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320B1 - 카운터웨이트 - Google Patents

카운터웨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320B1
KR100934320B1 KR1020090022066A KR20090022066A KR100934320B1 KR 100934320 B1 KR100934320 B1 KR 100934320B1 KR 1020090022066 A KR1020090022066 A KR 1020090022066A KR 20090022066 A KR20090022066 A KR 20090022066A KR 100934320 B1 KR100934320 B1 KR 10093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synthetic resin
contents
counterweigh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849A (ko
Inventor
히사시 후꾸모도
요시나오 하라오까
요시히사 남바
도모유끼 다까하시
도오루 후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3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Jib Cran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리사이클이 가능한 카운터웨이트를 제공한다.
철제의 외벽부재(8)의 안쪽에 철광석이나 철 스크랩 등의 중량물(重量物)(5)을 채운 카운터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5)의 간극에 철구재(鐵球材)(11)를 충전한다. 용접 슬러그(slug)(12)를 충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중량물(5)과 철구재 (11) 또는 용접 슬러그(12)로 구성한 내용물 전체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 (21)로 굳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물 전체를 발포성이 있는 발포성합성수지(22)로 덧붙여서 전체를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중량물(5)의 간극에 모래(6)를 충전하여 중량물(5)과 모래(6)로 구성한 내용물 전체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21)로 굳혀도 무방하다. 또한, 입상철재(粒狀鐵材)(15) 및/또는 분상철재(粉狀鐵材)(16)를 미리 굳혀서 제작한 브리켓트 (briquet)(17)를 충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나아가서 철제의 외벽부재(8)의 안쪽에 철 스크랩(scrap)(14), 괴상 (塊狀)철재(18), 입상철재(15) 및 분상철재(16)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채워도 무방하다. 또한 브리켓트(17)를 채워도 무방하다.
카운터웨이트, 철구재, 슬러그, 철 스크랩, 입상철재, 숏볼, 분상철재, 브리켓트, 괴상철재, 가연성 및 가용성의 합성수지, 발포성합성수지.

Description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도1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운터웨이트 내용물의 설명도.
도2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운터웨이트 내용물의 설명도.
도3은 도2의 P부 상세도.
도4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운터웨이트 내용물의 설명도.
도5는 다른 실시형태의 카운터웨이트 내용물의 설명도.
도6은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운터웨이트 내용물의 설명도.
도7은 브리켓트의 사시도로서 (a)는 편평(扁平)한 계란형 타원구체(球體)로 된 것, (b)는 구체로 된 것이다.
도8은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운터웨이트 내용물의 설명도.
도9는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운터웨이트 내용물의 설명도.
도10은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운터웨이트 내용물의 설명도.
도11은 제8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운터웨이트 내용물의 설명도.
도12는 제8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의 카운터웨이트 내용물의 설명도.
도13은 일반적인 유압셔블의 측면도.
도14는 종래의 카운터웨이트의 내용물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작업차량, 2: 차체, 3: 작업기, 4: 카운터웨이트,
5: 중량물, 6: 모래, 7: 시멘트, 8: 외벽부재,
11: 철구재, 11a ∼11e: 철구재, 12: 슬러그,
14: 철스크랩 15 : 입상철재, 15a: 숏볼,
16: 분상철재, 17: 브리켓트, 18: 괴상철재,
21: 가연성 또는 가연성의 합성수지, 22: 발포합성성수지,
23: 덮개, 31: 상층부, 33: 바닥부(底部),
35: 측면 외주부.
본 발명은 용이하게 리사이클(recycle)이 가능하고, 철제 폐자재(鐵製 廢資材) 등의 산업폐기물이 될 철재(鐵材)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카운터웨이트(counter weight)에 관한 것이다.
작업기를 가진 유압 셔블, 휠 로더, 포크리프트 등의 작업차량은 일반적으로 작업기 측과의 중량 평형(平衡)을 고려하여 작업기와는 반대쪽의 차체 끝부분에 카운터웨이트를 비치하고 있다. 예컨대 도13에 도시한 작업차량(1)으로서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는, 차체(2)의 앞부분에 붐, 암(arm) 및 버킷(bucket) 등을 가진 작업기(3)를 구비하고 작업기(3)와 반대쪽의 차체(2)의 후단 부에 카운터웨이트(4)를 비치하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카운터웨이트(4)에는 주물로 구성된 것도 있으나, 이것은 대단히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비용을 저렴하게 하기 위하여서는, 도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철제 판(plate)을 판금(板金) 가공한 외벽부재(8)의 안쪽에, 철광석 및 철 스크랩(폐재료) 등의 중량물(5)과, 이들 중량물(5)의 간극(間隙)을 메울 모래(6)를 수납하고, 이 중량물(5) 및 모래(6)가 움직이지 않도록 전체를 시멘트(7)로 굳혀 구성한 것이 일반적으로 제작되고 있다.
요즘, 산업폐기물에 의한 환경파괴가 아주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산업폐기물을 구성하는 물질을 분리, 선별하여 리사이클이 가능한 것은 리사이클 하는 것이 강력히 요구되어 지고 있다. 종래보다,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리사이클 하는 것을 착상은 하고 있었으나 아직, 충분하게 리사이클 되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리사이클성(recyclability)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종래의 구조로서는 리사이클성이 나빠서, 리사이클이 대단히 곤란하게 되어 있다.
즉, 리사이클을 하기 위하여서는, 외벽부재(8)와 내용물의 분리 및 내용물인 철광석이나 철 스크랩 등의 중량물(5)과 콘크리트를 분리할 필요가 있는 바, 이 작업은 유압 셔블에 장착한 해체기 등으로 카운터웨이트(4)를 파쇄하여 외벽부재(8) 및 중량물(5)을 벗겨 내는 작업임으로 좀처럼 능률이 오르지 않아, 고 비용을 초래한다. 또한, 분리된 콘크리트는 리사이클성이 낮아, 매립용 암석 등으로 밖에는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일로, 카운터웨이트(4)의 리사이클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이하게 리사이클이 가능한 카운터웨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작용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발명은 철제의 외벽부재의 안쪽에 철광석이나 철 스크랩 등의 중량물이 채워진 카운터웨이트로서, 상기 중량물의 간극에 철구재(鐵球材)를 충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중량물의 간극에 철구재를 충전하여 내용물을 구성하고, 시멘트 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리사이클 시에 콘크리트를 파쇄할 필요가 없이, 중량물이나 철구재의 분리가 아주 용이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리사이클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철구재로서 숏볼(shot ball), 베어링의 볼 재료, 또는 빠찡꼬 볼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이 끝나고 폐기물로 처리하기가 곤란한 것을 사용할 수가 있어서, 보다 리싸이클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철구재를 사용함으로서 종래의 모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비중이 커짐으로 카운터웨이트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제 2 발명은 철제 외벽 부재 안쪽에 철광석이나 철 스크랩 등의 중량물을 채운 카운터웨이트로서, 상기 중량물의 간극에 용접 시 등에서 발생하는 용접 슬러그를 충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중량물의 간극에 용접 슬러그를 충전하여 구성한 것으로, 리사이클 시에 제1발명과 같이 콘크리트를 떼어낼 필요가 없으며, 외벽부재와 중량물과 용접 슬러그의 분리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어, 리사이클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 3 발명은, 제1 또는 제2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과 철구재 또는 용접 슬러그로 구성한 내용물 전체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로 굳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 전체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로 굳히기 때문에, 리싸이클시에 로(爐)나 버너 등으로 가열하여 동 합성수지를 태우거나, 녹이므로서, 중량물과 모래와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리사이클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 4 발명은, 제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과, 철구재 또는 용접 슬러그로 구성된 내용물을, 발포성합성수지로 접착시켜, 전체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을 발포성합성수지로 접착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리사이클 시에는 이 발포성합성수지를 제거하는 작업만으로 충분함으로, 내용물의 분리작업이 아주 용이하게 되어, 리사이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발명은, 철제의 외벽부재의 안쪽에 철광석이나 철 스크랩 등의 중량물을 채운 카운터웨이트로서, 상기 중량물의 간극에 모래를 충전하여, 상기 중량물과 모래로 구성된 내용물 전체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로 굳힌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중량물과 모래의 내용물 전체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로 굳히기 때문에, 리사이클 시에 이 수지를 태우거나 녹여서 중량물과 모래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되므로, 리사이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6 발명은, 철제의 외벽부재의 안쪽에 철광석이나 철 스크랩 등의 중량물을 채운 카운터웨이트로서, 상기 중량물의 간극에 입상(粒狀)철재 및/ 또는 분상(粉狀)철재를 미리 굳혀서 제작한 브리켓트를 충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입상철재 및/또는 분상철재를 고체화하여 제작한 브리켓트를 중량물의 간극에 충전하기 때문에, 리사이클 시 철제의 외벽부재를 파괴 절단하여 중량물과 브리켓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가 있어서, 리사이클성이 아주 좋다. 또한, 브리켓트로 한 상태에서 입상철재 및 분상철재를 사용하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더욱이 분진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그리고, 입상철재 및 분상철재로서 숏 볼의 폐재료, 및 숏볼의 조각이나 제거된 철분 등 산업폐기물이 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카운터웨이트로서, 철제의 외벽부재의 안쪽에 철 스크랩, 괴상(塊狀)철재, 입상철재 및 분상철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채우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 7 발명에 의하면, 철 스크랩, 괴상철재, 입상철재 및 분상철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채웠기 때문에, 내용물이 전부 철제의 것이 됨으로서, 리사이클 시에 철제의 외벽부재와 내용물을 그대로 간단하게 재이용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용해하여 재이용하는 경우에는, 외벽부재와 내용물과를 분리할 필요가 없이 동시에 전기로 내에 투입할 수가 있다. 따라서, 리사이클 시의 내용물의 분리작업이나 재용해작업이 아주 용이하게 되어, 리사이클성을 높일 수가 있다.
제 8 발명은, 철제의 외벽부재의 안쪽에, 철 스크랩, 괴상철재, 입상철재 및 분상철재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 입상철재 및 /또는 분상철재를 미리 굳혀서 제작한 브리켓트를 채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이다.
제 8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을 철 스크랩, 괴상철재, 입상철재 및 분상철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와 철제 브리켓트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리사이클 시에 외벽부재와 내용물을 분리할 필요가 없이 동시에 전기로에 투입하여 처리가 가능하므로, 리사이클성이 아주 좋으며, 또한, 입상 철재 및/또는 분상철재를 미리 굳혀서 제작한 브리켓트를 사용함으로서 취급이 용이하고, 또 분진이 일어나지 아니하므로 작업성이 양호하다. 더구나 입상 철재 및/분상철재로서 숏볼의 폐재료 및 숏볼의 조각이나 제거된 철분 등 산업폐기물이 될만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제 9 발명은, 철제의 외벽부재의 안쪽에 숏볼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이다.
제 9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을 철제의 숏볼만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리사이클 시에 철제의 외벽부재와 내용물을 분리하지 않고 동시에 전기로에 투입하여 처리가 가능함으로서, 리사이클성이 아주 양호하다. 또한, 숏볼의 폐재료 등 산업폐기물이 될만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제 10 발명은, 제 7, 8 또는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재의 안쪽에 채운 내용물을, 고체화 수단으로 굳힌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 10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내용물의 상층부를 굳힘으로서, 아래쪽의 내용물의 진동을 억제하여 소음발생을 낮출 수 있으며, 또한, 내용물의 바닥부를 굳게 하므로서,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여 바닥판 대신에 내용물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어 바닥판의 판 두께를 얇게 할 수가 있어서, 카운터웨이트의 중량을 경량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내용물의 바닥부와 측면 외주부(側面外周部)를 굳힘으로서, 내용물의 지지나, 외부로부터의 보호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첨부도면에 따라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1에 의하여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제1실시예로서 카운터웨이트 내용물의 설명도 이며, 도14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여기에선 설명을 생략한다.
카운터웨이트(4)는, 철제 판의 판금가공에 의하여, 또는 주물에 의해 용기 모양으로 형성된 외벽부재(8)의 안쪽에, 철광석이나 철 스크랩 등의 중량물(5)을 수납하고, 이들 중량물(5) 사이의 간극에는 철구재(11)를 채우고 있다. 외벽부재 (8)의 윗면에는 덮개(23)를 부착하고 있다. 철구재(11)는 예를 들면, 숏피닝(shot peening)용의 숏볼로 사용 완료된 것이나 신품, 베어링용 볼 재료, 또는 빠찡꼬 볼로 사용 완료된 것이나 신품 등으로 구성이 된다. 그리고, 이들 중량물(6) 및 철구재(11)가 움직이지 않도록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21)를 주입하여 전체를 굳힌다. 이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21)는 철광석 등의 중량물(5)이나 철구재(11)가 용해하지 않을 정도의 소정온도에서 연소 하는 정도의 가연성 또는 용해될 정도의 가용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리사이클작업의 순서를 설명한다.
(1). 카운터웨이트(4)를 리사이클 하는 경우에는 우선 카운터웨이트(4)를 도시하지 않은 로(爐)내에서 소정온도로 가열하여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21)를 연소시키거나 용해시킨다. 또한, 버너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용해시키는 경우에는, 로(爐)밖에서 카운터웨이트(4)를 서서히 기울여서, 용해한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21)를 소정 용기에 옮긴다.
(2).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21)와 분리된 중량물(5) 및 철구재(11)를 선별하여 모은다.
상기구성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1).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21)를 연소시키나 용해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외벽부재(8)와 중량물(5) 및 철구재(鐵球材)(11)를 분리할 수 있으며, 리사이클성을 높일 수가 있다. 더구나 로(爐)에서 복수개의 카운터웨이트(4)를 일괄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버너 등으로 간단히 연소시킬 수가 있어서, 작업능률이 좋다.
(2). 철구재(11)는 구르기 때문에, 카운터웨이트(4)의 제조 시에 중량물(5)사이의 간극에 철구재(11)를 충전할 때 조밀하게 채워넣기 쉽다. 또한, 반대로 리사이클 시에는 카운터웨이트(4)로부터의 배출이 용이하며 중량물(5)과 철구재(11)의 입자 직경이 달라서 체 등에 의하여 중량물(5)과의 분리가 용이하여 분리시의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3). 철구재(11)는 모래보다도 비중이 크기 때문에, 모래를 사용하는 것보다 내용물의 소량화가 가능함으로, 이에 의하여 카운터웨이트(4)를 소형화할 수 있다.
(4). 철구재(11)로서 사용완료된 것을 이용함으로서, 종래 폐기물처리에 곤란하던 것을 재이용할 수가 있어서, 리사이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에 도 2 및 도3에 의하여,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내용물의 설명도이며, 도3은 도2의 P부 상세도이다. 도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중량물(5)사이의 간극에는 입자직경이 다른 복수 종류의 철구재(11)(도3에서는 철구재11a∼11e)가 혼합하여 충전되어 있다. 복수 종류의 철구재(11)는 예를 들면, 상기 숏볼, 베어링용 볼 재료, 또는, 빠찡꼬 볼 등으로 사용완료된 것이나 신품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입자직경의 종류는 1종류로도 가능하다. 이들의 철구재(11)는 중량물(5)사이의 간극에서 그 움직임이 억제될 정도로 조밀하게 채워서 충전되어 있다.
본 제2실시예에 의하여 아래의 효과를 얻는다.
(1). 중량물(5)과 철구재(11)와 외벽부재(8)를 고정하고 있는 시멘트나 수지 등이 사용되지 아니하여서, 분리작업이 아주 용이하며 리사이클성이 좋다.
(2). 또한, 입자직경이 다른 복수 종류의 철구재(11)를 복수 종류로 혼합하여 충전하는 경우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4)의 제조 시에 중량물(5) 사이의 간극에 조밀하게 채워져 움직이기 어렵게 된다. 또한, 철구재(11)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 시에는 철구재(11)가 구르기 쉬워 카운터웨이트 (4)로부터 배출이 용이하며, 체에 의하여 중량물(5)과 철구재(11)와의 분리가 용이하여 분리시의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3).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자직경이 다른 복수 종류의 철구재(11)를 복수 종류로 혼합하여 충전하는 경우에는, 철구재(11)는 조밀하게 채워져 단위 체적 당 비중을 크게 할 수 있음으로, 카운터웨이트(4)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4). 철구재(11)로서 사용완료한 것을 이용함으로서, 종래 폐기처리에 곤란을 겪던 것이 재이용이 가능하여, 리사이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5). 중량물(5)로서 철 스크랩 등의 철제부재만을 이용함으로서, 내용물을 중량물(5) 및 철구재(11)의 철제부재 만으로 할 수 있어, 리사이클 시에 외벽부재 (8)를 제거한 내용물을 그대로 전기로 등에 투입하는 등 리사이클 작업을 아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다음에 도4에 의하여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카운터웨이트(4)의 안쪽에는 중량물(5) 및 철구재(11) 등의 내용물을 소정의높이까지 채우고, 상부의 공간에는 비닐봉지를 사용하여, 이 비닐봉지 내에 발포성합성수지(22)를 소정량 주입한 후에, 곧바로, 상부에 덮개(23)를 씌운다. 이 발포성합성수지(22)는, 액상으로 주입시킨 후에, 차례로 발포하고, 체적이 차례로 팽창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이 발포성합성수지(22)는 카운터웨이트(4)의 상부 공간 안에서 팽창하여, 내용물을 위쪽부터 밀어 붙이면서 외벽부재(8)와 덮개(23)와 내용물에 의하여 둘러싸인 형상으로 굳는다. 철구재(11)로서는 입자직경이 다른 복수종류의 것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으며, 또는, 1종류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중량 물(5)로서는 철광석 및 철 스크랩 등의 철제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가지여도 무방하다.
더구나, 발포성합성수지(22)에 의하여 내용물의 좌측 및/또는 우측 방향으로부터 압착되게 구성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는다.
(1). 중량물(5)과 철구재(11)와는 조밀하게 채워지며, 동시에 위쪽 또는 좌우방향으로부터 발포성합성수지(22)로 눌러 붙임으로서 움직이는 일이 없게 된다. 리사이클 시에는, 상기 발포성합성수지(22)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중량물(5) 및 철구재(11)와 용이하게 분리되어 리사이클성이 아주 좋다.
(2)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철구재(11)를 사용함으로서, 제조시에 철구 재(11)가 조밀하게 채워져 리사이클 시에는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내용물비중이 모래 등을 사용한 경우보다 커지므로, 카운터웨이트(4)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철구재(11)를 사용완료된 것을 이용하기때문에, 리사이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량물(5)내의 간극에 철구재(11)를 충전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밖의 실시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 시 등에 발생하는 슬러그(12), 기계가공 시에 발생하는 절단형 칩(13) 및 모래(6) 등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충전하여도 좋다. 또는, 중량물(5)과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어느 경우에도, 콘크리트와의 분리작업이 없으므로, 리사이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내용물전체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21)로 굳히거나, 카운터웨이트(4)의 상부공간 또는 좌우공간에 발포성합성수지(22)를 팽창시켜서 위쪽 또는 좌우 방향으로부터 내용물을 눌러 붙임으로서, 내용물의 진동이 없는, 리사이클성을 향상시킨 카운터웨이트(4)를 구성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다음에 도6에 의하여,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물(5)사이의 간극에, 입상(粒狀) 또는 분상(粉狀)으로 된 철재를 굳힌 브리켓트(17)를 채우고 있다. 입상 철재로서는 예를 들면, 숏피닝이나 숏 블라스트(shot blast)용의 숏볼(shot ball) 등의 철구재(鐵球材)의 열화(劣化)한 폐자재를 이용할 수가 있으며, 또 분상철재로서는, 숏볼의 마모 가루나, 숏블라스트로 제거된 철분(鐵粉), 철판을 제조할 때 발생하는 스케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브리켓트(17)는 입상 및 /또는 분상철재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 또는 전분(澱粉) 등의 이음재로 작업자가 취급하기 쉬운 크기나, 형상으로 굳힌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7(a)의 편평한 계란형 타원구체나, 도7(b)의 구체(球體)로 제작되고 있다. 또한, 굳힐 때에 그 고체화강도가 소정강도가 되도록 관리되고 있다. 또한, 자기분리기(magnetic separator) 등에 의하여 입상 또는 분상(粉狀) 철재의 입도(粒度)를 선별한 것을 굳혀서, 소정의 비중(예를 들면 4, 0)으로 제작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량물(5)과 이들 중량물 사이에 채워진 브리켓트(17)로 내용물을 구성하였으므로 리사이클 시에 이들 부재의 분리작업이 용이하여 리사이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브리켓트(17)는 소정의 크기나, 형상으로 굳혀서 제작되어 있음으로, 관리, 운반 및 제작시의 작업자의 취급이 용이하며, 분진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작업성도 좋다. 그리고, 굳히는 입상 또는 분상철재의 입도(粒度)를 선별하여 브리켓트(17)의 비중이 소정 값이 되도록 제작하므로서, 카운터웨이트(4) 전체의 비중을 소망하는 값으로 하는 경우에 그 비중조정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산업폐기물로서 처리하지 않으면 안 될 숏볼의 폐재료나 스케일 등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성이 아주 좋다.
(제5실시예)
다음에 도8에 의하여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벽부재(8)의 안쪽에, 내용물로서 철스크랩(14), 괴상철재(18), 입상철재(15) 및 분상철재(16)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의 철재를 수납하여 카운터웨이트(4)를 구성하고 있다. 도8(a)는 철스크랩(14)만이 수납되고, 도8(b)는 괴상철제(18)만 수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8(c)는 입상철재(15)만, 도8(d)는 분상철재(16)만이 각각 수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8(e)는 철스크랩(14)와 분상철재(16)를 혼합하여 수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철스크랩(14)으로서는 예를 들면, 철판을 가공한 때의 남은재료(殘材), 폐기재료, 절단 칩, 가공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괴상철재(18)로서는 펀치롤러(베어링볼 이나 빠찡꼬볼 등)의 폐자재를, 또 입상철재(15)로서는 숏볼(15a)의 열화한 폐재료 등을 각각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분상철재(16)로서는 숏볼의 조각, 숏피닝이나 숏블라스트시에 제거된 철분, 철판을 제조할 때 나오는 스케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카운터웨이트(4)의 내용물로서 철스크랩(14), 괴상철재 (18), 입상철재(15) 및 분상철재(16) 등의 철제만을 수납하기 때문에, 리사이클 시에는 외벽부재(8)와 내용물를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간단히 재이용할 수 있다. 즉, 예를들면 용해시켜 재이용할 경우에는, 카운터웨이트(4)를 전기로에 투입 가능한 소정의 크기로 쪼개여 절단하고, 외벽부재(8)와 내용물을 동시에 전기로 내에 투입 할 수 있다. 따라서, 리사이클 시의 내용물의 분리작업이나 재용해작업이 아주 용이하게 되며, 리사이클성을 높일 수가 있어 작업성이 좋다.
(제6실시예)
다음에, 도9에 의하여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용물로서,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상철재(15) 및 / 또는 분상철재(16)를 합성수지 또는 전분 등의 이음재로 굳힌 상기 브리켓트(17)만을 수납하거나,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브리켓트(17)와 철스크랩(14), 괴상철재(18), 입상철재(15) 및 분상철재 (16)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수납 하는 〔도면 표시에서는, 브리켓트(17)와 입상부재(15)와의 혼합〕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브리켓트(17)나 철제부재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리사이클 시에 철제외벽부재(8)와 내용물과의 분리작업이 불필요 하게 되고, 또 브리켓트 (17)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입상철재(15) 및 분상철재(16)의 취급이 아주 용이하게 된다. 또한, 브리켓트(17)는 전기로 내에서 처리가 가능하므로, 철제의 외벽부재 (8)와 상기 내용물을 동시에 전기로에 투입할 수가 있어서, 리사이클성이 아주 좋고 작업성이 좋다.
(제7실시예)
도10에 의하여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카운터웨이트(4)의 외벽부재(8)로 둘러싸인 안쪽에는 상기 브리켓트(17), 철스크랩(14), 괴상철재(18), 입상철재(15) 및 분상철재(16)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가 수납되어 있고, 이들 내용물의 상층부(31)만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굳혀지고 있다.
(상층부를 굳히는 방법)
(1) 살수(撒水)하여 상층부(31)만을 산화시켜서 산화물로 굳힌다.
(2)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굳힌다.
(3) 그리스(grease) 등의 점성이 있는 물질을 주입시킨다.
(4) 발포우레탄을 사용하여 굳힌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및 발포우레탄은, 연소시켜도 아황산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알칼리페놀계의 것이 바람직하며, 또 소정값 이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층부(31)만을 상기한 고체화 수단으로 굳힘으로서 하부의 내용물이 움직이기 어렵게 되어, 내용물전체가 진동이 안 된다. 또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이 움직일 때에도 내용물로부터 소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카운터웨이트(4)의 중심위치(重心位置)를 안정화시켜서 차량의 동작을 안정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리사이클 시에는 철제의 외벽부재와 내용물을 동시에 전기로에서 처리 가능하므로, 리사이클성이 아주 좋아진다.
(제8실시예)
다음에 도11에 의하여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카운터웨이트(4)의 외벽부재 (8)로 둘러싸인 안쪽에는 상기 브리켓트(17), 철스크랩(14), 괴상철재(18), 입상철재(15) 및 분상철재(16)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가지가 수납되어 있고 이들 내용 물의 바닥 부(33)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굳혀진다.
(1).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굳힌다.
(2). 발포우레탄을 사용하여 굳힌다.
또한, 상기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 및 발포우레탄은, 알칼리페놀계의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소정값 이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내용물이 바닥 부(33)가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나 발포우레탄 등의 고체화수단으로 굳혀져서 소정값 이상의 강도를 가지게 되므로, 내용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가 있으며, 이때문에 외벽부재(8)의 바닥판의 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카운터웨이트(4)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리사이클 시에는 철제의 외벽부재(8)와 내용물을 동시에 전기로 내에서 처리할 수 있으므로, 리사이클성이 아주 좋다.
도12는 제8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내용물의 내부를 둘러쌈으로서 바닥부(33) 및 측면외주부(35) 등의 바깥쪽만을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 또는 발포우레탄등의 고체화수단으로 굳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철광석이나 철스크랩 등의 중량물과 이들 중량물 사이에 채워진 철구재, 용접슬러그, 절단칩, 모래 및 브리켓트(입상 또는 분상철재를 소정의 크기로 굳힌 것) 등에 의하여 내용물을 구성하였으므로, 리사이클 시에 이들 부재의 분리작업이 용이하여, 리사이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들 내용물전체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로 굳히는 것에 의해, 내용물의 진동이나 소리를 확실하게 없앨 수 있는 동시에, 리사이클 시에 상기 합성수지를 연소시키거나 용해시켜서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음으로, 리사이클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철구재를 사용함으로서, 조밀하게 채울 수가 있으며, 또 비중을 크게 할 수 있어서, 카운터웨이트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철구재를 사용함으로서 카운터웨이트의 제조시 리사이클 시의 철구재의 충전이나 배출의 작업성이 좋다.
또한 사용완료된 철스크랩, 괴상철재, 입상철재(상기 철구재를 포함), 분상철재, 용접슬러그 등을 이용함으로서 종래 폐기처리에 곤란을 겪던 것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서, 리사이클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내용물로서 철스크랩, 괴상철재, 입상철재(상기 철구재를 포함) 및 분상철재 등의 철재로 이루어진 부재만을 수납함으로서, 리사이클 시에는 철제의 외벽부재와 내용물과를 분리할 필요가 없이 동시에 전기로에서 처리할 수 있으므로, 리사이클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에, 입상철재나 분상철재를 수지 또는 전분 등으로 소정의 크기와 형상으로 굳힌 브리켓트를 사용하면 작업자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분진이 일어나지 않아서 작업성이 양호하다.
상기의 철로 된 부재 만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내용물의 상층부만을 소정의 고체화 수단에 의하여 굳힘으로서 내용물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진동으로 인한 소리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바닥부(底部), 또는 바닥부와 외주부만을 소정의 고체화 수단에 의하여 굳힘으로서, 해당 바닥부의 강도를 높여서 내용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외벽부재의 바닥판이나 측면판의 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철제의 외벽부재(8)의 내부에 철광석이나 철 스크랩 등의 중량물(5)을 채운 카운터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5)의 간극에 모래(6)를 충전하고, 상기 중량물(5)과 모래(6)로 구성한 내용물 전체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21)로 고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
  2. 철제외벽부재(8)의 내부에 철광석이나 철 스크랩 등의 중량물(5)을 채운 카운터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5)의 간극에 입상철재(15)나 분상철재(16)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21)로 미리 굳혀서 제작한 브리켓트(17)를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
  3. 카운터웨이트에 있어서, 철제 외벽부재(8)의 내부에 철 스크랩(14), 괴상철재(18), 입상철재(15) 및 분상철재(16) 중에서 어느 한가지와 입상철재(15)나 분상철재(16)를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21)로 미리 굳혀서 제작한 브리켓트(17)를 채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외벽부재(8)의 내부에 채우는 내용물을 가연성 또는 가용성의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고화시키는 고화수단으로 고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
KR1020090022066A 2001-04-05 2009-03-16 카운터웨이트 KR100934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106989 2001-04-05
JP2001106989 2001-04-05
JPJP-P-2001-277336 2001-09-12
JP2001277336A JP3514744B2 (ja) 2001-04-05 2001-09-12 カウンタウエイ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822A Division KR100914576B1 (ko) 2001-04-05 2002-04-01 카운터웨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849A KR20090034849A (ko) 2009-04-08
KR100934320B1 true KR100934320B1 (ko) 2009-12-29

Family

ID=2661312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822A KR100914576B1 (ko) 2001-04-05 2002-04-01 카운터웨이트
KR1020080130067A KR20090005276A (ko) 2001-04-05 2008-12-19 카운터웨이트
KR1020090022066A KR100934320B1 (ko) 2001-04-05 2009-03-16 카운터웨이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822A KR100914576B1 (ko) 2001-04-05 2002-04-01 카운터웨이트
KR1020080130067A KR20090005276A (ko) 2001-04-05 2008-12-19 카운터웨이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14744B2 (ko)
KR (3) KR100914576B1 (ko)
DE (1) DE10213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9144B2 (ja) * 2001-06-20 2012-09-05 新東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カウンタウエイト及びそのリサイクル法
JP2005220569A (ja) * 2004-02-04 2005-08-18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カウンタウエイト及びカウンタウエイトの製造方法
JP2005282090A (ja) * 2004-03-29 2005-10-1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リサイクル可能なカウンタウエイ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82074A (ja) * 2004-03-29 2005-10-1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リサイクル可能なカウンタウエイ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776948B2 (en) 2007-04-13 2010-08-17 Innotec Composite counterweight and method of making same
ES2377892B1 (es) * 2010-09-07 2013-01-08 D-3 Ingeniería Y Desarollo S.L. Contrapeso de alta densidad.
KR101494765B1 (ko) * 2014-07-24 2015-02-25 주식회사 에스틸 전동 건설기계에 구비된 저중량 리튬축전지용 충진타입 카운터웨이트
BE1023013B1 (fr) * 2015-12-02 2016-11-04 Dufour Sa Contrepoids pour grues et procédé d'empiler des contrepoids pour grues
WO2019096606A1 (de) * 2017-11-17 2019-05-23 Inventio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gengewichts für einen aufzug, verfahren zum aufbau einer aufzugsanlage, gegengewicht für einen aufzug und aufzugsanlage mit einem gegengewich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158A (ko) * 1997-12-26 1999-07-15 문봉만 제강슬래그와 폐철류를 이용한 고내구성 중장비용 평형추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51U (ja) * 1992-08-20 1994-03-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カウンタウエイト構造
JPH11200420A (ja) * 1998-01-19 1999-07-27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158A (ko) * 1997-12-26 1999-07-15 문봉만 제강슬래그와 폐철류를 이용한 고내구성 중장비용 평형추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14744B2 (ja) 2004-03-31
JP2002364023A (ja) 2002-12-18
KR20090005276A (ko) 2009-01-13
KR20020079409A (ko) 2002-10-19
KR20090034849A (ko) 2009-04-08
KR100914576B1 (ko) 2009-08-31
DE10213859A1 (de) 200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320B1 (ko) 카운터웨이트
JP5610573B2 (ja) 製鋼用アルミニウムブリケ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EP2623230B1 (en) Method for making mold and material for making mold
Kurunov et al. Stiff extrusion briquetting in metallurgy
JP4270235B2 (ja) 飛灰の処理方法
JPH07157827A (ja) 非焼成塊成鉱の製造方法
EP1454996B1 (en) Briquette for raw material for iron manufacture and briquette for introduction into slag generating apparatus
JP2007132126A (ja) カウンタウエイト及びカウンタウエイトの製造方法並びに作業機械
KR100481962B1 (ko) 산업차량의 카운터웨이트 제조방법
JP5019144B2 (ja) 建設機械用カウンタウエイト及びそのリサイクル法
KR20010111750A (ko) 칩 또는 슬래그를 재활용한 제강용 선철 대용 단괴 제조장치
KR100884882B1 (ko) 카운터웨이트
JPH10330820A (ja) 転炉での廃車スクラップ使用操業法
KR200282463Y1 (ko) 산업차량의 카운터웨이트
KR101848263B1 (ko) 함철 더스트를 이용한 제강 정련방법
CN213967760U (zh) 危废焚烧炉渣废铁自动回收系统
KR102333177B1 (ko) 플라즈마 버너를 이용한 함철 및 비철부산물 분체의 용융환원광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JP2007132127A (ja) カウンタウエイト及びカウンタウエイトの製造方法並びに作業機械
JP5892333B2 (ja) 転炉の内張り耐火物の保護・補修方法
JP2005282090A (ja) リサイクル可能なカウンタウエイ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82074A (ja) リサイクル可能なカウンタウエイ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48626A (ja) 金属材料の溶解用原料
JP2000297289A (ja) 廃プラスチック成型燃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9109267B2 (en) Process for the introduction of inorganic solids into hot liquid melts
Warnke et al. A New Concrete Shielding Material for Wast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