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947B1 - Apparatus for removing escalat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esca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947B1
KR102570947B1 KR1020230059156A KR20230059156A KR102570947B1 KR 102570947 B1 KR102570947 B1 KR 102570947B1 KR 1020230059156 A KR1020230059156 A KR 1020230059156A KR 20230059156 A KR20230059156 A KR 20230059156A KR 102570947 B1 KR102570947 B1 KR 10257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pair
coupled
escalator
tru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개성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개성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개성이앤씨
Priority to KR1020230059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9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9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는, 슬라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슬라브 상면에 평행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제1 주행레일;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을 타고 왕복 이동 가능한 트러스 구조체; 및 상기 트러스 구조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견인대상물을 견인하는 하나 이상의 견인호이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를 이용하면,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절단된 에스컬레이터 부품을 상부 슬라브보다 높은 지점까지 견인할 수 있고, 견인된 부품을 상부 슬라브 상에서 수평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seat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slab therebetween; A truss structure capable of reciprocating movement on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and one or more traction hoists coupled to the truss structure and pulling an object to be hauled through the opening. Using the escalator demol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a narrow space, and the cut escalator parts can be towed to a point higher than the upper slab, and the towed parts can be freely moved horizontally on the upper slab. there is

Figure R1020230059156
Figure R1020230059156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escalator}Escalator removal device {Apparatus for removing 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를 분해한 후 견인 방식으로 철거하기 위한 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해체된 에스컬레이터 부품을 최상층 슬라브까지 한 번에 견인할 수 있고, 견인된 부품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molition device for disassembling an escalator and then removing it by a tra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can tow dismantled escalator parts to the uppermost slab at once, and can move the towed parts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relates to an escalator removal device configured to be.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는 백화점, 공항 청사, 지하철 역사 및 호텔과 같은 각종 공공 건축물 층간에서 승객을 편리하게 이송시키는 승강 및 하강 장치이다.In general, an escalator is a lifting and lowering device that conveniently transfers passengers between floors of various public buildings such as department stores, airport buildings, subway stations, and hotels.

에스컬레이터는 컨베이어 기술을 사용하는 무한궤도형 계단인 스텝(step)을 전동장치에 의해 경사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철골구조로 된 2대의 트러스를 상하층간에 설치하고 여기에 전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원형의 스텝체인을 탑재하여 스텝체인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텝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환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An escalator moves a step, an endless track type staircase using conveyor technology, up and down by an electric device. It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circulate a number of steps installed on the step chai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guide rail by mounting a circular step chain.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전체적인 규격이 매우 크고 고중량이므로, 에스컬레이터를 철거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에스컬레이터를 여러 조각으로 절단한 후 건물 외부로 인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에스컬레이터를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더라도 절단된 부품 역시 사람이 직접 들기에는 매우 무거우므로 절단된 부품을 견인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Since these escalators are very large in overall size and heavy, when removing the escalator, a worker cuts the escalator into several pieces and then withdraws the escalator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However, even if the escalator is cut into several pieces, it is difficult to tow the cut parts because the cut parts are too heavy for a person to lift directly.

이때, 크레인을 이용하여 절단된 에스컬레이터를 견인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으나,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크레인은 크기가 매우 커서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단된 에스컬레이터 조각을 건축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슬라브의 개구부를 통해 끌어올린 후 창문 주변으로 옮겨야 하는데 현재까지 제안된 수평이동식 크레인장치는 견인대상물을 바닥면 상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을뿐, 상부 슬라브 위로 끌어올리거나 상부 슬라브 상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작업은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towing the cut escalator using a crane may be proposed, but currently commercialized crane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are very large and difficult to install in the interior of a building. In addition, in order to withdraw the cut escalator fragmen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t must be pulled up through the opening of the slab and then moved to the window. ,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raise the upper slab or move it horizontally on the upper slab.

KRKR 20-1996-0002232 20-1996-0002232 Y1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절단된 에스컬레이터 부품을 상부 슬라브보다 높은 지점까지 견인할 수 있고, 견인된 부품을 상부 슬라브 상에서 수평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be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can tow the cut escalator parts to a point higher than the upper slab, and move the towed parts freely horizontally on the upper slab.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scalator demolition device that can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는, 슬라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슬라브 상면에 평행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제1 주행레일;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을 타고 왕복 이동 가능한 트러스 구조체; 및 상기 트러스 구조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견인대상물을 견인하는 하나 이상의 견인호이스트;를 포함한다.An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seat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slab therebetween; A truss structure capable of reciprocating movement on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and one or more traction hoists coupled to the truss structure and pulling an object to be hauled through the opening.

상기 트러스 구조체는, 상기 제1 주행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와, 상기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를 일체로 연결하는 종방향트러스와, 상기 횡방향트러스 또는 상기 종방향트러스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 상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수직트러스를 포함한다.The truss structure includes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running rail, a longitudinal truss integrally connecting the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and from the transverse truss or the longitudinal truss. It extends downwar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trusses seated on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상기 복수 개의 수직트러스의 하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러스 구조체를 왕복 이송시키는 제1 주행유닛을 더 포함한다.A first driving unit coupled to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trusses and reciprocally transporting the truss structure by moving along the first driving rail is further included.

상기 제1 주행유닛은, 상기 수직트러스의 하측 끝단에 결합되는 제1 주행브라켓과, 상기 제1 주행브라켓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상기 제1 주행레일을 타고 구르는 제1 주행롤러와, 상기 제1 주행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를 포함한다.The first traveling unit includes a first traveling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a first traveling roller mounted to the first traveling bracket in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and rolling along the first traveling rail, and 1 includes a first drive motor that rotates the traveling roller.

상기 제1 주행브라켓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제1 주행레일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도록 하향 연장된다.Both sides of the first travel bracket in the width direction extend downward to contact both sides of the first travel rail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제1 주행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횡방향트러스 상에 장착되는 제2 주행레일; 및 상기 제2 주행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되, 상기 견인호이스트가 결합되는 제2 주행유닛을 더 포함한다.a second running rail mounted on the transverse truss so as to be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running rail; and a second driving unit reciprocally moving along the second driving rail and to which the traction hoist is coupled.

상기 제2 주행유닛은, 상기 견인호이스트가 결합되는 제2 주행브라켓과, 상기 제2 주행브라켓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제2 주행레일을 타고 구르는 제2 주행롤러와, 상기 제2 주행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구비한다.The second travel unit includes a second travel bracket coupled to the traction hoist, a second travel roller coupled to the second travel bracket in a rotatable structure and rolling along the second travel rail, and the second travel roller. And a second drive motor for rotating.

상기 제2 주행레일은, 상기 횡방향트러스 상면에 안착되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제2 주행유닛이 안착되는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로 구성되고, 상기 견인호이스트는 상기 제2 주행브라켓의 폭방향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주행유닛은, 상기 제2 주행브라켓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하측 끝단이 상기 상부플랜지의 하측에 위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측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랜지의 저면을 타고 상기 제2 주행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구르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travel rail is composed of a lower flang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truss, an upper flange on which the second travel unit is seated, and an abdomen connecting the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and the traction hoist A guide fram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travel bracket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travel bracket and having a lower end positioned below the upper flange; the guide frame I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able structure and ride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d further includes a guide roller that ro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unning rail.

상기 횡방향트러스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종방향트러스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트러스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한 쌍의 고정트러스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트러스로 구성된다.The transverse truss is composed of a pair of fixed trusses hav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xedly coupled to the longitudinal truss, and a slide truss having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pair of fixed trusses in an insertable and withdrawable structure.

상기 슬라브 상면에 설치되되 상면에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이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빔과, 상기 한 쌍의 지지빔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바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지지빔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바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한 쌍의 고정바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로 구성된다.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nd further includes a pair of support beams to which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beams, wherein the connecting bar has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onsists of a pair of fixed bars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beam, and a slide bar coupled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pair of fixed bars.

상기 수직트러스는 하나의 제1 주행레일에 쌍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1 주행레일과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트러스힌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수직트러스 상부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종방향트러스에 결합되며, 상기 트러스힌지와 평행한 스크류힌지에 의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수직트러스 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의 길이방향 타측이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되는 자전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스크류바는 나사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상기 자전몸체의 자전 방향에 따라 상호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진다.The vertical trusses are mounted in pairs on one first running rail, and are coupled to the longitudinal truss in a rotatable structure in which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vertical trusses are rotatable by a truss hinge orthogonal to the first running rai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air of screw bars hav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middle of the pair of vertical trusses in a rotatable structure by a screw hinge parallel to the truss hing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w bar being coupled with a screw coupling structure It further includes a rotating body, but the pair of screw bars are formed in opposite spiral direction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increases or decreas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상기 자전몸체를 자전시키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한다.A rotation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on body is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를 이용하면,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절단된 에스컬레이터 부품을 상부 슬라브보다 높은 지점까지 견인할 수 있고, 견인된 부품을 상부 슬라브 상에서 수평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Using the escalator demol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a narrow space, and the cut escalator parts can be towed to a point higher than the upper slab, and the towed parts can be freely moved horizontally on the upper slab.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에 포함되는 제1 주행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에 포함되는 제2 주행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에 포함되는 연결바와 횡방향트러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에 포함되는 트러스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driving unit included in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d in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tate diagrams of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bar and the transverse truss included in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russ structure included in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에 포함되는 제1 주행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에 포함되는 제2 주행유닛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driving unit included in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cond escalator included in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ront view of the driving unit.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는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를 절단한 후 상부 슬라브 위로 견인하기 위한 장치로서, 층고가 낮은 실내에서도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하며, 슬라브의 개구부가 견인되는 에스컬레이터 절단부에 의해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상측으로 견인하는 구조로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The escalator demol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pulling an escalator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a building and then pulling it onto the upper slab. The biggest feature is that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pulls upward while moving the escalator cuto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not to become.

즉, 본 발명에 의한 엘이베이터 철거장치는, 슬라브(10)에 형성된 개구부(1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슬라브(10) 상면에 평행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제1 주행레일(100)과,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100)을 타고 왕복 이동 가능한 트러스 구조체(200)와, 상기 트러스 구조체(200)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견인대상물 즉,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견인하는 하나 이상의 견인호이스트(6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That is, the elev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100 seat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 with an opening 12 formed in the slab 10 therebetween, A truss structure 200 capable of reciprocating on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100, and at least one coupled to the truss structure 200 and pulling an object to be towed, that is, an escalator cut portion, through the opening 12 A traction hoist 600 is provided as a basic component.

상기 제1 주행레일(100)은 슬라브(10)의 상면에 직접 안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슬라브(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주행레일(100)보다 저면 면적이 넓은 지지빔(110)을 상기 슬라브(10) 상에 먼저 설치한 후 상기 제1 주행레일(100)이 상기 지지빔(110)의 상면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빔(11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H'빔 형상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주행레일(100)을 안정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슬라브(10)의 상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The first running rail 10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direct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 an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slab 10, the support beam having a wider bottom area than the first running rail 100 ( 110) may be installed on the slab 10 first, and then the first running rail 10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110. At this time, the support beam 110 is not limited to the 'H' beam shape shown in this embodiment, and can stably support the first running rail 100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 It can be replaced with any shape if possible.

이때, 상기 견인호이스트(600)는 슬라브(10)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상측으로 견인할 수 있고, 에스컬레이터 절단부가 슬라브(10) 바닥면보다 높게 견인된 이후에는 상기 트러스 구조체(200)가 제1 주행레일(1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므로 견인된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슬라브(10)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를 이용하면,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상측으로 견인하는 작업과, 견인된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상부 슬라브(10) 상에 안착시키는 작업이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에스컬레이터 철거를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traction hoist 6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ab 10, the escalator cutting part can be pulled upward through the opening 12, and the escalator cutting part is pull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ab 10. After that, since the truss structure 200 can be moved along the first running rail 100, the towed escalator cutting portion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 That is, if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operation of pulling the escalator cutting part upward and the work of seating the towed escalator cutting part on the upper slab 10 can be performed at once, so that the escalator removal is mor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fast.

한편, 에스컬레이터는 전체 사이즈가 매우 크므로,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여러 조각으로 절단한다 하더라도 그 크기가 크다는 특성이 있다. 상기 견인호이스트(600)가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슬라브(10)의 상면보다 높은 지점까지 견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견인호이스트(600)의 장착 높이가 매우 높아야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verall size of the escalator is very large, even if the escalator is cut into several pieces, the size is large. In order for the traction hoist 600 to tow the escalator cutting part to a point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 the mounting height of the traction hoist 600 must be very high.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트러스 구조체(200)는 상기 견인호이스트(600)의 장착 높이를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주행레일(1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220)와, 상기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220)를 일체로 연결하는 종방향트러스(230)와, 상기 횡방향트러스(220) 또는 상기 종방향트러스(230)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100) 상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수직트러스(210)로 구성될 수 있다.The truss structure 2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220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running rail 100 so as to maintain a high mounting height of the traction hoist 600 And, the longitudinal truss 230 integrally connecting the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220,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ransverse truss 220 or the longitudinal truss 230, and the first running of the pair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trusses 210 seated on the rail 100.

상기 견인호이스트(600)는 슬라브(1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충분히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바,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슬라브(10)의 상면보다 높은 지점까지 견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슬라브(10)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The traction hoist 600 is located at a point sufficiently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 and can pull the escalator cutting part to a point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 Accordingly, the escalator cutting part can be pulled to the slab 10. It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10).

이때, 상기 트러스 구조체(200)는 견인호이스트(600)를 슬라브(10)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상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uss structure 200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shape shown in this embodiment if the traction hoist 600 can be located at a point spaced upward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

본 발명에 포함되는 트러스 구조체(200)는 제1 주행레일(100)을 타고 왕복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트러스(210)의 하단이 직접 제1 주행레일(100)에 접촉되면 상기 수직트러스(210)와 제1 주행레일(100) 간의 마찰력이 매우 크게 발생되므로 상기 트러스 구조체(200)가 원활하게 왕복 이송될 수 없다.The truss structure 2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reciprocally transported along the first running rail 100, and whe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210 directly contacts the first running rail 100, the vertical truss Sin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210 and the first running rail 100 is very large, the truss structure 200 cannot be smoothly reciprocat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는 트러스 구조체(200)와 제1 주행레일(100)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수직트러스(210)의 하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제1 주행레일(10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러스 구조체(200)를 왕복 이송시키는 제1 주행유닛(3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trusses 210 to minimiz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russ structure 200 and the first running rail 100, but the first running rail A first driving unit 300 reciprocally transporting the truss structure 200 by moving along 1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이때 상기 제1 주행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트러스(210)의 하측 끝단에 결합되는 제1 주행브라켓(310)과, 상기 제1 주행브라켓(310)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상기 제1 주행레일(100)을 타고 구르는 제1 주행롤러(320)와, 상기 제1 주행롤러(320)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3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주행유닛(300)이 구성되면, 트러스 구조체(200)가 제1 주행레일(100)을 따라 이동될 때 제1 주행레일(100)에는 제1 주행롤러(320)의 구름마찰만이 발생되므로, 상기 트러스 구조체(200)가 보다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travel unit 300 is capable of rotating to the first travel bracket 31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210 and the first travel bracket 310 . It may be composed of a first driving roller 320 mounted in a structure and rolling along the first traveling rail 100 and a first driving motor 330 rotating the first traveling roller 320 . When the first travel unit 300 is configured in this way, when the truss structure 200 is moved along the first travel rail 100, the first travel rail 100 has rolling friction of the first travel roller 320. Since only this is generated, the truss structure 200 can be more smoothly transported.

또한, 상기 제1 주행유닛(300)이 상기 제1 주행레일(100)의 상면을 타고 구르는 과정에서 제1 주행레일(100)의 폭방향으로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1 주행브라켓(310)의 폭방향 양측은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주행레일(100)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주행브라켓(310)의 폭방향 양측이 제1 주행레일(100)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제1 주행유닛(300)에 폭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제1 주행브라켓(310)이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제1 주행레일(100)을 따라 안정적으로 왕복 이송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ravel bracket 310 i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travel unit 300 does not fa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travel rail 100 while rol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avel rail 100.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extend downward and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running rail 100 . In this way, when both sides of the first traveling bracket 310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first travel rail 100 in the width direction,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travel unit 300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travel unit 300 As long as the traveling bracket 310 is not damag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stably reciprocated along the first traveling rail 100 .

한편, 상기 슬라브(10)에 형성되는 개구부(12)는 에스컬레이터의 규격에 맞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상기 견인호이스크가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단순히 수직 상방으로만 견인하며 상기 에스컬레이터 절단부가 개구부(12)의 가장자리에 부딪혀 슬라브(10)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트러스 구조체(200)는 개구부(12)의 길이방향(도 1에서는 전후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견인호이스트(600)가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견인하는 동안 상기 트러스 구조체(200)를 제1 주행레일(100)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에스컬레이터 절단부가 개구부(12)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부딪히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지만, 상기 에스컬레이터 절단부가 개구부(12)의 폭방향 가장자리에 부딪히는 현상은 방지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pening 12 formed in the slab 10 is formed in a size that meets the specifications of the escalator, the traction hoist simply pulls the escalator cut portion vertically upward, and the escalator cut portion is the edge of the opening 12 It can cause breakage of the slab 10 by bumping into it. Of course, since the truss structure 200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12 (front and rear direction in FIG. 1), the truss structure 200 is removed while the traction hoist 600 pulls the cut portion of the escalator. By transporting one running rail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scalator cutting part from colliding with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opening 12, but the escalator cutting part colliding with the widthwise edge of the opening 12 can be prevented. can't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호이스트(600)가 개구부(12)의 폭방향으로도 이송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는, 상기 제1 주행레일(1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횡방향트러스(220) 상에 장착되는 제2 주행레일(400)과, 상기 제2 주행레일(400)을 따라 왕복 이동하되 상기 견인호이스트(600)가 결합되는 제2 주행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traction hoist 600 can be transpor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12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at is,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unning rail 400 mounted on the transverse truss 220 so as to be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running rail 100, and the second running A second driving unit 500 that reciprocates along the rail 400 and is coupled to the traction hoist 600 may be further included.

이와 같이 상기 견인호이스트(600)가 제2 주행유닛(5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제2 주행유닛(500)이 제2 주행레일(40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견인호이스트(600)가 견인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 절단부가 개구부(12)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절단부가 개구부(12)의 가장자리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when the traction hoist 6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travel unit 500, as the second travel unit 500 moves along the second travel rail 400, the traction hoist 600 Since the escalator cutting part being pulled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12, the operator can prevent the escalator cutting part from colliding with the edge of the opening 12.

이때 상기 제2 주행유닛(500)은, 상기 견인호이스트(600)가 결합되는 제2 주행브라켓(510)과, 상기 제2 주행브라켓(51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제2 주행레일(400)을 타고 구르는 제2 주행롤러(520)와, 상기 제2 주행롤러(520)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530)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호이스크의 후크(610)가 제2 주행레일(400)의 중심부로부터 어긋나도록 구성되면 상기 견인호이스트(600)가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견인할 때 상기 제2 주행브라켓(510)이 에스컬레이터 절단부의 자중에 의해 제2 주행레일(400)로부터 떨어질 우려가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travel unit 500 is coupled to the second travel bracket 510 to which the traction hoist 600 is coupled,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travel bracket 510 to form the second travel rail ( 400) and a second driving motor 530 that rotates the second traveling roller 520 and rotates the second traveling roller 520. As shown in FIG. 3, the traction hoist When the hook 610 is configured to be displaced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running rail 400, when the traction hoist 600 pulls the escalator cutting portion, the second traveling bracket 510 performs the second traveling by the weight of the escalator cutting portion. There is a risk of falling off the rail 400 .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는, 에스컬레이터 절단부의 자중이 견인호이스트(600) 측에 인가되더라도 상기 제2 주행유닛(500)이 견인호이스트(600) 측으로 넘어가지 아니하고 제2 주행레일(40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weight of the escalator cutting portion is applied to the traction hoist 600 side, the second driving unit 500 does not cross over to the traction hoist 600 side and moves on the second running rail 400.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maintain a stable seated state.

예를 들어 상기 견인호이스트(600)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주행브라켓(510)의 폭방향 일측(도 3에서는 우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주행레일(400)이 상기 횡방향트러스(220) 상면에 안착되는 하부플랜지(420)와 상기 제2 주행유닛(500)이 안착되는 상부플랜지(410)와 상기 하부플랜지(420)와 상부플랜지(410)를 연결하는 복부(430)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주행유닛(500)은 상기 제2 주행브라켓(510)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하측 끝단이 상기 상부플랜지(410)의 하측에 위치되는 가이드프레임(540)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540)의 하측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랜지(410)의 저면을 타고 상기 제2 주행레일(400)의 길이방향으로 구르는 가이드롤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traction hoist 600 is coupled to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right side in FIG. 3) of the second traveling bracket 510, and the second traveling rail 400 is The lower flange 42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truss 220, the upper flange 410 on which the second driving unit 500 is seated, and the abdomen connecting the lower flange 420 and the upper flange 410 ( 430), the second travel unit 500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travel bracket 510 and has a lower end of the guide frame 540 positioned below the upper flange 410. ) and a guide roller 55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frame 540 in a rotatable structure and roll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unning rail 40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lange 410. can

이와 같이 상기 제2 주행브라켓(510)에 가이드프레임(540) 및 가이드롤러(550)가 구비되면, 상기 견인호이스트(600)의 후크(610)에 에서컬레이터 절단부가 후킹되어 상기 제2 주행브라켓(510)에 시계방향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가이드롤러(550)가 상부플랜지(410)의 저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제2 주행브라켓(510)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아니하고 상부플랜지(410)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guide frame 540 and the guide roller 550 are provided in the second travel bracket 510, the cut portion of the collator is hooked to the hook 610 of the traction hoist 600, and the second travel bracket Even if a clockwis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510, since the guide roller 5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lange 410, the second travel bracket 510 does not tilt to one side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41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posi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4 and 5 are state diagrams of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견인할 때에는, 먼저 에스컬레이터를 절단하여, 하나의 에스컬레이터를 둘 이상의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 1b)로 나눈 후, 에스컬레이터 절단부를 하나씩 견인한다.When pulling an escalator using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scalator is first cut, one escalator is divided into two or more escalator cut parts 1a and 1b, and then the escalator cut parts are pulled one by one.

상기 트러스 구조체(200)는 제1 주행레일(100)을 따라 개구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견인하고자 하는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의 수직 상측에 견인호이스트(600)를 위치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견인호이스트(600)의 후크(610)를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에 걸어 상측으로 견인한다.Since the truss structure 200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12 along the first running rail 100, after placing the traction hoist 600 on the vertical upper side of the escalator cutout 1a to be towed, As shown in FIG. 4, the hook 610 of each traction hoist 600 is hooked to the escalator cut portion 1a and pulled upward.

이때, 상기 견인호이스트(600)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바, 작업자는 각 견인호이스트(600)의 견인거리를 상이하게 조절함으로써 견인 중의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의 견인공간이 넓게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 두 개의 견인호이스트(600) 견인 거리를 상이하게 제어하여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를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상기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를 보다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ction hoists 600 are configured to be individually controllable, and the operator can freely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escalator cutting part 1a during traction by differently adjusting the traction distance of each traction hoist 600. Therefore, when the traction space of the escalator cutting part (1a) is not secured widely, the escalator cutting part (1a) is more easily set up vertically by differently controlling the pulling distance of the two traction hoists (600). can be towed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를 제1 주행레일(100)이 설치된 슬라브(1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견인한 이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행유닛(500)을 제2 주행레일(400) 일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견인된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를 적절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After towing the escalator cutting part (1a)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0 on which the first running rail 10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running unit 500 is moved to the second running rail ( 400) By moving to one side, it is possible to seat the towed escalator cutting part (1a) in an appropriate position.

또한, 제2 주행유닛(500)이 개구부(12)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본 바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의 장착위치를 조절하지 아니하더라도 설치위치가 상이한 다수 개의 에스컬레이터들을 모두 견인 및 철거할 수 있으므로, 에스컬레이터 철거에 소요되는 공사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if the second driving unit 50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12, even i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djusted, a plurality of escalators having different installation positions are all towed and Since it can be removed,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required for the removal of the escalator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에 포함되는 연결바(120)와 횡방향트러스(2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6 and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bar 120 and the transverse truss 220 included in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가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를 견인할 때에는 그 하중이 제1 주행레일(100) 및 지지빔(110)으로 전달되는바, 한 쌍의 제1 주행레일(100)이 평행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1 주행레일(100)이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100)은 별도의 연결바(12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ulls the escalator cutting portion 1a,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unning rail 100 and the support beam 110, so that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100 are parallel.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is not maintained properly and is twisted to one side. In this way, to prevent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100 from being twisted,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10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by a separate connecting bar 120.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는 슬라브(10)의 개구부(12) 폭 크기에 맞춰 트러스 구조체(200)의 폭 규격이 증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주행레일(100) 간 이격거리를 한정하는 연결바(120)와, 상기 횡방향트러스(220)의 길이가 작업현장에서 증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width standard of the truss structure 200 according to the width size of the opening 12 of the slab 10. That is,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ar 120 defin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100 and the transverse truss 220 may be configured to be increased or decreased at a work site.

예를 들어 상기 횡방향트러스(2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종방향트러스(230)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트러스(222)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한 쌍의 고정트러스(222)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트러스(224)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바(1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지지빔(110)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바(122)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한 쌍의 고정바(122)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바(124)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nsverse truss 220 includes a pair of fixed trusses 222 hav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xedly coupled to the longitudinal truss 230, and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fixed trusses 222 It may be composed of a slide truss 224 coupled to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and withdrawn. Similarly, the connecting bar 120 includes a pair of fixing bars 122 hav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beam 110, and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pair of fixing bars 122. It may be composed of a slide bar 124 coupled in a possible structure.

이와 같이 상기 연결바(120)와 횡방향트러스(220)의 길이가 현장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개구부(12)의 폭 크기에 맞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100)을 적정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맞춰 트러스 구조체(2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제2 주행레일(400)만을 다른 길이의 제품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에스컬레이터를 철거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lengths of the connecting bar 120 and the transverse truss 220 ar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the field,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100 can be install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opening 12 And since the width of the truss structure 200 can be adjusted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dismantle escalators of various standards by installing only the second running rail 400 as a product of different lengths.

즉,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는 개구부(12)의 규격이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현장에 공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 즉, 범용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commonly used in various types of sites where the specifications of the opening 12 are different, that is, it can have the advantage of being very excellent in versatility.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에 포함되는 트러스 구조체(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russ structure 200 included in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가 규격이 큰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도 상부 슬라브(10)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견인호이스트(600)의 장착 높이가 최대한 높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견인호이스트(600)의 장착높이를 높일수록 다양한 크기의 에스컬레이터 절단부(1a)를 상부 슬라브(10)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는데, 건축물의 층고 즉, 상하로 이웃하는 두 슬라브(10) 간의 거리는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견인호이스트(600)의 장착높이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In order for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seat the escalator cutting portion (1a) having a large siz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lab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height of the traction hoist 600 is set as high as possible. That is, as the mounting height of the traction hoist 600 increases, the escalator cutout 1a of various sizes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lab 10. Since the distance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building,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mounting height of the traction hoist 600.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호이스트(600)의 장착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scalator demol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ounting height of the traction hoist 600 is adjustable so as to solve this problem.

예를 들어 상기 수직트러스(210)는 하나의 제1 주행레일(100)에 쌍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1 주행레일(100)과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트러스힌지(212)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수직트러스(210) 상부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종방향트러스(230)에 결합되며, 상기 트러스힌지(212)와 평행한 스크류힌지(712)에 의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수직트러스(210) 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바(710)와, 상기 스크류바(710)의 길이방향 타측이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되는 자전몸체(72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스크류바(710)는 나사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므로, 상기 자전몸체(720)의 자전 방향에 따라 상호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For example, the vertical trusses 210 are mounted in pairs on one first running rail 100, and the pair of truss hinges 212 orthogonal to the first running rail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op of the vertical truss 210 is coupled to the longitudinal truss 230 in a rotatable structure, and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pair of vertical trusses 210 by a screw hinge 712 parallel to the truss hinge 212. )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air of screw bars 710 coupled to the middle in a rotatable structure, and a rotation body 720 to which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w bar 710 is coupled with a screw coupling structure. . At this time, since the pair of screw bars 710 ar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crew lines, the distance between them becomes closer or farther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720.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크류바(71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자전몸체(720)를 회전시키면, 하나의 제1 주행레일(100)에 안착된 두 개의 수직트러스(210)는 하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세워지므로 상기 횡방향트러스(220)의 높이가 높아지고, 상기 횡방향트러스(220) 상에 설치된 견인호이스트(600)의 설치높이가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건축물의 층고가 낮아 견인호이스트(600)의 설치높이를 낮춰야 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스크류바(710)가 서로 멀어지도록 자전몸체(720)를 회전시켜 상기 수직트러스(210)의 경사도를 낮춤으로써, 상기 횡방향트러스(220) 및 이에 장착된 견인호이스트(6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8, when the rotation body 720 is rotated so that the pair of screw bars 710 come closer to each other, the two vertical trusses 210 seated on one first running rail 100 are lowered. Since they are built close to each other, the height of the transverse truss 220 increases,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traction hoist 600 installed on the transverse truss 220 can be obtained. Conversely, if the height of the building is low and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traction hoist 600 needs to be lowered, the rotation body 720 is rotated so that the pair of screw bars 710 are away from each other to lower the inclination of the vertical truss 210 By this, it is possible to lower the height of the transverse truss 220 and the traction hoist 600 mounted thereto.

이와 같이 트러스 구조체(20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작업자는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층고 높이에 맞춰 견인호이스트(600)의 장착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에스컬레이터 철거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height of the truss structure 200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the operator can freely adjust the mounting height of the traction hoist 60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so that the escalator removal construction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there will be

이때, 트러스 구조체(200)의 높이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자전몸체(720)를 자전시키는 회전모터(7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모터(730)의 구동력이 웜기어 및 웜휠기어에 의해 자전몸체(720)로 전달되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모터(730)의 구동력이 자전몸체(720)로 전달되는 동력전달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rotation motor 730 for rotating the rotation body 7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height of the truss structure 200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In this embodiment, only the structure in which the driving force of the rotation motor 730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body 720 by the worm gear and the worm wheel gear is shown, but the driving force of the rotation motor 730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body 720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can be chang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에스컬레이터 10 : 슬라브
12 : 개구부 100 : 제1 주행레일
110 : 지지빔 120 : 연결바
122 : 고정바 124 : 슬라이드바
200 : 트러스 구조체 210 : 수직트러스
212 : 트러스힌지 220 : 횡방향트러스
222 : 고정트러스 224 : 슬라이드트러스
230 : 종방향트러스 300 : 제1 주행유닛
310 : 제1 주행브라켓 320 : 제1 주행롤러
330 : 제1 구동모터 400 : 제2 주행레일
410 : 상부플랜지 420 : 하부플랜지
430 : 복부 500 : 제2 주행유닛
510 : 제2 주행브라켓 520 : 제2 주행롤러
530 : 제2 구동모터 540 : 가이드프레임
550 : 가이드롤러 600 : 견인호이스트
610 : 후크 710 : 스크류바
712 : 스크류힌지 730 : 회전모터
720 : 자전몸체
1: escalator 10: slab
12: opening 100: first running rail
110: support beam 120: connecting bar
122: fixed bar 124: slide bar
200: truss structure 210: vertical truss
212: truss hinge 220: transverse truss
222: fixed truss 224: slide truss
230: longitudinal truss 300: first driving unit
310: first traveling bracket 320: first traveling roller
330: first driving motor 400: second driving rail
410: upper flange 420: lower flange
430: abdomen 500: second driving unit
510: second traveling bracket 520: second traveling roller
530: second drive motor 540: guide frame
550: guide roller 600: traction hoist
610: hook 710: screw bar
712: screw hinge 730: rotation motor
720: rotation body

Claims (12)

슬라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슬라브 상면에 평행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제1 주행레일;
상기 제1 주행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와, 상기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를 일체로 연결하는 종방향트러스와, 상기 횡방향트러스 또는 상기 종방향트러스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 상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수직트러스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을 타고 왕복 이동 가능한 트러스 구조체;
상기 트러스 구조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견인대상물을 견인하는 하나 이상의 견인호이스트;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직트러스의 하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러스 구조체를 왕복 이송시키는 제1 주행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주행유닛은, 상기 수직트러스의 하측 끝단에 결합되는 제1 주행브라켓과, 상기 제1 주행브라켓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상기 제1 주행레일을 타고 구르는 제1 주행롤러와, 상기 제1 주행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행브라켓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제1 주행레일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도록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seat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slab therebetween;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running rail, a longitudinal truss integrally connecting the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ransverse truss or the longitudinal truss to A truss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trusses seated on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movement on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One or more traction hoists coupled to the truss structure and towing an object to be towed through the opening; and
a first driving unit coupled to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trusses and reciprocally transporting the truss structure by moving along the first driving rail;
Including,
The first traveling unit includes a first traveling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a first traveling roller mounted to the first traveling bracket in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and rolling along the first traveling rail, and 1 including a first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traveling roller,
Escalator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wise both sides of the first traveling bracket extend downward to contact both sides of the first traveling rail in the width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슬라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슬라브 상면에 평행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제1 주행레일;
상기 제1 주행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와, 상기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를 일체로 연결하는 종방향트러스와, 상기 횡방향트러스 또는 상기 종방향트러스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 상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수직트러스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을 타고 왕복 이동 가능한 트러스 구조체;
상기 트러스 구조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견인대상물을 견인하는 하나 이상의 견인호이스트;
상기 제1 주행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횡방향트러스 상에 장착되는 제2 주행레일; 및
상기 견인호이스트가 결합되는 제2 주행브라켓과, 상기 제2 주행브라켓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제2 주행레일을 타고 구르는 제2 주행롤러와, 상기 제2 주행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주행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2 주행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주행레일은, 상기 횡방향트러스 상면에 안착되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제2 주행유닛이 안착되는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로 구성되고,
상기 견인호이스트는 상기 제2 주행브라켓의 폭방향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주행유닛은, 상기 제2 주행브라켓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하측 끝단이 상기 상부플랜지의 하측에 위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측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랜지의 저면을 타고 상기 제2 주행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구르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seat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slab therebetween;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running rail, a longitudinal truss integrally connecting the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ransverse truss or the longitudinal truss to A truss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trusses seated on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movement on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At least one traction hoist for towing an object to be towed through the opening while moving along the truss structure;
a second running rail mounted on the transverse truss so as to be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running rail; and
A second traveling bracket to which the traction hoist is coupled, a second traveling roller coupled to the second traveling bracket in a rotatable structure and rolling along the second traveling rail, and a second driving motor rotating the second traveling roller. a second driving unit configured to reciprocate along the second driving rail;
Including,
The second running rail is composed of a lower flang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truss, an upper flange on which the second travel unit is seated, and an abdomen connecting the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The traction hois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traveling bracket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driving unit is coupled with a guide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driving bracket and having a lower end positioned below the upper flange, and a rotatable structur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frame to perform the upper part of the guide frame. Escalator remov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guide roller that rid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and ro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unning rail.
삭제delete 슬라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슬라브 상면에 평행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제1 주행레일;
상기 제1 주행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와, 상기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를 일체로 연결하는 종방향트러스와, 상기 횡방향트러스 또는 상기 종방향트러스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 상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수직트러스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을 타고 왕복 이동 가능한 트러스 구조체; 및
상기 트러스 구조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견인대상물을 견인하는 하나 이상의 견인호이스트;
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트러스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종방향트러스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트러스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한 쌍의 고정트러스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트러스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브 상면에 설치되되 상면에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이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빔과, 상기 한 쌍의 지지빔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바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지지빔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바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한 쌍의 고정바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seat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slab therebetween;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running rail, a longitudinal truss integrally connecting the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ransverse truss or the longitudinal truss to A truss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trusses seated on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movement on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and
One or more traction hoists coupled to the truss structure and towing an object to be towed through the opening;
Including,
The transverse truss is composed of a pair of fixed trusses hav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xedly coupled to the longitudinal truss and a slide truss having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pair of fixed trusses in an insertable and withdrawable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upport beam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nd having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beams,
The connecting bar is escalator remov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ir of fixed bars, one side of whi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beam, and a slide bar in which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pair of fixed bars in an insertable and withdrawable structure. Device.
슬라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슬라브 상면에 평행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제1 주행레일;
상기 제1 주행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와, 상기 둘 이상의 횡방향트러스를 일체로 연결하는 종방향트러스와, 상기 횡방향트러스 또는 상기 종방향트러스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 상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수직트러스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주행레일을 타고 왕복 이동 가능한 트러스 구조체; 및
상기 트러스 구조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견인대상물을 견인하는 하나 이상의 견인호이스트;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트러스는 하나의 제1 주행레일에 쌍으로 장착되되 상기 제1 주행레일과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트러스힌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수직트러스 상부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종방향트러스에 결합되고,
상기 트러스힌지와 평행한 스크류힌지에 의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수직트러스 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의 길이방향 타측이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되는 자전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스크류바는 나사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상기 자전몸체의 자전 방향에 따라 상호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seat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slab therebetween;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running rail, a longitudinal truss integrally connecting the two or more transverse trusses,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ransverse truss or the longitudinal truss to A truss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trusses seated on a pair of first running rails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movement on the pair of first running rails; and
One or more traction hoists coupled to the truss structure and towing an object to be towed through the opening;
Including,
The vertical trusses are coupled to the longitudinal truss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vertical trusses is rotatable by a truss hinge that is mounted in pairs on one first running rail and orthogonal to the first running rai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air of screw bars hav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middle of the pair of vertical trusses in a rotatable structure by a screw hinge parallel to the truss hing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w bar being coupled in a screw coupling structure. Further including the body,
The escalator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screw bars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screw thread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becomes closer or far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전몸체를 자전시키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Escalator remov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on body.
KR1020230059156A 2023-05-08 2023-05-08 Apparatus for removing escalator KR1025709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156A KR102570947B1 (en) 2023-05-08 2023-05-08 Apparatus for removing esca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156A KR102570947B1 (en) 2023-05-08 2023-05-08 Apparatus for removing esca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947B1 true KR102570947B1 (en) 2023-08-28

Family

ID=8780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156A KR102570947B1 (en) 2023-05-08 2023-05-08 Apparatus for removing esca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947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246Y1 (en) * 1982-04-14 1982-06-14 엠. 아. 엔. -볼프크란 게젤샤프트 Articulated connection of shuts to tower base of rail-mounted or similar tower crane
JPH07242390A (en) * 1994-03-04 1995-09-19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Assembly method for indoor portal crane and device thereof
KR960002232U (en) 1994-06-22 1996-01-19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Bolt Support Spacer for Garnish Molding (SPACCER)
JPH11236187A (en) * 1998-02-19 1999-08-31 Super Tool Co Ltd Cargo transfer apparatus and building having the same
US20030180132A1 (en) * 2002-02-14 2003-09-25 Steven Morreim Mobile lift
KR20110001991U (en) * 2011-02-09 2011-02-28 김근수 Self Movable Gantry Crane
US20120005980A1 (en) * 2009-01-08 2012-01-12 Kundel Sr Robert Structural Members For Forming Various Composite Structures
KR20150102853A (en) * 2014-02-28 2015-09-08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Hoist conveying quide roller
JP5974985B2 (en) * 2013-06-18 2016-08-2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Renewal method for passenger conveyor and portal lifting device used in the method
KR101792181B1 (en) * 2016-05-26 2017-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Height Variable Type Derrick and Vessel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246Y1 (en) * 1982-04-14 1982-06-14 엠. 아. 엔. -볼프크란 게젤샤프트 Articulated connection of shuts to tower base of rail-mounted or similar tower crane
JPH07242390A (en) * 1994-03-04 1995-09-19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Assembly method for indoor portal crane and device thereof
KR960002232U (en) 1994-06-22 1996-01-19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Bolt Support Spacer for Garnish Molding (SPACCER)
JPH11236187A (en) * 1998-02-19 1999-08-31 Super Tool Co Ltd Cargo transfer apparatus and building having the same
US20030180132A1 (en) * 2002-02-14 2003-09-25 Steven Morreim Mobile lift
US20120005980A1 (en) * 2009-01-08 2012-01-12 Kundel Sr Robert Structural Members For Forming Various Composite Structures
KR20110001991U (en) * 2011-02-09 2011-02-28 김근수 Self Movable Gantry Crane
JP5974985B2 (en) * 2013-06-18 2016-08-2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Renewal method for passenger conveyor and portal lifting device used in the method
KR20150102853A (en) * 2014-02-28 2015-09-08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Hoist conveying quide roller
KR101792181B1 (en) * 2016-05-26 2017-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Height Variable Type Derrick and Vessel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450B1 (en) gantry crane
JP4459636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EP1673302B1 (en) Method for mounting a car drive machine, especially for elevators without any machine room, and elevator obtained
CN109153539B (en) Elevator traction machine installation method
KR102570947B1 (en) Apparatus for removing escalator
CH689420A5 (en) Running mechanism with lifting gear for single rail overhead track
KR102570942B1 (en) Method for removing escalator
KR101487117B1 (en) Elevator car
CN100595124C (en) Vertical elevator
KR101206931B1 (en) A form lifting unit
KR200227769Y1 (en) movable hoist equipment
CN214495431U (en) Prefabricated component installation auxiliary device
JPH0657600B2 (en) Hoist equipment
CN214422109U (en) Hoisting equipment for prefabricated blocks of bridge deck auxiliary facilities
CN213171304U (en) Prestressing force jack removes erection equipment
CN112027966B (en) Prestressing force jack removes erection equipment
CN210682995U (en) Use safer extensive bridge crane of suitability
KR101573809B1 (en) the hoist with double hooks and excellent cornering
EP0963904A1 (en) Transport system with suspended load and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on board
JP6789836B2 (en) Heavy load transport device and heavy load transport method
KR101222487B1 (en) Apparatus for installing a platform screen door module
JP2004224540A (en) Passenger conveyor
KR101460906B1 (en) Wheelchair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
CN218809985U (en) Crane lifting device
EP4137381A1 (en) Safety apparatus for passengers or pedestri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