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899B1 - 벽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벽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899B1
KR100933899B1 KR1020070132407A KR20070132407A KR100933899B1 KR 100933899 B1 KR100933899 B1 KR 100933899B1 KR 1020070132407 A KR1020070132407 A KR 1020070132407A KR 20070132407 A KR20070132407 A KR 20070132407A KR 100933899 B1 KR100933899 B1 KR 100933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frame
pair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8196A (ko
Inventor
가쓰야 이마이
도시유키 다키이
즈-광 시아오
웨이-쉰 쉬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5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수지제의 플레이트 프레임 및 금속제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플레이트 프레임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이며, 1개 이상의 배선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창을 가진다. 보강 프레임은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배치된다. 벽 플레이트에 있어서,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보다 긴 측부(1onger sides)의 중앙부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제1 조인트가 돌출된다. 각 제1 조인트은, 보강 프레임의 앞 에지 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고정 탭을 가진다. 각 고정 탭은 보강 프레임을 플레이트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또한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중앙부를 보강 프레임에 고정시킨다.

Description

벽 플레이트{WALL PLATE}
본 발명은 스위치 또는 콘센트(wall socket) 등의 배선 기구를 벽 등의 건축재(building materials)에 매립하여 설치하기 위한 벽 플레이트(wall plate)에 관한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또는 콘센트 등의 배선 기구를 건축재에 매립하여 설치하기 위한 벽 플레이트(100)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6-202716 참조). 그런데, 벽 플레이트(100)를 사용하여 배선 기구를 건축재에 설치하는 경우, 매립 박스(도시하지 않음)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매립 박스(switch/outlet box)는, 앞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이다. 상기 박스의 전단부에는, 상기 박스를 통해 벽 플레이트(100)를 벽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박스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나사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매립 박스는, 건축재에 형성된 매립구멍 내에 설치된다.
이 벽 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 프레임(plate frame)(200) 및 플레이트 커버(plate cover)(300)로 구성된다. 플레이트 프레임(200)은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상이며, 배선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창(230)을 가진다. 또한, 플레이트 프레 임(200)은 한 쌍의 장착편(220)을 가지고, 장착편(220)은 배선 기구(도시하지 않음)의 전단부가 장착창(23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배선 기구가 장착되어 배선 기구를 지지한다. 이 플레이트 프레임(200)은, 한 쌍의 장착편(220)에 장착된 배선 기구의 후단부가, 건축재에 형성된 매립구멍에 매립된 상태로, 건축재의 표면에 고정된다. 플레이트 커버(300)는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앞면의 전부를 덮도록, 플레이트 프레임(200)에 장착된다.
플레이트 프레임(200)은,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며, 한 쌍의 평행한 장착편(220 및 220)과, 한 쌍의 평행한 고정편(210 및 210)을 가진다. 고정편(210 및 210)은 장착편(220 및 220)의 양 단부 사이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이로써, 이들 고정편 및 장착편은 단일의 플레이트 프레임을 형성한다. 또한, 장착창(230)이, 고정편 및 장착편으로 둘러싸인 공간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이 장착창(230)에는, 최대 3개의 단위 치수의 배선 기구(modular insert)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외형 사이즈는, 매립구멍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각 고정편(210)의 내측 중앙부에는, 나사 삽입구멍(211)이 관통되고, 나사 삽입구멍(211)에는, 건축재로의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고정에 사용되는 박스 나사가 삽입된다. 한 쌍의 장착편(220 및 220)의 내측 측면에는, 3세트의 장착구멍(221)이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들 각 세트는 4개의 장착구멍(221)을 포함한다. 각 세트 4개의 장착구멍(221)은, 배선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장착 클릭(도시하지 않음)과 끼움 결합(fit)된다. 따라서, 배선 기구의 전단부가 장착 창(230)에 삽입된 상태로, 배선 기구의 장착 클릭을 장착구멍(221)에 결합시킴으로써, 배선 기구를 플레이트 프레임(200)에 장착할 수 있다.
플레이트 커버(300)는, 플레이트 프레임(200)과 마찬가지로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며,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앞면의 전부를 덮을 수 있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 커버(300)의 중앙에는, 플레이트 프레임(200)에 장착된 배선 기구의 앞면을 노출시키는 창구멍(310)이 형성되어 있다.
벽 플레이트(100)를 사용하여, 배선 기구를 건축재에 매립하여 설치하는 시공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배선 기구의 전단부를 장착창(230)에 삽입하면서, 배선 기구의 장착 클릭을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장착구멍(221)에 결합시킨다. 이로써, 배선 기구가 플레이트 프레임(200)에 장착된다. 그 후, 플레이트 프레임(200)에 장착된 배선 기구의 후단부를 매립 박스 내에 삽입하면서,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후면을 건축재의 표면에 접촉시켜, 플레이트 프레임(200)을 건축재의 표면 측에 배치한다. 이어서, 박스 나사를,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각 나사 삽입구멍(211)을 통하여, 매립 박스의 전술한 나사구멍에 배치한 후, 상기 박스 나사를 돌려, 플레이트 프레임(200)을 매립 박스와 일체로 건축재에 고정한다. 이어서, 플레이트 커버(300)를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앞면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시공에서는, 플레이트 프레임(200)은, 박스 나사로, 매립 박스와 일체로 건축재에 고정된다. 매립 박스는, 건축재에 형성된 매립구멍 내에 배치되므로, 매립 박스의 앞에는, 상기 건축재의 두께의 간극이 생긴다. 그러므 로, 플레이트 프레임(200)을 건축재에 고정할 때 박스 나사를 지나치게 체결하면, 플레이트 프레임(200)을 매립구멍 내에 밀어넣는 하중이, 플레이트 프레임(200)에 가해지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강성(剛性)은, 수지 재료로 인해 비교적 낮으므로,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중앙 측이 건축재의 매립구멍 내에 깊숙히 삽입되도록 변형되는 문제가 생겼다.
그와 같은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제의 보강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이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앞면에 구비된 벽 플레이트(100)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2-84618 참조). 이 보강 프레임은 플레이트 프레임(200)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프레임이, 플레이트 프레임(200)을 매립구멍 내에 밀어넣는 하중을 받음으로써, 매립구멍 내로의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하중으로 가장 변형되기 쉬운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부위는, 플레이트 프레임(200)에서의 나사 삽입구멍(211 및 211) 사이의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의 중앙 측(즉, 장착편(220)의 중앙 측)이다. 상기 보강 프레임은, 플레이트 프레임(200)의 각 고정편(210)만으로, 플레이트 프레임(200)에 고정되므로, 박스 나사를 지나치게 체결하면, 각 장착편(220)의 중앙 측이 보강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보다 쉽게 변형되지 않는 플레이트 프레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시에, 종래의 플레이트 프레임보다 변형되기 어려운 플레이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수지제의 플레이트 프레임 및 금속제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 플레이트이다.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은, 한 쌍의 평행한 고정편 및 한 쌍의 평행한 장착편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편은, 상기 한 쌍의 고정편 및 한 쌍의 장착편이 단일의 플레이트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장착편의 양 단부 사이에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고정편의 중앙부에는, 상기 벽 플레이트를 건축재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나사 삽입구멍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편 및 한 쌍의 장착편은, 적어도 1개의 배선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창을 형성한다. 상기 보강 프레임은, 한 쌍의 가로 측부(width sides) 및 한 쌍의 세로 측부(length sides)를 가진다. 상기 한 쌍의 가로 측부 및 한 쌍의 세로 측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고정편 및 한 쌍의 장착편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배치된다. 상기 벽 플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배선 기구의 전단부가 상기 장착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배선 기구를 상기 장착창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가진다. 또한, 상기 벽 플레이트는, 상기 장착 수단에 의해 상기 장착창에 장착된 상기 적어도 1개의 배선 기구의 후단부가, 상기 건축재에 형성된 매립구멍에 매립 되도록, 상기 건축재의 표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서,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중앙부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제1 조인트(joint(s))가 돌출된다.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1 조인트는,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배치된 상기 보강 프레임의 앞 에지 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고정 탭(fix tab)을 가진다.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1 조인트의 고정 탭은,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중앙부를 상기 보강 프레임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프레임은, 한 쌍의 고정편 및 한 쌍의 장착편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가로 측부 및 한 쌍의 세로 측부로 구성되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배치된다. 이 때,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1 조인트의 고정 탭이, 보강 프레임을 플레이트 프레임에 고정한다. 따라서, 시공시에, 플레이트 프레임을 매립구멍 내에 밀어넣는 하중이, 플레이트 프레임에 더해져도, 보강 프레임이 그 하중을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매립구멍 내로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1 조인트의 고정 탭이,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중앙부를 보강 프레임에 고정시키므로,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중앙부가 매립구멍 측으로 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프레임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이 플레이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제1 조인트가 돌출된다.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한 쌍의 제1 조인트는, 상기 장착편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간격(spacing)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각 세로 측부의 부분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장착편의 한 쌍의 제1 조인트 사이에 개재하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한 쌍의 제1 조인트가 서로 근접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프레임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각 세로 측부에는, 한 쌍의 커트(cuts)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각 커트에는, 리세스 에지(recess edge)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한 쌍의 제1 조인트는 각각, 상기 보강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세로 측부의 한 쌍의 커트 중에 놓여진다.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1 조인트의 고정 탭은, 상기 보강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커트에 형성된 리세스 에지에 끼움 결합(fit)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강 프레임의 각 커트으로부터의 고정 탭의 돌출 길이를 없애거나,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이 상기 장착 수단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장착 수단이 보강 프레임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강 프레임과 배선 기구의 절연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보강 프레임과 배선 기구의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고정편의 앞면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제2 조인트가 돌출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각 가로 측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제2 조인트가 삽입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2 조인트는,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배치된 상기 보강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관통구멍의 개구 에지 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고정 탭을 가진다.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2 조인트의 고정 탭은,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에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2 조인트의 고정 탭이, 보강 프레임을 플레이트 프레임에 고정시키므로, 시공시에, 나사 삽입구멍에 삽입된 나사의 체결에 의해, 하중이 플레이트 프레임에 더해져도, 플레이트 프레임의 고정편이 건축재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중앙부가 매립구멍 측으로 밀어넣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프레임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한층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시에 종래의 플레이트 프레임보다 변형되기 어려운 플레이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벽 플레이트(1)를 나타낸다. 벽 플레이트(1)는 플레이트 프레임(10), 보강 프레임(20), 및 플레이트 커버(30)로 구성된다. 플 레이트 프레임(10)은 적어도 1개의 주지의 배선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창(13)을 가지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주지의 배선 기구는 스위치 또는 콘센트 등이다. 그러므로, 플레이트 프레임(10)에는 장착창(13)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편(11) 및 한 쌍의 장착편(12)이 포함되고, 특히, 한 쌍의 장착편(12)은 배선 기구의 전단부가 장착창(13)에 삽입된 상태로, 배선 기구가 장착되어 배선 기구를 지지한다. 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은, 한 쌍의 장착편(12)에 장착된 배선 기구의 후단부가, 매립 박스(도시하지 않음) 내에 매립된 상태로, 건축재(40)(도 8 참조)의 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매립 박스는, 건축재(40)의 매립구멍(50)(도 8 참조)의 후방에 설치된다. 보강 프레임(20)은 금속제이며, 플레이트 프레임(10)의 한 쌍의 고정편(11) 및 한 쌍의 장착편(12)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가로 측부(width sides)(21) 및 한 쌍의 세로 측부(length sides)(22)를 가지고,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에 고정된다. 플레이트 커버(30)는, 보강 프레임(20)이 고정된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의 전부를 덮도록, 플레이트 프레임(10)에 장착된다.
플레이트 프레임(10)은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은 상기와 같이, 한 쌍의 평행한 고정편(11 및 11)과, 한 쌍의 평행한 장착편(12 및 12)을 가진다. 고정편(11 및 11)은, 고정편(11 및 11) 및 장착편(12 및 12)이 단일의 플레이트 프레임(10)을 형성하도록, 장착편(12 및 12)의 양 단부 사이에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고정편(11 및 11) 및 장착편(12 및 12)으로 둘러싸인 공간 부분이, 장착창(13)으로 된다. 예를 들면, 배선 기구가 단위 치수의 콘센트(modular socket) 또는 단위 치수의 스위치(modular switch)와 같은 단위 치수의 배선 기구(modular insert)인 경우, 장착창(13)은 최대 3개의 단위 치수의 배선 기구를 장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외형 사이즈는, 건축재에 형성되는 매립구멍(50)의 사이즈보다 크다.
각 고정편(11)의 내측의 중앙부에는, 나사 삽입구멍(11a)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두께 방향(도 1의 z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나사 삽입구멍(11a)에는, 박스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고, 이 박스 나사는 플레이트 프레임(10)을 건축재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각 고정편(11)의 외측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제2 조인트(11b)가 돌출되어 있다. 각 제2 조인트(11b)는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이며, 보강 프레임(20)을 플레이트 프레임(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각 고정편(11)의 나사 삽입구멍(11a)의 양측에는, 한 쌍의 걸림구멍(11d 및 11d)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각 고정편(11)의 걸림구멍(11d 및 11d)에는, 주지의 협지 금속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착탈 가능하게 걸린다. 즉, 매립 박스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한 쌍의 협지 금속기구(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2-84618 참조)를 사용하는 경우, 먼저, 각 협지 금속기구의 일부가, 걸림구멍(11d 및 11d)에 걸린다. 이어서, 박스 나사가, 나사 삽입구멍(11a)에 삽입되고, 돌리면서 협지 금속기구의 나사구멍에 삽입시킨다. 이로써, 건축재(4O)가 각 협지 금속구와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각 협지 금속기구 및 플레이트 프레임(10)이 건축재(4O)에 고정된다.
한 쌍의 장착편(12 및 12)의 내측의 양쪽 면에는, 3세트의 장착구멍(12a)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길이 방향(도 1의 y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들 각 세트는 4개의 장착구멍(12a)을 포함한다. 각 세트의 장착구멍(12a)에는, 배선 기구에 설치된 장착 클릭을 끼움 결합(fit)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선 기구의 전단부가 장착창(13)에 삽입된 상태로, 배선 기구의 장착 클릭을, 어느 세트의 장착구멍(12a)에 끼움 결합하면, 배선 기구를 장착창(13)에 장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착 수단은,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구멍(12a)이 형성된 장착편(12 및 12)으로 구성된다. 또한, 각 장착편(12)의 중앙부(장착편(12)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제1 조인트(12b 및 12b)가 돌출되어 있다. 각 장착편(12)의 제1 조인트(12b 및 12b)는, 반원기둥 형상의 돌출부이며, 장착편(1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조인트(12b)는 보강 프레임(20)을 플레이트 프레임(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플레이트 프레임(10)의 네 코너에는, 각각 4개의 걸림구멍(14)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각 걸림구멍(14)은 플레이트 커버(30)를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강 프레임(20)은 금속 재료(예를 들면, 금속판)로 제조되고, 한 쌍의 가로 측부(21) 및 한 쌍의 세로 측부(22)에 의해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로 측부(21)는 각각, 플레이트 프레임(10)의 한 쌍의 고정편(11)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평판 형상이며, 플레이트 프레임(10)의 한 쌍의 고정편(11)의 앞면에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가 로 측부(21)는, 한 쌍의 가로 측부(21) 및 한 쌍의 세로 측부(22)가 단일의 보강 프레임(20)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세로 측부(22)의 양 단부 사이에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한 쌍의 세로 측부(22)는 각각, 플레이트 프레임(10)의 한 쌍의 장착편(12)의 앞면에 배치된다. 한 쌍의 가로 측부(21 및 21) 및 한 쌍의 세로 측부(22 및 22)로 둘러싸인 공간 부분이,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23)를 형성한다. 플레이트 프레임(10)에 장착된 배선 기구의 앞면은, 그 개구부(23)를 통하여 노출된다.
각 가로 측부(21)의 내측 중앙부에는, 나사 삽입구멍(21a)이 보강 프레임(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각 나사 삽입구멍(21a)은 고정편(11)의 나사 삽입구멍(11a)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박스 나사가 각 측의 나사 삽입구멍(21a 및 11a)에 삽입된다. 또한, 각 가로 측부(21)의 외측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관통구멍(21b 및 21b)이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각 가로 측부(21)의 관통구멍(21b 및 21b)에는, 각각 대응하는 고정편(11)의 제2 조인트(11b 및 11b)가 삽입된다. 또한, 각 가로 측부(21)의 나사 삽입구멍(21a)의 양측에는, 한 쌍의 걸림구멍(21c 및 21c)이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각 측의 걸림구멍(21c 및 21c)은, 각각 대응하는 고정편(11)의 걸림구멍(11d 및 11d)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각 측의 걸림구멍(21c, 21c, 11d, 11d)에는, 상기 협지 금속기구의 일부가 걸릴 수 있다.
각 세로 측부(22)에는, 반원 형상의 한 쌍의 커트부(22a 및 22a)가 형성되고, 각 장착편(12)의 제1 조인트(12b 및 12b)가, 각각 대응하는 세로 측부(22)의 커트부(22a 및 22a) 중간에 위치된다. 또한, 도 2a, 도 4b,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커트부(22a)의 전방 에지부에는, 리세스 에지(22b)가 형성된다. 여기서, 각 제1 조인트(12b)는 용융 변형(melt deformation)에 의해, 보강 프레임(20)의 앞 에지 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고정 탭(12c)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1 조인트(12b)의 고정 탭(12c)은, 제1 조인트(12b)가 중간에 위치되는 커트부(22a)의 리세스 에지(22b)에 끼움 결합된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세로 측부(22)는 횡단면이 L자 형상이며, 이로써, 각 세로 측부(22)의 강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3a 내지 도 3e,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20)은, 각 가로 측부(21) 및 각 세로 측부(22)가 각각, 각 고정편(11) 및 각 장착편(12)과 중첩되도록,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각 측의 나사 삽입구멍(21a 및 11a)이, 하나의 나사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제1 조인트(12b)가 각 커트부(22a) 중간에 위치되어, 각 제1 조인트(12b)의 선단 부분이, 각 커트부(2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 제2 조인트(11b)가 각 관통구멍(21b)에 삽입되어, 각 제2 조인트(11b)의 선단 부분이, 각 관통구멍(21b)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강 프레임(20)을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에 배치한 후, 각 제1 조인트(12b)의 선단 부분 및 각 제2 조인트(1lb)의 선단 부분이, 용융 및 압축에 의해 변형된다. 이 때, 각 제1 조인트(12b)의 선단 부분은, 예를 들면, 반원반 형상의 고정 탭(12c)으로 변형되어, 대응하는 커트부(22a)의 리세스 에지(22b)에 결합된다. 각 제2 조인트(11b)의 선단 부분은, 예를 들면, 원반 형상의 고정 탭(11c)으로 변형되어, 대응하는 관통구멍(21b)의 개구 에지 상에 중첩된다. 그 결과, 도 6a 내지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20)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에 고정되고, 이로써, 보강 프레임(20)이 일체화된 플레이트 프레임(10)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 프레임(20)이 플레이트 프레임(10)에 고정되기 이전, 각 제1 조인트(12b)의 선단 부분은,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가장 앞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른 한편,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1 조인트(12b)의 선단 부분이, 용융 및 압축을 통해 변형된 후에는, 각 제1 조인트(12b)의 선단 부분이, 고정 탭(12c)으로 변형되어, 대응하는 리세스 에지(22b)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보강부 프레임(20)을 플레이트 프레임(10)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플레이트 프레임(10)으로부터의 각 제1 조인트(12b)의 돌출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리세스 에지(22b)의 크기는, 제1 조인트(l2b)의 크기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조인트(12b)를 변형시킨 후, 보강 프레임(20)의 앞면으로부터 제1 조인트(12b)가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즉, 고정 탭(12c)이 리세스 에지(22b)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1 조인트(12b)와 리세스 에지(22b)의 크기를 설정하고 있다.
플레이트 커버(30)는 플레이트 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의 전부를 덮을 수 있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상으로 형성되 어 있다. 플레이트 커버(30)의 중앙에는 창구멍(31)이 형성되고, 플레이트 프레임(10)에 장착된 배선 기구의 앞면은, 그 창구멍(31)을 통하여 노출된다. 또한, 플레이트 커버(30)의 후면에는, 플레이트 커버(30)를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4개의 걸림편(도시하지 않음)이 돌출되어 있다. 4개의 걸림편(latch pieces)은 각각 플레이트 프레임(1O)의 걸림구멍(14)에 걸린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벽 플레이트(1)를 사용하여, 배선 기구를 건축재(40)에 매립하여 설치하는 시공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배선 기구의 전단부를 장착창(13)에 삽입하면서, 배선 기구의 각 장착 클릭을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장착구멍(12a)에 결합한다. 이로써, 배선 기구가 플레이트 프레임(10)에 장착된다. 그 후, 플레이트 프레임(10)에 장착된 배선 기구의 후단부를 매립 박스 내에 삽입하면서, 플레이트 프레임(10)의 후면을 건축재(4O)의 표면에 접촉시켜, 플레이트 프레임(10)을 건축재(4O)의 표면 측에 배치한다. 이어서, 박스 나사를, 보강 프레임(20)의 나사 삽입구멍(21a) 및 플레이트 프레임(10)의 나사 삽입구멍(11a)에 삽입하여, 매립 박스의 나사구멍에 배치한 후, 상기 박스 나사를 돌려, 보강 프레임(20)이 고정된 플레이트 프레임(10)을, 매립 박스와 함께 건축재(40)에 고정한다. 그 후, 플레이트 커버(30)의 각 걸림편을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걸림구멍(14)에 걸어, 플레이트 커버(30)를, 보강 프레임(20) 및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에 장착한다. 이에 따라, 건축재(40)로의 배선 기구의 매립 설치가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프레임(20)이, 한 쌍의 고정편(11) 및 한 쌍의 장착 편(12)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가로 측부(21) 및 한 쌍의 세로 측부(22)를 가지고,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에 배치 및 고정된다. 따라서, 보강 프레임(20)이 부가된 플레이트 프레임(10)을 건축재에 고정할 때, 박스 나사를 지나치게 체결하여도, 보강 프레임(20)이, 플레이트 프레임(10)에 대신하여, 플레이트 프레임(10)을 매립구멍 내에 밀어넣는 하중을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플레이트 프레임(10), 특히 각 장착편(12)의 중앙부(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건축재(40)의 매립구멍(50) 내에 만곡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장착편(12)의 한 쌍의 제1 조인트(12b)는, 장착편(1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보강 프레임(20)의 각 세로 측부(22)의 부분이, 대응하는 장착편(12)의 한 쌍의 제1 조인트(12b) 사이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각 제1 조인트(12b)의 고정 탭(12c)이, 용융 및 압축 변형에 의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에 배치된 보강 프레임(20)의 앞 에지 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보강 프레임(20)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앞면에 고정되고, 또한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장착편(12)의 중앙부가 보강 프레임(20)에 고정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장착편(12)의 중앙부가 매립구멍 쪽으로 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프레임(10)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장착편(12)의 중앙 측이, 매립구멍(50) 내로 휜다고 가정하면, 한 쌍의 제1 조인트(12b, 12b)가 서로 근접되어, 제1 조인트(12b, 12b)의 간격이 좁아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는, 보강 프레임(20)의 각 세로 측부(22)의 부분이, 대응하는 장착편(12)의 한 쌍의 제1 조인트(12b, 12b) 사이에 위치되므로, 제1 조인트(12b, 12b)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플레이트 프레임(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프레임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의 부호 E는, 상기 가정에서의 나사의 체결에 의한 플레이트 프레임(10)으로의 하중을 나타내고, 부호 F는, 보강 프레임(20)이 한 쌍의 제1 조인트(12b, 12b)로부터 받는 힘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의 보강 프레임(20)에 대하여는, 한 쌍의 제1 조인트(12b, 12b)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만이 표시되고, 다른 부위는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각 제1 조인트(12b)의 고정 탭(12c) 및 각 제2 조인트(11b)의 고정 탭(11c)이, 보강 프레임(20)을 플레이트 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건축재(40)로의 보강 프레임(20) 및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고정을 일괄하여 행할 수 있다. 이로써, 개별적으로 보강 프레임(20) 및 플레이트 프레임(10)을 건축재(4O)에 고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20)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고정편(11)에서의 각 제2 조인트(11b)의 고정 탭(11c)으로, 플레이트 프레임(10)에 고정된다. 따라서, 나사의 체결에 의한 하중이 플레이트 프레임(10)에 더해져도,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고정편(11)이 건축재로부터 부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 프레임(10)의 휘어짐에 의한 각 고정편(11)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레이트 프레임(10)의 중앙 측이 매립구멍에 밀어넣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플레이트 프레임(10)의 변형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장착편(12)이 장착 수단이며, 각 장착편(12)은, 배선 기구의 전단부가 장착창(13)에 삽입된 상태로, 배선 기구가 장착되어 배선기구를 지지한다. 따라서, 장착 수단이 보강 프레임(20)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강 프레임(20)과 배선 기구의 절연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보강 프레임과 배선 기구의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장착편(12)의 중앙부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제1 조인트가 돌출된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장착편(12)에는, 2개의 제1 조인트(12b)에 한정되지 않고, 3개 또는 그 이상의 제1 조인트(12b)가 구비되어도 된다. 또는, 도 9a 내지 도 9c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장착편(12)에는, 1개의 제1 조인트(12b)가 구비되어도 된다.
도 9a 내지 도 9c 및 도 10의 예에서, 보강 프레임(20)의 각 세로 측부(22)에는, 대응하는 1개의 제1 조인트(12b)가 중간에 위치되는 1개의 커트부(22a)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8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는 얻을 수 없지만,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장착편(12)의 중앙부가, 각 세로 측부(22)의 제1 조인트(12b)의 고정 탭(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되므로, 플레이트 프레임(10)의 각 장착편(12)의 중앙부가 매립구멍(50) 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프레임(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 커버(30)는 벽 플레이트(1)의 미관(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을 다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본래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벽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보강 프레임을 나타내고, 도 2a는 정면도이며, 도 2b는 우측면도이고, 도 2c는 상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도 1의 보강 프레임을 고정하기 이전의 벽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도 3a는 정면도이며, 도 3b는 우측면도이고, 도 3c는 하측면도이며, 도 3d는 도 3a의 A-A선을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3e는 도 3a의 B-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보강 프레임을 고정하기 이전의 벽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도 4a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서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서의 플레이트 프레임으로의 보강 프레임의 고정 방법을 나타내고, 도 5a는 보강 프레임을 플레이트 프레임에 고정하기 이전의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며, 도 5b는 보강 프레임을 플레이트 프레임에 고정한 후의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1의 보강 프레임을 고정한 후의 벽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도 6a는 정면도이며, 도 6b는 우측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의 D-D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6d는 하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보강 프레임을 고정한 후의 벽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벽 플레이트를 건축재에 장착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보강 프레임을 고정하기 이전의 벽 플 레이트를 나타내고, 도 9a는 정면도이며, 도 9b는 우측면도이고, 도 9c는 하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벽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벽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6)

  1. 수지제의 플레이트 프레임 및 금속제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은 한 쌍의 평행한 고정편 및 한 쌍의 평행한 장착편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편 및 상기 한 쌍의 장착편이 단일의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플레이트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편이 상기 한 쌍의 장착편의 양 단부 사이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고정편의 중앙부에는, 상기 벽 플레이트를 건축재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나사 삽입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편 및 상기 한 쌍의 장착편은, 1개 이상의 배선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창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고정편 및 상기 한 쌍의 장착편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가로 측부 및 한 쌍의 세로 측부를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배치되고,
    상기 벽 플레이트는, 1개 이상의 상기 배선 기구의 전단부가 상기 장착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배선 기구를 상기 장착창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벽 플레이트는, 상기 장착 수단에 의해 상기 장착창에 장착된 1개 이상의 상기 배선 기구의 후단부가, 상기 건축재에 형성된 매립구멍에 매립되도록, 상기 건축재의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중앙부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제1 조인트가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1 조인트는,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배치된 상기 보강 프레임의 앞 에지 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고정 탭을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1 조인트의 고정 탭은,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중앙부를 상기 보강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벽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제1 조인트가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한 쌍의 제1 조인트는, 상기 장착편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각 세로 측부의 부분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장착편의 한 쌍의 제1 조인트 사이에 개재되도록 형성되는, 벽 플레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각 세로 측부에는 한 쌍의 커트(cuts)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각 커트부에는 리세스 에지(recess edge)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장착편의 한 쌍의 제1 조인트는, 상기 보강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세로 측부의 한 쌍의 커트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1 조인트의 고정 탭은, 상기 보강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커트부에 형성된 리세스 에지에 끼움 결합되는, 벽 플레이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이 상기 장착 수단을 가지는, 벽 플레이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고정편의 앞면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제2 조인트가 돌출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각 가로 측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제2 조인트가 삽입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2 조인트는,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배치된 상기 보강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관통구멍의 개구 에지 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고정 탭을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2 조인트의 고정 탭은,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 기 플레이트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벽 플레이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고정편의 앞면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제2 조인트가 돌출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의 각 가로 측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제2 조인트가 삽입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2 조인트는,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앞면에 배치된 상기 보강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관통구멍의 개구 에지 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고정 탭을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제2 조인트의 고정 탭은,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벽 플레이트.
KR1020070132407A 2006-12-20 2007-12-17 벽 플레이트 KR100933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3325 2006-12-20
JP2006343325A JP2008160898A (ja) 2006-12-20 2006-12-20 プレ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196A KR20080058196A (ko) 2008-06-25
KR100933899B1 true KR100933899B1 (ko) 2009-12-28

Family

ID=3966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407A KR100933899B1 (ko) 2006-12-20 2007-12-17 벽 플레이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160898A (ko)
KR (1) KR100933899B1 (ko)
TW (1) TWI3551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3910A (zh) * 2016-11-28 2021-05-2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配线器具用板件和配线器具组合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596A (ja) 2000-02-14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装置
JP3249657B2 (ja) 1993-09-22 2002-01-21 松下電工株式会社 絶縁取付枠
JP3446578B2 (ja) 1997-12-22 2003-09-16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用プレート
KR200387565Y1 (ko) 2005-03-24 2005-06-20 진흥전기 주식회사 스위치 박스용 스위치 고정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9657B2 (ja) 1993-09-22 2002-01-21 松下電工株式会社 絶縁取付枠
JP3446578B2 (ja) 1997-12-22 2003-09-16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用プレート
JP2001307596A (ja) 2000-02-14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装置
KR200387565Y1 (ko) 2005-03-24 2005-06-20 진흥전기 주식회사 스위치 박스용 스위치 고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01591A (en) 2009-01-01
JP2008160898A (ja) 2008-07-10
KR20080058196A (ko) 2008-06-25
TWI355125B (en)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38585A1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hell with a stepped and recessed structure
KR100933899B1 (ko) 벽 플레이트
JP5505059B2 (ja) 表示装置
KR10055684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조립구조
US791430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20699B1 (ko) 변속기 레버유닛의 노브 조립체
JP6655463B2 (ja) 電気接続箱
KR20090071484A (ko) 수평 및 수직으로 장착되는 멀티스테이션 전기기기용 지지체, 스페이서가 구비된 상기 지지체를 포함하는 유닛, 전기부품이 설치된 상기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기기 조립체
JP2004362779A (ja) コネクタの支持構造
JP2006112630A (ja) ハウジング開口をカバーするフロントフレームを備えたハウジング
JP5699423B2 (ja) 電子機器のパネル構造
US6493045B1 (en) Enclosure assembly
JP3740997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6380857B2 (ja) 配線器具
JP5521785B2 (ja) 電気機器設置構造
US781545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H1186926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JP6745464B2 (ja) 配線器具
JP2005347437A (ja) トップカバーの取付構造
JP6826722B2 (ja) 断熱パネルの継手構造
JP2008309679A (ja) 防水構造
JP2011049459A (ja) ケーブル接続構造
JP6380858B2 (ja) 取付枠
JP6390982B2 (ja) 配線器具、組立部材、及び器具本体
JP5889226B2 (ja) 筐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