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146B1 -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 Google Patents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146B1
KR101125146B1 KR1020100009015A KR20100009015A KR101125146B1 KR 101125146 B1 KR101125146 B1 KR 101125146B1 KR 1020100009015 A KR1020100009015 A KR 1020100009015A KR 20100009015 A KR20100009015 A KR 20100009015A KR 101125146 B1 KR101125146 B1 KR 101125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housing
lower housing
hoo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561A (ko
Inventor
김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진
Priority to KR102010000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1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7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with divided sh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증설 및 확장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에 제공된다.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트인 형성이고, 그 내부에는 메인 선호 신호를 분배하는 스플리터 및 상기 스플리터에서 분배된 신호를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어댑터을 수용하는 수용구가 형성되고, 여유 케이블을 정리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함체, 상기 하부 함체의 상부를 덮도록 고정 설치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이며 하부가 트인 상부 함체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함체와 상기 상부 함체가 밀착되는 부분에는 광가입자망 메인 선로를 인입하거나 아웃하는 적어도 6개의 배선구가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하부 함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후크 체결부와, 상기 후크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상부 함체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후크 걸림부로 구성되는 함체 체결부; 상기 하부 함체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기함; 및 상기 분기함의 정면에 배치되는 후크 체결부와, 상기 후크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분기함의 배면에 배치되는 후크 걸림부로 구성되는 분기함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Extension and expansion type optical cable connector for fiber to the home}
본 발명은 광가입자망용 광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선로 포설시 메인 케이블을 절개하지 않고 필요한 심선 만 절개하여 접속 및 분배하여 가입자에게 연결할 수 있게 하고 필요하지 않은 선로는 광 단자함에 인입후 반대편 배선구로 관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증설 및 네트워크 확장에 대비한 여부 배선구를 가지는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광 단자함은 배선구와 가입자 연결용 인입구로 형성되고 내부에 메인 선로와 다수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게 분배기를 설치하고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이때 발생하는 여유 케이블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네트워크의 증설 및 확장시 여유 배선구가 없어 기존 광 단자함을 제거하고 대용량으로 설치하거나 추가로 설치하여 이를 수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광 단자함 내부에 증설용 스플리터 및 접속 슬리브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증설 및 확장시 요구되는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증설 및 확장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트인 형성이고, 그 내부에는 메인 선호 신호를 분배하는 스플리터 및 상기 스플리터에서 분배된 신호를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어댑터을 수용하는 수용구가 형성되고, 여유 케이블을 정리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함체, 상기 하부 함체의 상부를 덮도록 고정 설치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이며 하부가 트인 상부 함체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함체와 상기 상부 함체가 밀착되는 부분에는 광가입자망 메인 선로를 인입하거나 아웃하는 적어도 6개의 배선구가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하부 함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후크 체결부와, 상기 후크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상부 함체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후크 걸림부로 구성되는 함체 체결부; 상기 하부 함체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기함; 및 상기 분기함의 정면에 배치되는 후크 체결부와, 상기 후크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분기함의 배면에 배치되는 후크 걸림부로 구성되는 분기함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가입자망용 광케이블 접속함은 하부 함체의 상단연에 체결부를 설치하여, 상부 함체 개폐시 하부 함체의 상단연에 부착된 체결부의 개폐에 의해서 상부 함체의 개폐가 가능하고, 하부 함체의 하면에 분기함을 설치하고, 상기 분기함의 측면에 체결부를 설치하여, 분기함 개폐시 분기함의 체결부의 개폐에 의해서 분기함의 개폐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부 함체와 분기함만을 별도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광 단자함 내부에 증설용 스플리터 및 접속 슬리브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증설 및 확장시 요구되는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증설 및 확장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배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평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저면도,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을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배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평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저면도,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을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접속함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트인 하부 함체(110)와; 상기 하부 함체(110)의 상부를 덮도록 고정 설치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이며, 하부가 트인 상부 함체(120)로 구성되는 함체(100)와; 상기 하부 함체(1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후크 체결부(210)와, 상기 후크 체결부(210)에 체결되도록 상부 함체(12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후크 걸림부(220)로 구성되는 함체 체결부(200)와; 상기 하부 함체(110)의 저면에 볼트로 고정 설치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기함(300)과; 상기 분기함(300)의 정면에 배치되는 후크 체결부(410)와, 상기 후크 체결부(410)에 체결되도록 분기함(300)의 배면에 배치되는 후크 걸림부(420)로 구성되는 분기함 개폐부(4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가입자망용 광케이블 접속함은 함체(100) 및 분기함(30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함체(100)는 하부 함체(110)와 상부 함체(120) 및 후크 체결부(210)와 후크 걸림부(220)로 이루어진 함체 체결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함체(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트인 형상이며, 그 내부에는 메인 선호 신호를 분배하는 스플리터(도시안됨) 및 상기 스플리터에서 분배된 신호를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어댑터(도시안됨)을 수용하는 수용구(111)가 형성되고, 여유 케이블을 정리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각종 트레이 및 여장 정리부가 형성되며, 특히 상기 하부 함체(110)의 저면에는 분기함(300)의 분기용 커넥터 설치를 위한 다수개의 커넥터 설치공(112)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상부 함체(1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이며, 하부가 트인 형상이며, 특히 상기 상부 함체(120)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도록 한 쌍의 조가선 지지대(130)가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함체(100)의 하부 함체(110)와 상부 함체(120)가 밀착되는 부분에는 광가입자망 메인 선로를 인입하거나 아웃하는 적어도 6개의 배선구(14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함체(110)와 상기 상부 함체(120) 사이에는 메인 선로에서 상기 스플리터에 접합시 연결 슬리브(도시안됨)을 고정하는 고정대(115)가 설치되는 플레이트(113)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부 함체(110) 및 상기 상부 함체(120)로 이루어진 함체(100)를 긴밀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함체 체결부(200)를 설치하되, 상기 함체 체결부(300)는 하부 함체(1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후크 체결부(210)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후크 체결부(210)에 체결되도록 상부 함체(12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후크 걸림부(220)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후크 체결부(210)가 후크 걸림부(420)에 걸림 및 해제됨에 따라 함체(100)를 하부 함체(110)와 상부 함체(120)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분기함(300)은,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기함(300)의 정면 및 배면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관통구(310)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함(300)의 저면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인입공(320)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310)을 개폐시키기 위해 관통구(310)의 정면 및 배면에는 분기함 개폐부(400)를 설치하되, 상기 분기함 개폐부(400)은 정면에 배치되는 후크 체결부(410)와, 상기 후크 체결부(410)에 체결되도록 분기함(300)의 배면에 배치되는 후크 걸림부(42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광가입자망용 광케이블 접속함의 분기함(300)이 하부 함체(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부 함체(110)에 트레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정리한 후, 상기 하부 함체(110)에 상부 함체(120)를 위치시키고, 함체 체결부(200)를 이용하여 하부 함체(110)와 상부 함체(120)를 긴밀하게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광가입자망용 광케이블 접속함(B)을 조가선에 설치하고, 남는 여장과 작업시 늘어진 선로를 깨끗하게 정리하여 조가선에 조정시킨다.
이어서, 케이블의 분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분기함(300)의 분기함 개폐부(40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관통구(310)에서 하부 함체(110)에 설치된 커넥터 설치공(112)에 설치된 커넥터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인입공(320)을 통해 외부로 분기시키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은 하부 함체(110)의 상단연에 후크 체결부(410)를 설치하여, 상부 함체(120)의 개폐시 하부 함체(110)의 상단연에 부착된 후크 체결부(410)의 개폐에 의해서 상부 함체(120)의 개폐가 가능하고, 하부 함체(110)의 하면에 분기함(300)을 설치하고, 상기 분기함(300)의 측면에 분기함 개폐부(400)를 설치하여, 분기함(300)의 개폐시 분기함 개폐부(400)의 개폐에 의해서 분기함(300)의 개폐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부 함체(120)와 분기함(300)만을 별도로 개폐시킬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은 광가입자망용 광케이블 접속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100: 함체 110: 하부 함체
111: 수용구 112: 커넥터 설치공
113: 플레이트 115: 고정대 120: 상부 함체 130: 조가선 지지대 140: 선로 고정공 200: 함체 체결부 210: 후크 체결부 220: 후크 걸림부 300: 분기함 310: 관통구 320: 인입공 400: 분기함 개폐부 410: 후크 체결부 420: 후크 걸림부
B: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Claims (2)

  1.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가 트인 형성이고, 그 내부에는 메인 선호 신호를 분배하는 스플리터 및 상기 스플리터에서 분배된 신호를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어댑터을 수용하는 수용구가 형성되고, 여유 케이블을 정리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함체, 상기 하부 함체의 상부를 덮도록 고정 설치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이며 하부가 트인 상부 함체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함체와 상기 상부 함체가 밀착되는 부분에는 광가입자망 메인 선로를 인입하거나 아웃하는 적어도 6개의 배선구가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하부 함체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후크 체결부와, 상기 후크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상부 함체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후크 걸림부로 구성되는 함체 체결부;
    상기 하부 함체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기함; 및
    상기 분기함의 정면에 배치되는 후크 체결부와, 상기 후크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분기함의 배면에 배치되는 후크 걸림부로 구성되는 분기함 개폐부를 포함하는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함체와 상기 상부 함체 사이에는 메인 선로에서 상기 스플리터에 접합시 연결 슬리브을 고정하는 고정대가 설치되는 플레이트가 제공되는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KR1020100009015A 2010-02-01 2010-02-01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KR101125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015A KR101125146B1 (ko) 2010-02-01 2010-02-01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015A KR101125146B1 (ko) 2010-02-01 2010-02-01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561A KR20110089561A (ko) 2011-08-09
KR101125146B1 true KR101125146B1 (ko) 2012-03-20

Family

ID=4492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015A KR101125146B1 (ko) 2010-02-01 2010-02-01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7611A (zh) * 2017-12-21 2018-04-24 中天宽带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光纤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032A (ko) * 2008-06-12 2009-12-1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유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032A (ko) * 2008-06-12 2009-12-1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561A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2236B2 (en) Fiber optic enclosure for retrofitting pedestals in the field
US7826705B2 (en) Parking device for fiber distribution hub
CA2602293C (en) Universal splitter module holder for an optic fiber distribution hub
CA2601485C (en) Distribution module for an optic fiber distribution hub
JP4933427B2 (ja) 多位置光ファイバコネクタホルダと方法
US20080080828A1 (en) Slack limiting fiber management system for an optic fiber distribution hub
CN104520744A (zh) 电信机箱和理线器
US11054600B2 (en) Fiber optic apparatus for retrofit fiber optic connectivity
BRPI0710576B1 (pt) Sistema de montagem de um terminal de conexão
KR100645503B1 (ko) 세대단자함용 광분배함
US7154052B2 (en) Device plate for mounting a communications device to a raceway
KR101712063B1 (ko) 복합 케이블 접속함
US20090196564A1 (en) Fiber Routing System With Drop-In Device
KR101125146B1 (ko) 광가입자망용 증설 및 확장형 광케이블 접속함
CN110568572B (zh) 一种终端盒
RU191609U1 (ru) Сплиттерный модуль
KR101535597B1 (ko) 광분배함
KR100970228B1 (ko) 광가입자망용 광케이블 접속함
KR200440583Y1 (ko) 세대단자함용 장치통합 거치대
US11662537B2 (en) Fiber optic apparatus for retrofit fiber optic connectivity
KR200444464Y1 (ko) 광단자함
RU150888U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оссировки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и ответв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RU2592724C2 (ru) Основание для системы для группирования оптоволокна с оптическим соединителем
KR101928784B1 (ko) 절연구조의 광케이블 분기함
KR200278323Y1 (ko) 벽취부형 광분배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