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877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가이드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가이드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877B1
KR100938877B1 KR1020070118460A KR20070118460A KR100938877B1 KR 100938877 B1 KR100938877 B1 KR 100938877B1 KR 1020070118460 A KR1020070118460 A KR 1020070118460A KR 20070118460 A KR20070118460 A KR 20070118460A KR 100938877 B1 KR100938877 B1 KR 100938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concrete
bottom plate
concrete bottom
main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1973A (ko
Inventor
김성운
김영진
김인규
진병무
마향욱
오현철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70118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87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측면에서 결합되도록 디귿자 형상의 레일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상기 본체와 동일 높이를 가지며 수평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측면에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안내하는 지지 가이드 웨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바닥판의 시공시 이음부의 단차 및 오차를 줄이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교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이음부, 단차, 오차, 가이드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SUPPORTING GUIDEWAY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PRECAST CONCRETE PANEL DECK}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 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측면에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안내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량의 바닥판을 만들기 위해 현장에서 거푸집을 제작하고, 이 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장기간의 양생과정을 통해 바닥판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 바닥판 시공법은 많은 전문 건설인력이 필요하고, 특히 도심지와 같이 차량통행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공사로 인한 교통체증심화로 인하여 막대한 간접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장 시공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시된 공법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시공방법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은 공장에서 미리 강제 거푸집을 제작하고, 이 거푸집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증기양생 후, 탈형하는 공정을 통해 완성된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하여 교량바닥판을 시공할 경우 공기 단축 및 인력절감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시공시 크레인과 같은 인양 장비에 의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거더 위에 거치하는 경우 자체 하중에 따른 흔들림에 의해 바닥판의 횡방향 이음부의 단차 및 오차를 해소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동일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바닥판을 거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현장에서 작업자의 개인적 차이에 따라 이음부의 오차가 서로 달라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판간 이음부의 측면이 연속되지 못하고, 편차를 두고 시공이 이루어져 하자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측면에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안내하는 지지 가이드 웨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바닥판의 시공시 이음부의 단차 및 오차를 줄이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 드웨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측면에서 결합되도록 디귿자 형상의 레일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상기 본체와 동일 높이를 가지며 수평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판은 그 상단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본체는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조임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볼트홀에 조임 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에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또, 상기 본체는 상면 일측면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에서 돌출된 방호벽 철근이 인입되는 방호벽 철근 인입홀을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본체는 상면 일끝단에 상기 본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이드하는 보조 가이드판이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보조 가이드판은 그 상단이 상기 본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측면에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안내하는 지지 가이드 웨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바닥판의 시공시 이음부의 단차 및 오차를 줄이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 닥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100)는, 본체(110)와, 지지판(120)과, 가이드판(13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10)는 강재 재질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의 측면에서 결합되도록 디귿자 형상의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본체(11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에 고정되도록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조임 볼트홀(111)이 형성되고, 조임 볼트홀(111)에 조임 볼트(113)가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판(12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본체(110)의 측면에서 본체(110)와 동일 높이 및 동일 두께를 가지며 수평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판(13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이드하도록 지지판(120)과 동일 두께를 가지며 이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가이드판(130)은 그 상단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다.
《제 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가 프 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100)는, 본체(110)와, 지지판(120)과, 가이드판(130) 및 보조 가이드판(14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10)는 강재 재질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의 측면에서 결합되도록 디귿자 형상의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본체(11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에 고정되도록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조임 볼트홀(111)이 형성되고, 조임 볼트홀(111)에 조임 볼트(113)가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판(12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본체(110)의 측면에서 본체(110)와 동일 높이 및 동일 두께를 가지며 수평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판(13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횡방향 이음부의 단차 및 오차를 제거하도록 지지판(120)과 동일 두께를 가지며 이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가이드판(130)은 그 상단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다.
또, 보조 가이드판(14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종방향 이음부의 단차 및 오차를 제거하도록 본체(110)의 상면 일끝단에 본체(110)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보조 가이드판(140)은 그 상단이 본체(110)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제 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100)는, 본체(110)와, 지지판(120)과, 가이드판(13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10)는 강재 재질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의 측면에서 결합되도록 디귿자 형상의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본체(11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에 고정되도록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조임 볼트홀(111)이 형성되고, 조임 볼트홀(111)에 조임 볼트(113)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본체(110)는 상면 일측면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에서 돌출된 방호벽 철근(3)이 인입되는 방호벽 철근 인입홀(115)을 구비한다.
그리고, 지지판(12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본체(110)의 측면에서 본체(110)와 동일 높이 및 동일 두께를 가지며 수평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판(13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횡방향 이음부의 단차 및 오차를 제거하도록 지지판(120)과 동일 두께를 가지며 이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가이드 판(130)은 그 상단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다.
《제 4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100)는, 본체(110)와, 지지판(120)과, 가이드판(130) 및 보조 가이드판(14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10)는 강재 재질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의 측면에서 결합되도록 디귿자 형상의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본체(11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에 고정되도록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조임 볼트홀(111)이 형성되고, 조임 볼트홀(111)에 조임 볼트(113)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본체(110)는 상면 일측면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에서 돌출된 방호벽 철근(3)이 인입되는 방호벽 철근 인입홀(115)을 구비한다.
그리고, 지지판(12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본체(110)의 측면에서 본체(110)와 동일 높이 및 동일 두께를 가지며 수평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판(13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과 이웃하는 프리캐 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횡방향 이음부의 단차 및 오차를 제거하도록 지지판(120)과 동일 두께를 가지며 이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가이드판(130)은 그 상단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다.
또, 보조 가이드판(14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종방향 이음부의 단차 및 오차를 제거하도록 본체(110)의 상면 일끝단에 본체(110)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보조 가이드판(140)은 그 상단이 본체(110)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설치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10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20) 상에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의 양측면 끝단(즉,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이 설치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때, 본체(110)의 끝단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의 끝단과 일치시켜 지지판(120)만을 바깥쪽으로 노출시킨다.
그런 다음, 조임 볼트홀(111)의 조임 볼트(113)를 회전시켜 본체(110)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을 크레인과 같은 인양 장비로 들어 올린 다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의 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서서히 하강시킨다.
이때,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0')이 하강되면서 가이드판(130)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삽입 위치로 안내되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설치한다.
또한, 보조 가이드판(140)이 설치된 경우에는 가이드판(130)과 더불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종방향 및 횡방향의 이음부의 단차 및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10'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11 : 방호벽 철근 20 : 거더
110 : 본체 111 : 조임 볼트홀
113 : 조임 볼트 115 : 방호벽 철근 인입홀

Claims (6)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측면에서 결합되도록 디귿자 형상의 레일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상기 본체와 동일 높이를 가지며 수평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그 상단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조임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볼트홀에 조임 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프리캐스트 콘 크리트 바닥판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면 일측면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에서 돌출된 방호벽 철근이 인입되는 방호벽 철근 인입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면 일끝단에 상기 본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이드하는 보조 가이드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판은,
    그 상단이 상기 본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 가이드웨이 장치.
KR1020070118460A 2007-11-20 2007-11-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가이드웨이 장치 KR100938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460A KR100938877B1 (ko) 2007-11-20 2007-11-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가이드웨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460A KR100938877B1 (ko) 2007-11-20 2007-11-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가이드웨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973A KR20090051973A (ko) 2009-05-25
KR100938877B1 true KR100938877B1 (ko) 2010-01-27

Family

ID=4085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460A KR100938877B1 (ko) 2007-11-20 2007-11-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가이드웨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7436B (zh) * 2013-06-17 2016-09-28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用于制作高架仓库钢柱的胎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2285U (ja) 1982-07-01 1983-07-12 戸田建設株式会社 柱建方施工用治具
JPH0813608A (ja) * 1994-06-28 1996-01-16 Ando Corp 薄肉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構築方法およびガイド型枠
JPH0893050A (ja) * 1994-09-29 1996-04-09 Daisue Kensetsu 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施工方法及び施工用ガイド治具
JP2003278272A (ja) 2002-03-26 2003-10-02 Fujita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2285U (ja) 1982-07-01 1983-07-12 戸田建設株式会社 柱建方施工用治具
JPH0813608A (ja) * 1994-06-28 1996-01-16 Ando Corp 薄肉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構築方法およびガイド型枠
JPH0893050A (ja) * 1994-09-29 1996-04-09 Daisue Kensetsu 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施工方法及び施工用ガイド治具
JP2003278272A (ja) 2002-03-26 2003-10-02 Fujita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及びそ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973A (ko) 200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4987B2 (ja) コンクリート製架台の製造方法、コンクリート製架台、および、繋ぎ材
KR100696441B1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를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206353B1 (ko) 부분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JP2014095256A (ja) リブ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それを用いた合成床スラブと梁のコンクリート打ち分け方法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80004835U (ko) 조립식 콘크리트 암거
KR1009388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가이드웨이 장치
KR101530761B1 (ko) 라멘교의 슬라브 연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라멘교 시공방법
JP6889010B2 (ja) 橋梁の施工方法
JP3945668B2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JP3841493B2 (ja) PCaコンクリート部材を用いた高架橋の施工法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2861219B2 (ja) 橋梁補修用鋼床版とその取付方法
CN112359965A (zh) 一种带肋模构造的预制混凝土装配式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932440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
JP3878546B2 (ja) 横桁一体型コンクリート床版の施工方法
KR200351989Y1 (ko)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CN114293657B (zh) 一种装配式建筑框架及其组装方法
KR100629905B1 (ko) 기존 교량의 보강 시공방법 및 이 보강 시공방법으로제작된 교량
KR100792735B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101582878B1 (ko) 캔틸레버부를 포함한 교량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KR100395590B1 (ko) 교량단부 보강에 의한 차선증설공법 및 그 구조
JP2700852B2 (ja) 建築物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