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486B1 - 오일 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오일 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486B1
KR100937486B1 KR1020090079505A KR20090079505A KR100937486B1 KR 100937486 B1 KR100937486 B1 KR 100937486B1 KR 1020090079505 A KR1020090079505 A KR 1020090079505A KR 20090079505 A KR20090079505 A KR 20090079505A KR 100937486 B1 KR100937486 B1 KR 10093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chamber
vacuum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동우이엔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이엔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이엔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12Auxiliary equipment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with liquid-separating apparatus, e.g. control circ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10M175/0058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by filtration and centrifugation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저장탱크, 여과필터, 오일공급펌프, 수분센서, 오일가열부, 진공챔버, 응축기, 수분저장탱크, 진공펌프, 오염물입자제거챔버, 오일배출펌프로 구성되어 사용중인 오일에 함유된 수분 및 오염입자를 제거 정제하는 장치로써 장비 운전시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을 실시간 측정하여 오일 내의 수분함유량이 800ppm 이상이면 오염입자제거장치의 가동을 정지한 후 수분제거장치만 운전하여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을 먼저 제거한 다음, 수분함유량이 800ppm 이하로 떨어지면 가동을 중지시켰던 오염입자제거장치를 가동시켜 수분과 오염물 입자를 동시에 제거한다.
이후 오일 내의 수분함유량이 50ppm 이하로 떨어지면 수분제거장치 및 히터의 가동을 정지한 후 오일공급펌프를 가동시켜 오일저장탱크의 오일을 오염입자제거장치로 공급시키면서 오일 속의 오염입자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오일저장탱크. 수분센서, 회전식 노즐, 진공챔버, 오염물입자제거챔버

Description

오일 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Oil Purification System of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일저장탱크, 여과필터, 오일공급펌프, 수분센서, 오일가열부, 진공챔버, 응축기, 수분저장탱크, 진공펌프, 오염물입자제거챔버, 오일배출펌프로 구성되어 사용중인 오일에 함유된 수분 및 오염입자를 제거 정제하는 장치로써 장비 운전시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을 실시간 측정하여 수분함유량이 800ppm 이상이면 오염입자제거장치의 가동을 정지한 후 수분제거장치만 운전하여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을 먼저 제거한 다음, 수분함유량이 800ppm 이하로 떨어지면 가동을 중지시켰던 오염입자제거장치를 가동시켜 수분과 오염물 입자를 동시에 제거한다.
이후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이 50ppm 이하로 떨어지면 수분제거장치 및 히터의 가동을 정지한 후 오일공급펌프를 가동시켜 오일저장탱크의 오일을 오염입자제거장치로 공급시키면서 오일 속의 오염입자를 신속히 제거함으로써 오일의 사용연한을 연장할 수 있어 폐 오일 발생을 억제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며, 또한 정제된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기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작기계, 유압기계, 자동차 엔진, 일반 산업체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오일은 수분의 혼합, 입자상 오염물의 혼합 등의 원인에 의하여 기계의 고장 및 노후화를 촉진하게 된다.
오일 속의 수분은 윤활시스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오염물로서, 장치의 부식, 윤활 특성의 감소, 유체 파손, 첨가제 포집, 유전 강도의 감소, 유압제품의 마모, 오일의 산화 등 매우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오일 속의 입자상 오염물은 기계 내면과 입자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기계의 마모성 증가와 내면에 형성된 유막의 파괴로 인한 윤활부의 마찰력, 온도 및 압력 상승 등의 현상을 유발하여 기계 장치의 심각한 파손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계장치의 수명 증가 및 정상적인 운전 상태의 유지를 위하여, 사용중인 오일은 오염 정도에 따라 정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고, 이때 발생 되는 다량의 폐 오일은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다.
이와 같이 오일에 혼합된 수분과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최신의 오일 정화장치 기술은 진공 감압 방식에 의한 수분제거장치 및 정전이온방식을 이용한 오염물입자제거장치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특허등록 제 407159호의 "폐윤활유 정화장치 및 그 방법"을 개발하여 공개되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오일 속의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오염입자를 제거하는 공정이 동시에 운전되고 있어 수분이 다량 함유된 오일의 경우 오일 속의 수분에 의해 오염물입자제거장치 내의 포집필터가 수분을 흡수하며, 수분을 흡수한 포집필터에 의해 전압은 급격히 떨어지고 전류는 상승하여 고전압에 의한 정전이온 능력을 상실함으로써 오염물입자를 제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한번 수분을 흡수한 포집필터는 장시간 운전하여도 포집필터에 흡수된 수분이 빨리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오염물입자제거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분이 소량 함유한 오일의 경우 수분제거장치 내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친 일정시간 이후 오염물제거장치 내로 오일이 보내져 오염물입자제거를 함으로써 오염물제거장치를 연속운전을 할 수 없어 오염물제거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오일 속의 오염입자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오일 속의 수분을 먼저 제거하는 공정을 거친 후 오염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이 50ppm 이하인 오일의 경우에도 오염입자만을 제거하는 공정을 위해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고 오염입자제거 공정을 진행하므로 오일 정화시키는 시간이 길게 소요된다.
또한,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는 동안 오일의 온도를 항상 50℃ 이상으로 가열해야 함으로써 전력손실 및 오일의 열화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비 운전시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을 실시간 측정하여 수분함유량이 800ppm 이상이면 오염입자제거장치의 가동을 정지한 후 수분제거장치만 운전하여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을 먼저 제거한 다음, 수분함유량이 800ppm 이하로 떨어지면 가동을 중지시켰던 오염입자제거장치를 가동시켜 수분과 오염물 입자를 동시에 제거한다.
이후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이 50ppm 이하로 떨어지면 수분제거장치 및 히터의 가동을 정지한 후 오일공급펌프를 가동시켜 오일저장탱크의 오일을 오염입자제거장치로 공급시키면서 오일 속의 오염입자를 신속히 제거함을 목적으로 하며,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이 재상승할 경우 상기 운전시스템에 의해 자동변경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오일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Oil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오일이 저장된 오일저장탱크와,
오염물입자제거챔버 내로 오일을 이송하는 오일공급펌프와,
상기 오일저장탱크에 있는 오일을 진공펌프의 진공 감압으로 유입하여 오일 속에 함유되어 있는 200㎛ 이상의 큰 오염입자를 정화하기 위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를 거쳐 유입되는 오일을 가열하는 히터챔버와,
상기 히터챔버에 유입된 오일 양을 감지하여 히터챔버 내에 오일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히터로 오일을 가열시키기 위한 레벨측정센서 및 실시간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하는 수분센서와,
상기 가열된 오일을 분출하여 오일 속의 수분을 기화시키는 회전식 노즐과 오일이 유입되는 양을 측정하는 오일량 측정 레벨센서가 형성된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 챔버에서 기화된 수분을 냉각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냉각된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저장탱크와,
상기 진공감압으로 오일 속의 수분을 제거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챔버에 유입된 오일의 오염물질을 정전분리에 의해 포집필터로 제거하기 위한 오염물입자제거챔버와,
상기 오염물입자제거챔버 내의 오일을 오일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오일배출펌프로 이루어져 사용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 및 오염물입자를 제거하는 오일 정화장치로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함유량을 수분센서가 실시간 측정하여,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함유량 50~800ppm으로 측정되면 정상운전 조건으로, 수분함유량이 800ppm 이상으로 측정되면 순환운전 1조건으로 수분함유량이 50ppm 이하로 측정되면 순환운전 2조건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정화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사용오일에 함유된 수분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분이 다량 함유된 오일의 경우 수분제거장치만 우선 운전하여 수분을 일정량 제거한 후 수분제거장치와 오염물제거장치를 동시에 운전하여 수분과 오염물입자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으며, 수분이 소량 함유된 오일의 경우 오염물제거장치만 연속 운전하여 오염물제거능력을 향상시키며, 수분제거를 위해 사용한 히터를 OFF 함으로 전력사용량을 줄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정화 장치의 운전방법을 나타낸 전체 시스템 구성도로서, 크게 오일 속에 포함된 수분과 오염물질을 동시에 제거하는 장치와, 이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를 분리하면 수분 및 입자상 오염물질만을 별도로 제거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즉, 오일 속에 포함된 수분 제거는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오일이 진공압력에 의해 회전식노즐(106)을 통하여 진공챔버 속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오일 속에 포함된 수분과 오일의 포화증기 압력과 온도 사이의 상관관계에 의하여 수분이 증발되 도록 하고, 증발된 수분은 응축기(117)에 의하여 응축수로 만들어 제거하며, 입자상 오염물질의 제거는 오일이 정전분리에 의해 오염물질은 포집필터에 부착되면서 제거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원리를 이용하여 오일 속의 수분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오일 저장탱크에 저장된 오일 속의 수분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운전조건으로 정상운전{수분함유량이 50~800ppm인 오염물입자가 함유된 오일}, 순환운전1{수분함유량이 800ppm 이상인 오염물입자가 함유된 오일}, 순환운전2{수분함유량이 50ppm 이하인 오염물입자가 함유된 오일}로 구분하여 운전되며 세 가지 운전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정상운전 방법은 진공펌프(122)가 가동되면서, 솔레노이드밸브(121)와 솔레노이드밸브(109) 및 솔레노이드밸브(102)가 개방이 되고, 나머지 솔레노이드밸브들은 닫혀진 상태에서 진공펌프(122)의 진공압력에 의해 오일저장탱크(100)에 있는 오일이 여과필터(101)를 거쳐 히터챔버(104)와 진공챔버(107)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여과필터(101)는 오일 속에 함유된 200㎛ 이상의 큰 오염입자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이다.
이때 진공챔버(107) 및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는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오일이 유입될 때 히터챔버(104)에 부착된 수분센서(103)는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함유량을 실시간 측정하여,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함유량이 50~800ppm으로 측정되면 정상운전 조건으로 운전된다.
히터챔버(104) 내에 유입된 오일은 히터챔버(104) 내에 부착된 레벨측정센서(105)에 의해 오일 양을 측정하며, 오일 양이 일정 이상이면 히터를 가동시켜서 오일을 가열하며, 오일 양이 일정량 이하일 경우에는 히터의 가동이 멈추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오일은 진공챔버(107) 내의 회전식 노즐(106)에 의해 분사되고 오일 속의 수분이 기화되면서 진공챔버(107) 내로 유입된다. 진공챔버(107) 내에서 기화된 수분은 응축기(117)를 거쳐 수분저장챔버(119)에 저장되며, 저장된 수분(물)은 장비 운전정지시 및 수분저장챔버(119)에 부착된 레벨센서(118)가 동작하면 자동 배출된다.
또한, 진공챔버(107)에 부착된 레벨센서(108)가 유입되는 오일 양을 측정할 때까지 오일은 진공챔버(107)로 유입되며, 레벨센서(108)가 가동되면 솔레노이드밸브(111)가 개방되면서 진공챔버에 유입된 오일이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로 보내진다.
이때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에 부착된 레벨센서(115)는 3단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스위치는 고전압을 가동시키는 기능, 중간스위치는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에 유입된 오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펌프(116)를 가동시키는 기능, 상부스위치는 진공챔버(107) 내에 유입된 오일이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로 유입되는 오일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진공챔버(107)에 유입된 오일은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에 부착된 레벨센서(115)의 상부 스위치가 오일 양을 측정할 때까지 오염입자제거챔버(114)로 보내지며, 레벨센서(115)의 상부 스위치가 작동하면 솔레노이드밸브 (111)와 솔레노이드밸브(109)가 닫히면서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로 오일의 공급이 차단된다.
이때 진공챔버(107) 및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는 고진공(-85Kpa 이상)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로 오일이 유입되면 고전압(정전이온방식)에 의해 오염입자는 포집필터에 의해서 제거된다.
또한,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에 유입된 오일을 배출하는 공정은 솔레노이드밸브(110)를 개방하면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로 대기중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의 진공도는 떨어진다. 이후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의 진공도가 -40Kpa 이하로 떨어지면 솔레노이드밸브(110)는 닫힌다.
이후 솔레노이드밸브(113)는 개방되면서 배출펌프(116)를 가동하여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의 오일을 오일저장탱크(100)로 배출하며,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에 부착된 레벨센서(115)의 중간스위치의 작동이 멈출 때까지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의 오일을 배출한다.
이때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의 진공도는 배출펌프의 오일 배출로 인해 진공도는 -60Kpa로 진공도가 올라간다.
또한,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의 오일을 오일저장탱크(100)로 배출하는 과정에도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에서는 오일속의 오염물은 포집필터에 의해서 제거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출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밸브(113)는 닫힌다.
그리고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의 오일을 배출하는 동안 진공챔버(107) 내로 유입된 오일을 다시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로 이송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109)를 개방하면, 진공챔버(107)와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가 동일한 고진공으로 유지된다.
이후 동작은 상기 내용을 반복하면서 오일 속의 수분 및 오염물입자를 제거한다.
둘째, 순환운전 1방법은 진공펌프(122)가 가동되면서, 솔레노이드밸브(121)와 솔레노이드밸브(109) 및 솔레노이드밸브(102)가 개방이 되고, 나머지 솔레노이드밸브들은 닫혀진 상태에서 진공펌프(122)의 진공압력에 의해 오일저장탱크(100)에 있는 오일이 여과필터(101)를 거쳐 히터챔버(104)와 진공챔버(107) 내로 유입된다.
이때 진공챔버(107) 및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는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오일이 유입될 때 히터챔버(104)에 부착된 수분센서(103)는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함유량을 실시간 측정하여,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함유량이 800ppm 이상으로 측정되면 순환운전 1조건으로 운전된다.
솔레노이드밸브(109)가 닫히면서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의 진공을 중지시킨다.
히터챔버(104) 내에 유입된 오일은 히터챔버(104) 내에 부착된 레벨측정센서(105)에 의해 오일 양을 측정하며, 오일 양이 일정 이상이면 히터를 가동시켜서 오일을 가열하며, 오일 양이 일정량 이하일 경우에는 히터의 가동이 멈추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오일은 진공챔버(107) 내의 회전식 노즐(106)에 의해 분사되고 오일 속의 수분이 기화되면서 진공챔버(107) 내로 유입된다. 진공챔버(107) 내에서 기화된 수분은 응축기(117)를 거쳐 수분저장챔버(119)에 저장되며, 저장된 수분(물)은 장비 운전정지시 및 수분저장챔버(119)에 부착된 레벨센서(118)가 동작하면 자동 배출된다.
또한, 진공챔버(107)에 부착된 레벨센서(108)가 유입되는 오일 양을 측정할 때까지 오일은 진공챔버(107)로 유입되며, 레벨센서(108)가 작동되면 솔레노이드밸브(109)와 솔레노이드밸브(110)는 개방이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09)와 솔레노이드밸브(110)가 개방되면 진공챔버(107) 내로 대기중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진공챔버(107) 내의 진공도가 떨어진다. 이후 진공챔버(107)의 진공도가 -40Kpa 이하로 떨어지면 솔레노이드밸브 (110)와 솔레노이드밸브(109)는 동시에 닫히게 된다.
이후 솔레노이드밸브(112)를 개방한 후 배출펌프(116)를 가동시켜 진공챔버(107)에 유입된 오일을 오일저장탱크(100)로 배출하며, 진공챔버(107) 내의 오일을 일정량 배출이 완료되면 배출펌프(116)는 가동을 멈추고, 또 솔레노이드밸브 (112)도 닫힌다.
이때 진공챔버(107) 내의 진공도는 -60Kpa로 상승되며, 배출완료 후 진공챔버(107) 내의 진공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고진공 상태로 회복된다.
이후 동작은 상기내용을 반복하면서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며, 오일 속의 수분함유량이 80ppm 이하로 떨어지면 정상운전 상태로 자동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일 속에 수분이 다량 함유된 오일인 경우에도 오일 속의 수분을 일정량 제거한 이후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로 오일을 이송함으로써 포집필터에 수분이 함유되지 않아 고전압에 의한 정전이온방식의 오염물입자제거 능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월등히 빠르게 실현할 수 있다.
셋째, 순환운전 2방법은 정상운전 상태에서 수분함유량이 50ppm 이하로 떨어지면 진공펌프(122)가 OFF 되고 솔레노이드밸브(121)가 CLOSE, 응축기(117) OFF, 솔레노이드밸브(109) OPEN, 솔레노이드밸브(110) OPEN 되면서 진공챔버(107) 및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를 대기압으로 퍼지시킨다. 나머지 밸브의 위치는 솔레노이드밸브(102) CLOSE, 솔레노이드밸브(111) OPEN, 솔레노이드밸브(112) CLOSE, 솔레노이드밸브(113) OPEN, 솔레노이드밸브(124) OPEN 상태로 변경된다.
진공챔버(107) 및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가 대기압으로 퍼지되면 솔레노이드 밸브(109) CLOSE, 솔레노이드밸브(110) CLOSE 시킨다.
이후 오일공급펌프(123)를 ON 시키면 오일저장탱크(100)의 오일이 여과필터(101), 히터챔버(104), 진공챔버(107),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를 거처 오일저 장탱크(100)로 되돌아오게 되면서 오일 속의 오염물을 종래의 기술보다 40~50% 빠르게 제거한다.
운전 중 수분함유량이 50ppm 이상으로 재상승하면 장비는 정상운전상태로 자동 전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윤활유 정화 장치 및 그 방법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오일저장탱크 101 여과필터
102 솔레노이드밸브 103 수분센서
104 히터챔버 105 레벨측정센서
106 회전식 노즐 107 진공챔버
108 레벨센서 109 솔레노이드밸브
110 솔레노이드밸브 111 솔레노이드밸브
112 솔레노이드밸브 113 솔레노이드밸브
114 오염물입자제거챔버 115 레벨센서
116 배출펌프(오일공급펌프) 117 응축기
118 레벨센서 119 수분저장탱크
120 솔레노이드밸브 121 솔레노이드밸브
122 진공펌프 123. 오일공급펌프
124.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4)

  1. 오일저장탱크(100)에 있는 오일을 진공펌프(122)의 진공감압으로 유입하여 오일 속에 함유되어 있는 200㎛ 이상의 큰 오염입자를 정화하기 위한 여과필터(101),
    상기 여과필터(101)를 거쳐 유입되는 오일을 가열하는 히터챔버(104),
    상기 히터챔버(104)에 유입된 오일 양을 감지하여 히터챔버(104) 내에 오일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히터로 오일을 가열시키기 위한 레벨측정센서(105) 및 실시간 오일속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하는 수분센서(103), 상기 가열된 오일을 분출하여 오일 속의 수분을 기화시키는 회전식 노즐(106)과 오일이 유입되는 양을 측정하는 오일량 측정 레벨센서(108)가 형성된 진공챔버(107), 상기 진공챔버(107)에서 기화된 수분을 냉각시키는 응축기(117)와, 상기 응축기(117)에서 냉각된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저장탱크(119), 진공감압으로 오일 속의 수분을 제거하는 진공펌프(122)와,
    상기 진공챔버(107)에 유입된 오일이 레벨센서(108)의 동작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111)가 동작되면서 오염물입자제거챔버로 이송되며, 유입된 오일은 정전이온방식에 의해 포집필터로 오염입자를 제거하는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상기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 내의 오일을 오일저장탱크(100)로 이송하는 오일배출펌프(116)로 구성된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 및 오염물입자를 제거하는 오일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에 있어서,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함유량을 수분센서(103)가 실시간 측정하여,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함유량이 50~800ppm으로 측정되면 정상운전 조건으로, 수분함유량이 800ppm 이상으로 측정되면 순환운전 1조건으로 수분함유량이 50ppm 이하로 측정되면 순환운전 2조건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센서(103)가 오일 내의 수분의 함유량을 800ppm 이상으로 감지하면 오일 속에 함유된 수분만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챔버(107) 내의 오일을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로 이송하지 않고 오일저장탱크(100)로 직접 이송하며, 수분함유량이 800ppm 이하가 될 때까지 오일 속의 수분만을 제거하는 순환운전조건 2로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정화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센서(103)가 오일 내의 수분함유량이 50ppm 이하로 감지하면 진공펌프(122), 응축기(117) 및 히터(104)의 운전을 정지한 후 오일공급펌프(123)를 가동시키면 오일저장탱크(100)의 오일이 여과필터(101), 히터챔버(104), 진공챔버(107), 오염물입자제거챔버(114)를 거쳐 오일저장탱크(100)로 되돌아오게 되면서 오일 속의 오염물만을 제거하는 순환운전 조건 1로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정화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센서(103)의 수분함유량 측정 결과에 따라 정상운전 조건, 순환운전 1조건, 순환운전 2조건을 자동 선택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정화방법.
KR1020090079505A 2009-08-27 2009-08-27 오일 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 KR10093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05A KR100937486B1 (ko) 2009-08-27 2009-08-27 오일 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05A KR100937486B1 (ko) 2009-08-27 2009-08-27 오일 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486B1 true KR100937486B1 (ko) 2010-01-19

Family

ID=4180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505A KR100937486B1 (ko) 2009-08-27 2009-08-27 오일 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48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0942A (zh) * 2012-10-30 2013-01-30 西安勤业石油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润滑工程车净化系统及净化方法
CN103611636A (zh) * 2013-11-15 2014-03-05 昆山威胜达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静电离心分离滤油机
KR101493861B1 (ko) 2013-10-22 2015-02-16 주식회사 포스코 오일 순환 시스템
KR101520480B1 (ko) * 2014-04-04 2015-06-16 김상현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KR101544397B1 (ko) 2014-05-14 2015-08-13 김성중 연료유 정제 시스템
KR101868881B1 (ko) * 2017-12-01 2018-06-19 일진피앤에스 주식회사 유증기 처리장치
CN109308961A (zh) * 2018-11-24 2019-02-05 运城清海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器干燥设备
CN109876513A (zh) * 2019-03-13 2019-06-14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加油装置全油量油液的净化方法及装置
CN112877127A (zh) * 2021-04-21 2021-06-01 胡平 一种气动式润滑油循环再利用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8410A (en) 1989-09-05 1990-11-06 Electrolube Devices, Inc. Oil recovery system
US7147788B2 (en) 2000-05-17 2006-12-12 Magnar Tveiten Separating a hydrocarbon production stream into its oil, water and particle constituents
KR100751490B1 (ko) 2007-06-25 2007-08-23 한국 노스케스코그 주식회사 오일정유기
KR100837093B1 (ko) 2008-02-15 2008-06-12 동우이엔이주식회사 오일재생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8410A (en) 1989-09-05 1990-11-06 Electrolube Devices, Inc. Oil recovery system
US7147788B2 (en) 2000-05-17 2006-12-12 Magnar Tveiten Separating a hydrocarbon production stream into its oil, water and particle constituents
KR100751490B1 (ko) 2007-06-25 2007-08-23 한국 노스케스코그 주식회사 오일정유기
KR100837093B1 (ko) 2008-02-15 2008-06-12 동우이엔이주식회사 오일재생장치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0942A (zh) * 2012-10-30 2013-01-30 西安勤业石油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润滑工程车净化系统及净化方法
KR101493861B1 (ko) 2013-10-22 2015-02-16 주식회사 포스코 오일 순환 시스템
CN103611636A (zh) * 2013-11-15 2014-03-05 昆山威胜达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静电离心分离滤油机
KR101520480B1 (ko) * 2014-04-04 2015-06-16 김상현 변압기용 진공 오일여과기
KR101544397B1 (ko) 2014-05-14 2015-08-13 김성중 연료유 정제 시스템
KR101868881B1 (ko) * 2017-12-01 2018-06-19 일진피앤에스 주식회사 유증기 처리장치
CN109308961A (zh) * 2018-11-24 2019-02-05 运城清海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器干燥设备
CN109308961B (zh) * 2018-11-24 2024-03-08 运城清海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器干燥设备
CN109876513A (zh) * 2019-03-13 2019-06-14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加油装置全油量油液的净化方法及装置
CN109876513B (zh) * 2019-03-13 2023-12-08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加油装置全油量油液的净化方法及装置
CN112877127A (zh) * 2021-04-21 2021-06-01 胡平 一种气动式润滑油循环再利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486B1 (ko) 오일 정화장치의 오일정화 방법
KR101599791B1 (ko) 진공을 이용한 윤활유 수유분리 장치
KR101075369B1 (ko) 흡착탑의 활성탄 가열 재생 처리장치
CN202724862U (zh) 一种油净化装置
KR100964709B1 (ko) 폐윤활유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JP5927700B2 (ja) 水処理システム
EP0716867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CN202446937U (zh) 油雾分离器
KR100926439B1 (ko) 오일 정화장치
EP2139585B1 (en) Improved oil drier regenerator and method for regenerating an inline filter
KR101544397B1 (ko) 연료유 정제 시스템
JP5833977B2 (ja) 潤滑油の除水装置
JP2010142790A (ja) 排ガス処理システム
JP5954101B2 (ja) 安水処理システム
CN203281130U (zh) 一种油液净化装置
KR101131991B1 (ko) 유증기 처리 장치 및 방법
SK50262010U1 (en) Device for waste disposal
KR0138026B1 (ko) 산업용 폐오일 재생방법 및 장치
JP2003103245A (ja) 汚染対象物の浄化装置
RU78091U1 (ru) Установка адсорбционной осушки и очистки газа
KR100478660B1 (ko) 산회수 배출가스의 수분 감소를 통한 염소농도 저감장치
KR20030079797A (ko) 유기계 배기가스의 처리방법 및 장치
CN219072573U (zh) 一种含氯废气的净化装置
KR20220139029A (ko) 저진공 방식 윤활유 재생장치
RU2537585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