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823B1 -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 Google Patents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823B1
KR100940823B1 KR1020090030063A KR20090030063A KR100940823B1 KR 100940823 B1 KR100940823 B1 KR 100940823B1 KR 1020090030063 A KR1020090030063 A KR 1020090030063A KR 20090030063 A KR20090030063 A KR 20090030063A KR 100940823 B1 KR100940823 B1 KR 10094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uct
cover
hol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권
Original Assignee
김종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권 filed Critical 김종권
Priority to KR1020090030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을 정리 및 배선하는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내 케이블을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 파티션을 덕트 위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파티션 비용을 절감하고 사무실 바닥면의 정리가 용이한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는, 바닥면과 양측벽에 의해 케이블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벽의 종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각각 돌출된 거치부를 구비한 덕트 본체 및 상기 덕트 본체의 상부면을 커버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위치한 복수개의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들이 2열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덕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무실, 케이블, 덕트, 파티션, 거치부, 커버, 케이블 관통공

Description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Cable duct for office machine}
본 발명은 케이블을 정리 및 배선하는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덕트내 케이블을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 파티션을 덕트 위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파티션 비용을 절감하고 사무실 바닥면의 정리가 용이한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내에서는 사무용 기기들의 활용을 통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전화, 팩스 및 복합기 등과 같은 사무용 기기들을 책상 위에 설치하고 전원 공급용 케이블을 각 사무용 기기에 배선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사무 자동화로 인하여, 네트워크용 케이블(LAN: Local Area Network) 등과 같은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사무용 기기들을 서로 연결하고, 이들 사무용 기기들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전원 공급용 케이블이나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 등은 사무 실 내부를 가로질러 각 사무용 기기들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블들의 정리 및 배선을 위해서 통상적으로는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 덕트는 덕트 본체와 덕트 커버로 이루어져 있고, 덕트 본체에 복수개의 케이블을 배선한 다음 덕트 커버로 덕트 본체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케이블을 각 사무용 기기에 배선하기 위해서는 배선 패턴에 따라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밀폐된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로부터 케이블을 자유롭게 인출하여 배선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의 인출이 가능하다 하여도, 바닥면에 부착된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로부터 책상 위의 사무용 기기까지 배선이 노출될 수 밖에 없으므로, 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 사무실의 직원 활동 범위를 제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무실 내부를 일정 구역으로 구획하거나 사무용 책상간에 설치되어 직원들의 업무 집중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파티션(partition)을 설치하는데, 이러한 파티션은 바닥면에 설치될 수 밖에 없어서, 파티션이 설치된 부분을 통과하여 케이블을 배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티션이 바닥면에 설치될 수 밖에 없으므로 책상면 위로 소정 높이 이상 돌출되기 위해서는 당해 파티션의 전체 높이가 높아질 수 밖에 없어서 파티션의 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덕트내 케이블을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 파티션을 덕트 위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파티션 비용을 절감하고 사무실 바닥면의 정리가 용이한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는, 바닥면과 양측벽에 의해 케이블 수납 공간이 형성된 덕트본체; 및 상기 덕트 본체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제1 덕트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덕트 본체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고, 양측벽의 종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각각 돌출된 거치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덕트 커버는 덕트 본체의 상부면을 커버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위치한 복수개의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들이 1열 또는 2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덕트 커버 중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들이 형성된 각 열 사이에는 파티션 홀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티션 홀더부에는 파티션(partition)을 고정하는 파티션 홀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치부가 형성된 상기 일측벽의 하부에는 상기 거치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거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거치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공을 통해 상기 거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사 체결됨으로써 덕트 본체를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덕트 본체의 바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위치한 하부 케이블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블이 외부에서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의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의 내측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덕트 커버의 측단부에는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과 연통하는 제1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덕트 커버 중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된 부분의 상부면을 커버하되,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보다 작은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이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된 부분을 따라 형성된 제2 덕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이 외부에서 상기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의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의 내측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2 덕트 커버의 측단부에는 상기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과 연통하는 제2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는, 덕트내 케이블을 다양한 방향으 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티션을 덕트 위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파티션 비용을 절감하고 사무실 바닥면의 정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의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의 설치 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100)는, 크게 케이블(C)이 정리 및 배선되는 공간을 구비한 덕트 본체(110)와, 상기 덕트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면을 커버하는 제1 덕트 커버(120)와, 상기 제1 덕트 커버(12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파티션(P: Partition)을 고정하는 파티션 홀더(130) 및 상기 제1 덕트 커버(120)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제2 덕트 커버(140)를 포함하여, 케이블(C)을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파티션(P)을 책상 위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덕트 본체(110)는 바닥면(111)과 양측벽(112)에 의해 케이블 수 납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고, 양측벽(112)에는 그 종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거치부(113)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블 수납 공간에 케이블(C)이 배선된 상태에서 거치부(113)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보는 책상(T) 위에 당해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100)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설치 예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덕트 본체(110)의 양측벽에 각각 구비된 거치부(113)가 서로 마주보는 책상(T)의 상면에 각각 놓여지면서 책상(T) 위에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100)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케이블(C)이 사무실 바닥으로부터 사무용 기기가 놓여진 책상(T) 위까지 인출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사무실 직원의 행동 반경을 제한하지 않으며, 청소 등 사무실 바닥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덕트 본체(110)의 바닥면(111)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하부 케이블 관통공(111a)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하부 케이블 관통공(111a)들이 2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덕트 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하부 케이블 관통공(111a)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의 케이블(C) 인출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하부 케이블 관통공(111a)은 컴퓨터 본체 등이 책상(T)이 아닌 바닥에 놓여진 경우에 자유롭게 케이블(C)을 배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부 케이블 관통공(111a)들이 2열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중 1열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2개의 책상(T) 중 일측 책상(T)에 놓여진 사무용 기기를 위 한 케이블(C)의 인출에 사용되고, 다른 1열은 타측 책상(T)에 놓여진 사무용 기기를 위한 케이블(C)의 인출에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덕트 본체(110) 양측벽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제1 덕트 커버(120)가 안착 결합되는 커버 홀더(114)가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제1 덕트 커버(120)의 양측 종단부(124)가 커버 홀더(114)에 삽입 고정되는 방식으로 제1 덕트 커버(120)가 덕트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1 덕트 커버(120)는 덕트 본체(110)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중심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파티션 홀더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파티션 홀더부(121)에는 상기 파티션 홀더(130)가 결합되는 결합수단의 일 예로 제1 나사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티션 홀더부(121)에 파티션 홀더(130)를 설치한 경우에는, 당해 파티션 홀더(130)에 파티션(P)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결국에는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100)를 통해서 책상(T) 위에 파티션(P)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 홀더부(121)의 양측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위치한 복수개의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1열의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들은 파티션 홀더부(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 1열의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들은 파티션 홀더부(121)의 타측에 형성되어, 전체 2개 열의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이 파티션 홀더부(121)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1열씩 나란히 배치된다.
따라서, 일측의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과 덕트 본체(110) 내부 및 타측의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케이블(C)을 인출할 수 있게 되어, 파티션 홀더(130)에 파티션(P)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일측 책상(T)으로부터 타측 책상(T) 방향으로 케이블(C)을 배선할 수 있게 된다. 즉, 파티션(P)을 가로질러 케이블(C)을 배선할 수 있게 한다.
단, 제1 덕트 커버(120)의 측단부에는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과 연통하는 제1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1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제1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123)는 케이블(C)이 외부에서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의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의 내측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즉, 케이블(C)의 종단에 단면적이 큰 플러그(plug)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플러그 때문에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단면적이 작은 케이블(C)을 제1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123)를 통해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 내부로 이동시켜 배선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제1 덕트 커버(120)를 덕트 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배선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제1 덕트 커버(120)의 양측 종단부(124)는 각각 하측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제1 덕트 커버(120)의 양측 종단부(124)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덕트 본체(110)의 커버 홀더(114)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파티션 홀더(130)는 사무실 내부를 일정 구역으로 구획하거나 사무 용 책상(T)간에 설치되어 직원들의 업무 집중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티션(P)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132)과 양측벽(131)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바닥면(132)과 양측벽(131)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로 파티션(P)이 삽입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파티션(P)의 바닥면(132)에는 제2 나사공(13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한 제1 나사공(121a)과 제2 나사공(132a)이 일치하도록 덕트 본체(110)의 파티션 홀더부(121) 위에 파티션 홀더(130)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나사 체결 함으로써 파티션 홀더(130)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서로 마주한 책상(T) 위에 놓여진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100)에 파티션(P)을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에는 파티션(P)이 바닥면으로부터 책상(T) 위 소정 높이까지 돌출될 수 있도록 높은 것을 사용하여야 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책상(T) 위부터 소정 높이까지만 돌출되도록 하면 되므로 낮은 높이의 파티션(P)의 사용을 하여도 충분히 파티션(P)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단, 이상에서는 바닥면(132)과 양측벽(131)으로 이루어진 형상의 파티션 홀더(13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실제 파티션(P)의 형상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파티션 홀더(130)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제2 덕트 커버(140)는 제1 덕트 커버(120)의 상부면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덕트 커버(120) 중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이 형성된 부분의 상부면을 커버한다.
그리고, 제2 덕트 커버(140)에는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141)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141)은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122)보다 작다.
따라서, 케이블(C)이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141)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덕트 본체(110) 내부나 제1 덕트 커버(1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미관을 좋게 하고, 덕트 본체(110)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제2 덕트 커버(140)에도 상술한 제1 덕트 커버(120)의 제1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123)와 유사한 제2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1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블(C)이 외부에서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141)의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141)의 내측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의 책상에 설치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점에서, 서로 마주보는 책상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의 분해 사시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의 설치 상태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200)는, 크게 케이블(C)이 정리 및 배선되는 공간을 구비한 덕트 본체(210)와, 상기 덕트 본체(210)의 개방된 상부면을 커버하는 제1 덕트 커버(220)와, 상기 제1 덕트 커버(220)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제2 덕트 커버(230) 및 상기 거치부(213)와 함께 당해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200)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보조 거치부(215)를 포함한다.
그리고, 덕트 본체(210)는 바닥면(211)과 양측벽(212)에 의해 케이블(C)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고, 양측벽 중 어느 한쪽의 일측벽(212)에는 그 종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거치부(213)가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블(C) 수납 공간에 케이블(C)이 배선된 상태에서 거치부(213)를 이용하여 하나의 책상(T) 위에 당해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200)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설치 예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거치부(213)가 없는 덕트 본체(210)의 일측벽(212)은 파티션(P)에 기대어지고, 그 반대측의 일측벽(212)에 구비된 거치부(213)가 책상(T) 위에 놓여지면서 책상(T) 위에 당해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200)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덕트 본체(210)의 바닥면(21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 마다 하부 케이블 관통공(211a)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부 케이블 관통공(111a)들이 2열로 형성되어 있음에 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서는 하나의 책상(T)(즉, 서로 마주보지 아니하고 일측에만 배치된 책상(T))을 위해서 케이블(C) 배선이 이루어지면 되므로 하부 케이블 관통공(211a)들이 1열로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덕트 본체(210) 양측벽(212)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제1 덕트 커버(220)가 안착 결합되는 커버 홀더(214)가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제1 덕트 커버(220)의 양측 종단부(223)가 커버 홀더(214)에 삽입 고정되는 방식으로 제1 덕트 커버(220)가 덕트 본체(210)의 개방된 상부면을 커버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1 덕트 커버(220)는 덕트 본체(210)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중심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위치한 복수개의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221)들이 형성되어 있다. 즉, 1열의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221)들이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덕트 본체(210) 내부에 배선된 케이블(C)이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221)을 통과하여 인출된 다음 일측에 위치한 책상(T) 위의 사무용 기기까지 배선될 수 있게 한다.
단, 제1 덕트 커버(220)의 측단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221)과 연통하는 제1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2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제1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222)는 케이블(C)이 외부 에서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221)의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221)의 내측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 덕트 커버(220)의 양측 종단부(223)는 각각 하측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제1 덕트 커버(220)의 양측 종단부(223)는 덕트 본체(210)의 커버 홀더(214)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제2 덕트 커버(230)는 제1 덕트 커버(220)의 상부면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덕트 커버(220) 중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221)이 형성된 부분의 상부면을 커버한다.
또한, 제2 덕트 커버(230)에는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221)이 형성된 부분을 따라 형성된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231)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231)은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221)보다 작다.
따라서, 케이블(C)이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231)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덕트 본체(210) 내부나 제1 덕트 커버(2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미관을 좋게 하고, 덕트 본체(210)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제2 덕트 커버(230)에도 제2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232)가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블(C)이 외부에서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231)의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231)의 내측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보조 거치부(2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책상(T) 위에 거치되는 거치부(213)와 함께 당해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를 책상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부(213)가 형성된 상기 일측벽(212)의 하부에서 거치부(213)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당해 보조 거치부(215)에는 나사공(21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공(215a)을 통해 상기 거치부(213)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사 체결됨으로써 덕트본체(210)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215b)를 포함한다.
따라서, 나사공(215a)을 통해 책상(T)의 밑면까지 볼트(215b)를 체결함으로써, 책상(T)의 상면에 놓여진 거치부(213)와 함께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200)가 책상(T)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는 덕트내 케이블을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티션을 덕트 위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파티션 비용을 절감하고 사무실 바닥면의 정리를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의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덕트 본체 111a, 211a: 하부 케이블 관통공
120, 220: 제1 덕트 커버 121: 파티션 홀더부
122, 221: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 123, 222: 제1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
130: 파티션 홀더 140, 230: 제2 덕트 커버
141, 231: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 142, 232: 제2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
C: 케이블 P: 파티션
T: 책상

Claims (9)

  1. 바닥면과 양측벽에 의해 케이블 수납 공간이 형성된 덕트본체; 및
    상기 덕트 본체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제1 덕트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덕트 커버는 덕트 본체의 상부면을 커버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위치한 복수개의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들이 1열 또는 2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덕트 커버 중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된 부분의 상부면을 커버하되,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보다 작은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이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이 형성된 부분을 따라 형성된 제2 덕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고, 양측벽의 종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각각 돌출된 거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 커버 중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들이 형성된 각 열 사이에는 파티션 홀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티션 홀더부에는 파티션(partition)을 고정하는 파티션 홀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5. 제2항에 있어서,
    거치부가 형성된 일측벽의 하부에는 상기 거치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거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거치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공을 통해 상기 거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나사 체결됨으로써 덕트 본체를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6.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의 바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위치한 하부 케이블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7.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이 외부에서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의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의 내측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덕트 커버의 측단부에는 상기 제1 커버 케이블 관통공과 연통하는 제1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이 외부에서 상기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의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의 내측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2 덕트 커버의 측단부에는 상기 제2 커버 케이블 관통공과 연통하는 제2 케이블 통과용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KR1020090030063A 2009-04-07 2009-04-07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KR10094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063A KR100940823B1 (ko) 2009-04-07 2009-04-07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063A KR100940823B1 (ko) 2009-04-07 2009-04-07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823B1 true KR100940823B1 (ko) 2010-02-04

Family

ID=4208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063A KR100940823B1 (ko) 2009-04-07 2009-04-07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8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788B1 (ko) * 2015-11-18 2018-04-23 이달수 철골 배선용 덕트
JP7503874B1 (ja) 2024-02-02 2024-06-21 株式会社アールシーコア フロアコンセントボックスを有するログハウスの床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4555A (ja) * 1989-08-17 1991-03-29 Nippon Carbureter Co Ltd 気化器
JP2004095227A (ja) 2002-08-29 2004-03-25 Seiwa Electric Mfg Co Ltd 配線用ダクト及びこれを連結する連結具
JP2005312101A (ja) 2004-04-16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室内配線収納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4555A (ja) * 1989-08-17 1991-03-29 Nippon Carbureter Co Ltd 気化器
JP2004095227A (ja) 2002-08-29 2004-03-25 Seiwa Electric Mfg Co Ltd 配線用ダクト及びこれを連結する連結具
JP2005312101A (ja) 2004-04-16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室内配線収納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788B1 (ko) * 2015-11-18 2018-04-23 이달수 철골 배선용 덕트
JP7503874B1 (ja) 2024-02-02 2024-06-21 株式会社アールシーコア フロアコンセントボックスを有するログハウスの床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442B1 (ko) 조립 데스크, 및 조립 데스크의 집합체
US5479747A (en) Conduit connecting mechanism for a screen panel
US20060254795A1 (en) Enclosure having a closure member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US6180884B1 (en) Simplified distribution of cables in a computer desk device
JP2007201332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ケーブル保持部材
KR100940823B1 (ko)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JP5924115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天井配線構造
JP6796453B2 (ja) 情報分電盤用箱体
JP6379371B2 (ja) 機器ユニット収納用キャビネット
KR100958549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구조
JPH09299152A (ja) エッジ部材
JP4558920B2 (ja) 配線装置付テーブル
JP2002124790A (ja) 情報配線ラック用縦型配線収納ケース
CN103926983A (zh) 机架式伺服器
KR200446827Y1 (ko) 전선 정리를 위한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KR101149551B1 (ko) 배선덕트용 분기체
KR200288015Y1 (ko) 전선 정리함
KR20080086053A (ko) 전선정리구
KR101125146B1 (ko)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KR101689756B1 (ko) 케이블 정리용 조립식 홀더
KR100768790B1 (ko) 전선정리구
JP2001104059A (ja) ラック
KR20110082666A (ko) 데스크의 전선 배선안내장치
KR101078352B1 (ko) 광분배 저장셀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