수의 승강 와이어(161, 162 ,163, 164)는 제1, 제2 전방 와이어(161, 162)와, 제1, 제2 후방 와이어(163, 164)를 구비한다. 두 전방 와이어(161, 162)는 이동 대상 휠체어의 전방 부분에 결합되도록 끝단이 위치하며, 두 전방 와이어(161, 162)의 끝단에는 각각 제1, 제2 전방 결합 후크(151, 152)가 구비된다. 두 후방 와이어(163, 164)는 이동 대상 휠체어의 후방 부분에 결합되도록 끝단이 위치하며, 두 후방 와이어(163, 164)의 끝단에는 각각 제1, 제2 후방 결합 후크(153, 154)가 각각 구비된다.
The plurality of lifting wires 161, 162, 163 and 164 include first and second front wires 161 and 162 and first and second rear wires 163 and 164. The two front wires 161 and 162 are positioned such that they are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wheelchair to be moved and first and second front coupling hooks 151 and 152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two front wires 161 and 162, do. The two rear wires 163 and 164 are positioned such that they are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wheelchair to be moved and the first and second rear coupling hooks 153 and 154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two rear wires 163 and 164 Respectively.

리모콘(170)은 이동용 프레임(120)에 설치되며, 휠체어 탑승자가 이용하기 쉬운 곳에 위치한다. 리모콘(170)을 이용하여 휠체어 탑승자는 프레임 구동부(130)와 승강 구동부(140)의 작동을 조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모콘(170)이 유선 리모콘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무선 리모콘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remote controller 170 is installed in the movable frame 120, and is located in a place where the wheelchair occupant is easy to use. The wheelchair occupant can manipulate the operation of the frame driving unit 130 and the elevation driving unit 14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70. [ Although the remote controller 170 is described as being a wired remote controll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may be used instead.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차량(도 1의 V)이 주행 중일 때에는 휠체어 리프팅 장치(100)는 모두 차량 내부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휠체어를 차량에 싣기 위해 차량은 멈춘 상태에서 운전자 등이 차량의 뒷문을 열고 휠체어 리프팅 장치(100)의 프레임 구동부(130)를 작동시켜서 이동 프레임(120)을 차량 외부로 이동시킨다. 휠체어 탑승자는 전, 후방 결합 후크(151, 152, 153, 154)에 휠체어를 결합시킨다. 다음, 휠체어 탑승자는 리모콘(170)을 이용하여 승강 구동부(140)를 작동시켜서 전후방 균형을 맞춘 후 휠체어를 일정 높이 상승시킨다. 다음, 휠체어 탑승자는 리모콘(170)을 이용하여 프레임 구동부(130)를 작동시켜서 휠체어(C)를 차량 내부로 이동시킨다.
When the vehicle (V in Fig. 1) is running, the wheelchair lifting device 100 is all housed in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to load the wheelchair on the vehicle, the driver or the like opens the rear door of the vehicle and operates the frame driving unit 130 of the wheelchair lifting device 100 to move the moving frame 120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wheelchair occupant joins the wheelchair to the front and rear coupling hooks 151, 152, 153 and 154. Next, the occupant of the wheelchair uses the remote controller 170 to actuate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er 140 to balance the front and rear, and then raises the wheelchair to a certain height. Next, the wheelchair occupant operates the frame driving unit 13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70 to move the wheelchair C into the vehicle.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휠체어 리프팅 장치 110 : 고정용 프레임
111: 제1 가이드 레일 111a : 제1 수용 공간
111b : 제1 개구부 112 : 제2 가이드 레일
112a : 제2 수용 공간 112b : 제2 개구부
113a, 113b, 113c : 연결 지지 부재
120 : 이동용 프레임 121 : 제1 이동 레일
121a : 제1 상판부 121b : 제1A 수직벽
121b : 제1B 수직벽 122 : 제2 이동 레일
122a : 제2 상판부 122b : 제2A 수직벽
122c : 제2B 수직벽 130 : 프레임 구동부
131 : 구동 모터 132 ; 동력 연결부
133 : 구동 샤프트 134 : 제1 주행 롤러
135 : 제2 주행 롤러 140 : 승강 구동부
140a : 지지대 161 : 제1 전방 와이어
162 : 제2 전방 와이어 163 : 제1 후방 와이어
164 : 제2 후방 와이어 170 : 리모콘
100: wheelchair lifting device 110: fixing frame
111: first guide rail 111a: first accommodation space
111b: first opening 112: second guide rail
112a: second accommodation space 112b: second opening
113a, 113b, and 113c:
120: moving frame 121: first moving rail
121a: first upper plate portion 121b:
121b: first B vertical wall 122: second moving rail
122a: second upper plate part 122b: second A vertical wall
122c: second B vertical wall 130: frame driving part
131: drive motor 132; Power connection
133: drive shaft 134: first drive roller
135: second driving roller 140:
140a: Support base 161: First front wire
162: second front wire 163: first rear wire
164: second rear wire 170: remote control

Claims (7)

차량의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
상기 고정용 프레임에 수평방향 직선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용 프레임;
상기 이동용 프레임의 수평방향 직선왕복 운동을 구동시키는 프레임 구동부;
상기 이동용 프레임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휠체어 걸림 수단이 연결된 부분을 구비하는 다수의 승강 와이어; 및
상기 다수의 승강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주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용 프레임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레일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용 프레임은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2개의 이동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승강 와이어는 상기 2개의 이동 레일 각각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 수단이 전방에 위치하는 2개의 전방 와이어와, 상기 걸림 수단이 후방에 위치하는 2개의 후방 와이어를 구비하는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
A fixing frame fixed to the ceiling of the vehicle;
A movable frame coupled to the fixing frame so as to be capable of linearly reciproc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rame driving unit for driving a horizontal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ing frame;
A plurality of lifting wire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moving frame and having a portion to which the wheelchair engaging means is connected; And
And a lift driving part for pulling or loosening the plurality of lift wires,
Wherein the fixing frame has two guide rails arranged side by side,
The moving frame includes two moving rails that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two guide rails, respectively,
Wherein the plurality of lifting wires are provided on each of the two moving rails and include two front wires positioned in front of the engaging means and two rear wires positioned rearward of the engaging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2개의 전방 와이어를 구동시키는 전방 와이어 구동부와, 상기 2개의 후방 와이어를 구동시키는 후방 와이어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includes a front wir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two front wires and a rear wir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two rear wir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동부와 상기 승강 구동부를 조종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rame driving unit and the elevation driving unit.
청구항 1,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wheelchair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s mounted on a ceiling.
KR1020130090972A 2013-07-31 2013-07-31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4609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72A KR101460906B1 (en) 2013-07-31 2013-07-31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72A KR101460906B1 (en) 2013-07-31 2013-07-31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906B1 true KR101460906B1 (en) 2014-11-12

Family

ID=5228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972A KR101460906B1 (en) 2013-07-31 2013-07-31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9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59B1 (en) * 2017-09-25 2018-07-09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Slide rail type overhead cran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183A (en) * 1999-02-25 2000-09-25 카메다 후지오 Wheel chair storage apparatus of car
JP2004267705A (en) * 2003-03-06 2004-09-30 Yoneda Kuniomi Simplified crane apparatus for simple transfer
JP2007319221A (en) * 2006-05-30 2007-12-13 Miyaji Jidosha:Kk Wheelchair storing device for vehicle
JP2010052531A (en) * 2008-08-27 2010-03-11 Toyota Auto Body Co Ltd Wheelchair storage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183A (en) * 1999-02-25 2000-09-25 카메다 후지오 Wheel chair storage apparatus of car
JP2004267705A (en) * 2003-03-06 2004-09-30 Yoneda Kuniomi Simplified crane apparatus for simple transfer
JP2007319221A (en) * 2006-05-30 2007-12-13 Miyaji Jidosha:Kk Wheelchair storing device for vehicle
JP2010052531A (en) * 2008-08-27 2010-03-11 Toyota Auto Body Co Ltd Wheelchair storage device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59B1 (en) * 2017-09-25 2018-07-09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Slide rail type overhead cran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941B1 (en) mobile roof working platform apparatus capable of driving individually
JP4640588B2 (en) Elevating device for vehicle
JP4404999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802422B1 (en) Approach limit device for make control of height in tunnels
JP2001048450A5 (en)
CN211038010U (en) Vehicle carrying platform and stereo parking garage
KR101400806B1 (en) Elevator
KR101460906B1 (en)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
CN1689951B (en) Elevator
CN108979225B (en) Double-deck parking equipment
EP1566357B1 (en) Elevator equipment
KR101022041B1 (en) Sliding ramp having roller
KR101011056B1 (en) Elevating Parking System with Lifting and Rotating Function of Rotating Plate
CN109335928A (en) But dilatation elevator
CN110446676A (en) Lift appliance
JP2009126606A (en) Elevator device
JP2003182954A (en) Cable guide device
JP5134905B2 (en) Fork type parking system
JP6404025B2 (en) Elevator equipment
JP2015221974A (en) Fork parking system, and entry method and exit method thereof
JP5134902B2 (en) Fork type parking system
DE19827497B4 (en) elevator
JP3049025U (en) Elevating washbasin device
EP1967478A1 (en) Electromechanical apparatus for raising persons and/or loads
KR102570947B1 (en) Apparatus for removing esca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