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982B1 - 금(Au)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와 도자기유약, 그리고이를 이용한 채색도자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Au)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와 도자기유약, 그리고이를 이용한 채색도자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982B1
KR100934982B1 KR1020080015330A KR20080015330A KR100934982B1 KR 100934982 B1 KR100934982 B1 KR 100934982B1 KR 1020080015330 A KR1020080015330 A KR 1020080015330A KR 20080015330 A KR20080015330 A KR 20080015330A KR 100934982 B1 KR100934982 B1 KR 10093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old
glaze
soluble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074A (ko
Inventor
이병하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기도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9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의 효과적인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와 도자기유약, 그리고 이러한 안료와 유약을 이용한 붉은 계열의 채색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안료 또는 도자기유약은, 물 또는 기본도자기유약; 수용성 금화합물(gold compound); 및 금이온의 콜로이드화를 촉진하는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colloid accelera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각각 단독 물질로 준비되어 물 또는 기본도자기유약에 혼합되거나 또는 서로 결합된 결합체 형태로 준비되어 물 또는 기본도자기유약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로 AuCl3(염화금), HAuCl4(염화금산)을 제안하며,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로 Na2CO3(탄산나트륨), NaOH(수산화나트륨)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가 서로 결합된 결합체 형태로 KAu(CN)2(시안화금칼륨)을 제안한다.
도자기, 유약, 안료, 금, 붉은색

Description

금(Au)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와 도자기유약, 그리고 이를 이용한 채색도자기 제조방법{Paints and glaze for color development of gold in ceramic,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ainted ceramic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의 효과적인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와 도자기유약, 그리고 이러한 안료와 유약을 이용한 붉은 계열의 채색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는 일반적으로 도자기용 소지로 빚은 기물에 유약을 시유한 후 소성한 제품을 말하며, 이러한 도자기는 그릇, 장식품, 세면기, 변기, 타일 등 다양하게 이용된다. 도자기로 만든 상품에서 디자인은 제품구매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도자기 디자인에서 색채는 미감(美感)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다양한 색채의 채색도자기가 상품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채색도자기에서 붉은 색은 CuO(산화동)에 의한 진사유약에 의존해 왔으며, 이 진사유약은 고온의 환원염에서 산소가 부족하면 CuO(산화동)에서 동(Cu)이 환원되면서 적색으로 발색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그러나, CuO(산화동) 에 의한 진사유약이 적색을 내려면 완전 환원 소성을 해야 하는데, 이 진사유약은 소성시 휘발이 심하고 소성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이를 적용하여 붉은 색의 도자기를 상품화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위와 같은 종래 진사유약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자는 염화금(AuCl3)수용액을 이용하여 붉은 계열의 채색을 가능케 한 도자기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07-42612호로 출원한 바 있다. 즉, 염화금수용액을 도자기안료로 이용한 것으로, 기물에 유약을 시유한 후 염화금수용액으로 기물 표면에 그림을 그리고 이어 환원 소성함으로써 염화금(AuCl3)속의 금(Au)의 발색을 유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염화금수용액을 이용한 채색도자기는 간편한 방법으로 진사효과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인 염화금을 5~30% 농도로 다량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자신의 선출원 발명을 좀더 발전시켜 염화금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금의 발색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소량의 금화합물을 가지고도 금(Au)의 발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도자기안료와 도 자기유약, 그리고 이러한 도자기안료와 도자기유약을 이용하여 붉은 계열의 색채를 최적으로 띠게 할 수 있는 채색도자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 또는 기본도자기유약; 수용성 금화합물; 및 금이온(Au+)의 콜로이드화를 촉진하는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각각 단독 물질로 준비되어 물 또는 기본도자기유약에 혼합되거나 또는 서로 결합체 형태로 준비되어 물 또는 기본도자기유약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 또는 도자기유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를 이용하여 도자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도자기용 기물을 성형하는 단계; (b)성형한 기물을 초벌 소성하는 단계; (c)초벌 소성한 기물에 도자기유약을 시유하는 단계; (d)유약을 시유한 기물 표면에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로 채색하는 단계; 그리고, (e)채색한 기물을 1200~1300℃에서 재벌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색도자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유약을 이용하여 도자기를 제조하 는 방법으로서, (a)도자기용 기물을 성형하는 단계; (b)성형한 기물을 초벌 소성하는 단계; (c)초벌 소성한 기물에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유약을 시유하는 단계; 그리고, (d)유약을 시유한 기물을 1200~1300℃에서 재벌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색도자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화합물을 콜로이드촉진제와 함께 도자기안료 또는 도자기유약의 원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금(Au)이 콜로이드화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소량의 금화합물을 가지고도 금의 발색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경제적으로 채색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수용성 금화합물(gold compound)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colloid accelerator)를 물에 섞어 도자기안료를 만들거나,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를 통상적인 기본도자기유약에 섞어 도자기유약을 만든다는데 특징이 있다. 즉, 금(Au)의 발색을 위한 수용성 금화합물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와 함께 이용하는 것이다. 다만,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각각 단독 물질로 준비되어 물 또는 기본도자기유약에 혼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결합된 결합체 형태로 준비되어 물 또는 기본도자기유약에 혼합될 수도 있다.
수용성 금화합물은 물 또는 통상적인 기본도자기유약(물을 함유함)에 녹게 되는데,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금의 콜로이드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금의 콜로이드화는 화합물상태의 금(AuX, X=Cl3 3 -, HCl4 3 -, 등 )을 금 분자(Au)로 환원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금의 콜로이드화 촉진은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 또는 결합체의 양이온(Na+, K+, 등)들이 역할하며, 금이 콜로이드화가 됨에 따라 금 콜로이드는 도자기안료 또는 도자기유약에 떠 있게 된다. 이로써 금의 콜로이드화가 진행된 도자기안료 또는 도자기유약을 이용하여 채색도자기를 만들면 채색도자기는 금(Au)이 발색되면서 붉은 계열의 색채를 띠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1. 도자기안료와 이를 이용한 채색도자기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안료는 물; 수용성 금화합물; 및, 금이온의 콜로이드화를 촉진하는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로 AuCl3(염화금), HAuCl4(염화금산)을 제안하며,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로 Na2CO3(탄산나트륨), NaOH(수산화나트륨)을 제안한다. 상기 제안된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각각 단일물질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2종 이상의 물질을 함께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서로 결합된 결합체 형태로 준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결합체 형태는 물과 혼합되어 본 발명에 다른 도자기안료로 완성되며 그 결합체 형태의 대표적인 예로는 KAu(CN)2(시안화금칼륨)이 있다. 상기 KAu(CN)2(시안화금칼륨)에서는 K+가 금의 콜로이드화 촉진에 관여한다.
상기의 도자기안료를 이용하여 채색도자기를 만든다면, (a)도자기용 기물을 성형하는 단계; (b)성형한 기물을 초벌 소성하는 단계; (c)초벌 소성한 기물에 유약을 시유하는 단계; (d)유약을 시유한 기물 표면에 상기한 도자기안료로 채색하는 단계; 그리고, (e)채색한 기물을 1200~1300℃에서 재벌 소성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하는 도자기안료만이 다를 뿐, 특허출원 제2007-42612호의 도자기 제조방법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재벌단계를 고온의 환원염 조건에서 소성하는 것이 도자기안료 속에 미처 콜로이드화되지 못한 금이온이 환원되는데 유리하다.
[실시예 1] 도자기안료
본 실시예에서는 금화합물로 AuCl3(염화금)를, 콜로이드촉진제로 Na2CO3(탄산나트륨)를 이용하여 다음 표 1 및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도자기안료를 제조하였다.
AuCl3(염화금)의 농도 변화에 따른 조성
시험예 1 2 3 4
AuCl3(g) 1 1 1 1
물(cc) 8 16 32 64
Na2CO3(탄산나트륨)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조성(상기 표 1의 시험예 4의 용액을 16등분 한 후 Na2CO3 을 정해진 분량대로 첨가함)
시험예 4-1 4-2 4-3 4-4 4-5 4-6 4-7 4-8
Na2CO3(g) 0 0.01 0.03 0.05 0.07 0.09 0.11 0.13
시험예 4-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Na2CO3(g) 0.15 0.17 0.19 0.21 0.23 0.25 0.27 0.37
[실시예 2] 도자기안료를 이용한 채색도자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도자기안료를 이용하여 채색도자기를 만들었다. 초벌 소성한 기물을 석회유약으로 시유한 후 그 표면에 상기 표 2의 도자기안료로 채색하고 1240℃의 환원염에서 재벌 소성하여 채색도자기를 만들었다.
도 1 및 도 2는 상기 실시예 1의 표 1 및 표 2의 조성에 따른 도자기안료를 이용하여 완성한 채색도자기의 색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AuCl3만을 물에 섞어 도자기안료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AuCl3 함유량이 많을수록 붉은 색이 진해졌으나, 도 2에서와 같이 AuCl3 수용액에 Na2CO3를 첨가한 경우 소량의 AuCl3을 가지고도 짙은 붉은 색이 나타났다. 도 2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물 50~80중량부, AuCl3(염화금) 0.5~1.5중량부, Na2CO3(탄산나트륨) 0.1~0.6중량부로 조성할 때 금의 발색도가 최적화된 붉은 색 도자기안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2. 도자기유약과 이를 이용한 채색도자기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유약은 물을 함유한 기본도자기유약; 수용성 금화합물; 및, 물에 녹은 금이온의 콜로이드화를 촉진하는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도자기유약에서 기본도자기유약은 통상적으로 도자기 제조시 이용되는 유약을 의미하는 것으로 금화합물과 콜로이드촉진제가 녹을 수 있게 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금 발색력을 고려할 때 마그네시아를 함유하지 아니한 석회유약, 석회바륨유약이 바람직하다.
도자기유약에서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도자기안료에서와 마찬가지로 금화합물로 AuCl3(염화금), HAuCl4(염화금산)을 채택하고,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로 Na2CO3(탄산나트륨), NaOH(수산화나트륨)을 채택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의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각각 하나의 물질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두 물질을 같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서로 결합된 결합체 형태로 준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결합체 형태는 기본도자기유약과 혼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유약으로 완성되며 그 결합체 형태의 대표적인 예로는 KAu(CN)2(시안화금칼륨)이 있다.
상기의 도자기유약으로 채색도자기를 만든다면, (a)도자기용 기물을 성형하는 단계; (b)성형한 기물을 초벌 소성하는 단계; (c)초벌 소성한 기물에 도자기유약을 시유하는 단계; 그리고, (d)유약을 시유한 기물을 1200~1300℃에서 재벌 소성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하는 도자기유약만이 다를 뿐, 통상적인 도자기 제조방법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자기유약
본 실시예에서는 석회유약 100g에 금화합물로 AuCl3(염화금)를, 콜로이드촉진제로 Na2CO3(탄산나트륨)를 변화시키면서 다음 표 3 및 표 4와 같은 조성으로 도자기유약을 제조하였다.
AuCl3(염화금)의 농도 변화에 따른 조성(Na2CO3(탄산나트륨) 미첨가)
시험예 1 2 3 4
석회유약(g) 100 100 100 100
AuCl3(g) 0.3 0.5 0.7 1
Na2CO3(탄산나트륨)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조성(상기 표 3의 각 시험예를 기준으로 Na2CO3를 정해진 분량대로 첨가함)
석회유약 100g Na2CO3(g)
0 0.1 0.2 0.3 0.4
AuCl3(g) 1 시험예 4 시험예 4-1 시험예 4-2 시험예 4-3 시험예 4-4
0.7 시험예 3 시험예 3-1 시험예 3-2 시험예 3-3 시험예 3-4
0.5 시험예 2 시험예 2-1 시험예 2-2 시험예 2-3 시험예 2-4
0.3 시험예 1 시험예 1-1 시험예 1-2 시험예 1-3 시험예 1-4
또한, 본 실시예를 통해서는 석회유약 100g에 금화합물과 콜로이드촉진제의 결합체 형태인 KAu(CN)2(시안화금칼륨)를 첨가량에 변화를 주면서 다음 표 5와 같은 조성으로 도자기유약을 제조하였다.
KAu(CN)2(시안화금칼륨)의 농도 변화에 따른 조성
시험예 1 2 3 4
석회유약(g) 100 100 100 100
KAu(CN)2(g) 1 0.5 0.25 0.125
[실시예 4] 도자기유약을 이용한 채색도자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도자기유약을 이용하여 채색도자기를 만들었다. 초벌 소성한 기물을 도자기유약으로 시유한 후 1240℃의 환원염에서 재벌 소성하여 채색도자기를 만들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실시예 3의 표 3 및 도 4의 조성에 따른 도자기유약을 이용하여 완성한 채색도자기의 색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AuCl3만을 도자기유약에 섞어 유약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AuCl3 함유량이 많을수록 붉은 색이 오히려 유백색으로 나타났으나, 도 4에서와 같이 AuCl3 혼합한 석회유약에 Na2CO3를 첨가한 경우 소량의 AuCl3을 가지고도 선명한 붉은 색(시험예 1, 1-1, 1-1, 1-3, 1-4, 2-3, 2-4)이 나타났다. 도 4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석회유약 100중량부, AuCl3(염화금) 0.1~0.7중량부, Na2CO3(탄산나트륨) 0.1~1.0중량부로 조성할 때 금의 발색도가 최적화된 붉은 색 도자기안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도 5는 상기 실시예 3의 표 5의 조성에 따른 도자기유약을 이용하여 완성한 채색도자기의 색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KAu(CN)2 소량을 가지고도 선명한 붉은 색이 나타났는 바, 석회유약에 KAu(CN)2(시안화금칼륨) 혼합한 도자기유약을 이용하면 붉은 색의 채색도자기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안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채색도자기를 찍은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유약을 이용하여 제조된 채색도자기를 찍은 사진이다.

Claims (9)

  1. 물;
    수용성 금화합물(gold compound); 및,
    금이온(Au+)의 콜로이드화를 촉진하는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colloid accelera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각각 단독 물질로 준비되어 물에 혼합되거나 또는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가 결합된 결합체 형태로 준비되어 물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
  2. 제1항에서,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은 AuCl3(염화금), HAuCl4(사염화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Na2CO3(탄산나트륨), NaOH(수산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
  3. 제2항에서,
    물 50~80중량부,
    AuCl3(염화금) 0.5~1.5중량부,
    Na2CO3(탄산나트륨) 0.1~0.6중량부의 혼합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
  4. (a)도자기용 기물을 성형하는 단계;
    (b)성형한 기물을 초벌 소성하는 단계;
    (c)초벌 소성한 기물에 유약을 시유하는 단계;
    (d)유약을 시유한 기물 표면에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자기안료로 채색하는 단계; 그리고,
    (e)채색한 기물을 1200~1300℃, 환원염에서 재벌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색도자기 제조방법.
  5. 물을 함유한 기본도자기유약;
    수용성 금화합물(gold compound); 및,
    금이온(Au+)의 콜로이드화를 촉진하는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colloid accelera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각각 단독 물질로 준비되어 기본도자기유약에 혼합되거나 또는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가 결합된 결합체 형태로 준비되어 기본도자기유약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유약.
  6. 제5항에서,
    상기 기본도자기유약은 석회유약이며,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은 AuCl3(염화금), HAuCl4(사염화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Na2CO3(탄산나트륨), NaOH(수산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유약.
  7. 제6항에서,
    석회유약 100중량부,
    AuCl3(염화금) 0.1~0.7중량부,
    Na2CO3(탄산나트륨) 0.1~1.0중량부의 혼합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유약.
  8. 제5항에서,
    상기 기본도자기유약은 석회유약이며,
    상기 수용성 금화합물과 수용성 콜로이드촉진제는 서로 결합된 결합체 형태로서 KAu(CN)2(시안화금칼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유약.
  9. (a)도자기용 기물을 성형하는 단계;
    (b)성형한 기물을 초벌 소성하는 단계;
    (c)초벌 소성한 기물에 상기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자기유약을 시유하는 단계; 그리고,
    (d)유약을 시유한 기물을 1200~1300℃, 환원염에서 재벌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색도자기 제조방법.
KR1020080015330A 2008-02-20 2008-02-20 금(Au)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와 도자기유약, 그리고이를 이용한 채색도자기 제조방법 KR100934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330A KR100934982B1 (ko) 2008-02-20 2008-02-20 금(Au)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와 도자기유약, 그리고이를 이용한 채색도자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330A KR100934982B1 (ko) 2008-02-20 2008-02-20 금(Au)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와 도자기유약, 그리고이를 이용한 채색도자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074A KR20090090074A (ko) 2009-08-25
KR100934982B1 true KR100934982B1 (ko) 2010-01-06

Family

ID=4120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330A KR100934982B1 (ko) 2008-02-20 2008-02-20 금(Au)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와 도자기유약, 그리고이를 이용한 채색도자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569B1 (ko) * 2011-04-07 2013-04-17 김영환 깃봉 및 깃봉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586B1 (ko) * 2012-02-29 2013-09-10 한국세라믹기술원 하회안료의 제조방법
KR101500861B1 (ko) * 2013-10-07 2015-03-10 유기정 도자기의 콜로이드 소성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436B1 (ko) * 1992-04-20 1994-07-20 은정식 황금도자기의 제조방법
KR19980042869A (ko) * 1997-02-06 1998-08-17 메르크볼프강 자주색 세라믹 장식품 제조용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용도
JP2000327462A (ja) * 1999-05-24 2000-11-28 Aida Kagaku Kogyo Kk 貴金属焼結用組成物及び貴金属装飾製品の製造方法
KR100436748B1 (ko) * 2001-10-29 2004-06-22 신홍대 그릇의 귀금속 용해도금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436B1 (ko) * 1992-04-20 1994-07-20 은정식 황금도자기의 제조방법
KR19980042869A (ko) * 1997-02-06 1998-08-17 메르크볼프강 자주색 세라믹 장식품 제조용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용도
JP2000327462A (ja) * 1999-05-24 2000-11-28 Aida Kagaku Kogyo Kk 貴金属焼結用組成物及び貴金属装飾製品の製造方法
KR100436748B1 (ko) * 2001-10-29 2004-06-22 신홍대 그릇의 귀금속 용해도금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569B1 (ko) * 2011-04-07 2013-04-17 김영환 깃봉 및 깃봉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074A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3419B (zh) 红铜色的金属光泽釉及其制备方法
CN101255067B (zh) 一种仿金属釉的制备方法
CN102249739B (zh) 一种炭金色金属光泽结晶釉的制备方法
EP173133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aterial like antique tiles
CN102219561B (zh) 一种豹点纹釉的制作方法
CN105330158A (zh) 一种深色陶瓷的釉料及其制备方法
KR100934982B1 (ko) 금(Au)의 발색을 위한 도자기안료와 도자기유약, 그리고이를 이용한 채색도자기 제조방법
CN1762912A (zh) 汝瓷发光釉及其制备方法
CN107759090B (zh) 一种仿黑金砂大理石效果的釉料及其应用
CN109081591A (zh) 具有规则缩釉纹理的艺术陶瓷及其制备方法
CN108484114A (zh) 一种高掺量抛光废料的釉面瓷质砖及其制备方法
CN103588506A (zh) 黑底银片纹陶瓷釉的配方及其制备方法
CN105601110A (zh) 黑色银滴还原窑变釉及用其制备的黑色银滴还原窑变釉陶瓷制品及制备方法
CN109293337B (zh) 一种成化霁蓝釉瓷的制备方法
CN103693991A (zh) 一种变色釉料及其制备方法
CN103332965B (zh) 一种金黄色结晶干粒釉料及其使用方法
CN1583658A (zh) 彩色釉中彩瓷及其制备方法
CN111070952A (zh) 一种陶瓷釉上珠光浮雕彩花纸及其制作方法
CN102505822B (zh) 一种表面镀黄金的瓷砖及其制造方法
KR101994272B1 (ko) 유약 및 컬러유약 및 이를 이용한 아트타일의 제조 방법
CN103787693A (zh) 一种陶瓷釉面砖及其制备方法
DE19841321C2 (de) Verfahren zum Färben von Keramikoberflächen
CN1312782A (zh) 以水溶性金化合物为基础的适合于使陶瓷制品着色的组合物
CN114380502B (zh) 一种具有珍珠效果的陶瓷干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方法
CN108383383B (zh) 一种无底釉低温窑变锆白釉料的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