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827Y1 - 전선 정리를 위한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 Google Patents

전선 정리를 위한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827Y1
KR200446827Y1 KR20070012986U KR20070012986U KR200446827Y1 KR 200446827 Y1 KR200446827 Y1 KR 200446827Y1 KR 20070012986 U KR20070012986 U KR 20070012986U KR 20070012986 U KR20070012986 U KR 20070012986U KR 200446827 Y1 KR200446827 Y1 KR 200446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wire
computer
wires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2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300U (ko
Inventor
윤현구
Original Assignee
윤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구 filed Critical 윤현구
Priority to KR20070012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82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3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88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holders for positioning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전선(이하 전원선, 전화선 및 신호선 등을 통칭함) 수납과 효율적 관리에 관한 것이다.
책상에 거치되는 구성품들 중 데스크 톱 컴퓨터는 컴퓨터 본체와 각종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많은 전선들로 인해 이를 방치할 경우 외관의 어수선함은 물론, 감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고, 수리, 보수 시 큰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이용하여 컴퓨터 등이 놓여지는 책상의 외적 미관과 전선 작업의 편리성을 동시에 해결하였다. 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전선 수납실을 후방으로 슬라이딩 개폐시키고, 여기에 전선 관련기기와 여유 전선들을 일괄 수납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 정돈할 수 있도록 했다.
깔끔한 외관으로 어수선한 전선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고, 책상 위 기기들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전선 관련 작업을 쉽게 할수 있다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컴퓨터 책상, 전선 수납, 전선 정리, 슬라이딩 상판, 전선 정리용 고리

Description

전선 정리를 위한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Desk with sliding cable drawer for cable arrangement}
본 고안은 컴퓨터와 각종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많은 전선들로 인해 어수선해지는 책상의 외관을 깔끔히 정비하고, 컴퓨터 및 주변기기들의 관리와 수리, 교체 등에 있어서 작업의 편리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전선 정리를 위한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책상들은 컴퓨터용이라 하더라도 컴퓨터의 특성을 감안하지 않은 채 일반 책상과 비슷한 구조에다 디자인만 달리 하는 경우가 많았다. 때문에 컴퓨터와 주변기기에 연결된 복잡한 전선들이 바닥에 방치되어 서로 뒤엉키게 되면서 효율적인 관리와 안전성, 그리고 외관에 문제점이 많았다.
컴퓨터 책상은 컴퓨터 본체와 다양한 주변기기(모니터, 프린터, 키보드, 마 우스, 스피커, 유에스비 포트 등)의 전원 배선, 본체와 주변기기 간, 또는 주변기기 상호간의 연결 배선을 필요로 한다.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할 경우나 탁상용 조명기구, 음향기기, 유선전화 등 특정 가전제품을 함께 사용할 경우 필요한 배선은 더욱 늘어난다.
이 같은 복잡한 배선을 방치할 경우 외관상 지저분하여 흉할 뿐 아니라 외부의 자극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또 보행 중 방치된 줄에 걸려 넘어지거나 물청소 때 감전 등의 안전 문제가 발생할 소지도 있다. 특히 컴퓨터 본체와 주변기기에 이상이 있거나 부품 교체 등 하드웨어 쪽에 작업이 필요할 경우 뒤엉킨 전선들은 이만 저만 불편한 게 아니고, 작업의 효율성도 크게 떨어뜨린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용 책상들도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져 왔다. 케이블 타이 등을 이용해 여러 전선을 한 데 묶어 책상 지지대 등에 부착하는 방식이 그 한 예다. 복잡한 전선들을 한 데 묶어 고정시킴으로써 어지러운 외관을 정비한 고안이다. 또 측면, 또는 후방 책상지지대와 상판에 배선용 홀을 뚫어 외부로의 전선 노출을 최소화 하는 방식으로 복잡한 전선의 외관 문제를 해결한 사례도 있다. 측면과 후방이 책상지지대로 가려진 경우, 전선 관련 기기들과 전선 여유분을 책상지지대 내부에 둠으로써 어지러운 외관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별도의 전선 수납함을 만들어 책상 지지대에 부착하거나 상판에 삽입하는 방식을 고안하기도 하였다. 이 경우 늘어진 전선 여유분을 한꺼번에 수납하여 적절한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외관과 전선 관리를 함께 해결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기존의 방식들은 단순히 컴퓨터용 책상의 외관만 어느 정도 개선할 뿐 수리나 보수, 유지 등에 있어서의 작업의 편리성은 고려되지 않았다.
예컨대, 케이블 타이 등으로 전선을 한 데 묶는 방식은 전선의 어수선함을 해결하는 데는 다소 효과가 있지만, 컴퓨터와 주변기기들의 전선 두께와 길이가 서로 다른 점을 감안하면 제각각인 전선 여유분의 처리에 문제점을 노출하고, 전원 멀티탭이나 공유기, 모뎀 등 전선 관련기기들의 처리도 문제로 남는다.
측면과 후방의 책상지지대로 전선들을 가리고 측면, 또는 후방 책상지지대와 상판에 배선용 홀을 뚫어 외부로의 전선 노출을 최소화 하는 방식도 책상 외부의 외관만을 해결할 뿐 책상 내부의 줄 엉킴은 여전히 문제로 남는다. 상판 하부에 컴퓨터 본체 수납함과 프린터 수납함 등의 공간을 만들어 전선 수납공간으로 함께 활용하는 사례도 마찬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컴퓨터와 주변기기의 교체, 수리, 보수 시엔 가로막힌 공간이 오히려 불편을 가중시키는 결과로 작용할 수 있다.
별도의 전선 수납함을 만들어 책상 지지대에 부착하거나 상판에 삽입하는 방식 역시 전선을 감춤으로써 외관을 해결하는 방식으로서 전선 별로 구분관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전선 관련 작업 시에는 여전히 불편이 크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전원 멀티탭이나 공유기, 모뎀 등 전선 관련기기들의 처리 역시 문제점으로 남는다.
즉, 기존 방식들은 복잡한 전선들을 한 데 모으거나 보이지 않게 하는 효과 정도에 그칠 뿐, 전선 관련기기들의 처리나 전선이 한 데 엉켜있는 데서 오는 작업 및 관리의 어려움과 불편함의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컴퓨터 등을 올려놓고 사용하는 책상과 관련하에 제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컴퓨터의 주변기기와 같이 책상의 상판에 높여지는 기기들의 전선 노출을 최소화하고, 책상의 상판에 기기들이 거치된 상태에서 전선관리 및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전선들을 일괄 수납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 정돈할 수 있으며, 미관이 유려한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은, 적어도 좌우측에 각기 책상지지대(120, 130)가 설치되고, 상기 책상지지대(120, 130)의 상부에 상판(110)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10) 위에는 컴퓨터의 주변기기를 포함하여 전기를 이용하는 다수의 기기들이 거치되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좌측 벽면(123), 우측 벽면(133), 후방 벽면(183) 및 상기 책상지지대(120, 130)를 횡단하는 가로 격벽(15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상기 기기들에 연결되는 전선과 전원 연결용 멀티탭이 수납되는 전선 수납실(180)이 설치되고, 상기 전선 수납실(180)은 책상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측 벽면(123), 우측 벽면(133), 및 후방 벽면(1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면에는 상기 기기에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배선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측 벽면(123), 우측 벽면(133), 후방 벽면(183) 및 가로 격벽(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내측면에는 상기 전선을 체결 고정시키는 복수의 전선 정리용 고리(18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 격벽(150)의 전방에는 컴퓨터의 입력장치인 키보드가 수납되는 키보드 수납실(17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로 격벽(150)에는 상기 전선 수납실(180)과 연통되는 배선홀(151, 152)이 형성된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은 상판 위에 거치되는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등의 전기 사용 기기들에 연결되는 전선 및 전원 연결용 멀티탭을 상판 하부의 전선 수납실에 수납하여 전선이나 멀티탭 등이 책상 주변에 어지러이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깔끔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으며, 상판 위에 기기들이 거치된 상태에서 전선 수납실만을 후방으로 인출하여 전선을 관리하거나 유지보수 할 수 있음에 따라 중량의 기기들을 이동시키지 않고 컴퓨터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책상 이용자가 대민 업무를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 상담자가 착석하게 되는 책상의 후방에 전선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담자측에 보다 깔끔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선 수납실을 구획하는 벽면에 복수의 배선홀을 형성하여 상판 위의 기기들에 연결되는 전선의 배선통로로 이용함으로써, 배선의 일목 요연한 정리 및 유지보수 작업시 배선의 식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선 수납실을 구획하는 벽면 내측에 전선 정리용 고리를 설치함으로써, 전선들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위치 고정시킬 수 있어 전선들의 엉킴을 방지하고 전선이 기기들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며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판의 하부 공간을 가로 격벽으로 구획하고 후방의 공간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전선 수납실을 설치하고, 전방의 공간에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키보드 거치대를 설치함으로써, 컴퓨터용 책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키보드 수납실과 전선 수납실을 구획하는 가로 격벽에 복수의 배선홀을 형성함으로써, 키보드 수납실에 수납되는 키보드 및 마우스의 배선이 쉬게 식별될 뿐만 아니라 일목요연하게 정리 정돈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은 좌, 우 양측과 후방의 책상지지대(후방 지지대가 없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부에 수납실을 결합하고, 수납실 좌, 우 측면 상부에 가이드레일을 부착해 슬라이딩 개폐형 상판을 얹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수납실은 가로 격벽에 의해 전, 후 공간을 구분해 전면은 키보드 공간으로 하고 후면은 전선 수납공간으로 하였다. 전면 공간은 다시 세로 격벽에 의해 키보드 공간 우측 일부를 서랍으로 구성해 전원개폐장치나 헤드폰, 유에스비 포트 등 간단한 주변기기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했다.
키보드 거치대와 서랍은 상판과 마찬가지로 가이드레일을 설치해 부드럽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격벽과 각 수납실, 책상지지대에는 기기 별 위치를 감안한 배선홀을 뚫어 효율적인 배선과 발열 문제에 대처했다. 특히 전선 수납실은 전원 멀티탭과 모뎀, 공유기, 각종 전선 여유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정돈할 수 있도록 넉넉한 공간을 확보하고 수납실의 사방 측면과 바닥에 다수의 전선 정리용 고리(클램프)를 고정시켰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용 책상은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이 최소화 되어 외관상 깔끔할 뿐 아니라, 전선 수납실 내부의 전선 정리도 기기 별로 구분 정리가 되어서 그 동안 어수선한 전선으로 인해 받던 스트레스를 해소하였다. 또한 모니터, 프린터(혹은 복합기, 스캐너 등), 스피커, 스탠드 등 상판에 놓인 기기들을 이동시키지 않고 가볍게 상판을 당기는 것만으로 전선 수납실을 개방, 편안한 자세로 전선 관련 작업을 할 수 있어 컴퓨터의 수리, 유지, 보수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데스크톱 컴퓨터에 필수적으로 동반되는 복잡한 각종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하면서 작업의 편리성을 함께 해결한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이자 특징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의 상판을 슬라이딩 개방하였을 때의 수납실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슬라이딩 상판 결합 구조와 전선 수납실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판을 닫고 키보드와 서랍을 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상판을 슬라이딩 개방하였을 때의 평면도, 도 5는 정면도, 도 6은 상판을 개방하였을 때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7은 모니터와 프린터를 얹은 상태에서의 배면도, 도 8은 상판을 개폐하는 대신 수납실을 출납하는 방식으로의 응용 형태에서 전선 수납실을 슬라이딩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핵심 기술을 적용한 전선 수납 및 정리를 위한 별도의 슬라이딩 상판 개폐형 컴퓨터 본체 수납함으로서, 프린터를 올린 상태에서 상판 개방 시 전선 수납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책상은 크게 상판(110), 좌측 책상지지대(120), 우측 책상지지대(130), 후방 책상지지대(140), 서랍(160), 키보드 수납실(170), 전선 수납실(180), 컴퓨터 본체 거치대(190) 등으로 구성된다.
상판(110)은 좌측, 우측, 후방 3면의 책상지지대(120, 130, 140)에 의해 형성되는 'ㄷ'자 형태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하여 좌측 책상지지대(120)와 우측 책상지지대(130) 상부에 부착된 양 가이드레일(121, 131)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판(110)을 슬라이딩 개폐형으로 구성한 것은 모니터 등 상판(110) 위에 거치되는 각종 기기들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쉽게 전선 수납실(180)을 개방하여 수리, 유지, 보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판(110)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것을 대체하여 전선 수납실(180)을 책상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개폐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가이드레일(121, 123)은 수납실의 좌측 벽면(123)과 우측 벽면(133) 상단에 부착하며 좌우측 벽면(123, 133) 상단의 폭이 가이드레일(121, 123)을 지지할 수 없을 경우엔 가이드레일(121, 123)의 폭 만큼의 보조 지지대를 좌우측 벽면(123, 133)에 잇대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21, 123)의 부착 위치는 견고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수납실의 좌측 벽면(123)과 우측 벽면(133)의 내측 상부에 벽면과 평행하게 부착할 수도 있다.
상판(110)은 휨 방지를 위해 충분한 두께를 가진 부재를 사용하고 상판(110)에 위치하는 모니터 등 컴퓨터 주변기기의 무게로 인해 불필요한 슬라이딩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도록 자석이나 기타 스토퍼 등을 이용해 불필요한 움직임을 제어하는 장치를 추가할 수 있다.
수납실은 좌측 벽면(123), 우측 벽면(133), 그리고 후방 벽면(183)의 'ㄷ'자 형태로 구성하며 가로 격벽(150)에 의해 전방의 키보드 수납실(170)과 서랍(160), 후방의 전선 수납실(180)로 구분한다.
가로 격벽(150)은 키보드 수납에 필요한 공간을 감안하여 수납실의 좌측 벽면(123)과 우측 벽면(133)에 직각이 되게 고정하며 상판(110)을 연결하는 가이드레일(121, 131)의 보조 지지대 역할도 한다. 수납실의 가로 격벽(150)에는 키보드 수납실(170)과 전선 수납실(180)을 연결하도록 2부위, 서랍(160)과 전선 수납실(180)을 연결하도록 1부위 등 3개의 배선홀(151, 152, 153)을 뚫는다.
키보드 수납실(170)과 연결되는 배선홀(151, 152)은 키보드와 마우스 선을 위한 것으로서, 전선의 길이와 최단 이동 거리를 감안하여 컴퓨터 본체 거치대(190)를 우측 책상지지대(130) 쪽에 붙일 경우는 우측 배선홀(152)을 사용하고, 컴퓨터 본체 거치대(190)를 좌측 책상지지대(120) 쪽에 붙일 경우엔 좌측 배선홀(151)을 사용할 수 있다. 서랍(160)과 연결되는 배선홀(153)은 유에스비 포트나, 별도로 설치하는 전원 개폐장치, 모뎀 등 이용 상 편리를 위해 서랍에 두고자 하는 기기들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홀(153)이다.
키보드 수납실(170)과 서랍(160)은 가로 격벽(150)에 수직으로 놓인 세로 격벽(161)에 의해 구획되며 키보드 수납실(170)은 키보드와 마우스 사용 공간을 감안하여, 예컨대 최소한 70cm(키보드 50cm, 마우스20cm) 이상으로 넉넉한 가로폭을 확보하고 나머지를 서랍(160)으로 구성했다. 소형 컴퓨터용 책상의 경우엔 서랍을 두지 않고 가로 격벽(150)에 의한 전면 공간을 키보드와 마우스 전용공간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전원 개폐장치나 유에스비 포트 등은 마우스 사용 공간과 가로 격벽(150) 사이에 두면 배선이나 이용에 큰 불편이 없다.
키보드 수납실(170)은 수납실의 좌측 벽면(123)과 서랍 쪽 세로 격벽(161)에 평행하게 가이드레일(171, 172)을 부착하여 키보드 거치대(173)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슬라이딩 상판(110) 결합 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키보드 수납실(170) 바닥이 아닌 수납실 좌측 벽면(123)과 서랍 쪽 세로 격벽(161)에 각각 가이드레일을 부착하는 방식을 쓸 수도 있다.
키보드 거치대(173)와 수납실의 가로 격벽(150) 사이엔 일정 유격을 두어 키보드 거치대(173)를 출납할 때 키보드 선이나 마우스 선이 키보드 거치대(173)와 가로 격벽(150) 사이에 끼는 현상을 방지한다. 키보드 거치대(173)의 전면은 아래쪽 방향으로 턱(174)을 지게 하여 키보드 거치대(173)가 필요 이상으로 수납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위쪽 방향으로도 턱을 두어 키보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서랍(160)의 경우에도 기본 구성은 키보드 수납실(170)과 비슷한 구조로 한다. 서랍(160) 좌측의 세로 격벽(161)과 우측 벽면(133)에 평행하게 하여 서랍(160) 바닥에 가이드레일을 부착하고 서랍(160)과 결합한다. 서랍(160) 좌측의 세로 격벽(161)과 우측 벽면(133)의 상부나 하부 쪽에, 수납실 바닥과 수직이 되는 형태로 가이드레일을 부착할 수도 있다. 서랍(160)의 후방 벽면에는 가로 격벽(150)의 서랍 쪽 배선홀(153)과 상응하는 배선홀(162)을 뚫어 유에스비 포트 등 서랍(160)에 위치하는 기기들의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서랍(160)의 후방과 가로 격벽(150) 사이에도 일정 유격을 두어 전선의 끼임을 방지한다.
키보드 거치대(173)의 전면 턱(17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랍(160)의 전면에도 아래 쪽 방향으로 턱(163)을 두어 서랍(160)이 필요 이상으로 수납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가운데 하나인 전선 수납실(180)은 전원 멀티 탭과 모뎀, 공유기 등 전선 관련 기기들과 각종 전선 여유분을 모두 수납하기 위해 넉넉한 공간을 확보하고, 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 정돈하는 것이 핵심 포인트이다.
충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수납실의 가로 격벽(150)에 의해 구분된 후면 공간 전체를 전선 수납실(180)로 구성했다. 서랍이 없는 소형 컴퓨터용 책상의 경우 수납실의 바닥면에 단차를 두어 키보드 수납실(170)및 서랍(160)의 바닥면 보다 전선 수납실(180)의 바닥을 깊게 함으로써 전선 수납실(180) 사방 벽면을 이용한 수납공간 확대 효과를 볼 수 있다.
전선 수납실(180)의 바닥과 사방 벽면에는 다양한 배선홀을 뚫어 컴퓨터 본체와 각종 주변기기들을 연결하고 발열 문제에 대처했다. 컴퓨터 본체의 각종 연결선은 바닥면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배선홀(181, 182)을 통해 전선 수납실(180)로 연결한다. 컴퓨터 본체 거치대(190)가 좌측 책상지지대(120)에 부착될 경우 전선 수납실(180) 바닥면 좌측의 배선홀(181)을 이용하고, 컴퓨터 본체 거치대(190)가 우측 책상지지대(130)에 부착될 경우엔 전선 수납실(180) 바닥면 우측의 배선홀(182)을 이용하게 되는 구조이다. 전선 수납실(180) 바닥면의 배선홀(181, 182)은 컴퓨터 본체와 연결되는 모든 배선과 주 전원 공급선, 책상 아래쪽에 놓인 프린터 배선 등 수납실 아래에 위치한 모든 기기들의 배선통로이다.
전선 수납실(180)의 좌측 벽면(123)과 우측 벽면(133)에도 각각 1개씩의 배선홀(122, 132)을 뚫어, 사무실이나 피씨방처럼 책상을 이어 배치할 경우 공유기 등 컴퓨터와 컴퓨터를 잇는 배선 통로로 이용한다. 전선 수납실(180)의 후방 벽면(183) 상단에는 좌측과 중간, 우측에 각각 배선홀(141, 142, 143)을 뚫어 모니터를 비롯한 상판(110) 위의 각종 기기들의 배선 통로로 이용한다. 이 경우 미관을 위해 후방 벽면(183)의 상단에 반달 모양의 배선홀(141, 142, 143)을 뚫는 것이 바람직하나 후방 벽면(183)의 중간 높이에 원형의 배선홀(141, 142, 143)을 뚫는 것도 가능하며 배선홀의 수는 3개가 초과될 수도 있다. 키보드 수납실(170)과 서랍(160)으로 통하는 가로 격벽(150)의 3개 배선홀(151, 152, 153)은 키보드, 마우스, 유에스비 포트 등 관련기기들을 전선 수납실(180)로 연결하고 각 배선홀들은 배선과 함께 발열 대처 기능도 한다.
전선 수납실(180) 내의 전선 정리는 바닥과 사방 벽면에 다수의 전선 정리용 고리(184)를 고정시켜 해결한다. 주 전원 멀티탭과 모뎀, 공유기 등 부피가 큰 기기들을 바닥에 가지런히 위치시킨 후 주변의 가장 가까운 전선 정리용 고리(184)에 여분의 전선을 기기 별로 수습, 정리하는 구조이다. 키보드 수납실(170)보다 깊게 단차를 둔 전선 수납실(180)의 경우엔 가로 격벽(150)과 후방 벽면(183)에 각각 다수 열의 전선 정리용 고리(184)를 배열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인다. 전선 정리용 고리(184)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장치들 중에서 고리의 바닥면(187)을 전선 수납실(180) 각 면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특히 모니터 선이나 전원선 등 비교적 두께가 있는 전선을 원형으로 말아 수습할 경우에도 고리부(185)를 체결구(186)에 체결함에 있어서 충분히 그 부피를 감당할 수 있는 전선 정리용 고리(184)를 선택한다. 부피가 작은 전선을 감안해서 다양한 형태의 전선 정리용 고리를 전선 별로 달리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책상지지대는 상판(110)을 얹은 수납실의 각 벽면(123, 133. 183)의 외측에 좌측 책상지지대(120), 우측 책상지지대(130), 후방 책상지지대(140)를 각각 체결장치로 고정 결합한다. 경우에 따라 후방 책상지지대(140) 없이 좌측 책상지지대(120)와 우측 책상지지대(130)만 구성할 수도 있으며 판자 형이 아닌 원통이나 사각 다리 형의 책상지지대를 쓸 수도 있다.
컴퓨터 본체 거치대(190)는 컴퓨터 본체의 바닥 면을 커버하고도 남는 면적의 직사각형 형태의 받침틀 하부에 바퀴(191)를 부착한 형태로 구성해 좌측 책상지지대(120)나 우측 책상지지대(130) 중 원하는 위치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했다. 컴퓨터 본체 거치대(190)를 좌우측 책상지지대(120, 130)에 고정시키기 위해선 자석이나 기타 고정 장치를 활용하기나 제동장치가 달린 바퀴(191)를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 본체 거치대(190)는 바퀴를 활용하지 않고 좌측 책상지지대(120)나 우측 책상지지대(130)에 고정시켜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어느 일측 책상지지대(120, 130)와 경첩으로 결합해 접이식으로 할 수도 있다. 컴퓨터 본체 거치대(190)는 수납함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어느 일측 책상지지대(120, 130)에 잇대어 일체형이나 분리형, 탈착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컴퓨터용 책상을 기본형으로 하여 상판(110)을 슬라이딩 시키는 대신 전선 수납실(180)을 슬라이딩 출납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을 좌우측 책상지지대(120, 130)에 고정 설치하고, 키보드 수납실(170) 및 서랍(160), 전선 수납실(180)로 구성된 수납실 자체를 가이드레일(121, 131)에 의해 상판(110)과 연결해 구동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 가이드레일의 설치 방향은 전선 수납실(180)을 책상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이는 상판(11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실시예와는 반대 방향이다. 전선 수납실(180)만 서랍 형으로 하여 책상 후방 쪽으로 출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수납실 전체를 책상 상판(110) 하부에 고정하고, 수납실의 좌측벽면(122)과 우측 벽면(133)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전선 수납실(180)만을 책상 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시키도록 구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 거치대(190)를 수납함 형태로 할 경우엔 전선 수납을 위한 별도의 슬라이딩 상판 개폐형 컴퓨터 본체 수납함(200)으로 구성해 일반 책상에서도 사용토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본체 수납함(200)의 구성 원리는 본 고안의 컴퓨터용 책상(100)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여 외관과 편리성 문제를 해결한다.
먼저 별체로 이루어진 컴퓨터 본체 수납함(200)은 상부에 전선 수납실(202)을 구성하고 하부에 컴퓨터 본체 수납실(203)과 다용도용 수납공간(204)을 두는 형태를 기본형으로 하여, 본 고안의 컴퓨터용 책상의 상판(110)과 마찬가지로 수납함(200) 상부의 상판(201)을 가이드레일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한다. 전선 수납실(202)의 내부도 본 고안의 컴퓨터용 책상(100)의 전선 수납실(180)처럼 전선 정리용 고리(207)에 의해 전선별, 기기별로 전선을 정리하고 각 배선홀(205, 206)을 통해 기기에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전선 수납 및 정리를 위한 별도의 슬라이딩 상판 개폐형 컴퓨터 본체 수납함(200)을 이용할 경우 상판이 고정된 일반 책상에서도 배선으로 인한 어수선한 외관을 말끔히 정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리, 유지, 보수, 관리 시의 작업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컴퓨터 본체의 작업을 위해 컴퓨터 본체 수납함(200)의 후면이나 측면에 경첩이나 기타 수단을 이용해 개폐문을 별도로 만들면 편리성을 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의 상판을 슬라이딩 개방하였을 때의 수납함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슬라이딩 상판 결합 구조와 전선 수납실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판을 닫고 키보드와 서랍을 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상판을 슬라이딩 개방하였을 때의 평면도.
도 5는 키보드 수납실과 서랍, 본체 거치대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상판을 개방하였을 때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7은 모니터와 프린터를 얹은 상태에서의 배면도.
도 8은 상판을 개폐하는 대신 수납함을 출납하는 방식으로의 응용 형태에서 전선 수납실을 슬라이딩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핵심 기술을 적용한 전선 수납 및 정리를 위한 별도의 슬라이딩 상판 개폐형 컴퓨터 본체 수납함의 실시 예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 상판
120 : 좌측 책상지지대
130 : 우측 책상지지대
140 : 후방 책상지지대
150 : 가로 격벽
160 : 서랍
170 : 키보드 수납실
180 : 전선 수납실
184 : 전선 정리용 고리
190 : 컴퓨터 본체 거치대
200 : 컴퓨터 본체 수납함

Claims (6)

  1. 적어도 좌우측에 각기 책상지지대(120, 130)가 설치되고, 상기 책상지지대(120, 130)의 상부에 상판(110)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10) 위에는 컴퓨터의 주변기기를 포함하여 전기를 이용하는 다수의 기기들이 거치되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좌측 벽면(123), 우측 벽면(133), 후방 벽면(183) 및 상기 책상지지대(120, 130)를 횡단하는 가로 격벽(15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상기 기기들에 연결되는 전선과 전원 연결용 멀티탭이 수납되는 전선 수납실(180)이 설치되고, 상기 전선 수납실(180)은 책상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벽면(123), 우측 벽면(133), 및 후방 벽면(1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면에는 상기 기기에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배선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벽면(123), 우측 벽면(133), 후방 벽면(183) 및 가로 격벽(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 내측면에는 상기 전선을 체결 고정시키는 복수의 전선 정리용 고리(18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격벽(150)의 전방에는 컴퓨터의 입력장치인 키보드가 수납되는 키보드 수납실(17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로 격벽(150)에는 상기 전선 수납실(180)과 연통되는 배선홀(151, 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5. 삭제
  6. 삭제
KR20070012986U 2007-08-02 2007-08-02 전선 정리를 위한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KR200446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2986U KR200446827Y1 (ko) 2007-08-02 2007-08-02 전선 정리를 위한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2986U KR200446827Y1 (ko) 2007-08-02 2007-08-02 전선 정리를 위한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300U KR20090001300U (ko) 2009-02-05
KR200446827Y1 true KR200446827Y1 (ko) 2009-12-03

Family

ID=4150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2986U KR200446827Y1 (ko) 2007-08-02 2007-08-02 전선 정리를 위한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8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4325A (zh) * 2018-04-03 2018-08-03 嘉利恒兴(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操作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934U (ko) * 1993-09-15 1995-04-15 전선 및 콘센트 덕트를 내설한 책상
KR0137729Y1 (ko) * 1995-10-11 1999-04-01 노재근 사무책상용 덕트프레임
KR100193174B1 (ko) * 1995-07-05 1999-06-15 문재연 컴퓨터 시스템용 책상
KR200363147Y1 (ko) * 2004-06-17 2004-09-22 이용주 컴퓨터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934U (ko) * 1993-09-15 1995-04-15 전선 및 콘센트 덕트를 내설한 책상
KR100193174B1 (ko) * 1995-07-05 1999-06-15 문재연 컴퓨터 시스템용 책상
KR0137729Y1 (ko) * 1995-10-11 1999-04-01 노재근 사무책상용 덕트프레임
KR200363147Y1 (ko) * 2004-06-17 2004-09-22 이용주 컴퓨터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300U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5932B2 (en) Height adjustable desk system
US20050231080A1 (en) Cable organizer cabinet
KR200446827Y1 (ko) 전선 정리를 위한 슬라이딩 개폐형 전선 수납실을 구비한 책상
JP6102162B2 (ja) 机と収納キャビネットの組合せ家具
JP5057567B2 (ja) 組み合わせ家具
KR200363147Y1 (ko) 컴퓨터책상
CN201360697Y (zh) 一种实用型电脑写字台
JP2003079457A (ja) 引出家具
CN206949895U (zh) 可变换存储空间的书架
KR100887677B1 (ko) 체결의 안정성과 용이성이 보장되는 컴퓨터 장착용 다목적물품수납함
JP2007044180A (ja)
US20130206446A1 (en) Cord Organizer System
JP5879137B2 (ja) デスク装置
CN220966823U (zh) 一种具有隐藏储物功能的工作桌
JPH11187947A (ja) 収納家具
KR102514782B1 (ko) 폴딩 테이블
KR200411301Y1 (ko) 키보드 수납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KR100940823B1 (ko)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CN216059831U (zh) 一种主管桌
JP3154174U (ja) 電話台
JP2877009B2 (ja)
JPH0334103Y2 (ko)
JP3575530B2 (ja) キャビネットとパネル装置との組み合わせ
CN209088448U (zh) 线槽
WO2005070255A1 (en) Cable organizer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