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790B1 - 전선정리구 - Google Patents

전선정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790B1
KR100768790B1 KR1020060070140A KR20060070140A KR100768790B1 KR 100768790 B1 KR100768790 B1 KR 100768790B1 KR 1020060070140 A KR1020060070140 A KR 1020060070140A KR 20060070140 A KR20060070140 A KR 20060070140A KR 100768790 B1 KR100768790 B1 KR 10076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ain body
organizer
electric wir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06007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정리구에 관한 것으로, 전기기기 상호간 및 전기기기와 전원 사이에 또는 전기기기와 다수 보조기기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 중 남는 부분을 수용하도록 하고, 남는 전선이 주변 환경에 노출되어 각종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전선을 간단하게 정리시킬 수 있는 전선정리구에 있어서, 양측에 전선관통공(11)이 관통되고 반으로 절단되는 정리본체(10);와 상기 정리본체의 절단부위 한쪽에서 절단부위를 연결시켜 정리본체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본체경첩(12);와 상기 본체경첩이 설치된 반대쪽의 절단부위를 연결시켜 절단부위가 잠기도록 하는 본체잠금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정리구 {APPARATUS FOR ARRANGING ELECTRIC WI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에서 복선인출공이 개방된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에서 정리본체가 개방된 구성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에서 전선이 정리되어 사용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의 내부에 전선을 고정시킨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가 책상이나 컴퓨터에 수직으로 부착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정리본체 11. 전선관통공
12. 본체경첩 13. 본체잠금구
20. 중간인출부
21a. 복선인출공 21b. 단선인출공
22. 인출구 23. 인출구경첩
31. 본체고정구 32. 전선고정구
본 발명은 전기기기로부터 인출된 전선 및 전기기기 간을 서로 연결하는 전선 중 남는 부분을 정리하는 전선정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기기기는 그 용도에 적당한 전선을 이용하여 전기기기 상호 간이나 전기기기와 전원 사이, 또는 전기기기와 각종 보조기기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는 부수기기로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 스캐너, 마우스, 및 키보드 등 다수 개 있으며, 이들 부수기기들은 컴퓨터본체와 다수의 전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인터넷전용선 및 램선 등을 거의 사용하고 있고, 또한 기타 새로운 부수기기의 등장으로 컴퓨터에 사용되는 전선의 개수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더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기기에 사용하는 전선 대부분의 경우, 전기기기 간의 연결 거리가 짧기 때문에 전선의 남는 부분이 실내에 아무렇게나 방치되어 주위 환경을 어수선하게 하고, 지저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선 주위를 청소하는데도 많은 애로가 있었다.
여유분의 전선에 전기기기 사용자가 걸려서 넘어지거나 상해를 입기 다수였으며, 노후된 전선이 서로 엉키거나 실내에 노출되었을 시 사용자가 감전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기기 상호간 및 전기기기와 전원 사이에 또는 전기기기와 다수 보조기기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 중 남는 부분을 수용하도록 하고, 남는 전선이 주변 환경에 노출되어 각종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전선정리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선정리구는, 다수의 전선을 간단하게 정리시킬 수 있는 전선정리구에 있어서, 전선(50)이 놓이는 정리본체(10);와 상기 정리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정리본체 내에 전선을 고정시키는 전선고정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고정구는 정리본체의 단부에서 정리본체의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 배열되고, 정리본체의 중간부에서 정리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구를 제공한다.
상기 정리본체의 일측면에는 본체고정구(31)가 부착되어 정리본체를 바닥이나 벽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구를 제공한다.
상기 정리본체는 2부분으로 절단되고 절단부위를 연결시켜 정리본체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본체경첩(12);와 상기 본체경첩이 설치된 반대쪽의 절단부위를 연결시켜 절단부위가 잠기도록 하는 본체잠금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구를 제공한다.
상기 정리본체의 중간에는 중간인출부(20)가 형성되어 정리본체의 중간에서 전선을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구를 제공한다.
상기 중간인출부(20)는, 정리본체의 일면 중간에 관통되어 전선이 인출되는 복선인출공(21a);와 상기 복선인출공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복선인출공을 폐쇄시키는 인출구(22);와 상기 복선인출공과 인출구의 경계부위를 연결시켜 인출구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인출구경첩(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구를 제공한다.
상기 복선인출공과 인출구의 경계부위에는 단선인출공(21b)이 하나 이상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의 수평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정하고, 도면의 수직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을 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에서 복선인출공이 개방된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에서 정리본체가 개방된 구성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는 다수의 전선을 간단하게 정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선정리구는 정리본체, 중간인출부, 본체고정구 및 전선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정리본체 등과 같은 구성요소의 재질은 아크릴판이 사용되었으나 전선을 정리하는 목적에 부합된다면 다른 재질이 사용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정리본체(10)는 양측에 전선관통공(11)이 관통되고 반으로 절단된다. 정리본체의 전선관통공은 정리본체의 형성모양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에서 정리본체는 사각형의 단면을 이루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응되는 2면이 이등분되어 분리된다.
정리본체가 사각관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선관통공도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정리본체의 양측에 관통되는 전선관통공을 통해 복잡하게 방치되는 전선의 일측과 타측을 전선관통공에 관통시킨다.
정리본체의 절단부위 한쪽에서 본체경첩(12)은 절단부위를 연결시켜 정리본체가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정리본체는 사각형의 단면이 절단되어 대칭되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정리본체의 일부분은 상향 개방되고 다른 일부분은 하향 개방되게 위치된다. 상향 개방된 정리본체 부분 위에 하향 개방된 정리본체 부분이 위치된다. 정리본체에 있어서 양측의 절단부위 중 일측의 절단부위에 본체경첩이 다수 설치된다.
본체경첩이 설치되지 않은 절단부위가 본체경첩을 절점으로 개폐가능해진다. 전선을 전선관통공에 관통시키기 위해 본체경첩이 설치되지 않은 절단부위를 개방시킨다. 전선을 정리본체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본체경첩이 설치되지 않은 절단부 위를 덮는다.
본체경첩이 설치된 반대쪽에서 본체잠금구(13)는 절단부위를 연결시켜 절단부위가 잠기도록 한다. 정리본체에 있어서 본체경첩이 설치되지 않은 절단부위에 본체잠금구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한다. 본체잠금구는 통상적적으로 열쇠를 이용하여 임의 양측의 개방부를 폐쇄시킬 때 사용되는 잠금구이다. 본체잠금구는 고리부와 관통부로 이루어진다.
절단된 정리몸체의 상하부분 중 일측에 고리부를 설치하고 타측에 관통부를 설치한다. 설치된 관통부를 고리부에 관통시키면 본체경첩이 설치되지 않은 절단부위를 폐쇄시켜 잠금 가능해진다. 관통부에 관통된 고리부에 열쇠나 다른 막대형상을 끼우면 본체경첩이 설치되지 않은 절단부위가 용이하게 개방되지 않는다.
정리본체의 중간에는 중간인출부(20)가 형성되어 정리본체의 중간에서 전선을 인출시킨다. 중간인출부는 복선인출공, 인출구 및 인출구경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선관통공에 관통된 전선 중 정리본체의 중간지점에서 분기되는 전선이 있는 경우 중간인출부를 통해 인출시켜 정리몸체에서 분기되게 한다.
정리본체의 일면 중간에 복선인출공(21a)이 관통되어 전선이 복선인출공을 통해 인출된다. 인출구(22)는 복선인출공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복선인출공을 폐쇄시킨다.
인출구는 정리본체의 일면 중간에 복선인출공을 관통시킨 자리의 정리본체의 일부분이다. 복선인출공의 형상에 따라 인출구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복선인출공과 인출구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인출구의 외부 일측에는 인출 구손잡이(22a)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인출구를 복선인출공으로부터 열기 편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인출구손잡이는 인출구의 외부 일측에 솔리드하게 돌출 형성되나 인출구를 용이하게 열 수 있는 구조라면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
인출구경첩(23)은 복선인출공과 인출구의 경계부위를 연결시켜 인출구가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 복선인출공이 관통된 정리본체와 인출구는 분리상태이다.
복선인출공이 관통된 정리본체와 인출구의 분리된 일측 부위에 인출구경첩을 설치하여 인출구가 복선인출공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인출구의 개폐방향은 정리본체의 개폐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복선인출공과 인출구의 경계부위에는 단선인출공(21b)이 하나 이상 관통된다. 전선관통공에 관통되는 전선 중 다수의 전선이 분기되지 않고 하나 또는 둘 정도의 전선이 분기되는 경우 단선인출공를 통해 하나 또는 둘 정도의 전선을 인출시켜 정리몸체에서 분기되게 한다.
단선인출공의 반은 인출구에 관통되고 나머지 반은 정리본체에 관통된다. 단선인출공의 지름은 통상적인 전선의 지름의 2~3배 정도면 무방하다.
정리본체의 일측면에는 본체고정구(31)가 부착되어 정리본체를 바닥이나 벽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서 본체고정구는 상향 개방된 정리본체 부분의 하측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본체고정구는 벨크로패스너를 사용하나 정리본체를 바닥이나 벽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결합에 의한 고정수단 등의 다른 수단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벨크로패스너의 일측부는 정리본체의 일측면에 부착시키고 벨크로패스너의 타측부 는 바닥이나 벽에 부착시킨다.
본 발명의 본체고정구는 벨크로패스너로 이루어져 바닥이나 벽에 고정시켰다가 정리본체에서 전선을 빼거나 추가시킬 경우 떼어내서 다시 전선을 정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가 책상이나 컴퓨터에 수직으로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정리본체의 내측에는 전선고정구(32)가 설치되어 전선을 정리본체 내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서 전선고정구는 상향 개방된 정리본체 부분의 내부 하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선고정구는 PVC가 코팅된 와이어를 사용하나 전선을 정리본체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다른 수단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정리본체의 하측면에는 구멍이 쌍으로 관통되어 전선고정구가 구멍에 관통된다. 구멍에 관통된 전선고정구의 양단부는 정리본체의 내부로 돌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의 내부에 전선을 고정시킨 사용상태도이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전선고정구는 하측 정리본체의 양단부에서 정리본체의 폭방향으로 다수 설치되고, 이때 쌍으로 관통되는 구멍은 정리본체의 폭방향으로 배열된다. 하측 정리본체의 중간에서 정리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설치되고, 이때 쌍으로 관통되는 구멍은 정리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전선고정구는 정리본체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놓이는 전선을 고정시키고,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전선고정구는 정리본체 내에서 폭방향으로 놓이 는 전선을 고정시킨다. 정리본체의 양단부에서는 정리본체로 들어오고 나가는 전선의 양측을 고정시키고, 정리본체의 중간부에서는 전선을 정리하기 위해 둥글게 꼬아서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전선고정구는 PVC가 코팅된 와이어로 이루어져 정리본체 내부에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꼬았다가 정리본체에서 전선을 빼거나 추가시킬 경우 꼬은 부분을 풀어서 다시 전선을 정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정리구에서 전선이 정리되어 사용된 상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잡하게 흐트러진 전선이 있는 곳의 하부에 정리본체의 하측부분을 위치시킨다. 정리본체의 고정위치를 파악한 후 본체고정구를 통해 정리본체를 바닥이나 벽에 고정시킨다.
본체잠금구를 개방시킨 후 정리본체를 개방시킨다. 정리본체의 하측부분 위로 전선을 위치시킨 후 전선고정구를 이용하여 정리본체에 전선을 고정시킨다. 정리본체의 양단부에서는 정리본체로 들어오고 나가는 전선의 양측을 고정시키고, 정리본체의 중간부에서는 전선을 정리하기 위해 둥글게 꼬아서 고정시킨다. 정리본체의 중간에 설치된 전선고정구는 둥글게 꼬인 전선의 양측을 정리본체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때 정리본체의 양측 전선관통공에 관통되지 않고 분기되는 전선은 정리본 체의 내측에 고정시키지 않는다. 분기되는 전선이 다발일 경우 인출구를 열어 복선인출공을 개방시켜 복선인출공을 통해 인출시킨다. 분기되는 전선이 하나나 둘일 경우 단선인출공을 통해 인출시킨다. 전선을 복선인출공으로 인출시킬지 단선인출공으로 인출시킬지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가 선택한다.
다시 본체경첩을 절점으로 하여 정리본체를 폐쇄시키고 본체잠금구도 폐쇄시킨다. 복선인출공이나 단선인출공을 통해 인출시킨 전선을 정리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정리구는 전기기기 상호간 및 전기기기와 전원 사이에 또는 전기기기와 다수 보조기기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 중 남는 부분을 수용하도록 하고, 남는 전선이 주변 환경에 노출되어 각종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다수의 전선을 간단하게 정리시킬 수 있는 전선정리구에 있어서,
    전선(50)이 놓이며, 2부분으로 절단되어 일측에 본체경첩(12)과 타측에 본체잠금구(13)에 의해 개폐되는 정리본체(10);
    상기 정리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정리본체 내에 전선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정리본체의 단부에서 정리본체의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 배열되고, 정리본체의 중간부에서 정리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배열되는 전선고정구(32);
    상기 정리본체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정리본체를 바닥이나 벽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본체고정구(31); 및
    상기 정리본체의 중간에서 전선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정리본체의 일면 중간에 형성된 중간인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인출부는,
    상기 정리본체의 일면 중간에 관통되어 전선이 인출되는 복선인출공(21a);
    상기 복선인출공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복선인출공을 폐쇄시키는 인출구(22); 및
    상기 복선인출공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정리본체와 상기 인출구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인출구경첩(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선인출공과 인출구의 경계부위에는 단선인출공(21b)이 하나 이상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구.
KR1020060070140A 2006-07-26 2006-07-26 전선정리구 KR100768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40A KR100768790B1 (ko) 2006-07-26 2006-07-26 전선정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40A KR100768790B1 (ko) 2006-07-26 2006-07-26 전선정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790B1 true KR100768790B1 (ko) 2007-10-22

Family

ID=3881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140A KR100768790B1 (ko) 2006-07-26 2006-07-26 전선정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429B1 (ko) 2013-04-09 2013-09-02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3중구조 함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475A (ja) * 2000-06-20 2002-01-11 Internet Owners Kk インターネットにおける検索結果画面の表示方法
JP2002028965A (ja) * 2000-07-13 2002-01-29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シートおよびフィルムの成形方法
JP2003061254A (ja) * 2001-08-08 2003-02-28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の電圧検出装置
JP2019000883A (ja) * 2017-06-16 2019-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475A (ja) * 2000-06-20 2002-01-11 Internet Owners Kk インターネットにおける検索結果画面の表示方法
JP2002028965A (ja) * 2000-07-13 2002-01-29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シートおよびフィルムの成形方法
JP2003061254A (ja) * 2001-08-08 2003-02-28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の電圧検出装置
JP2019000883A (ja) * 2017-06-16 2019-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接合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7475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8965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254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0883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429B1 (ko) 2013-04-09 2013-09-02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3중구조 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9183B2 (en) Cable management accessories
US8263867B2 (en) Cable management accessories
US3448346A (en) Extensible cable support
US20090090538A1 (en) Vertical Cable Manager
KR100889498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EP1565009A2 (en) Wall mount cabinet system
KR101890060B1 (ko) 노출형 계량기함
KR100768790B1 (ko) 전선정리구
JP2007201332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ケーブル保持部材
US20050231080A1 (en) Cable organizer cabinet
JPH11234874A (ja) コンピュータデスク装置
KR20090002595U (ko) 광접속분배함
AU745561B2 (en) Bracket for lay-on cables within partition wall
JP2008119307A (ja) テーブル
KR20080086053A (ko) 전선정리구
KR20110002187U (ko) 콘솔데스크
KR100940823B1 (ko)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KR101052068B1 (ko) 케이블 조정 장치
KR20090095324A (ko) 방폭형 배전함
KR200288015Y1 (ko) 전선 정리함
KR101670889B1 (ko) 케이블 매니저
KR100651075B1 (ko) 공동주택의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CH715015A2 (it) Mobile tecnico.
WO2017173607A1 (zh) 桌插盒及收纳穿过桌面过线通孔的插头及其线材的方法
JP2007523474A (ja) ケーブル整理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