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551B1 - 배선덕트용 분기체 - Google Patents

배선덕트용 분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551B1
KR101149551B1 KR1020100098881A KR20100098881A KR101149551B1 KR 101149551 B1 KR101149551 B1 KR 101149551B1 KR 1020100098881 A KR1020100098881 A KR 1020100098881A KR 20100098881 A KR20100098881 A KR 20100098881A KR 101149551 B1 KR101149551 B1 KR 10114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main body
cover
duct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242A (ko
Inventor
고재완
김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10009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5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덕트용 분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배선덕트에 하부가 장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다수의 배선을 수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탈부착을 통해 덮어 배선을 보호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로 인해 밀폐된 본체의 양측면에 내부를 차단하고 배선을 외부로 인출토록 하는 앤드캡;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덕트에 분기체를 장착함으로 배선을 적재적소 분배할 수 있고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을 통해 외관상에 미려함을 줄 수 있으며 배선의 전기결함으로 인해 발생할지 모르는 화재 및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배선의 정리, 정돈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선덕트용 분기체{DISTRIBUTION DEVICE FOR A WIRING DUCT}
본 발명은 배선덕트용 분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덕트에 별도의 분기체를 장착하여 배선을 적재적소에 분배할 수 있고,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으로 보기에 좋고, 배선을 정리, 정돈할 수 있는 배선덕트용 분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축물의 실내에는 TV나 전화기, 프린터 등과 같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나 컴퓨터의 데이터 케이블 등을 배선할 경우에는 이들 전선이나 케이블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외관상의 미려함을 제공하기 위해 배선용 덕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선덕트는 주로 저면에 양면 테이프가 부착되어 바닥이나 벽면 등에 부착한 후, 내부 공간에 배선을 정리, 정돈하여 수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동일 출원인은 이러한 수요에 맞춰 배선덕트에 관한 발명을 다수 출원한 바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실용 제0171332호의 "배선덕트"(종래기술)를 들 수 있다.
도 1과 같이 종래기술은 덕트본체(10)에는 측벽(11)의 상단부로부터 내측 연장부(12)가 소정 거리만큼 내측으로 수평 연장되어 배선기구의 고정 시에 배선기구와 덕트본체(10)간의 틈새를 가리도록 하였는바, 내측 연장부(12)에는 그로부터 커버 지지홈(13)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간격을 갖으며, 이에는 결합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본체(10)의 바닥면(17) 또는/및 측벽(11)에는 다수의 접속홈(15)이 형성되어 접속막대로써 덕트본체(10)를 이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격벽판 삽입홈(16)이 덕트본체(10)의 바닥면(17)에 형성되어 전선 등의 종류를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덕트커버(20)에는 덕트본체(10)의 지지홈(13)에 삽입되는 삽입구(21)와, 덕트본체(10)의 결합돌기(14)와 탄력 계합되는 커버돌기(22)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덕트커버(20)의 커버돌기(22)가 덕트본체(10)의 결합돌기(14)에 계합되어 끼워지게 된다.
또한 덕트본체(10)와 마찬가지로 덕트커버(20)의 내측면에도 접속막대로써 덕트커버(20)를 이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속홈(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하게 덕트본체의 내부에 다수의 배선을 수용하여 별도의 배선을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배선이 노출됨으로써 외관상의 미려함을 주지 못하며, 안전상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선덕트에 별도의 분기체를 장착함으로 배선을 필요로 하는 곳에 원활하게 분배할 수 있고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에 보기 좋으며, 전기결함으로 인한 화재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배선의 정리, 정돈이 용이하도록 한 배선덕트용 분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별도의 배선덕트에 하부가 장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다수의 배선을 수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탈부착을 통해 덮어 배선을 보호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로 인해 밀폐된 본체의 양측면에 내부를 차단하고 배선을 외부로 인출토록 하는 앤드캡;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배선덕트를 통해 배선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배선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지지부와; 및 상기 본체의 밀폐된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은 본체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는 본체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 고정되는 돌기가 장축방향의 측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은, 배선덕트에 분기체를 장착함으로 배선을 적재적소 분배할 수 있고 배선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을 통해 외관상에 미려함을 줄 수 있으며 배선의 전기결함으로 인해 발생할지 모르는 화재 및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며 배선의 정리, 정돈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배선덕트에 관한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덕트의 일부에 분기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덕트와 분기체의 구성요소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체의 내부 공간에 다수의 배선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덮개의 결합방식을 일부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 공간이 다수 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덕트용 분기체에 관한 구조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덕트의 일부에 분기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덕트와 분기체의 구성요소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체의 내부 공간에 다수의 배선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덮개의 결합구조를 일부 확대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 공간이 다수 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덕트용 분기체는 본체(110), 덮개(120) 및 앤드캡(140, 15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배선덕트(10)를 통해 유입된 전력선, 전화선, 통신선 등의 전선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직사각의 평판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본체(110)는 배선덕트(10)에 수용된 다수의 배선(W)을 분배토록 하기 위해 배선덕트(10)의 개방된 상부 일면에 얹혀서 장착하게 된다.
상기 배선덕트(10)는 바닥이나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주로 일단면에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등이 부착되고, 이렇게 부착된 배선덕트(1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도 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본체(110)는 배선덕트(10)에서 유입된 배선(W)이 분배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외관상 보기에 좋으며 전기결함으로 인해 발생할지 모르는 인명 및 재산피해를 예방하는데 그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본체(110)는 배선덕트(10)을 통해 배선(W)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장축방향으로 유입구(111)가 천공되어 이렇게 천공된 유입구(111)를 통해 배선(W)이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구(111)를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천공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구(111)는 본체(110)의 하부에 다수 개로 형성되어 다수의 배선(W)이 서로 간섭없이 전력을 공급하는데 따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유입구(111)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배선(W)이 중력에 의해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10)의 바닥 중간에 넓은 지지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12)는 다수의 배선(W)이 추가로 유입되어도 정리, 정돈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넓은 평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유입구(111)를 통해 내부 공간에 수용된 배선(W)이 적재적소 분배토록 하는 격벽(113)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다수로 구획하게 된다.
상기 격벽(113)은 본체(110)의 하단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장축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113)의 높이는 덮개(120)가 본체(110)의 상부를 덮어을때 닿을 정도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격벽(113)은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다수 개로 구획하기 위해 다수 개로 형성함으로 배선(W)을 분배하는데 편의성을 가지며 본체(110)의 내부 공간의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체(110a)에 다수의 배선(W)을 분배하는데 내부 공간을 다수 개로 구획하기 위해 다수의 격벽(113a)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a)는 다수 개의 내부 공간이 형성됨으로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곳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113)은 한개로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110)는 상단부 일부가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그 절곡된 단부가 아래방향으로 절곡된 후 내측을 향하도록 한번 더 절곡되어 요홈(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120)는 본체(110)를 덮기 위해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넓은 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120)는 장축방향으로 측단에 원형 형상의 돌기(121)가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요홈(114)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덮개(120)는 본체(110)에 수용된 배선(W)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금속성을 갖는 물질로 인해 전기결함인 쇼트(SHORT; 전선의 불필요한 접촉 등으로 인해 전류가 본래 흐르려는 루트 밖으로 흐르는 것)가 발생되어 화재 및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한다.
상기 덮개(1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되 중량이 큰 물건을 올려두어도 덮개(120)가 휘지않는 특성이 있다.
상기 본체(110)에 덮개(120)로 인해 밀폐된 내부 공간을 차단하고 본체(110)에 수용된 배선(W)을 외부로 인출토록 하는 앤드캡(140, 150)이 체결된다.
상기 앤드캡(140, 150)은 본체(110)의 일측면에 볼트(160)로 체결되어 내부공간을 차단하는 제 1 앤드캡(140)과 본체(110)의 다른 일측면에 체결되어 수용된 배선(W)을 외부로 인출토록 하는 제 2 앤드캡(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앤드캡(140)은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상단에는 두개의 체결구멍(115)이 형성되어 본체(110)의 일측면에 체결되어 외부로부터 틈새없이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앤드캡(150)은 넓은 판형 형상으로 제 1 앤드캡(140)에 대응하는 본체(110)의 다른 일측면에 체결되어 내부에 수용된 배선(W)을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상기 제 2 앤드캡(150)은 배선(W)을 인출하기 위해 중앙에 인출구(151)가 다각형 형상으로 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앤드캡(150)은 다각형 형상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덕트용 분기체의 사용상태 및 작동상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10)는 배선덕트(10)의 일부가 개방된 상부에 장착되고 본체(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요홈(114)에 덮개(120)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121)를 끼운 후, 덮개(120)의 상부를 누르면 억지끼움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한다.
상기 본체(110)와 덮개(120)의 결합방식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 반드시 이에 한정 짓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나 볼트 등을 이용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사전에 밝혀둔다.
결합된 후에는 본체(110)의 일측면에 제 1 앤드캡(140)을 두개의 볼트(160)를 요홈(114)인근에 형성된 체결구멍(115)에 각각 체결하며 다른 일측면에도 제 2 앤드캡(150)을 동일한 방법으로 체결한다.
분기체(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덕트(10)에 장착되면, 배선덕트(10)에 수용된 배선(W)은 분기체(100)의 유입구(111)를 통해 지지부(112)를 지난 후, 제 2 앤드캡(150)에 형성된 인출부(151)를 통과해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분기체(100)는 전력을 필요로 하는 배선(W)을 추가할 경우에 본체(110)의 양측면에 체결된 볼트(160)를 돌려 제 1 앤드캡(140)과 제 2 앤드캡(150)을 각각 분리한 다음에 노출된 덮개(120)의 한쪽 끝단을 잡아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덮개(120)는 본체(110)로부터 분리되고 배선덕트(10)로 추가할 배선(W)은 유입구(111)를 지나 지지부(112)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112)를 통과한 배선(W)은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본체(110)와 덮개(120)를 결합하며 본체(110)의 양끝단에 제 1 앤드캡(140)과 제 2 앤드캡(150)을 순차적으로 볼트(160)로 체결한 후 본체(110)에 체결된 제 2 앤드캡(150)의 인출구(151)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배선덕트 100 : 분기체
110 : 본체 111 : 유입구
112 : 지지부 113 : 격벽
114 : 요홈 115 : 체결구멍
120 : 덮개 121 : 돌기
140 : 제 1 앤드캡 150 : 제 2 앤드캡
151 : 인출구 160 : 볼트
W : 배선

Claims (5)

  1. 별도의 배선덕트에 하부가 장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다수의 배선을 수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탈부착을 통해 덮어 배선을 보호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로 인해 밀폐된 본체의 양측면에 내부를 차단하고 배선을 외부로 인출토록 하는 앤드캡; 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배선덕트를 통해 배선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배선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지지부와; 및
    상기 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밀폐된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시키는 격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용 분기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본체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용 분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 고정되는 돌기가 장축방향의 측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용 분기체.



KR1020100098881A 2010-10-11 2010-10-11 배선덕트용 분기체 KR10114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881A KR101149551B1 (ko) 2010-10-11 2010-10-11 배선덕트용 분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881A KR101149551B1 (ko) 2010-10-11 2010-10-11 배선덕트용 분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242A KR20120037242A (ko) 2012-04-19
KR101149551B1 true KR101149551B1 (ko) 2012-05-25

Family

ID=4613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881A KR101149551B1 (ko) 2010-10-11 2010-10-11 배선덕트용 분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5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734Y1 (ko) 2006-05-16 2006-08-11 정재민 전선 매설용 덕트
KR100745197B1 (ko) * 2005-06-16 2007-08-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
KR100820084B1 (ko) 2006-07-26 2008-04-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JP2009284642A (ja) 2008-05-21 2009-12-0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プラグイン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197B1 (ko) * 2005-06-16 2007-08-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
KR200423734Y1 (ko) 2006-05-16 2006-08-11 정재민 전선 매설용 덕트
KR100820084B1 (ko) 2006-07-26 2008-04-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덕트의 접속장치
JP2009284642A (ja) 2008-05-21 2009-12-0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プラグイン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242A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49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unting devices
WO2009046068A1 (en) Grommet for cables and the like
KR101127551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US7154052B2 (en) Device plate for mounting a communications device to a raceway
JPH01160309A (ja) 建築物用配線盤および配線盤群による配線法
US20110217867A1 (en) Consolidation point enclosure
US6211460B1 (en) Multi-device yoke for a surface raceway system
KR101149551B1 (ko) 배선덕트용 분기체
JP2007236150A (ja) 光・電力共用引込盤
US20040065460A1 (en) Base board system for installing wiring and method therefor
KR100745197B1 (ko) 배선용 덕트
JP2008092666A (ja) 配線ダクトおよび配線ダクト製造方法
US20120262861A1 (en) Rack with a Power Distribution Unit
US20100101855A1 (en) Cable raceway with box
US10041260B2 (en) Construction kit for producing coverings
CN202454997U (zh) 理线架及其使用该理线架的布线箱
KR101058427B1 (ko) 벽부매립형 액세스포인트
CN209963675U (zh) 一种组合式线槽
JP2016058569A (ja) 電気機器収納用箱
KR100940823B1 (ko)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US7281355B2 (en) Integrated ceiling and wireway distribution system
WO2016008076A1 (zh) 用于线缆通道中的转接器以及线缆分配系统
CN210779626U (zh) 一种直流配电单元
CN210177637U (zh) 智能坐便器理线底座
CN212935444U (zh) 一种电缆桥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