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790B1 -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이것으로 제조된 강판 - Google Patents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이것으로 제조된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790B1
KR100938790B1 KR1020077016758A KR20077016758A KR100938790B1 KR 100938790 B1 KR100938790 B1 KR 100938790B1 KR 1020077016758 A KR1020077016758 A KR 1020077016758A KR 20077016758 A KR20077016758 A KR 20077016758A KR 100938790 B1 KR100938790 B1 KR 10093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arbon
manganese alloy
steel sheet
austenitic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4801A (ko
Inventor
콜렝 스콧
필리쁘 퀴지
모리타 로스시니
안느 데
도미니끄 꼬네뜨
Original Assignee
아르셀러미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셀러미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셀러미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70094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화학 조성은 (중량%로) 0.45 % ≤ C ≤ 0.75 %; 15 % ≤ Mn ≤ 26 %; Si ≤ 3 %; Al ≤ 0.050 %; S ≤ 0.030 %; P ≤ 0.080 %; N ≤ 0.1 %; 바나듐, 티타늄, 니오븀, 크롬 및 몰리브덴 중 1종 이상의 금속원소 (0.050 % ≤ V ≤ 0.50 %; 0.040 % ≤ Ti ≤ 0.50 %; 0.070 % ≤ Nb ≤ 0.50 %; 0.070 % ≤ Cr ≤ 2 %; 0.14 % ≤ Mo ≤ 2 %) 및, 선택적으로 0.0005 % ≤ B ≤ 0.003 %; Ni ≤ 1 %; Cu ≤ 5 % 중 1종 이상의 원소, 잔부는 철 및 용융제련으로 인한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석출된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 형태의 금속원소의 양은 0.030 % ≤ Vp ≤ 0.150 %; 0.030 % ≤ Tip ≤ 0.130 %; 0.040 % ≤ Nbp ≤ 0.220 %; 0.070 % ≤ Crp ≤ 0.6 %; 0.14 % ≤ Mop ≤ 0.44 % 이다.
오스테나이트, 강판, 철-탄소-망간, Fe-C-Mn

Description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이것으로 제조된 강판{METHOD FOR PRODUCING AUSTENITIC IRON-CARBON-MANGANESE METAL SHEETS, AND SHEETS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으로부터 매우 우수한 기계적 특성, 특히 높은 기계적 강도와 우수한 지체균열 (delayed cracking) 저항성을 갖는 열연강판 및 냉연강판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특정 응용분야,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는 인발 가공성이 양호함은 물론이고, 충격시에 더욱 강화 및 경량화되는 금속 구조물이 요구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변형성이 우수하고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구조재의 사용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FR 2 829 775 에는, 예컨대 주요 원소로서 철/탄소 (2 % 까지) 및 망간 (10 ~ 40 %) 을 포함하며, 열간압연 또는 냉간압연이 가능하면서 강도가 1200 MPa 를 초과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계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강의 변형 모드는 적층 결함 에너지 (충분히 높은 적층 결함 에너지) 에만 의존하는데, 기계적 변형에서 관찰된 한 가지 모드는 높은 가공경화능 (work hardenability) 을 야기하는 쌍정변형 (twinning) 에 의한 것이다. 쌍정 (twin) 은, 전위 (dislocation) 의 전파에 대한 장애물로서 작용함으로써, 항복 강 도의 증가를 보조한다. 그러나, 적층 결함 에너지가 특정 한계를 초과하면, 완전 전위 슬립 (silp) 이 우세한 변형 기구가 되어 가공 경화능이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특허에는, 기계적 강도가 매우 높고, 적층 결함 에너지가 높아서 가공 경화능이 관찰되는 Fe-C-Mn 강의 등급 (grade) 이 개시되어 있다.
현재, 지체균열에 대한 민감성은 기계적 강도와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특히 변형 후에도 높은 잔류 응력이 남기 쉽기 때문에, 특정 냉간 작업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속 중에 존재할 수 있는 수소 원자가 함께 있는 경우, 이러한 응력은 지체균열, 즉 자체 변형 후의 특정 시간에 발생하는 균열을 초래하기 쉽다. 수소는 확산에 의해 매트릭스/포유물 계면, 쌍정 경계 및 입계 등의 결정격자의 결함 안으로 점진적으로 축적될 수 있다. 결정격자의 결함에서는 특정 시간 후에 수소가 임계 농도에 도달하게 되면, 수소가 유해해 질 수 있다. 이러한 지연 (delay) 은 잔류 응력 분포 영역 및 실온에서 수소확산계수가 낮은 수소 확산 운동으로부터 기인하는데, 특히 수소의 평균 속도가 0.03 ㎛/s 인 오스테나이트계 구조 합금에서 기인한다. 또한, 입계에서 국부화된 수소는 응집력을 약화시켜 지체 입계균열의 발생을 야기한다.
따라서, 지체연신율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과 함께, 높은 강도 및 높은 연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열연강 및 냉연강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강을 저렴하게, 즉 현존 공업 설비의 생산성 요구 및 이러한 종류의 생산에 대해 수용가능한 비용과 양립할 수 있는 제조 조건 하에서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수소 함량은 특정 탈가스 열처리에 의해 상당히 낮아지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처리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은 별개로 하더라도, 그 열적 조건은 결과적으로 이들 강에서 시멘타이트 석출 또는 결정립 조대화를 야기하여, 종종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 그 요구와 양립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별하게 구체적인 탈가스 열처리를 필요치 않으면서도 900 MPa 초과의 강도 및 50 % 초과의 파단 연신율을 가지며, 특히 냉간 성형에 적합하고 지체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열연강판이나 냉연강판 또는 제조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주제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화학 조성은 (중량%로) 0.45 % ≤ C ≤ 0.75 %; 15 % ≤ Mn ≤ 26 %; Si ≤ 3 %; Al ≤ 0.050 %; S ≤ 0.030 %; P ≤ 0.080 %; N ≤ 0.1 %; 바나듐, 티타늄, 니오븀, 크롬 및 몰리브덴 중 1종 이상의 금속원소 (0.050 % ≤ V ≤ 0.50 %; 0.040 % ≤ Ti ≤ 0.50 %; 0.070 % ≤ Nb ≤ 0.50 %; 0.070 % ≤ Cr ≤ 2 %; 0.14 % ≤ Mo ≤ 2 %) 및, 선택적으로 0.0005 % ≤ B ≤ 0.003 %; Ni ≤ 1 %; Cu ≤ 5 % 중 1종 이상의 원소, 잔부는 철 및 용융제련으로 인한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석출된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 형태의 금속원소의 양은 0.030 % ≤ Vp ≤ 0.150 %; 0.030 % ≤ Tip ≤ 0.130 %; 0.040 % ≤ Nbp ≤ 0.220 %; 0.070 % ≤ Crp ≤ 0.6 %; 0.14 % ≤ Mop ≤ 0.44 %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은 0.50 % ≤ C ≤ 0.70 % 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강은 17 % ≤ Mn ≤ 24 % 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강은 0.070 % ≤ V ≤ 0.40 % 를 포함하며, 석출된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 형태의 바나듐의 양은 0.700 % ≤ Vp ≤ 0.140 %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은 0.060 % ≤ Ti ≤ 0.40 % 를 포함하며, 석출된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 형태의 티타늄의 양은 0.060 % ≤ Tip ≤ 0.110 %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은 0.090 % ≤ Nb ≤ 0.40 % 를 포함하며, 석출된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 형태의 니오븀의 양은 0.090 % ≤ Nbp ≤ 0.200 %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은 0.20 % ≤ Cr ≤ 1.8 % 를 포함하며, 석출된 탄화물 형태의 크롬의 양은 0.20 % ≤ Crp ≤ 0.5 %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은 0.20 % ≤ Mo ≤ 1.8 % 를 포함하며, 석출된 탄화물 형태의 몰리브덴의 양은 0.20 % ≤ Mop ≤ 0.35 % 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석출물의 평균 입도는 5 ~ 25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20 ㎚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석출물의 75 % 이상이 입내 위치 (intragranular position) 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으로 이루어진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화학 조성이 (중량%로)
0.45 % ≤ C ≤ 0.75 %; 15 % ≤ Mn ≤ 26 %; Si ≤ 3 %; Al ≤ 0.050 %; S ≤ 0.030 %; P ≤ 0.080 %; N ≤ 0.1 %; 바나듐, 티타늄, 니오븀, 크롬 및 몰리브덴 중 1종 이상의 금속원소 (0.050 % ≤ V ≤ 0.50 %; 0.040 % ≤ Ti ≤ 0.50 %; 0.070 % ≤ Nb ≤ 0.50 %; 0.070 % ≤ Cr ≤ 2 %; 0.14 % ≤ Mo ≤ 2 %) 및, 선택적으로 0.0005 % ≤ B ≤ 0.003 %; Ni ≤ 1 %; Cu ≤ 5 % 중 1종 이상의 원소, 잔부는 철 및 용융제련으로 인한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이 제공되며; 이 강으로부터 반제품을 주조하며; 이 반제품을 1100 ~ 1300 ℃ 의 온도로 가열하며; 이 반제품을 890 ℃ 이상의 최종 압연 온도 (end-of-rolling temperature) 로 열간압연하며, 얻어진 강판을 580 ℃ 미만의 온도로 코일링하며; 그 강판을 냉간압연하고; 가열 속도 (Vh) 에서의 가열 단계, 균열(均熱) 시간 (ts) 동안 온도 (Ts) 에서의 균열(均熱) 단계, 및 그 이후의 냉각 속도 (Vc) 에서의 냉각 단계, 선택적으로 그 이후의 균열 시간 (tu) 동안 온도 (Tu) 에서의 균열 단계를 포함하는 어닐링 열처리를 실시하는데, 상기 파라미터들 (Vh, Ts, ts, Vc, Tu, tu) 은 석출된 상기 금속원소의 양을 얻기 위하여 조절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파라미터들 (Vh, Ts, ts, Vc, Tu, tu) 은 어닐링 후의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 석출물의 평균 입도가 5 ~ 25 ㎚, 바람직하게는 7 ~ 20 ㎚ 가 되도록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파라미터들 (Vh, Ts, ts, Vc, Tu, tu) 은 어닐링 후에 상기 석출물의 75 % 이상이 입내 위치에 존재하도록 조절된다.
바람직한 실시 방법의 경우, 0.050 % ≤ V ≤ 0.50 % 를 포함하는 화학 조성의 강이 제공되며, 950 ℃ 이상의 최종 압연 온도로 반제품을 열간압연하며, 강판을 500 ℃ 미만의 온도에서 코일링하며, 강판을 30 % 초과의 단면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며, 2 ~ 10 ℃/s 의 가열 속도 (Vh) 로, 700 ~ 870 ℃ 의 온도 (Ts) 에서, 30 ~ 180 초 동안 어닐링 열처리를 실시하며, 강판을 10 ~ 50 ℃/s 의 속도로 냉각한다.
가열 속도 (Vh) 는 3 ~ 7 ℃/s 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균열(均熱) 온도 (Ts) 는 720 ~ 850 ℃ 이다.
바람직하게는, 반제품을 한 쌍의 강 압연롤 사이에서 강편 또는 박막 스트립 형태로 주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 분야의 구조 부재, 강화 부재 또는 외장 부재의 제조를 위하여,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또는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한다.
많은 시도 끝에, 본 발명자들은 이하의 조건을 관찰함으로써 전술한 각종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강의 화학 조성과 관련하여, 탄소는 미세구조의 형성 및 기계적 특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탄소는 적층 결함 에너지를 증가시켜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를 촉진한다. 중량%로 0.45 % 이상의 탄소 함량이 중량%로 15 ~ 26 % 의 망간 함량과 함께인 경우에 이러한 안정화가 달성된다. 그러나, 탄소 함량이 0.75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업적 제조 시에 특정 가열 사이클에서 탄화물이 과도하게 석출하는 것을 방지하기가 어려운데, 이러한 석출물은 연성을 떨어뜨린다.
바람직하게는, 최적의 탄화물 또는 탄질화물 석출물과 함께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한 탄소 함량은 0.50 ~ 0.70 중량% 이다.
또한, 망간은 강도 증가, 적층 결함 에너지의 증가 및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를 위한 필수 원소이다. 망간 함량이 15 % 미만인 경우, 변형능을 상당히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마르텐사이트상이 형성될 위험이 있다. 또한, 망간 함량이 26 % 를 초과하면, 실온에서의 연성이 떨어진다. 게다가, 비용적인 이유로, 망간 함량이 너무 높아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층 결함 에너지를 최적화하고 효과적인 변형 하에서 마르텐사이트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망간 함량은 17 ~ 24 % 이다. 또한, 망간 함량이 24 % 를 초과하면, 쌍정변형에 의한 변형 모드가 완전 전위 활주 (glide) 에 의한 변형 모드보다 덜 바람직해진다.
알루미늄은 강의 탈산에 특히 효과적인 원소이다. 탄소와 같이, 알루미늄은 적층 결함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망간은 액체 철에서 질소의 용 해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망간 함량이 높은 강에 알루미늄이 과도하게 존재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이 단점이 된다. 강에 알루미늄이 과도하게 다량 존재하는 경우, 알루미늄과 결합하는 질소가 질화알루미늄 형태로 석출되어, 열간 전환 (hot conversion) 시에 입계이동을 방해하고 연속 주조 시에 균열이 발생할 위험을 매우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또한, 하기하는 바와 같이, 미세 석출물 (본질적으로는 탄질화물) 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질소를 이용해야만 한다. Al 함량이 0.050 % 이하인 경우, AlN의 석출이 방지되어 하기 원소의 석출을 위한 충분한 질소 함량이 유지된다.
따라서, 응고 시에 체적 결함 (기포) 의 형성 및 이러한 석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질소 함량이 0.1 % 이하가 되어야 한다. 또한, 바나듐, 니오븀 및 티타늄 등의 질화물 형태로 석출될 수 있는 원소들이 존재하는 경우, 수소 포획 (hydrogen trapping) 에 효과적이지 않은 조대 석출물이 발생할 우려로 인해 질소 함량은 0.1 %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규소는 탈산강 및 고상 경화 (solid-phase hardening) 하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그러나, 그 함량이 3 % 를 초과하는 경우, 규소는 연신율을 감소시키고 특정 조립 공정 (assembly process) 시에 원치않는 산화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도를 유지해야만 한다.
황과 인은 입계를 취화시키는 불순물이다. 충분한 고온 연성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함량이 각각 0.030 및 0.080 %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선택적으로, 붕소는 0.0005 ~ 0.003 % 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 원 소는 오스테나이트 입계에서 분리되어 응집력을 증가시킨다. 0.0005 % 미만의 경우,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0.003 % 초과의 경우, 붕소는 탄화붕소 형태로 석출되며, 이 효과는 포화된다.
니켈은 고용 경화에 의해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니켈은, 특히 인성을 증가시켜 파단시에 높은 연신율을 달성하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재차 비용적인 이유로, 니켈 함량은 최대 1 %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유사하게, 선택적으로, 5 % 를 초과하지 않는 함량으로 구리를 첨가하는 것은, 금속 구리의 석출에 의해 강을 강화하는 방법이 된다. 그러나, 이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 구리로 인해 열간압연 강판의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바나듐, 티타늄, 니오븀, 크롬 및 몰리브덴 등의 석출물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 원소들은 본 발명의 내용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지체균열이, 특히 오스테나이트 입계에서의 수소의 과도한 국부 집중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정교하게 규정된 석출물의 특정 종류, 그 본질, 양, 입도 및 분포가, 연성 및 인성 특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지체균열에 대한 민감성을 상당히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알아냈다.
우선, 본 발명자들은 석출된 바나듐, 티타늄 또는 니오븀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이 수소 포획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크롬 또는 몰리브덴 탄화물도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실온에서, 수소는 이들 석출물과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에서 비가역적으로 포획된다. 그러나, 특정 공업 조건 하에서 마주칠 수 있는 잔류 수소의 포획을 확실히 하고자, 석출물 형태의 금속 원소의 양을, 그 석출물의 본질에 따라, 임계 함량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탄화물, 질화물 및 탄질화물 형태의 금속 원소의 양은, 바나듐, 티타늄 및 니오븀의 경우에는 각각 Vp, Tip 및 Nbp 로 나타내며, 탄화물 형태의 크롬 및 몰리브덴의 경우에는 Crp 및 Mop 로 나타낸다.
이러한 맥락에서, 강은 이하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원소를 함유한다.
- 바나듐의 경우, 함량이 0.050 ~ 0.50 중량% 이며, 석출물 형태의 함량 (Vp) 이 0.030 ~ 0.150 중량% 이다. 바람직하게는, 바나듐 함량이 0.070 ~ 0.40 중량% 이며, 석출물 형태의 함량 (Vp) 이 0.070 ~ 0.140 중량% 이다.
- 티타늄의 경우, 함량이 0.040 ~ 0.50 중량% 이며, 석출물 형태의 함량 (Tip) 이 0.030 ~ 0.130 중량% 이다. 바람직하게는, 티타늄 함량이 0.060 ~ 0.40 중량% 이며, 석출물 형태의 함량 (Tip) 이 0.060 ~ 0.110 중량% 이다.
- 니오븀의 경우, 함량이 0.070 ~ 0.50 중량% 이며, 석출물 형태의 함량 (Nbp) 이 0.040 ~ 0.220 중량% 이다. 바람직하게는, 니오븀 함량이 0.090 ~ 0.40 중량% 이며, 석출물 형태의 함량 (Nbp) 이 0.090 ~ 0.200 중량% 이다.
- 크롬의 경우, 함량이 0.070 ~ 2 중량% 이며, 석출물 형태의 함량 (Crp) 이 0.070 ~ 0.6 중량% 이다. 바람직하게는, 크롬 함량이 0.20 ~ 1.8 중량% 이며, 석출물 형태의 함량 (Crp) 이 0.20 ~ 0.5 중량% 이다.
- 몰리브덴의 경우, 함량이 0.14 ~ 2 중량% 이며, 석출물 형태의 함량 (Mop) 이 0.14 ~ 0.44 중량% 이다. 바람직하게는, 몰리브덴 함량이 0.20 ~ 1.8 중량% 이며, 석출물 형태의 함량 (Mop) 이 0.20 ~ 0.35 중량% 이다.
이들 각종 원소의 최소값 (예컨대, 바나듐의 경우 0.050 %) 은, 제조 가열 사이클에서 석출물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첨가량에 해당한다. 더 많은 양의 석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최소 함량 (예컨대, 바나듐의 경우 0.070 %) 을 추천한다.
이들 각종 원소의 최대값 (예컨대, 바나듐의 경우 0.50 %) 은, 기계적 특성을 떨어뜨리는 부적절한 형태의 석출 또는 과도한 석출에 해당하며, 또는 본 발명의 비경제적 실시에 해당한다. 원소의 첨가량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최대 함량 (예컨대, 바나듐의 경우 0.40 %) 을 추천한다.
석출물 형태의 금속 원소의 최소값 (예컨대, 바나듐의 경우 0.030 %) 은, 지체균열에 대한 민감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석출물의 양에 해당한다. 지체균열에 대한 특히 높은 저항성을 얻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최소 함량 (예컨대, 바나듐의 경우 0.070 %) 을 추천한다.
석출물 형태의 금속 원소의 최대값 (예컨대, 바나듐의 경우 0.150 %) 은, 연성 또는 인성의 저하, 석축물에서의 파단의 개시에 해당한다. 나아가, 이러한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 냉간압연 후의 연속 어닐링 열처리 시에 재결정화가 완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높은 (intense) 석출이 일어난다.
가급적 연성을 유지하고, 얻어진 석출물이 통상적인 재결정화 어닐링 조건 하에서의 재결정화와 양립하기 위해서는, 석출물 형태의 바람직한 최대 함량 (예컨대, 바나듐의 경우 0.140 %) 을 추천한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석출물의 평균 입도가 과도하게 큰 경우 포획 성능이 감소하는 것을 알아냈다. 여기에서, "석출물의 평균 입도" 란, 예컨대 추출레플리카 (extraction replicas) 후에, 투과 전자 현미경 관찰을 통해 측정할 수 있는 평균 입도를 말하는데, 각 석출물의 직경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석출물의 경우) 또는 최장 길이 (불규칙 형상의 석출물의 경우) 를 측정한 후, 입자의 통계적 대표값을 헤아림으로써 계산된 평균값으로부터 이들 석출물의 입도 분포 히스토그램이 작성된다. 평균 입도가 25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석출물과 매트릭스 사이에서 계면이 축소되어, 수소 포획 성능이 저하한다. 주어진 석출량에 대하여, 25 ㎚ 를 초과하는 석출물의 평균 입도는 존재하는 석출물의 밀도를 또한 감소시켜, 포획 지점 사이의 거리를 과도하게 증가시킨다. 수소 포획을 위한 계면 영역이 또한 감소한다. 수소 포획량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석출물의 평균 입도가 2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평균 입도가 5 ㎚ 미만인 경우, 형성된 석출물이 매트릭스와 응집하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포획 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이렇게 매우 미세한 석출물을 제어하는 것이 더욱 곤란해진다. 이러한 어려움은, 석출물의 평균 입도가 7 ㎚ 를 초과하는 경우에 최적으로 방지된다. 이 평균값은 나노미터 입도 의 매우 미세한 석출물이 다수 존재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지체균열에 대한 민감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석출물이 입내 위치에 있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석출물의 75 % 이상이 입내 위치에 있는 경우에, 수소가, 잠재적으로 취화될 수 있는 위치인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축적되지 않고, 더욱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원소들 중 1종, 특히 크롬이 첨가되면, MC, M7C3, M23C6, M3C (여기서, M 은 금속 원소는 물론 Fe 또는 Mn 을 나타낸다) 등의 각종 탄화물로 석출될 수 있는데, 이들 원소는 매트릭스에 존재한다. 석출물 내에 철 및 망간이 존재하는 것은, 적은 비용으로 석출물의 양을 증가시켜, 석출 성능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탄화바나듐 (VC), 질화바나듐 (VN) 및 비교적 복잡한 탄질화물 {V(CN)} 형태로 석출되는 바나듐의 첨가가 본 발명 내에서 특히 유리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체적으로, 기계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지체연신율에 대한 민감성이 낮은 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간압연 및 어닐링 강판의 제조 방법 내에서는, 강이 어닐링 사이클 후에 완전히 재결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주조 단계, 열간압연 단계 또는 코일링 단계에서 발생하는 과도하게 조숙한 석출은, 재결정화에 영향을 미쳐 금속이 경화될 위험이 있으며, 열간압력력 및 냉간압연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석출은, 오스테나이트 입계에서 주로 발생하게 되어, 그 효과가 감소할 것이다. 고온에서 형성된 이들 석출물의 입도는 큰 편이며, 종종 25 ㎚ 를 초과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바나듐을 첨가하는 것이 열간압연 또는 코일링시에 좀처럼 발생하지 않는 이 원소의 석출과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결과적으로, 미리 존재하는 열간압연력 및 냉간압연력 설정을 변경할 필요없이, 냉간압연 후의 계속된 어닐링 사이클 동안 모든 바나듐을 매우 미세하고 균일한 석출에 이용할 수 있다. 석출은 균일하게 분포된 나노스케일의 VC 및 VN 또는 V(CN) 석출물 형태로 일어나며, 이 석출물의 대부분은 입내 위치에, 즉 수소 포획에 가장바람직한 형태로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미세 석출물은 결정립의 성장을 제한하여, 어닐링 후에 더욱 미세한 입도의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이하에 따라 실시된다. 0.45 % ≤ C ≤ 0.75 %; 15 % ≤ Mn ≤ 26 %; Si ≤ 3 %; Al ≤ 0.050 %; S ≤ 0.030 %; P ≤ 0.080 %; N ≤ 0.1 %; 0.050 % ≤ V ≤ 0.50 %, 0.040 % ≤ Ti ≤ 0.50 %, 0.070 % ≤ Nb ≤ 0.50 %, 0.070 % ≤ Cr ≤ 2 %, 0.14 % ≤ Mo ≤ 2 % 중 1종 이상의 원소 및, 선택적으로 0.0005 % ≤ B ≤ 0.003 %, Ni ≤ 1 %; Cu ≤ 5 % 중 1종 이상의 원소, 잔부는 철 및 용융제련으로 인한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을 용융제련한다.
이러한 용융제련 후에, 상기 강을 강괴로 주조하거나, 약 200 mm 두께의 강편 형태로 연속 주조한다. 상기 주조는, 수십 밀리미터 두께의 얇은 강편 또는 수 밀리미터 두께의 박막 스트립 형태로 실행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티타늄 또는 니오븀 등의 특정 첨가 원소가 존재하는 경우에, 얇은 제품 (product) 형태로 강을 주조하는 것은, 특히 매우 미세하고 열적으로 안정한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을 석출시킬 것이며, 이 석출물의 존재로 지체균열에 대한 민감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렇게 주조된 반제품은, 우선 1100 ~ 1300 ℃ 의 온도로 가열된다. 가열의 목적은, 압연시에 모든 지점에서 강이 변형되기에 바람직한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고상선 온도 (solidus temperature) 에 너무 가까워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재가열 온도는 1300 ℃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데, 상기 고상선 온도는 망간 및/또는 탄소가 국부적으로 풍부한 임의의 영역에 도달할 수 있으며 강을 국부적으로 액체상태가 되게 하여 고온성형시에 해로울 수 있는 온도를 말한다. 물론, 얇은 강편의 직접 주조의 경우에는, 1300 ~ 1000 ℃ 에서 개시하는 이 반제품의 열간압연 단계는, 중간 재가열 단계를 거치지 않고 주조 후에 직접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2 ~ 5 mm 두께의, 또는 얇은 강편으로부터 주조된 반제품의 경우에는 1 ~ 5 mm 두께의, 또는 박막 스트립을 주조한 경우에는 0.5 ~ 3 mm 두께의 열간압연 스트립을 얻기 위해서, 상기 반제품을 열간압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알루미늄 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압연시의 고온 변형성을 손상시키는 AlN 의 과도한 석출이 방지된다. 연성 부족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종 압연 온도가 890 ℃ 이상이 되어야 한다.
압연 후에는, 특정 기계적 특성을 저해하는 탄화물 {본질적으로 입간 시멘타이트, (Fe,Mn)3C} 의 상당한 석출이 없도록 하는 온도에서 스트립을 코일링하여야 한다. 이는 580 ℃ 미만의 코일링 온도에서 얻어진다. 또한, 생산 조건은 얻어진 제품이 완전히 재결정화되는 방식으로 선택될 것이다.
연이은 냉간압연 공정 후에 어닐링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부가 단계를 통해, 열간압연 스트립에서 얻어진 것보다 더 작은 입도가 얻어져, 강도가 더욱 높아진다. 물론, 예컨대 0.2 mm ~ 수 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제품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열간압연 제품은, 선택적으로 사전 산세 공정을 거친 후에 냉간압연된다. 이러한 압연 단계 후에는, 결정립에 상당한 가공경화가 일어나므로, 재결정화 어닐링 처리를 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러한 처리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출물을 얻고, 연성을 회복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이러한 어닐링은 연속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의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
- 가열 속도 (Vh) 를 특징으로 하는 가열 단계;
- 온도 (Ts) 에서 균열 시간 (ts) 동안의 균열 단계;
- 냉각 속도 (Vc) 에서의 냉각 단계; 및 선택적으로, 온도 (Tu) 에서 균열 시간 (tu) 동안의 균열 단계.
온도 (Tu) 에서의 선택적 균열 단계 이전에, 제품의 온도를 실온까지 냉각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Tu) 에서의 균열 단계는, 예컨대 강 코일의 정적 어닐링 로 (static annealing furnace) 등의 개별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재결정화의 완료를 통해 원하는 기계적 특성을 얻기 위하여, 상기 파라미터들 (Vh, Ts, ts, Vc, Tu, tu) 은 통상 정교하게 선택된다. 나아가, 본 발명 내에서, 당업자는, 어닐링 후에 석출된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 형태로 존재하는 금속 원소 (V, Ti, Nb, Cr, Mo) 의 양이 상기 함량 (Vp, Tip, Nbp, Crp, Mop) 내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이들 석출물의 평균 입도가 5 ~ 25 ㎚, 바람직하게는 7 ~ 20 ㎚ 가 되도록 이들 어닐링 파라미터를 조정할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석출물이 매트릭스에서 균일하게 석출되도록, 즉 석출물의 75 % 이상이 입내 위치에 존재하도록 이들 파라미터들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바나듐의 첨가에 의해 유리하게 실시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0.45 % ≤ C ≤ 0.75 %; 15 % ≤ Mn ≤ 26 %; Si ≤ 3 %; Al ≤ 0.050 %; S ≤ 0.030 %; P ≤ 0.080 %; N ≤ 0.1 %; 0.050 % ≤ V ≤ 0.50 %, 및 선택적으로 0.0005 % ≤ B ≤ 0.003 %, Ni ≤ 1 %, Cu ≤ 5 % 중 1종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강을 용융제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반제품의 주조 단계, 1100 ~ 1300 ℃ 까지의 가열 단계, 이러한 반제품을 950 ℃ 이상의 최종 압연 온도로 열간압연한 후에 500 ℃ 미만의 온도로 코일링하는 단계에 의해 최적화되어 제조된다.
상기 강판은 30 % 초과의 단면 압하율 {(냉간압연 전의 강판 두께 - 냉간압연 후의 강판 두께) / (냉간압연 전의 강판 두께)} 로 냉간압연한다. 30 % 의 단면 압하율은 재결정화를 얻기 위한 최소 변형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2 ~ 10 ℃/s (바람직하게는 3 ~ 7 ℃/s) 의 가열 속도 (Vh) 로, 700 ~ 870 ℃ (바람직하게는 720 ~ 850 ℃) 의 온도 (Ts) 에서, 30 ~ 180 초의 시간 동안 어닐링 열처리를 실시한 후, 10 ~ 50 ℃/s 의 속도로 강판을 냉각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50 % 초과의 파단 연신율과 함께 1000 MPa 초과의 강도를 가지며, 매우 미세하고 균일한 바나듐 탄질화물의 석출로 인해 지체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강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Cr 또는 Mo 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석출된 나노스케일의 크롬 또는 몰리브덴 탄화물이 재결정화 과정에서 상호작용하지 않도록, 재결정화 어닐링 후에 균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처리는, 상기 냉각 단계 직후의 과시효 영역 내의 연속 어닐링 설비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롬 및 몰리브덴 탄화물을 석출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균열 단계 {균열 온도 (Tu) 및 균열 시간 (ts)} 의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것이다. 이러한 석출은 코일 형태의 후속 어닐링강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를 통해 얻어진 이하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을 확인한다.
이하의 표 (조성은 중량%로 기재함) 에 주어진 조성을 갖는 강을 용융제련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강 (I1, I2) 과는 별개로, 비교강의 조성을 비교용으로 표에 제공하였다. 강 (R1) 은 바나듐 함량이 매우 낮다. 강 (R2) 의 냉연강판 (후술하는 조건) 에는 석출물의 양이 너무 많다 (표 2 참조). 강 (R3) 은 바나듐 함량이 너무 높다.
Figure 112007052808015-pct00001
이들 강으로부터 얻어진 반제품을, 1180 ℃ 로 재가열하고, 3 mm 의 두께로 만들기 위하여 950 ℃ 의 온도로 열간압연한 후, 500 ℃ 에서 코일링하였다.
다음으로, 이렇게 얻어진 강판을 1.5 mm 의 두께까지 50 % 의 단면 압하율로 냉간압연한 후, 표 2 에 주어진 조건하에서 어닐링하였다.
이들 각종 강판으로부터, 탄화물, 질화물, 탄질화물 형태로 석출된 금속 원소의 양을 화학적 추출 및 선택적 정량법 (selective dosage) 에 의해 측정하였다. 조성 및 제조 조건에 따라, 이들 선택적 석출물은 바나듐에 기초하였고, 주로 바나듐 탄질화물이었다. 석출물 형태의 바나듐의 양 (Vp) 은, 투과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된 추출레플리카에 기초하여 측정한 석출물의 평균 입도와 함께 표 2 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7052808015-pct00002
표 3 은 인장에 대한 기계적 특성, 즉 이러한 조건 하에서 얻어진 강도 및 파단 연신율을 나타낸다. 나아가, 냉간압연 및 어닐링된 강판으로부터 직경 55 mm 의 원형 판재 (blank) 를 절단하였다. 다음으로, 직경 33 mm 의 펀치를 이용하여, 바닥이 평평한 컵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위프트 넥킹 시험, Swift necking test) 링킹-인 (linking-in) 함으로써 이들 판재를 드로잉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험의 정도 (severity) 를 나타내는 인자 β (즉, 펀치 직경에 대한 초기 판재의 직경의 비율) 는 1.66 이었다. 다음으로, 형성 즉시 또는 3개월을 기다린 후에, 미세균열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여, 지체균열에 대한 민감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찰 결과를 표 3 에 제공하였다.
Figure 112007052808015-pct00003
비교강 (R3) 의 경우, 바나듐의 총 함량 (0.865 %) 이 과도하여, 850 ℃ 에서의 어닐링 후에도 재결정화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연신 특성은 매우 불충분하였다. 강 (R2) 의 경우, 석출물의 입도가 적절하였음에도, 바나듐의 석출량 (0.219 %) 이 과도하여, 파단 연신율을 떨어지고, 특성이 불충분하였다.
강 (R1) 의 경우, 원하는 석출물이 부재하여, 지체연신율에 대한 민감성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강 (I1, I2) 의 경우에는, 원하는 종류 및 입도의 석출물을 포함하였다. 석출물의 75 % 이상이 입내 위치에서 국부화되었다. 이 강들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 (1000 MPa 초과의 강도, 55 % 초과의 연신율 및 지체균열에 대한 높은 저항성) 을 보였다. 지체균열에 대한 높은 저항성은, 구체적인 탈가스 열처리 없이도 얻어졌다.
본 발명에 따른 열연강판 또는 냉연강판은, 고강도 및 고연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산업에서 구조용 부재, 강화 요소 또는 외장 부재 형태로 유리하게 이용되어, 충격시의 안전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차량의 경량화에도 기여한다.

Claims (20)

  1.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으로서, 상기 강의 화학 조성은 (중량%로),
    0.45 % ≤ C ≤ 0.75 %;
    15 % ≤ Mn ≤ 26 %;
    0 < Si ≤ 3 %;
    0 < Al ≤ 0.050 %;
    0 < S ≤ 0.030 %;
    0 < P ≤ 0.080 %;
    0 < N ≤ 0.1 %;
    바나듐, 티타늄, 니오븀, 크롬 및 몰리브덴 중 1종 이상의 금속원소
    0.050 % ≤ V ≤ 0.50 %;
    0.040 % ≤ Ti ≤ 0.50 %;
    0.070 % ≤ Nb ≤ 0.50 %;
    0.070 % ≤ Cr ≤ 2 %;
    0.14 % ≤ Mo ≤ 2 %
    및, 선택적으로
    0.0005 % ≤ B ≤ 0.003 %;
    Ni ≤ 1 %;
    Cu ≤ 5 % 중 1종 이상의 원소,
    잔부는 철 및 용융제련으로 인한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석출된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 형태의 상기 1종 이상의 금속원소의 양은
    0.030 % ≤ Vp ≤ 0.150 %;
    0.030 % ≤ Tip ≤ 0.130 %;
    0.040 % ≤ Nbp ≤ 0.220 %;
    0.070 % ≤ Crp ≤ 0.6 %;
    0.14 % ≤ Mop ≤ 0.44 % 인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화학 조성은 (중량%로)
    0.50 % ≤ C ≤ 0.70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화학 조성은 (중량%로)
    17 % ≤ Mn ≤ 24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화학 조성은 (중량%로)
    0.070 % ≤ V ≤ 0.40 % 를 포함하며, 석출된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 형태의 바나듐의 양은 0.070 % ≤ Vp ≤ 0.1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화학 조성은 (중량%로)
    0.060 % ≤ Ti ≤ 0.40 % 를 포함하며, 석출된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 형태의 티타늄의 양은 0.060 % ≤ Tip ≤ 0.1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화학 조성은 (중량%로)
    0.090 % ≤ Nb ≤ 0.40 % 를 포함하며, 석출된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 형태의 니오븀의 양은 0.090 % ≤ Nbp ≤ 0.2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화학 조성은 (중량%로)
    0.20 % ≤ Cr ≤ 1.8 % 를 포함하며, 석출된 탄화물 형태의 크롬의 양은 0.20 % ≤ Crp ≤ 0.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화학 조성은 (중량%로)
    0.20 % ≤ Mo ≤ 1.8 % 를 포함하며, 석출된 탄화물 형태의 몰리브덴의 양은 0.20 % ≤ Mop ≤ 0.3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물의 평균 입도는 5 ~ 2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물의 평균 입도는 7 ~ 2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물의 75 % 이상이 입내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
  12.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강의 화학 조성은 (중량%로),
    0.45 % ≤ C ≤ 0.75 %;
    15 % ≤ Mn ≤ 26 %;
    0 < Si ≤ 3 %;
    0 < Al ≤ 0.050 %;
    0 < S ≤ 0.030 %;
    0 < P ≤ 0.080 %;
    0 < N ≤ 0.1 %;
    바나듐, 티타늄, 니오븀, 크롬 및 몰리브덴 중 1종 이상의 금속원소
    0.050 % ≤ V ≤ 0.50 %;
    0.040 % ≤ Ti ≤ 0.50 %;
    0.070 % ≤ Nb ≤ 0.50 %;
    0.070 % ≤ Cr ≤ 2 %;
    0.14 % ≤ Mo ≤ 2 %
    및, 선택적으로
    0.0005 % ≤ B ≤ 0.003 %;
    Ni ≤ 1 %;
    Cu ≤ 5 % 중 1종 이상의 원소,
    잔부는 철 및 용융제련으로 인한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이 제공되며,
    - 상기 강으로부터 반제품을 주조하는 단계;
    - 상기 반제품을 1100 ~ 1300 ℃ 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 상기 반제품을 890 ℃ 이상의 최종 압연 온도로 열간압연하는 단계;
    - 상기 강판을 580 ℃ 미만의 온도에서 코일링하는 단계;
    - 상기 강판을 냉간압연하는 단계; 및
    - 상기 강판을 어닐링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처리는, 가열 속도 (Vh) 에서의 가열 단계, 균열(均熱) 시간 (ts) 동안 온도 (Ts) 에서의 균열(均熱) 단계, 및 그 이후의 냉각 속도 (Vc) 에서의 냉각 단계, 선택적으로 그 이후의 균열 시간 (tu) 동안 온도 (Tu) 에서의 균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들 (Vh, Ts, ts, Vc, Tu, tu) 은 제 1 항에 따라 석출된 상기 1종 이상의 금속원소의 양을 얻기 위하여 조절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 (Vh, Ts, ts, Vc, Tu, tu) 은 상기 어닐링 후의 상기 석출물의 평균 입도가 5 ~ 25 ㎚ 가 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 (Vh, Ts, ts, Vc, Tu, tu) 은 상기 어닐링 후의 상기 석출물의 평균 입도가 7 ~ 20 ㎚ 가 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파라미터들 (Vh, Ts, ts, Vc, Tu, tu) 은 상기 어닐링 후에 상기 석출물의 75 % 이상이 입내 위치에 존재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화학 조성이 0.050 % ≤ V ≤ 0.50 % 를 포함하는 강이 제공되며, 상기 반제품을 950 ℃ 이상의 최종 압연 온도로 열간압연하며, 상기 강판을 500 ℃ 미만의 온도에서 코일링하며, 상기 강판을 30 % 초과의 단면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며, 2 ~ 10 ℃/s 의 가열 속도 (Vh) 로, 700 ~ 870 ℃ 의 온도 (Ts) 에서, 30 ~ 180 초 동안 어닐링 열처리를 실시하며, 상기 강판을 10 ~ 50 ℃/s 의 속도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속도 (Vh) 는 3 ~ 7 ℃/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均熱) 온도 (Ts) 는 720 ~ 8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
  19. 제 12 항, 제 13 항 또는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을 한 쌍의 강 압연롤 사이에서 강편 또는 박막 스트립 형태로 주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의 제조 방법.
  20. 삭제
KR1020077016758A 2005-01-21 2006-01-10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이것으로 제조된 강판 KR100938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0637A FR2881144B1 (fr) 2005-01-21 2005-01-21 Procede de fabrication de toles d'acier austenitique fer-carbone-manganese a haute resistance a la fissuration differee, et toles ainsi produites
FR0500637 2005-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801A KR20070094801A (ko) 2007-09-21
KR100938790B1 true KR100938790B1 (ko) 2010-01-27

Family

ID=3495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758A KR100938790B1 (ko) 2005-01-21 2006-01-10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이것으로 제조된 강판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799148B2 (ko)
EP (1) EP1844173B1 (ko)
JP (1) JP5111119B2 (ko)
KR (1) KR100938790B1 (ko)
CN (1) CN101107377B (ko)
AT (1) ATE425274T1 (ko)
BR (1) BRPI0606487A2 (ko)
CA (1) CA2595609C (ko)
DE (1) DE602006005614D1 (ko)
ES (1) ES2321974T3 (ko)
FR (1) FR2881144B1 (ko)
MX (1) MX2007008726A (ko)
PL (1) PL1844173T3 (ko)
RU (1) RU2361931C2 (ko)
UA (1) UA84377C2 (ko)
WO (1) WO2006077301A1 (ko)
ZA (1) ZA2007052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8811A1 (en) * 2006-07-11 2008-01-16 ARCELOR France Process for manufacturing iron-carbon-manganese austenitic steel sheet with excellent resistance to delayed cracking, and sheet thus produced
JP4251229B1 (ja) 2007-09-19 2009-04-0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圧水素ガス環境用低合金鋼および高圧水素用容器
DE102008056844A1 (de) 2008-11-12 2010-06-02 Voestalpine Stahl Gmbh Manganstahlb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WO2010126268A2 (ko) * 2009-04-28 2010-11-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갖는 고망간 질소 함유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E102010034161B4 (de) * 2010-03-16 2014-01-02 Salzgitter Flachstah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erkstücken aus Leichtbaustahl mit über die Wanddicke einstellbaren Werkstoffeigenschaften
CN102939394A (zh) * 2010-06-10 2013-02-20 塔塔钢铁艾默伊登有限责任公司 生产奥氏体钢方法
EP2402472B2 (de) 2010-07-02 2017-11-15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Höherfester, kaltumformbarer Stahl und aus einem solchen Stahl bestehendes Stahlflachprodukt
WO2012052626A1 (fr) 2010-10-21 2012-04-26 Arcelormittal Investigacion Y Desarrollo, S.L. Tole d'acier laminee a chaud ou a froid, d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industrie automobile
WO2013014481A1 (fr) 2011-07-26 2013-01-31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Pièce d'acier soudée préalablement mise en forme à chaud à très haute résistance mécaniqu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KR101360519B1 (ko) * 2011-12-26 2014-02-10 주식회사 포스코 고항복비를 갖는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82338B1 (ko) * 2012-12-21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피삭성 및 용접 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내마모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KR101382950B1 (ko) * 2011-12-28 2014-04-09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 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내마모 강재
CN104136647A (zh) * 2011-12-28 2014-11-05 Posco公司 在焊接热影响区具有优异机械加工性及韧性的耐磨奥氏体钢及其生产方法
RU2519719C1 (ru) * 2012-12-05 2014-06-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агнитогорс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горячего проката из микролегированных сталей
CN104884661B (zh) * 2012-12-26 2017-05-31 Posco公司 焊接热影响区韧性优异的高强度奥氏体类钢材及其制备方法
MX2016001050A (es) 2013-07-26 2016-04-2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Material de acero de alta resistencia para pozo de petroleo y tuberias de pozo de petroleo.
KR101568526B1 (ko) * 2013-12-24 2015-11-11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 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 강재
AR101904A1 (es) * 2014-09-29 2017-01-1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Material de acero y tuberías expansibles para la industria del petróleo
MX2017004258A (es) * 2014-10-01 2017-06-0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Material de acero de alta resistencia para pozos de petróleo y productos tubulares para la industria del petróleo.
KR101673695B1 (ko) * 2014-11-12 2016-11-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테나이트 강 기지-나노 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6451545B2 (ja) * 2015-08-05 2019-01-1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高圧水素ガス用高Mn鋼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鋼材からなる、配管、容器、バルブおよび継手
CN105401086A (zh) * 2015-10-28 2016-03-16 安徽省三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锰中碳钢耐磨溜槽衬板
KR101747034B1 (ko) * 2016-04-28 2017-06-14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비가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87215A1 (en) 2016-04-29 2017-11-02 Arcelormittal Carbon steel sheet coated with a barrier coating
WO2017203309A1 (en) * 2016-05-24 2017-11-30 Arcelormittal Twip steel sheet having an austenitic matrix
MX2018014323A (es) 2016-05-24 2019-02-25 Arcelormittal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 una lamina de acero twip que tiene una matriz austenitica.
WO2017203313A1 (en) * 2016-05-24 2017-11-30 Arcelormittal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recovered steel sheet having an austenitic matrix
WO2017203314A1 (en) * 2016-05-24 2017-11-30 Arcelormittal Twip steel sheet having an austenitic matrix
DE102016121902A1 (de) * 2016-11-15 2018-05-17 Salzgitter Flachstah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hrwerksteilen aus mikrolegiertem Stahl mit verbesserter Kaltumformbarkeit
TWI630277B (zh) * 2016-12-19 2018-07-21 杰富意鋼鐵股份有限公司 High manganese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89185B1 (ko) 2016-12-21 2018-08-16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 및 피로특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9487178B (zh) * 2018-12-29 2020-06-16 广西长城机械股份有限公司 高纯净超高锰钢及其制备工艺
JP7380655B2 (ja) * 2020-08-07 2023-11-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695258B (zh) * 2020-12-15 2021-10-26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超高锰twip钢的大容量冶炼与成分调控方法
CN114103304A (zh) * 2021-11-04 2022-03-01 安徽九牛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耐老化钢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5240A1 (fr) * 2001-09-20 2003-03-27 Usinor Procede de fabrication de tubes roules et soudes comportant une etape finale d'etirage ou d'hydroformage et tube soude ainsi obtenu
JP2004315960A (ja) * 2003-02-06 2004-11-11 Nippon Steel Corp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150A (ja) * 1983-08-12 1985-02-28 Nippon Steel Corp 応力腐食割れ抵抗の優れた油井管用鋼
US5431753A (en) * 1991-12-30 1995-07-11 Pohang Iron & Steel Co. Ltd. Manufacturing process for austenitic high manganese steel having superior formability, strengths and weldability
FR2796083B1 (fr) * 1999-07-07 2001-08-31 Usinor Procede de fabrication de bandes en alliage fer-carbone-manganese, et bandes ainsi produites
FR2857980B1 (fr) * 2003-07-22 2006-01-13 Usinor Procede de fabrication de toles d'acier austenitique fer-carbone-manganese, a haute resistance, excellente tenacite et aptitude a la mise en forme a froid, et toles ainsi produi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5240A1 (fr) * 2001-09-20 2003-03-27 Usinor Procede de fabrication de tubes roules et soudes comportant une etape finale d'etirage ou d'hydroformage et tube soude ainsi obtenu
JP2004315960A (ja) * 2003-02-06 2004-11-11 Nippon Steel Corp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06487A2 (pt) 2009-06-30
US7799148B2 (en) 2010-09-21
EP1844173A1 (fr) 2007-10-17
RU2361931C2 (ru) 2009-07-20
RU2007131590A (ru) 2009-02-27
CA2595609A1 (fr) 2006-07-27
WO2006077301A1 (fr) 2006-07-27
JP5111119B2 (ja) 2012-12-26
ATE425274T1 (de) 2009-03-15
ES2321974T3 (es) 2009-06-15
ZA200705233B (en) 2008-06-25
CN101107377B (zh) 2011-03-23
CA2595609C (fr) 2011-04-12
FR2881144A1 (fr) 2006-07-28
JP2008528796A (ja) 2008-07-31
PL1844173T3 (pl) 2009-08-31
CN101107377A (zh) 2008-01-16
US20080035249A1 (en) 2008-02-14
EP1844173B1 (fr) 2009-03-11
MX2007008726A (es) 2008-03-04
KR20070094801A (ko) 2007-09-21
FR2881144B1 (fr) 2007-04-06
UA84377C2 (ru) 2008-10-10
DE602006005614D1 (de)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790B1 (ko) 오스테나이트계 철-탄소-망간 합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이것으로 제조된 강판
KR101387040B1 (ko) 증가된 인 함유량을 가지는 망간강 박판 및 이의 생산 공정
KR101544298B1 (ko) 열간 압연 강판 및 연관된 제조 방법
US7794552B2 (en) Method of producing austenitic iron/carbon/manganese steel sheets having very high strength and elongation characteristics and excellent homogeneity
KR101476866B1 (ko) 양호한 스탬핑성을 갖는 저밀도 강
US10900100B2 (en) Hot rolled steel sheet
KR101330903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9890993B (zh) 马氏体系不锈钢板
US10894996B2 (en) Hot rolled steel sheet
US11427898B2 (en) High formability steel sheet for the manufacture of lightweight structural parts and manufacturing process
JP2007016296A (ja) 成形後の延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鋼板及びその成形方法、並びにプレス整形用鋼板を用いた自動車用部材
EP3728679B1 (en) Cold rolled and heat treat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5070947B2 (ja) 焼入れ鋼板部材および焼入れ用鋼板とそれらの製造方法
CN107148488B (zh) 拉伸强度为1300Mpa以上的超高强度镀覆钢板及其制造方法
KR20180033202A (ko)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갖는 성형 가능한 경량 강 및 상기 강으로부터 반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3280692B2 (ja) 深絞り用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3551878B2 (ja) 高延性高穴拡げ性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55470B1 (ko) 냉연강판 제조 방법
TWI602932B (zh) 熱壓製成形構件
KR101758563B1 (ko) 연신율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25265B2 (en) High formability steel sheet for the manufacture of lightweight structural parts and manufacturing process
KR101560948B1 (ko) 내충격특성 및 엣지부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복합조직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4397781A1 (en) Hot-rolled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30059478A (ko)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4867883A (zh) 热成型用钢材、热成型部件及它们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