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440B1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440B1
KR101932440B1 KR1020170050970A KR20170050970A KR101932440B1 KR 101932440 B1 KR101932440 B1 KR 101932440B1 KR 1020170050970 A KR1020170050970 A KR 1020170050970A KR 20170050970 A KR20170050970 A KR 20170050970A KR 101932440 B1 KR101932440 B1 KR 10193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steel
casing concrete
concrete
steel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877A (ko
Inventor
김충언
양인욱
하태열
Original Assignee
(주)삼현피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현피에프 filed Critical (주)삼현피에프
Priority to KR102017005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44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를 포함하는 단면으로 연장 형성된 강재 거더를 준비하되, 상기 강재 거더에는 단부 지점부를 포함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직 보강재들이 배치된 상기 강재 거더를 준비하는 거더 준비 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에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상기 강재 거더의 제1영역 이외의 표면의 일부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강재 거더의 표면에 공장에서 도장을 행하는 거더 도장 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를 지지대에 매달아 지지하되,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강재 거더를 연결하는 턴버클이 상기 수직 보강재의 일부 이상과 연결되어 상기 강재 거더를 상기 지지대에 매달아 지지하는 강재 거더 지지단계와;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상기 강재 거더의 제1영역에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 배근 단계와;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 및 상기 수직 보강재와 상기 거푸집의 사이를 차단하는 도장손상 방지재를 설치하는 방지재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굳지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강재 거더에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콘크리트 합성단계와; 상기 거푸집과 상기 도장손상 방지재를 상기 강재 거더로부터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장면의 품질을 보장하면서 신속한 현장 시공이 가능해며, 케이싱 콘크리트의 압축 변위가 종래 수직 보강재와 간섭되지 않음에 따라, 수직 보강재와의 간섭에 의하여 케이싱 콘크리트 단부의 균열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METHOD THEREOF AND OF CONSTRUCTING CONTINUOUS BIRDGE UPPER STRUCTURE OF USING SAME}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합성 거더의 도장면의 손상없이 짧은 시간 내에 도장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케이싱 콘크리트의 단부에 발생되는 균열을 억제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재는 인장력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지만, 압축력에 대해서는 좌굴이 발생되어 갑작스런 붕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지만 인장력에 취약하여 인장력이 작용하면 균열이 쉽게 발생되어 구조물의 내하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 보행자나 차량이 통행하는 상판을 지지하는 거더는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거더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합성 거더는 미리 제작된 강재 거더에 거푸집이 일부 이상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거푸집에 굳지않은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케이싱 콘크리트를 강재 거더에 합성하여 제작된다.
강합성 거더의 제작 과정은 교량에 시공된 상태에서 외부에 드러난 강재에 대하여 부식 방지를 위하여 도색 등 도장면을 형성하는 도장 공정이 수반된다.
그런데, 케이싱 콘크리트의 합성 이후에 도장 공정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도장 공정 중에 도장 액적이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현장에 밀폐 공간을 시공해야 하므로, 현장에서 밀폐 공간을 시공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의 소모가 매우 커지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와 반대로, 공장에서 미리 강재 거더의 표면에 도장하는 경우에는, 도장된 강재 거더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강합성 거더 제작시 케이싱 콘크리트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 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도장면에 튀면서 도장면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야기되어, 재도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교량 시공 이후에 외부에 드러나는 강재의 표면에 도장면을 형성하는 효율적인 방안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강재 거더와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강합성 거더는 보다 높은 내하 능력을 얻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473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콘크리트의 내부에 긴장재를 내설하고 긴장재를 긴장 정착하는 것에 의하여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작되기도 한다.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은 포스트텐션방식과 프리텐션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거더의 길이가 충분히 길고 큰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케이싱 콘크리트에 쉬스관을 내설하고 강선 다발 형태의 긴장재를 내설하여, 긴장재를 긴장 정착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그런데, 강합성 거더에는 수직력 및 전단력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 보강재가 단부 지점부를 포함하여 복부에 다수 이격 배치되고, 케이싱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된 이후에 압축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을 위하여 쉬스관 내의 긴장재를 긴장력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케이싱 콘크리트가 압축 변형이 생기는데, 케이싱 콘크리트의 압축 변형이 발생되면서 단부 지점부의 수직 보강재에 간섭되면서 콘크리트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이 새롭게 발견되었다.
따라서, 강합성 거더의 하연에 합성된 케이싱 콘크리트에 내설된 긴장재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케이싱 콘크리트의 단부에서의 균열 발생을 억제할 필요성도 크게 대두되었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본 출원일 이전에 이미 공지된 구성 및 사실을 자인하여 기재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기재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량 시공된 상태에서 외부로 드러난 강합성 거더의 강재 표면의 도장 공정을 보다 저렴하면서도 간단한 공정에 의해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강합성 거더의 케이싱 콘크리트에 내설된 긴장재를 긴장 정착하는 과정에서, 케이싱 콘크리트의 단부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를 포함하는 단면으로 연장 형성된 강재 거더를 준비하되, 상기 강재 거더에는 단부 지점부를 포함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직 보강재들이 배치된 상기 강재 거더를 준비하는 거더 준비 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에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상기 강재 거더의 제1영역 이외의 표면의 일부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강재 거더의 표면에 공장에서 도장을 행하는 거더 도장 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를 지지대에 매달아 지지하되,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강재 거더를 연결하는 턴버클이 상기 수직 보강재의 일부 이상과 연결되어 상기 강재 거더를 상기 지지대에 매달아 지지하는 강재 거더 지지단계와;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상기 강재 거더의 제1영역에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 배근 단계와;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 및 상기 수직 보강재와 상기 거푸집의 사이를 차단하는 도장손상 방지재를 설치하는 방지재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굳지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강재 거더에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콘크리트 합성단계와; 상기 거푸집과 상기 도장손상 방지재를 상기 강재 거더로부터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도장손상 방지재는 상기 강재 거더의 상부 플랜지에 거치된 수평재와 상기 복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복부를 감싸는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장손상 방지재는 비닐, 합성수지재, 천 등의 얇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장손상 방지재는 탈부착이 가능한 재질로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 도장면에 직접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재 거더 지지단계는, 상기 강합성 거더는 교각과 거더의 교축방향에 대하여 직교(直橋)가 아닌 사교(斜橋)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와 상기 턴버클로 연결되는 상기 수직 보강재가 상기 강합성 거더의 사교와 같은 각도로 설치될 경우, 상기 수직 보강재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지게 연결된 임시 지지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임시 지지판이 상기 턴버클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더 지지단계는, 상기 강재 거더의 길이(L)의 1/5~1/3배만큼 양단부로부터 이격된 지점의 상기 수직 보강재에 상기 턴버클이 연결되어 상기 강합성 거더를 내민보 형태로 지지하고, 내민보 형태로 상기 강재 거더가 거치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합성단계가 행해질 수 있다.
상기 강재 거더 지지단계에서,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상기 수직 보강재에는 상기 턴버클과 연결을 위한 연결공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강합성 거더는 2개 이상이 교량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시공되고, 상기 강합성 거더 와 횡방향으로 인접한 거더와 가로보 연결시 상기 강재 거더 지지단계시 상기 수직 보강재에 형성된 연결공을 상기 가로보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 홀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거더 도장 단계는, 상기 제1영역의 경계로부터 상방으로 50mm 이하만큼 이격된 영역까지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에 도장하여 도장면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단계 이후에, 상기 도장면과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 사이의 사잇 영역에 추가 도장을 실시하는 추가도장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내부에는 쉬스관이 설치되고; 상기 쉬스관 내에 강선 다발이 긴장재로 내설되어, 상기 긴장재를 긴장 정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압축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보강재 중 단부 지점부에 설치되는 제1수직 보강재는 하단이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까지만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수직 보강재의 하단에는 수평판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에는 1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합성단계는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채워 넘치지 않은 높이로 타설되게 하여, 긴장재에 긴장력이 도입되는 때에 케이싱 콘크리트의 균열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평판의 둘레의 일부 이상에는 탄성재가 부착 형성되어, 상기 탄성재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케이싱 콘크리트의 압축 변형량을 일부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를 포함하는 단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로부터 상기 복부를 따라 하방 연장된 수직 보강재들이 종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강재 거더와; 상기 강재 거더의 하부 플랜지를 감싸는 단면으로 합성된 케이싱 콘크리트와;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를 관통하는 쉬스관에 내설되어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정착된 강선 다발로 형성된 긴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보강재들 중에 단부 지점부에 설치되는 제1수직보강재는 하단이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까지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 보강재의 하단에는 수평판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에는 1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는 상기 수평판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강재 거더에 합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판의 둘레의 일부 이상에는 탄성재가 부착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종방향', '교축 방향'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거더의 길이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횡방향', '교축직각방향'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거더의 종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강재 거더에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제1영역 이외의 표면에 대해서만 공장에서 미리 도장 공정을 행하고, 도장면과 거푸집 사이를 차단하는 도장손상 방지재를 설치함으로써, 현장에서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도장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여, 도장면의 품질을 보장하면서 신속한 현장 시공이 가능해지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 거더의 단부 지지점에서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방 연장되게 복부에 돌출된 제1수직보강재가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까지만 연장되게 구성함으로써, 케이싱 콘크리트에 내설된 긴장재를 긴장 정착하는 과정에서 케이싱 콘크리트의 압축 변위가 종래 수직 보강재와 간섭되지 않음에 따라, 수직 보강재와의 간섭에 의하여 케이싱 콘크리트의 단부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수직보강재의 하단에 수평 부재가 형성되어 케이싱 콘크리트와 접촉 형성함으로써, 교량 공용시 거더의 양지점부에서 작용하는 수직력을 제1수직보강재와 케이싱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평면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강합성 거더 제작시 케이싱 콘크리트가 수평면보다 높게 형성되지 않는 것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싱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단부에서의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높이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수직보강재의 하단의 수평 부재의 둘레에 탄성재를 감싸도록 형성함에 따라, 케이싱 콘크리트에 내설된 긴장재를 긴장하는 과정에서 케이싱 콘크리트가 압축 변형이 생기면서,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이 수평 부재와 간섭이 되더라도, 탄성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이를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케이싱 콘크리트의 압축 변형에 따른 단부 표면에서의 손상도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1은 강재 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강재 거더에 도장 작업이 행해진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강재 거더를 지지대에 매달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강재 거더에 도장손상 방지재를 설치하고 철근 및 쉬스관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강재 거더의 하부 플랜지를 감싸는 케이싱 콘크리트 합성을 위한 거푸집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6a는 도5의 거푸집에 굳지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장면에 투명한 재질의 도장손상 방지재가 부착되어 있고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기 위하여 거푸집에 굳지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7은 타설된 케이싱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8은 케이싱 콘크리트의 양생 이후에 거푸집을 제거하고 거더를 지지대로부터 분리한 강합성 거더를 적치 기간 동안 거치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도8의 강합성 거더의 케이싱 콘크리트에 내설된 긴장재를 긴장하여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완성된 강합성 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측면도,
도12a는 도9의 'B'부분의 확대도,
도12b는 도9의 'B'부분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13a는 도3의 'A'부분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13b는 도13a의 절단선 Y-Y에 따른 횡단면도,
도14a는 도10의 강합성 거더를 제1교각의 상측에 종방향으로 거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14b는 도14a의 강합성 거더를 종방향으로 연결하여 연속 교량의 상부 구조체를 형성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100) 및 그 제작 방법을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100)는, 수직 보강재(115)가 종방향을 따라 이격 분포된 강재 거더(110)와, 강재 거더(110)의 하부 플랜지를 감싸도록 강재 거더(110)에 합성된 케이싱 콘크리트(150)와,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쉬스관(140)에 내설되어 긴장 정착되면서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재(14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강재 거더(110)는 상부 플랜지(111)와, 하부 플랜지(112)와, 상부 플랜지(111)와 하부 플랜지(112)를 연결하는 복부(113)를 포함하는 단면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거더(110)는 하나의 복부를 구비한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ㅁ' 자 형태를 포함하는 등 다양한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강재 거더(110)에는 단부 지점부를 포함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직 보강재(115, 115')들이 배치된다.
여기서, 수직 보강재(115, 115')는 상부 플랜지(1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보강재(115)들은 상부 플랜지(111)와 하부 플랜지(112)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지만, 수직 보강재(115, 115')들 중에 양단부 지점부에 위치한 제1수직보강재(115')는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상면까지만 복부(113)로부터 돌출되게 연장된다.
이를 통해,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내설된 긴장재(140a)에 긴장력(P)을 도입하고 정착하면서, 거더 양단부의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밀려 압축 변형이 생기는 과정에서, 압축 변형 방향(150d)으로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변형되면서 단부의 수직 보강재(115')와 간섭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이로인하여,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균열이 발생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도1 및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지점부에 위치한 제1수직보강재(115')는, 상부 플랜지(111)로부터 연장되어 복부로부터 돌출된 수직판(1151)과, 수직판(1151)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판(115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평판(1152)의 상면은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합성된 이후에도, 외부에 드러나는 형태로 되며, 수평판(1152)의 저면은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매립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하면, 수평판(1152)의 측면(1152s)은 적어도 일부가 케이싱 콘크리트의 바깥에 드러난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거더의 지점부에서 작용하는 수직력(115F)은 수평판(1152)을 매개로 수직판(1151)과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협력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 상기 제1수직보강재(115')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직보강재(115')의 수평판(115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152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 콘크리트(150)를 합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 중에, 작업자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거푸집(80, 80')에 타설하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수평판(1152)의 관통공(1152a)에 채워지지만 관통공(1152a)을 채워 넘치지 않는 정도로 조절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상면이 확실하게 수평판(1152)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수평판(1152)이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매립되지 않아,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수평 방향의 변위(150d)에 의하여,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내부에서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보강재(115')의 수평판(1152)의 측면(1152s)에는 탄성재(1152k)가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재(1152k)는 측면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압축 변위가 발생되는 방향(150d)과 대향하는 측면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탄성재(1152k)의 두께는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압축 변위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mm 내지 30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수평 방향의 변위(150d)에 의하여,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표면이 제1수직보강재(115')의 수평판(1152)과 간섭되어 표면에서의 작은 균열이 발생될 가능성도 탄성재(1152k)에 수용되게 함으로써, 압축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과정에서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단부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150)는 강재 거더(110)의 하부 플랜지(112)와 복부(113)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강재 거더(110)의 하부 플랜지(113)를 감싸는 형태로 합성되는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강재 거더(110)의 임의의 단면을 감싸는 형태로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내부에는 종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 및 루프 철근 등의 철근(130)이 배근되며, 긴장재(140a)를 설치하기 위한 쉬스관(140)도 설치된다. 도4에 도시된 긴장재(140a)의 배치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7619호의 도면 6a에 도시된 형태인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로 긴장재(140a)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긴장재(140a)는 쉬스관(140) 내에 강선 다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큰 긴장력을 한번에 도입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거더(110)의 복부(113) 표면과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만나는 접합부에는 실리콘 재질의 수분침투 방지재(110x)를 주입하거나 입힌다. 이를 통해, 강합성 거더(100)가 교량의 시공에 사용되어 공용 중에, 강재 거더(110)와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여, 강재 거더(110)와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합성 상태를 장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을 상술한다.
단계 1: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11)와, 하부 플랜지(112)와, 상부 플랜지(111)와 하부 플랜지(112)를 연결하는 복부(113)를 포함하는 단면으로 연장 형성된 강재 거더(110)를 제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재 거더(110)에는 단부 지점부를 포함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직 보강재들(115, 115')이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다.
단계 2: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거더(110)에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합성된 상태에서 강재 거더(110)를 덮는 제1영역(X1) 이외의 표면에 도장면(X2)을 공장에서 도포한다. 도2에서 갈색으로 표시된 영역은 비도장된 영역이고, 청색으로 표시된 영역은 도장된 영역이다.
즉, 케이싱 콘크리트(150)나 바닥판 콘크리트(200)가 합성되는 영역에는 도장면(X2)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도장면에 의하여 콘크리트(150, 200)와 강재의 합성 상태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공장에서는 거더의 일부 길이에 대하여 분절 거더 형태로 제작하므로, 분절 거더가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대해서도, 용접 결합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비도장 영역(113c)으로 남겨둔다.
또한,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합성되는 제1영역(X1)의 상단 경계로부터 20mm 내지 50mm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이격된, 제1영역(X1)과 도장 영역(X2)의 사잇 영역(c)에는 공장에서 미도장 상태로 남겨두어, 이후 단계에서 설치되는 도장손상 방지재(120)를 복부(113)에 부착시키는 테이핑 설치 공간으로 활용한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 완료 이후에 테이프 제거 과정에서 발생되는 도장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타설되는 제1영역(X1)의 상단으로부터 10mm 내지 30mm 만큼 하측으로 도장 영역(X2)을 보다 더 넓은 영역에 걸쳐 도장 공정이 행해질 수 있다. 즉, 도장면의 10mm 내지 30mm는 케이싱 콘크리트에 묻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표면과 강재 복부(113)가 만나는 접합면에 도장면이 형성되지 않은 미세한 틈새가 존재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도장 공정이 행해진 분절 형태의 거더는 현장으로 운반되어,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도2의 강재 거더(110)의 형상이 된다. 즉, 분절 거더의 연결부(113c)에는 미도장면으로 형성된다.
단계 3: 그리고 나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90)에 강재 거더(110)를 매달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한다. 이 때, 강재 거더(110)의 수직 보강재(115, 115') 중에 지지대(90)의 턴버클(95)과 연결되는 수직 보강재는 연결공(115e)이 형성되어, 연결공(115e)을 매개로 턴버클(95)로 강재 거더(110)를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강재 거더(110)의 수직 보강재(115, 115')는 거더의 상하 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여 보다 높은 저항 능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지만, 교량에 2열 이상으로 배열 시공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강합성 거더와 연결하는 가로보(미도시)의 연결 플레이트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직 보강재(115, 115')에는 가로보와의 연결을 보조하는 연결공(115e)이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연결공(115e)은 지지대(90)의 턴버클(95)에 연결되는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열로 배열되는 강합성 거더(100)로 시공되는 교량이, 교각에 대하여 경사진 사교(斜橋)인 경우에는, 도13a 및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강합성 거더와 가로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수직 보강재(115, 115')는 복부(113)와 수직이 아닌 경사진 형태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사교(斜橋)에 시공되는 강합성 거더의 수직 보강재(115, 115')에 대해서는, 절곡 형성된 임시 지지판(1153)이 수직 보강재(115, 115')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수직 보강재(115, 115')와 복부(113) 사이에 90도의 편차분을 보상해주어, 턴버클(95)을 수직 보강재(115, 115')에 연결 지지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3에는 지지대(90)가 강재 거더(110)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6b와 같이 강재 거더(110)의 양끝단으로부터 거더 전체 길이(L)의 1/5~1/3배만큼 이격된 거리(Le)만큼 이격된 내민보 형태로 지지할 수도 있다.
단계 4: 그리고 나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에서 도장된 도장면(X2)을 감싸는 횡단면을 이루도록, 강재 거더(110)의 도장면(X2)과 이후 설치되는 거푸집(80)의 사이를 차단하는 도장손상 방지재(120)를 설치한다.
여기서, 도장손상 방지재(120)는 비닐, 합성수지재, 천 등의 얇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벼우면서 콘크리트 타설 시 튀는 입자를 차단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도장손상 방지재(120)는 콘크리트 타설 공정 중에 튀는 콘크리트 입자가 복부(113)의 도장면(X2)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므로, 강재 거더(110)의 도장면(X2)을 완전히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콘크리트 타설 입자의 튀는 방향을 고려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양끝단은 감싸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도장손상 방지재(120)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강재 거더(110)의 상부 플랜지(111)에 수평재(122)를 거치하고, 수평재(122)의 양단에 각각 도장손상 방지재(120)를 고정시켜 수평재(122)의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도장손상 방지재(120)의 하단을 복부(113)의 미도장 영역(c)에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도장손상 방지재(120)를 테이프 부착 방식으로 미도장 영역(c)에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테이프가 미도장 영역(c)에 부착됨에 따라, 도장손상 방지재(120)를 제거하기 위하여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합성 이후에 테이프를 분리하더라도 도장면(X2)이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도장손상 방지재(120)는 도6b와 같이 강판에 탈부착이 가능한 재질로 도장 부위에 투명 비닐 등의 소재를 부착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케이싱 콘크리트(150) 타설 후 도장손상 방지재(120)를 제거시 도장면과 부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단계 4는 단계 6의 거푸집이 설치된 이후에 행해질 수도 있다.
단계 5: 단계 4의 이전 또는 이후에,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합성되는 하부 플랜지(112)의 둘레에 종방향 철근, 횡방향 철근, 루프 철근 등의 철근을 배근하고, 긴장재(140a) 설치를 위한 쉬스관(140)을 설치한다.
단계 6: 단계 5가 행해진 이후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합성을 위한 거푸집(80)을 설치한다. 거푸집(80)은 하부 플랜지(112)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거푸집(8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지지대(85)에 의하여 강재 거더(110)에 지지되도록 매달려 설치될 수도 있고,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동바리에 의하여 지지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강재 거더(110)에 매달린 거푸집(80)에 의해 합성된 케이싱 콘크리트(150)는 자중을 강재 거더(110)가 부담하므로 무응력 상태로 합성될 수 있으며, 동바리에 의해 지면에 지지된 거푸집(80')에 의해 합성된 케이싱 콘크리트(150)는 자중을 스스로 부담하므로 강재 거더가 부담하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쉬스관(140) 내부에 미리 긴장재(140a)를 미리 삽입 설치해둘 수도 있다. 여기서, 긴장재(140a)는 다수의 강선이 다발 형태로 형성되어, 한꺼번에 강선 다발 형태의 긴장재(140a)에 긴장력을 도입한다는 점에서 작업 효율이 우수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단계 7: 그리고 나서,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80, 80')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 시멘트 페이스트가 주변으로 튀는 것이 불가피하지만, 공장에서 도장 공정이 행해진 도장면(X2)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도장손상 방지재(120)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으므로, 시멘트 페이스트가 튀는 것이 모두 도장손상 방지재(120)에 차단되어, 공장에서 도장된 도장 영역(X2)의 도장면은 오염없이 깨끗하게 도장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거더 양단부 지지점의 제1수직 보강재(115')의 수평판(1152)의 관통공(1152a)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채워지지만, 수평판(1152)의 관통공(1152a)을 채워 넘치지 않을 정도로 콘크리트 타설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은 제1수직 보강재(115')의 수평판(1152)으로 그 높이를 정확히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수직보강재(115')와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협력하여 수직력(115F)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90) 및 강재 거더(110) 등의 설비를 외기와 차단하는 덮개(50)를 씌우고, 콘크리트가 충분한 강도로 발현하도록 양생시킨다.
한편, 상기 도장손상 방지재(120)는 양생을 위한 덮개(50)를 설치하기 전, 즉 케이싱 콘크리트 타설 완료 후 즉시 제거할 수도 있다.
단계 8: 그리고 나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80, 80')과 도장손상 방지재(120)를 제거하여,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강재 거더(110)에 합성된 강합성 거더를 지상의 지지대(40)에 거치시킨다.
여기서, 지지대(40)는 케이싱 콘크리트의 합성 당시에 강재 거더(110)가 지지된 상태와 동일(도6a 및 도6b)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강재 거더(110)에 합성되었으면, 지상의 지지대(40)도 강합성 거더를 양단 지지한 상태로 거치한다. 그리고,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민보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강재 거더(110)에 합성되었으면, 지상의 지지대(40)도 강합성 거더를 내민보 형태로 양단에서 소정거리(Le)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하여 거치한다.
단계 9: 그리고 나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 장치(77)를 긴장재(140a)의 단부에 설치하고, 긴장재(140a)에 긴장력(P)을 도입한 상태로 정착하여,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이 때,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민보 형태로 케이싱 콘크리트(150)가 강재 거더(110)에 합성되고, 내민보 형태로 지지대(40)가 지상에서 지지된 상태로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도 있다.
또한, 도12a 및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양단부 지지점의 제1수직 보강재(115')가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상면까지만 연장 형성됨에 따라, 케이싱 콘크리트(150)에 내설된 긴장재(140a)에 긴장력(P)이 도입되면서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양단부에서 압축 변형이 도12b의 150d로 표시된 방향으로 일어나더라도, 케이싱 콘크리트(150)는 수직 보강재(115')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제1수직보강재(115')와의 간섭에 의하여 응력이 집중되면서 발생되었던 균열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더욱이,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보강재(115')의 측면(1152s) 둘레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1152k)가 감싸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압축 변형(150d)에 따라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상면 일부가 수평판(1152)의 측면(1152s)과 간섭되더라도, 탄성재(1152k)에 의하여 압축 변형량의 일부 이상이 수용되므로,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표면에서의 국부적인 손상 가능성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계 10: 그리고 나서, 긴장재(140a)를 긴장, 정착하는 데 사용하였던 긴장 장치(77)를 제거하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드러나는 강재 부분 중에 도장되지 않은 부분(113c, c)을 스프레이 이외의 방법(예를 들어, 붓칠)으로 도장 공정을 행한다.
붓칠 등에 의한 도장 공정은 시간이 오래 소요되지만, 이미 공장에서 대부분의 드러난 영역이 도장면(X2)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장 면적이 작아 추가도장의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면과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접합부에는 실리콘 재질의 수분침투 방지재를 설치하여 수분 침투에 의한 강재의 부식과 콘크리트 열화 현상에 따른 내구성 감소를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강합성 거더(100)는 단계 8, 단계 9, 단계 10 이후의 어느 단계에서도, 교각이나 교대 등의 하부 구조에 인상되어 거치되기 이전의 적치 공정이 행해질 수 있다. 특히, 단계 9의 이전에 적치 공정이 행해지면, 케이싱 콘크리트(150)의 양생이 충분히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크리프 손실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강합성 거더(100)를 이용하여 연속 교량을 시공할 수도 있다.
도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합성 거더(100)를 교각, 교대 등의 하부 구조 상에 거치하되, 제1교각(20)을 사이에 두고 2경간 이상으로 강합성 거더(100)를 거치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강합성 거더가 제1교각(20)을 사이에 두고 거치되는 경우에는, 제1교각(20)에 종방향으로 인접 거치된 강합성 거더(100)를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연결하여 연속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방향으로 인접한 강합성 거더(100)를 연결하는 연결 콘크리트(190)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미도시)의 설치가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종방향으로 인접한 강합성 거더(100)의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고, 필요에 따라 긴장재를 연결부 중립축 상연에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 콘크리트(190)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함에 있어서, 거더의 단부 지점부에 배치된 제1수직보강재(115')가 거푸집의 일부로 사용되는 형태로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콘크리트(119)는 거더의 끝단을 연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강합성 거더(100)의 노출된 강재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하므로, 보다 견고하게 종방향을 연결된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를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80, 80': 거푸집 85: 거푸집 지지대
90: 지지대 95: 턴버클
100: 강합성 거더 110: 강재 거더
113: 복부 115, 115': 수직 보강재
115': 제1수직보강재 1152: 수평판
1152a: 관통공 1153: 임시 지지판
120: 도장손상 방지재 130: 철근
140: 쉬스관 140a: 긴장재
150: 케이싱 콘크리트 200: 바닥판 콘크리트

Claims (14)

  1.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를 포함하는 단면으로 연장 형성된 강재 거더를 준비하되, 상기 강재 거더에는 단부 지점부를 포함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직 보강재들이 배치된 상기 강재 거더를 준비하는 거더 준비 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에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상기 강재 거더의 제1영역 이외의 표면의 일부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강재 거더의 표면에 공장에서 도장을 행하는 거더 도장 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를 지지대에 매달아 지지하되,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강재 거더를 연결하는 턴버클이 상기 수직 보강재의 일부 이상과 연결되어 상기 강재 거더를 상기 지지대에 매달아 지지하는 강재 거더 지지단계와;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상기 강재 거더의 제1영역에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 배근 단계와;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상기 강재 거더의 상기 제1영역에 쉬스관을 설치하는 쉬스관 설치단계와;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 및 상기 수직 보강재와 상기 거푸집의 사이를 차단하는 도장손상 방지재를 설치하는 방지재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굳지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강재 거더에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콘크리트 합성단계와;
    상기 거푸집과 상기 도장손상 방지재를 상기 강재 거더로부터 제거하는 제거단계와;
    상기 쉬스관 내에 강선 다발이 긴장재로 내설되어, 상기 긴장재를 긴장 정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압축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보강재 중 단부 지점부에 설치되는 제1수직 보강재는 하단이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까지만 연장되고, 상기 제1수직 보강재의 하단에는 수평판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의 둘레의 일부 이상에 탄성재가 부착 형성되되 상기 압축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에서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압축 변위가 발생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상기 수평판의 측면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수평판의 둘레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 압축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에서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압축 변형량을 상기 탄성재에 의해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손상 방지재는 상기 강재 거더의 상부 플랜지에 거치된 수평재와 상기 복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복부를 감싸는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손상 방지재는 탈부착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 도장면에 직접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거더 지지단계는,
    상기 강합성 거더는 교각과 거더의 교축방향에 대하여 직교(直橋)가 아닌 사교(斜橋)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상기 수직 보강재가 상기 강합성 거더에 대하여 설치될 예정인 상기 사교의 교축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 보강재에 수평 방향으로 절곡지게 연결된 임시 지지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임시 지지판이 상기 턴버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거더 지지단계에서,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상기 수직 보강재에는 상기 턴버클과 연결을 위한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강합성 거더는 2개 이상이 교량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시공되고,
    상기 강합성 거더와 횡방향으로 인접한 거더와 가로보 연결시 상기 강재 거더 지지단계시 상기 수직 보강재에 형성된 연결공을 상기 가로보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 홀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도장 단계는, 상기 제1영역의 상단 경계로부터 상방으로 50mm 이하만큼 이격된 영역까지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에 도장하여 도장면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단계 이후에, 상기 도장면과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 사이의 사잇 영역에 추가 도장을 실시하는 추가도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도장 단계는, 상기 제1영역의 상단 경계로부터 하방으로 10∼30mm 만큼 더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에 도장하여 도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에는 1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합성단계는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채워 넘치지 않은 높이로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10. 삭제
  11.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를 포함하는 단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로부터 상기 복부를 따라 하방 연장된 수직 보강재들이 종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되, 상기 수직 보강재들 중에 단부 지점부에 설치되는 제1수직보강재는 하단이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까지만 연장되고, 상기 제1수직 보강재의 하단에는 수평판이 형성된 강재 거더와;
    상기 강재 거더의 하부 플랜지를 감싸는 단면으로 합성된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와;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를 관통하는 쉬스관에 내설되고 강선 다발로 형성되어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정착되어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재를;
    상기 수평판의 둘레의 일부 이상에 부착 형성되되, 상기 긴장재에 의해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프리스트레스 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압축 변위가 발생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상기 수평판의 측면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수평판의 둘레에 부착 형성된 탄성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긴장재에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정착되면서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 변형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압축 변형량이 상기 탄성재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에는 1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는 상기 수평판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강재 거더에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13. 삭제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따른 강합성 거더를 하부 구조 상에 거치하되, 제1교각을 사이에 두고 2경간 이상으로 상기 강합성 거더를 거치시키는 거더 거치단계와;
    상기 제1교각에 종방향으로 인접 거치된 상기 강합성 거더를 연결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되, 상기 제1수직보강재가 상기 거푸집의 일부로 사용되는 형태로 상기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종방향으로 인접 거치된 상기 강합성 거더를 연결하는 거더 연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
KR1020170050970A 2017-04-20 2017-04-20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 KR10193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70A KR101932440B1 (ko) 2017-04-20 2017-04-20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70A KR101932440B1 (ko) 2017-04-20 2017-04-20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77A KR20180117877A (ko) 2018-10-30
KR101932440B1 true KR101932440B1 (ko) 2018-12-26

Family

ID=6410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970A KR101932440B1 (ko) 2017-04-20 2017-04-20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783B1 (ko) * 2021-09-16 2023-03-30 (주)에이치앤디건설 소켓부재를 이용한 무지보 거푸집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521A (ja) * 2000-10-25 2002-05-09 Nkk Corp 鋼とコンクリ−トの境界部のシール構造
JP2002275833A (ja) * 2001-03-15 2002-09-25 Topy Ind Ltd 既設橋梁の単純桁の連続化方法及び連続桁構造
KR100540625B1 (ko) * 2003-05-27 2006-01-11 주식회사 노빌테크 하부플랜지 매립 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일체 타설방식의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시공방법
KR100982659B1 (ko) * 2010-02-18 2010-09-16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교량의 교좌장치 및 핑거 조인트의 고정력 증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521A (ja) * 2000-10-25 2002-05-09 Nkk Corp 鋼とコンクリ−トの境界部のシール構造
JP2002275833A (ja) * 2001-03-15 2002-09-25 Topy Ind Ltd 既設橋梁の単純桁の連続化方法及び連続桁構造
KR100540625B1 (ko) * 2003-05-27 2006-01-11 주식회사 노빌테크 하부플랜지 매립 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일체 타설방식의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시공방법
KR100982659B1 (ko) * 2010-02-18 2010-09-16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교량의 교좌장치 및 핑거 조인트의 고정력 증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77A (ko)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4287B2 (ko)
TW201704594A (zh) 用於結構之模組
KR101449708B1 (ko) 전단보강용 철근을 이용한 덧침 콘크리트와의 일체성 향상 및 중공슬래브의 전단내력 향상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22620B1 (ko) 프리텐셔닝 강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 이의 제작 및 교량 시공방법
KR101665482B1 (ko) 무지보 연속화를 통한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경간 교량 시공방법
KR102153007B1 (ko) 저면홈과 전단트러스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924092B1 (ko) 가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61785B1 (ko)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KR101665121B1 (ko) 교량용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KR20160115602A (ko) 교량 바닥판의 교체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조립체
JP6517122B2 (ja) T桁橋の上部構造
KR101932440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연속 교량의 시공 방법
KR101020483B1 (ko)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0631029B1 (ko) 피씨플레이트 조립체 및 그 피씨플레이트 조립체를 이용한피씨플레이트 설치방법
KR101541451B1 (ko) 하부 반단면 콘크리트 슬래브와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815009B1 (ko) 전도방지용 측면합성블록이 형성된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20130005928A (ko) 교량의 정모멘트 구간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강박스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KR10106771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372B1 (ko) 트러스 합성 데크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KR101807234B1 (ko)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축력 도입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교량 시공방법
KR101958862B1 (ko) 연속 콘크리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KR102155645B1 (ko) 정위치 배근이 가능한 pc 데크용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pc 데크의 제작방법 및 그 pc 데크
KR100556721B1 (ko) 일정길이로 분할된 단위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프리케스트 연결이음장치로 연결하여 제작한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교량설치방법
CN107558733B (zh) 伸缩后浇带下模架体系与周边支模架同步拆除的施工方法
KR20170043687A (ko)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축력 도입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교량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