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713B1 -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713B1
KR100933713B1 KR1020080027382A KR20080027382A KR100933713B1 KR 100933713 B1 KR100933713 B1 KR 100933713B1 KR 1020080027382 A KR1020080027382 A KR 1020080027382A KR 20080027382 A KR20080027382 A KR 20080027382A KR 100933713 B1 KR100933713 B1 KR 100933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hearing
measurement
uni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127A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to KR102008002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71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9Aspects relating to automatic logging of sound environment parameters and the performance of the hearing aid during use, e.g. histogram logging, or of user selected programs or settings in the hearing aid, e.g. usage log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측정장치 없이 독립적으로 청력 측정과 보정이 가능하고 그 조작을 간편하게 한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청기에 있어서, 미리 청력측정용으로 신호처리되어 저장된 음원 또는 톤 발생기(tone generator)에서 발생된 음원을 각각 또는 이들을 합성하여 소정의 기준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원 저장 및 발생부; 사용자의 측정 개시 및 종료 명령과, 음량 조정 확인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제어부에서 만들어진 측정용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 상기 음원 저장 및 발생부에서 발생된 기준 음원에 대하여 그 음압과 주파수를 제어하여 측정용 음원을 만들어 상기 음원 출력부에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량 조정 확인 명령에 따라 상기 음원 출력부에 출력되는 측정용 음원에 대한 적정 크기의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청력 측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력 측정, 보정, 보청기, 음원, 음량, 주파수

Description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Hearing aids having function of hearing ability and correction and Control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란 일종의 확성장치로서 난청을 보충하기 위해 귀에 장착하는 기구이다. 보청기의 원리는 음파를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기진동으로 바꾸어 이것을 증폭기로 확대하여 이어폰으로 다시 음파로 만들어 귀에 들리게 한다.
이러한 보청기의 종류로는 그 모양에 따라 상자형, 귀걸이형, 귀속형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보청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여 가장 적합하도록 보청기의 음량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보청기의 음량 보정이란 난청인의 청력도에 따라 적절한 보청기를 선택하고 보청기 주파수 대역별 증폭도와 최대출력 범위를 정확하게 맞추어 보청기 사용 자가 잘 들을 수 있도록 조치하여 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의 청력 측정 및 보정 방법은, 별도의 청력 측정 장치나 PC 등에서 피측정자의 응답에 따라 발생하는 순음 또는 복합음을 들어 청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정치를 구하고, 구해진 보정치를 사용할 보청기에 프로그램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함과 아울러, 보청기의 음량 보정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정장치와 보청기의 상이한 특성으로 인하여 보청기에 보정치를 적용 시 원하는 특성을 낼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측정장치 없이 독립적으로 청력 측정과 보정이 가능하고 그 조작을 간편하게 한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는, 보청기에 있어서, 미리 청력측정용으로 신호처리되어 저장된 음원 또는 톤 발생기(tone generator)에서 발생된 음원을 각각 또는 이들을 합성하여 소정의 기준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원 저장 및 발생부; 사용자의 측정 개시 및 종료 명 령과, 음량 조정 확인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제어부에서 만들어진 측정용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 상기 음원 저장 및 발생부에서 발생된 기준 음원에 대하여 그 음압과 주파수를 제어하여 측정용 음원을 만들어 상기 음원 출력부에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량 조정 확인 명령에 따라 상기 음원 출력부에 출력되는 측정용 음원에 대한 적정 크기의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청력 측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결과와 상기 음원 수신부의 특성을 바탕으로 주파수별 이득과 압축 보정치를 구하고, 구하여진 결과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보청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의 제어 방법은, 보청기의 청력 측정 및 보정 방법에 있어서, 보청기의 키입력부를 통한 키 입력에 의하여 청력 측정 모드로 전환하고, 청력 측정 모드 개시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1단계; 음원 저장 및 발생부에서 미리 청력측정용으로 신호처리되어 저장된 음원 또는 톤 발생기(tone generator)에서 발생된 음원을 각각 또는 이들을 합성하여 소정의 기준 음원을 발생시키는 제2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음원 저장 및 발생부에서 발생된 기준 음원에 대하여 그 음압과 주파수를 제어하여 측정용 음원을 만들어 음원 출력부에 출력하는 제3단계; 음원 출력부에서 들려주는 음을 피측정자가 인지하고, 키입력부의 확인키를 통하여 음량 조정 확인 명령을 입력하는 제4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음량 조정 확인 명령을 인지하여 미리 정해진 동작 규칙에 의하여 음압과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거나 청력측정용으로 신호처리되어 저장된 음원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음원 출력부에 출력되는 측정용 음원에 대한 적정 크기의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는 제5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청력 측정 단계가 종료되면, 보정치 생성 모드 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청력 측정 결과와 보청기에 사용되는 음원 수신부의 특성을 바탕으로 주파수별 이득과 압축 보정치를 구하고, 구하여진 결과값을 보청기에 적용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측정장치 없이 독립적으로 청력 측정과 보정이 가능하고, 실제 사용될 보청기 자체를 통한 청력 측정과 보정이므로 일반적인 방법에서 발생하는 측정과 실제 사용 제품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오류가 없고, 시간이 지나면서 저하되는 청력에 대한 보상을 쉽게 하여 보다 나은 청력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원 저장 및 발생부(10), 키 입력부(20), 제어부(30), 저장부(40), 음원 출력부(50) 및 음원 수신부(60)로 구성된다.
음원 저장 및 발생부(10)는 저장된 음원을 이용하여 청력 측정 모드로 들어간다는 음성 메세지 또는 누구나 인식 가능한 적절한 크기의 음압을 가지는 시작용 음원 톤(tone)을 발생시킨다. 특히, 미리 청력측정용으로 신호처리되어 저장된 음원 또는 톤 발생기(tone generator)에서 발생된 음원을 각각 또는 이들을 합성하여 소정의 기준 음원을 발생시킨다.
키 입력부(2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청력 측정 모드로 전환하고, 음원 출력부(50)에서 들려주는 음을 인지하는 확인키를 입력하고, 측정 종료 명령을 입력한다. 즉, 키 입력부(20)는 사용자의 측정 개시 및 종료 명령과, 음량 조정 확인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어부(30)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30)는 통상의 연산, 제어 및 판단 기능을 갖는 마이콤,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MPU, DSP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음원 저장 및 발생부(10)에서 발생된 기준 음원에 대하여 그 음압과 주파수를 제어하여 측정용 음원을 만들어 상기 음원 출력부(50)에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량 조정 확인 명령에 따라 상기 음원 출력부(50)에 출력되는 측정용 음원에 대한 적정 크기의 청력 측정값을 설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30)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음원 저장 및 발생부(10)에 저장된 음원을 이용하여 청력 측정 모드로 들어간다는 음성 메세지 또는 누구나 인식 가능한 적절한 크기의 음압을 가지는 시작용 음원 톤(tone)의 배합하여 음성출력부(50)로 송출하여 출력시킨다. 또한, 송출 음원의 음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30)에 의하여 음원 저장 및 발생부(10)에서 만들어진 측정용 음을 이어폰 또는 리시버로 구성된 음원 출력부(50)에 출력한다. 또한, 들려주는 음에 대하여 상기 키입력부(20)의“확인”키가 눌러지거나 눌러지지 않은 것이 인지되면, 그 내부에 미리 정해진 동작 규칙에 의하여 음압과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거나 청력측정용으로 신호처리된 음원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다음의 청력 측정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청력 측정 단계가 마무리되면, 측정모드가 끝나고 자동 보정치 생성 모드로 들어간다는 음성 메시지 또는 누구나 인지 가능한 적절한 크기 의 음압을 가지는 모드 전환용 톤의 배합을 음원 출력부(50)에 송출한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드 전환을 알리는 신호 램프를 켜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측정된 결과와 보청기에 사용되는 음원 수신부(60) 즉, 마이크의 특성을 바탕으로 주파수별 이득과 압축 보정치를 자동으로 구하고, 구하여진 결과값을 보청기에 적용한다.
저장부(40)는 상기 제어부(30)에서 설정된 청력 측정값 및 상기 보정치의 결과값을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저장부(40)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가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원 출력부(50)는 상기 제어부(30)에서 만들어진 측정용 음원을 외부로 출력한다. 즉, 음원 저장 및 발생부(10)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측정용음 또는 시작 종료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측정용 음원을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음원 출력부(50)는 통상의 이어폰 또는 리시버가 적용될 수 있다.
음원 수신부(60)는 외부의 음원, 소리를 수신하여 제어부(3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통상의 마이크로폰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단계로, 보청기의 키입력부(20)에서 특수한 키 또는 보청기에 사용되어지는 키들 중 동시에 선택되어지는 키의 조합에 의하여 청력 측정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청력 측정 모드 개시 신호를 출력시킨다(S101). 이때, 제어부(30)는 청력 측정 모드로 들어간다는 음성 메세지 또는 누구나 인식 가능한 적절한 크기의 음압을 가지는 시작용 음원 톤(tone)의 배합하여 음성출력부(50)로 송출하여 출력시킨다. 또는, 별도의 표시부(미도시)를 통하여 시작을 알리는 신호 램프를 온시켜줄 수도 있다.
제2단계로, 음원 저장 및 발생부(10)에서 미리 청력측정용으로 신호처리되어 저장된 음원 또는 톤 발생기(tone generator)에서 발생된 음원을 각각 또는 이들을 합성하여 소정의 기준 음원을 발생시킨다(S102).
제3단계로 제어부(30)에서 상기 음원 저장 및 발생부(10)에서 발생된 기준 음원에 대하여 그 음압과 주파수를 제어하여 측정용 음원을 만들어 음원 출력부(5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에 의하여 음원 저장 및 발생부(10)에서 만들어진 측정용 음을 이어폰 또는 리시버로 구성된 음원 출력부(50)에 출력할 수 있다.
제4단계로, 피측정자는 음원 출력부(50)에서 들려주는 음을 인지하고, 키입력부(20) 내에 있는 “확인” 키를 누르거나 제일 잘 들리는 음원일 경우 “확인” 키를 누름으로써 음량 조정 확인 명령을 입력한다.(확인 키는 보청기에 사용되어지는 키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5단계로, 들려주는 음에 대하여 상기 키입력부(20)의“확인”키가 눌러지거나 눌러지지 않은 것이 인지되면, 제어부(30)에 미리 정해진 동작 규칙에 의하여 음압과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제어거나 다른 신호처리가 된 음원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다음의 청력 측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음원 출력부(50)에 출력되는 측정용 음원에 대한 적정 크기의 청력 측정값을 설정할수 있다.
제6단계로, 제어부(30)는 상기 청력 측정 단계가 마무리되면, 측정모드가 끝나고 자동 보정치 생성 모드로 들어간다는 음성 메시지 또는 누구나 인지 가능한 적절한 크기의 음압을 가지는 모드 전환용 톤의 배합을 음원 출력부(50)에 송출한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드 전환을 알리는 신호 램프를 켜줄수도 있다.
제7단계로, 측정된 결과와 보청기에 사용되는 음원 수신부(60) 즉, 마이크의 특성을 바탕으로 주파수별 이득과 압축 보정치를 자동으로 구하고, 구하여진 결과값을 보청기에 적용한다. 이때, 상기 결과값은 저장부(4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8단계로, 모든 단계를 마무리 지었다는 메시지나 누구나 인식 가능한 적절한 크기의 음압을 가지는 종결용 톤의 배합을 송출하거나 종결을 알리는 신호 램프를 켜준다.
따라서, 별도의 측정장치 없이 독립적으로 청력 측정과 보정이 가능하고, 실제 사용될 보청기 자체를 통한 청력 측정과 보정이므로 일반적인 방법에서 발생하는 측정과 실제 사용 제품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오류가 없고, 시간이 지나면서 저하되는 청력에 대한 보상을 쉽게 하여 보다 나은 청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은 MP3, 핸드폰(Headphone), 헤드셋(Headset), 전화기 등에 적용한 것은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원 저장 및 발생부 20 : 키 입력부
30 : 제어부(MICOM) 40 : 저장부(메모리)
50 : 음원 출력부(이어폰) 60 : 음원 수신부(마이크)

Claims (4)

  1. 보청기에 있어서,
    미리 청력측정용으로 신호처리되어 저장된 음원 또는 톤 발생기(tone generator)에서 발생된 음원을 각각 또는 이들을 합성하여 소정의 기준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원 저장 및 발생부;
    사용자의 측정 개시 및 종료 명령과, 음량 조정 확인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제어부에서 만들어진 측정용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
    상기 음원 저장 및 발생부에서 발생된 기준 음원에 대하여 그 음압과 주파수를 제어하여 측정용 음원을 만들어 상기 음원 출력부에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량 조정 확인 명령에 따라 상기 음원 출력부에 출력되는 측정용 음원에 대한 적정 크기의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청력 측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결과와 상기 음원 수신부의 특성을 바탕으로 주 파수별 이득과 압축 보정치를 구하고, 구하여진 결과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보청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는 MP3, 핸드폰(Headphone), 헤드셋(Headset), 전화기에 중에 선택하여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4. 보청기의 청력 측정 및 보정 방법에 있어서,
    보청기의 키입력부를 통한 키 입력에 의하여 청력 측정 모드로 전환하고, 청력 측정 모드 개시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1단계;
    음원 저장 및 발생부에서 미리 청력측정용으로 신호처리되어 저장된 음원 또는 톤 발생기(tone generator)에서 발생된 음원을 각각 또는 이들을 합성하여 소정의 기준 음원을 발생시키는 제2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음원 저장 및 발생부에서 발생된 기준 음원에 대하여 그 음압과 주파수를 제어하여 측정용 음원을 만들어 음원 출력부에 출력하는 제3단계;
    음원 출력부에서 들려주는 음을 피측정자가 인지하고, 키입력부의 확인키를 통하여 음량 조정 확인 명령을 입력하는 제4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음량 조정 확인 명령을 인지하여 미리 정해진 동작 규 칙에 의하여 음압과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거나 청력측정용으로 신호처리되어 저장된 음원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음원 출력부에 출력되는 측정용 음원에 대한 적정 크기의 청력 측정값을 설정하는 제5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청력 측정 단계가 종료되면, 보정치 생성 모드 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청력 측정 결과와 보청기에 사용되는 음원 수신부의 특성을 바탕으로 주파수별 이득과 압축 보정치를 구하고, 구하여진 결과값을 보청기에 적용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의 제어방법.
KR1020080027382A 2008-03-25 2008-03-25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33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382A KR100933713B1 (ko) 2008-03-25 2008-03-25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382A KR100933713B1 (ko) 2008-03-25 2008-03-25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27A KR20090102127A (ko) 2009-09-30
KR100933713B1 true KR100933713B1 (ko) 2009-12-24

Family

ID=4135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382A KR100933713B1 (ko) 2008-03-25 2008-03-25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87B1 (ko) * 2012-10-05 2014-05-07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사용자 참여에 의한 보청기 피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160B1 (ko) * 2012-07-06 2014-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보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력측정 및 보정방법
KR102021780B1 (ko) 2013-07-02 2019-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청기 및 보청기 제어 방법
KR101551664B1 (ko) 2015-04-03 2015-09-09 주식회사 더열림 셀프 청력검사 및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및 이를 이용한 셀프 청력검사 및 피팅 시스템
KR102267734B1 (ko) * 2019-11-27 2021-06-23 주식회사 리딤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7597A (ja) 1999-11-01 2001-07-19 Rion Co Ltd 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装置
KR100303853B1 (ko) 1999-06-09 2001-11-01 이희영 디지탈 보청기의 자동 피팅방법
KR100633122B1 (ko) 2004-06-18 2006-10-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보청 기능 구현 방법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853B1 (ko) 1999-06-09 2001-11-01 이희영 디지탈 보청기의 자동 피팅방법
JP2001197597A (ja) 1999-11-01 2001-07-19 Rion Co Ltd 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装置
KR100633122B1 (ko) 2004-06-18 2006-10-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보청 기능 구현 방법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87B1 (ko) * 2012-10-05 2014-05-07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사용자 참여에 의한 보청기 피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27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0045B2 (en) Loudspeaker system comprising equalization dependent on volume control
TWI508056B (zh) 攜帶型音訊設備
US20080254753A1 (en) Dynamic volume adjusting and band-shifting to compensate for hearing loss
JP2007221744A (ja) 音量を動的に調整できるモバイル装置及び関連方法
US11877122B2 (en) Hearing aid with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KR100933713B1 (ko)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8135991A (ja) 携帯電話機および音声出力制御方法
KR20120015614A (ko) 보청장치 및 제어방법
US10511917B2 (en) Adaptive level estimator, a hearing device, a method and a binaural hearing system
US10178482B2 (en) Audio transmission system and audio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07235809A (ja) 情報処理端末及びイヤホン出力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I554117B (zh) 語音輸出之方法及耳機
JP2006157574A (ja) 音響特性調整装置、音響特性調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95813A (ja) 電話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03580A (ja) 携帯端末、そのプログラム及び着信音声音量制御方法
KR101164964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보청기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보청기
KR101122043B1 (ko) 음향 송수신장치 및 그 송수신방법
US20170188142A1 (en) Sound filtering system
JP4676460B2 (ja) 音声通信装置
JP2020053740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6270300A (ja) 受話音量制御装置
JP2003284194A (ja) 補聴器
JP2009212856A (ja) 音声生成出力装置、音声生成出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70053412A (ko) 외부음향 출력부의 음향특성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JP2007096734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