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816B1 - 진공척 - Google Patents

진공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816B1
KR100932816B1 KR1020080005731A KR20080005731A KR100932816B1 KR 100932816 B1 KR100932816 B1 KR 100932816B1 KR 1020080005731 A KR1020080005731 A KR 1020080005731A KR 20080005731 A KR20080005731 A KR 20080005731A KR 100932816 B1 KR100932816 B1 KR 100932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upper plate
sides
fil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620A (ko
Inventor
임권현
Original Assignee
임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권현 filed Critical 임권현
Priority to KR102008000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8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5Vacuum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원가절감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클램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판(100)의 설치,진공,필터공간(120)(121)(122)에 설치되는 에어절감밸브(B),진공센서(S)와 진공발생기(V) 및 필터(F); 상기 상판(100)의 전방 중앙과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입구(130) 및 진공공간(121)과 통하는 압력,진공게이지(200)(300); 상기 상판(100)의 전방 양측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진공공간(121)을 각각 개폐시키는 스위치(400); 상기 상판(100)의 하부 내측에 기밀하게 체결되는 상판커버(500); 상기 양측 필터공간(122)의 하부에 기밀하게 체결되어 타측 필터공간(122)과 통하는 연결공(610)을 구비하는 필터커버(600);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체결되어 저면에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된 진공홈(710)과 지지돌기(720)가 구비되고, 진공홈(710)에는 연결공(610)과 통하는 진공홀(730)이 구비된 하판(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80005731
진공척, 양면, 상판, 하판, 스위치, 압력게이지, 진공흡착

Description

진공척{vacuum chuck}
본 발명은 바이스나 마그네틱척으로 고정시킬 수 없는 피가공물을 공기압만으로 확실하게 흡착하여 클램핑하는 진공척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진공척의 양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절감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클램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척은 바이스나 마그네틱척으로 고정시킬 수 없는 피가공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진공척은 금속재질은 물론 아크릴,플라스틱,스테인레스,알루미늄 등 재질에 관계없이 피가공물을 공기압만으로 확실하게 흡착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척은 구조적으로 양면을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으로 인해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일면에 격자형으로 형성된 지지돌기들 사이 진공홈으로만 진공이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피가공물을 흡착하는 진공면적이 작아 큰 피가공물의 경우 안정적인 클램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진공척을 가공다이에 고정시킬 경우 반드시 별도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고 정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공척은 구조적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적으로 진공척의 무게가 무겁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진공척은 구조적으로 수리 시 내부에 설치된 부품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클램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외부에서 진공척의 압력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호스와 니플을 사용하여 진공게이지를 조립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조립성 및 진공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진공게이지를 보호하는 게이지커버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진공척의 양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이를 통해 별도의 클램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진공척을 가공다이에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공만으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큰 피가공물도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척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척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절감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며, 또한 수리 시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그리고 피가공물의 클램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척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게이지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진공척의 압력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호스와 니플을 사용하지 않고 진공게이지를 직접 조립하여 조립성 및 진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게이지커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일체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척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판의 상면에 지지돌기와 진공홈을 격자형으로 배열하고, 상기 상판의 내부에 양측으로 구획된 설치,진공,필터공간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일측 필터공간의 상부에 진공홈과 통하는 진공홀을 형성하며, 상기 상판의 후방 양측에 설치공간 및 진공공간과 각각 통하는 입,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판의 설치,진공,필터공간에 에어절감밸브,진공센서와 진공발생기 및 필터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상판의 전방 중앙과 양측에 입구 및 진공공간과 통하는 압력,진공게이지를 각각 장착하고, 상기 상판의 전방 양측에 진공공간을 각각 개폐시키는 스위치를 설치하며, 상기 상판의 하부 내측에 상판커버를 기밀하게 체결하고, 상기 양측 필터공간의 하부에 타측 필터공간과 통하는 연결공이 구비된 필터커버를 기밀하게 체결하며, 상기 상판의 하부에 하판을 체결하되, 상기 상판의 저면에 진공홈과 지지돌기를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하판의 진공홈에 연결공과 통하는 진공홀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척은 필요에 따라서는 진공척의 양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의 클램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진공척을 가공다이에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공만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큰 피가공물도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척은 구조가 단순하므로 원가절감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며, 수리 시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피가공물의 클램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진공척은 압력게이지를 통해 외부에서 진공척의 압력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호스와 니플을 사용하지 않고 진공게이지를 직접 조립하여 조립성 및 진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게이지커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일체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진공척은 도 1 내지 도 1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면에는 격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지지돌기(110)와 진공홈(11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양측으로 구획된 설치공간(120)과 진공공간(121) 및 필터공간(122)이 각각 형성되어 일측 필터공간(122)의 상부에는 진공홈(111)과 통하는 진공홀(123)이 형성되며, 후방 양측에는 설치공간(120) 및 진공공간(121)과 각각 통하는 입,출구(130)(131)가 구비된 상판(100); 상기 상판(100)의 설치,진공,필터공간(120)(121)(122)에 각각 설치되는 에어절감밸브(B),진공센서(S)와 진공발생기(V) 및 필터(F); 상기 상판(100)의 전방 중앙과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입구(130) 및 진공공간(121)과 각각 통하는 압력,진공게이지(200)(300); 상기 상판(100)의 전방 양측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진공공간(121)을 각각 개폐시키는 스위치(400); 상기 상판(100)의 하부 내측에 기밀하게 체결되는 상판커버(500); 상기 양측 필터공간(122)의 하부에 기밀하게 체결되어 타측 필터공간(122)과 통하는 연결공(610)을 구비하는 필터커버(600);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체결되어 저면에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된 진공홈(710)과 지지돌기(720)가 구비되고, 진공홈(710)에는 연결공(610)과 통하는 진공홀(730)이 구비된 하판(7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 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100)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척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판(100)의 상면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지지돌기(110)와 다수의 진공홈(111)이 격자형으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진공홈(111)에는 피가공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서 클램핑 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진공홀(123)을 기준으로 오링이 끼워지고, 상기 오링은 상판(100)에 안착되는 피가공물에 기밀하게 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a,11b에서와 같이, 상기 다수의 지지돌기(110)에는 기준점 설정용 암나사(110a)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a,11b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110)의 암나사(110a)에 나사(10)체결로 기준판(20)을 고정시키면 피가공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서 클램핑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상판(100)의 내부 양측에는 도 4a,4b와 도 5에서와 같이 설치공간(120)과 진공공간(121) 및 필터공간(122)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필터공간(122)의 상부에 진공홈(111)과 통하는 진공홀(1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공간(120)에는 에어절감밸브(B)와 진공센서(S)가 설치되고, 상기 진공공간(121)에는 진공발생기(V)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공간(122)에는 필터(F)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과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진공홀(123)의 상부 외측으로는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12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턱(123a)에 의해 절삭유나 절삭칩 등 의 이물질이 진공홀(123)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상판(100)의 후방 양측에는 도 4b와 도 5에서와 같이 설치공간(120) 및 진공공간(121)과 각각 통하는 입,출구(130)(131)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입구(130)의 외측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가 연결되고, 상기 입구(130)의 내측에는 에어절감밸브(B)의 공기유입구가 연결되며, 상기 출구(131)에는 진공발생기(V)의 공기배출구가 연결된다.
상기 상판(100)의 내부 중앙에는 양측 입구(130) 및 압력게이지(200)와 통하는 제1압력라인(1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압력라인(140)은 'T'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압력라인(140)에는 양측 입구(130)와 압력게이지(200)에 각각 연통하는 통공(140a)(140b)(140c)이 구비되고, 제1압력라인(140)의 외측으로는 오링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13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의 일부는 에어절감밸브(B)의 공기유입구로 전달되고, 압축공기의 일부는 통공(140a)(140b)을 통해 제1압력라인(140)내로 유입되고, 제1압력라인(140)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통공(140c)을 통해 압력게이지(200)로 전달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판(100)의 양측 입구(130)가 제1압력라인(140)에 의해 서로 통하기 때문에, 양측 2개의 입구(130)중 어느 하나의 입구(130)는 폐쇄시켜도 된다.
상기 상판(100)의 내부 양측에는 에어절감밸브(B) 및 진공발생기(V)와 통하는 제2압력라인(14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압력라인(141)은 '-'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압력라인(141)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에어절감밸브(B) 의 공기배출구와 진공발생기(V)의 공기유입구에 각각 연통하는 통공(141a)(141b)이 구비되고, 제2압력라인(141)의 외측으로는 오링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절감밸브(B)로 전달된 압축공기는 통공(141a)을 통해 제2압력라인(141)내로 유입되고, 제2압력라인(141)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통공(141b)을 통해 진공발생기(V)로 전달되며, 진공발생기(V)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진공발생기(V)에 의해 진공이 발생되고, 진공발생기(V)에 의해 발생된 진공은 진공공간(121)에 저장되며, 진공발생기(V)를 거친 공기는 출구(13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상기 상판(100)의 내부 양측에는 진공공간(121)과 필터공간(122) 및 진공게이지(300)와 통하는 진공라인(14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진공라인(142)은 '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진공라인(142)에는 진공공간(121)과 진공게이지(300)에 각각 연통하는 통공(142a)(142b)이 구비되고, 진공라인(142)의 외측으로는 오링이 장착된다.
상기 상판(100)의 전방 중앙과 양측에는 압력게이지(200)와 진공게이지(300)를 각각 수용하는 3개의 게이지커버(1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게이지커버(150)의 내측 중앙부에는 도 7a,7b와 도 8a,8b에서와 같이 압력,진공게이지(200)(300)의 볼트(210)(310)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151)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암나사(151)의 전방 하부에는 압력,진공게이지(200)(300)의 너트(211)(311)를 돌릴 수 있도록 렌치홈(152)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진공게이지(200)(300)를 게이지커버(150)에 각각 끼우고, 상기 압력,진공게이지(200)(300)의 후방에 구비된 볼트(210)(310)를 암나사(151)에 직접 체결하고, 최종적으로 렌 치홈(152)을 통해 렌치로 압력,진공게이지(200)(300)의 너트(211)(311)를 돌리면 호스와 니플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상판(100)의 전방 양측에는 스위치(400)를 수용하는 스위치홈(16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홈(160)은 도 9a,9b,9c에서와 같이 진공공간(121)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홈(160)에는 스위치(400)의 작동을 안내 및 단속하는 키(161)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100)의 양측에는 클램프홈 겸용 손잡이(170)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하판(700)에 진공흡착력을 발생시켜 진공만으로 진공척을 가공다이에 고정시킬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종래와 같이 클램프를 사용하여 진공척을 가공다이에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에어절감밸브(B)는 상판(100)의 양측 설치공간(12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절감밸브(B)는 적정한 진공압력에 따라 진공발생이 불필요할 경우 압축공기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상기 진공센서(S)는 상판(100)의 양측 설치공간(12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진공센서(S)는 진공공간(121)의 진공압력을 감지하여 에어절감밸브(B)에 전달한다.
상기 진공발생기(V)는 상판(100)의 양측 진공공간(121)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진공발생기(V)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진공이 발생되고, 진공발생기(V)에서 발생된 진공은 진공공간(121)에 저장된다.
상기 필터(F)는 상판(100)의 양측 필터공간(122)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필터(F)는 이물질을 걸러낸다.
상기 압력게이지(200)는 상판(100)의 전방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게이지커버(15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압력게이지(200)를 통해 외부에서 진공척의 압력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진공게이지(300)는 상판(100)의 전방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게이지커버(15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진공게이지(300)를 통해 외부에서 양측 진공공간(121)의 진공상태를 용이하게 각각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0)는 상판(1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된 스위치홈(16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양측 진공공간(121)을 각각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스위치(400)의 일측 외면에는 도 9a,9b,9c에서와 같이 키(161)에 끼워지는 키홈(410)과 단속홈(411)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400)의 후방 외면에는 제1,2환홈(420)(430)이 구비되고, 상기 제1,2환홈(420)(430)에는 진공라인(142)과 통하는 제1,2관통홀(421)(4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421)의 중앙에는 진공공간(121)과 통하는 제1연결홀(422)이 후방으로 관통되고, 상기 제2관통홀(431)의 중앙에는 외부와 통하는 제2연결홀(432)이 전방으로 관통된다.
도 9c에서와 같이 상기 스위치(400)를 안쪽으로 밀면 스위치(400)에 의해 진공공간(121)은 폐쇄되고, 이에 의해 진공공간(121)과 진공라인(142)은 통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00)의 제2관통홀(431)과 진공라인(142)의 통공(142a)이 서로 통하고, 제2관통홀(431)과 연결된 제2연결홀(432)을 통해 진공라인(142)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결 과적으로 진공라인(142)은 진공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양측 2개의 스위치(400)를 모두 안쪽으로 밀면 구획된 양측 진공라인(142)의 진공이 모두 해제되기 때문에, 상판(100)의 진공홀(123)과 하판(700)의 진공홀(730) 및 양측 진공게이지(300)에 모두 진공흡착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양측 2개의 스위치(400)중 일측 스위치(400)만을 선택하여 안쪽으로 밀면 상판(100)의 진공홀(123)과 일측 진공게이지(300)에만 진공흡착력이 발생되지 않고, 반대로 양측 2개의 스위치(400)중 타측 스위치(400)만을 선택하여 안쪽으로 밀면 하판(700)의 진공홀(730)과 타측 진공게이지(300)에만 진공흡착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9b에서와 같이 반대로 상기 스위치(400)를 외측으로 당기면 진공공간(121)이 개방되는 동시에 스위치(400)의 제1관통홀(421)과 진공라인(142)의 통공(142a)이 서로 통하고, 제1관통홀(421)과 연결된 제1연결홀(422)을 통해 진공공간(121)과 진공라인(142)이 서로 통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진공라인(142)은 진공이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스위치(400)의 제2관통홀(431)은 폐쇄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진공라인(142)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스위치(400)를 외측으로 당긴 상태에서 스위치(400)를 회전시키면, 키(161)가 단속홈(411)에 끼워지므로 이 상태에서는 스위치(400)를 내측으로 밀어도 스위치(400)는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양측 2개의 스위치(400)를 모두 외측으로 당기면 구획된 양측 진공라인(142)에 진공이 모두 걸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일측 진공라인(142)과 통하는 상판(100)의 진공홀(123),진공홈(111) 및 일측 진공게이지(300)에 진공흡착력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고, 또한 타측 진공라인(142)과 통하는 하판(700)의 진공홀(730),진공홈(710) 및 타측 진공게이지(300)에 동시에 진공흡착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양측 2개의 스위치(400)중 일측 스위치(400)만을 선택하여 외측으로 당기면 상판(100)의 진공홀(123)과 일측 진공게이지(300)에만 진공흡착력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양측 2개의 스위치(400)중 타측 스위치(400)만을 선택하여 외측으로 당기면 하판(700)의 진공홀(730)과 타측 진공게이지(300)에만 진공흡착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상판커버(500)는 도 3과 도 10에서와 같이 상판(100)의 하부 내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다수의 나사체결을 통해 견고하고도 기밀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판커버(500)의 중앙부 양측에는 필터(F)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필터삽입공(51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필터커버(600)는 도 3과 도 10에서와 같이 양측 필터공간(122)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판커버(500)에 다수의 나사체결을 통해 견고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필터커버(600)에는 타측 필터공간(122)과 통하는 연결공(610)이 구비되고, 또한 필터커버(600)의 양측 상부에는 필터삽입공(510)에 끼워지는 삽입관(620)이 구비되며, 삽입관(620)의 일측에는 진공라인(142)과 통하도록 절개부(621)가 형성된다.
상기 하판(700)은 상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수의 나사체결을 통해 견고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판(700)의 저면에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된 진 공홈(710)과 지지돌기(720)가 구비되고, 진공홈(710)에는 필터커버(600)의 연결공(610)과 통하는 진공홀(730)이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판(700)의 진공홈(710)이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피가공물을 흡착하는 진공면적이 크기 때문에, 진공척을 뒤집어 하판(700)으로 피가공물을 클램핑하면 큰 피가공물도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판(700)의 저면 자장자리에는 기밀유지용 오링이 끼워지고, 상기 오링은 가공다이 또는 피가공물에 기밀하게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척은 피가공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서 클램핑 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진공척의 양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클램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진공척을 가공다이에 진공흡착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판(100)의 진공홈(111)은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피가공물을 흡착하는 진공면적이 보통이므로 비교적 보통 크기의 피가공물을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는 진공흡착력을 발생시키고, 하판(100)의 진공홈(710)은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피가공물을 흡착하는 진공면적이 크므로 진공척을 뒤집어 하판(700)으로 피가공물을 클램핑하면 비교적 큰 피가공물도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
따라서, 피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상판(100)으로 피가공물을 클램핑할 경우에는 상판(100)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진공척을 가공다이에 설치하고, 하판(700)으로 피가공물을 클램핑할 경우에는 뒤집어 하판(700)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진공척을 가공다이에 설치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척의 양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 으므로 별도의 클램프를 사용하지 않고 진공척을 가공다이에 진공흡착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상판(100)의 양측 클램프홈 겸용 손잡이(170)에 종래와 같이 클램프를 사용하여 진공척을 가공다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판(100)이나 하판(700)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 선택된 상판(100) 또는 하판(700)에 피가공물을 클램핑시킬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판(100)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진공척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판(100)에 피가공물을 올려놓고, 입구(13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의 일부는 양측 에어절감밸브(B)의 공기유입구로 각각 전달되고, 압축공기의 일부는 통공(140a)(140b)을 통해 제1압력라인(140)내로 유입되고, 제1압력라인(140)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통공(140c)을 통해 압력게이지(200)로 전달된다.
양측 에어절감밸브(B)로 각각 전달된 압축공기는 통공(141a)을 통해 양측 제2압력라인(141)내로 각각 유입되고, 양측 제2압력라인(141)으로 각각 유입된 압축공기는 통공(141b)을 통해 양측 진공발생기(V)로 각각 전달되며, 양측 진공발생기(V)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진공발생기(V)에 의해 진공이 발생되고, 양측 진공발생기(V)에 의해 발생된 진공은 양측 진공공간(121)에 각각 저장되며, 진공발생기(V)를 거친 공기는 양측 출구(131)를 통해 외부로 각각 빠져나간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측 스위치(400)를 모두 외측으로 당기면 양측 진공공간(121)이 개방되는 동시에 양측 스위치(400)의 제1관통홀(421)과 진공라인(142)의 통공(142a)이 각각 통하고, 제1관통홀(421)과 연결된 제1연결홀(422)을 통해 양측 진공공간(121)과 양측 진공라인(142)이 각각 통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양측 진공라인(142)은 진공이 걸린 상태를 각각 유지하게 된다.
양측 2개의 스위치(400)를 모두 외측으로 당기면 구획된 양측 진공라인(142)에 진공이 모두 걸리기 때문에, 상판(100)의 진공홀(123),진공홈(111)과 하판(700)의 진공홀(730),진공홈(710) 및 양측 진공게이지(300)에 모두 진공흡착력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피가공물은 상판(100)에 진공흡착되어 안정적으로 클램핑되고, 하판(700)은 가공다이에 진공흡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이 상태에서 피가공물을 가공하면 된다. 이때, 양측 2개의 스위치(400)중 일측 스위치(400)만을 선택하여 외측으로 당기면 상판(100)의 진공홀(123),진공홈(111)과 일측 진공게이지(300)에만 진공흡착력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양측 2개의 스위치(400)중 타측 스위치(400)만을 선택하여 외측으로 당기면 하판(700)의 진공홀(730),진공홈(710)과 타측 진공게이지(300)에만 진공흡착력이 발생하게 된다.
피가공물의 가공이 완료된 후, 양측 스위치(400)를 안쪽으로 밀면 스위치(400)에 의해 양측 진공공간(121)은 각각 폐쇄되고, 이에 의해 양측 진공공간(121)과 진공라인(142)은 통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스위치(400)의 제2관통홀(431)과 진공라인(142)의 통공(142a)이 서로 통하고, 제2관통홀(431)과 연결된 제2연결홀(432)을 통해 양측 진공라인(142)으로 외부 공기가 각각 유입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양측 진공라인(142)은 진공이 각각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피가공물의 클램핑이 해제되므로 가공된 피가공물 을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측 2개의 스위치(400)를 모두 안쪽으로 밀면 구획된 양측 진공라인(142)의 진공이 모두 해제되므로, 상판(100)의 진공홀(123),진공홈(111)과 하판(700)의 진공홀(730),진공홈(710) 및 양측 진공게이지(300)에 모두 진공흡착력이 발생되지 않지만, 양측 2개의 스위치(400)중 일측 스위치(400)만을 선택하여 안쪽으로 밀면 상판(100)의 진공홀(123),진공홈(111)과 일측 진공게이지(300)에만 진공흡착력이 발생되지 않고, 반대로 양측 2개의 스위치(400)중 타측 스위치(400)만을 선택하여 안쪽으로 밀면 하판(700)의 진공홀(730),진공홈(710)과 타측 진공게이지(300)에만 진공흡착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 하판(700)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진공척을 뒤집어 설치한 상태에서 하판(700)에 피가공물을 올려놓고, 입구(13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서 양측 스위치(400)를 모두 외측으로 당기면 구획된 양측 진공라인(142)에 진공이 모두 걸리기 때문에, 상판(100)의 진공홀(123),진공홈(111)과 하판(700)의 진공홀(730),진공홈(710) 및 양측 진공게이지(300)에 모두 진공흡착력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피가공물은 하판(700)에 진공흡착되어 안정적으로 클램핑되고, 상판(100)은 가공다이에 진공흡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하판(700)에 클램핑된 피가공물의 가공이 완료된 후, 양측 스위치(400)를 안쪽으로 모두 밀면 양측 진공라인(142)의 진공이 해제되고, 또한 이에 의해 피가공물의 클램핑이 해제되므로 가공된 피가공물을 쉽게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상판(100)과 하판(700)에 진공흡착력을 동시에 발 생시켜 진공척의 양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진공척의 양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클램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진공척을 가공다이에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공만으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진공척을 뒤집어 진공면적이 큰 하판(700)을 이용하면 큰 피가공물도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척의 구조가 단순하고 내부에 설치,진공,필터공간(120)(121)(122)이 형성되므로 원가절감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수리 시 부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진공공간(121)에 진공이 저장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피가공물의 클램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압력게이지(200)가 설치되기 때문에 압력게이지(200)를 통해 외부에서 진공척의 압력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호스와 니플을 사용하지 않고 진공게이지(300)를 직접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성 및 진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게이지커버(15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게이지의 분해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조립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게이지의 분해사시도.
도 8b는 도 8b의 조립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9b,9c는 도 9a의 조립상태와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커버와 필터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11a,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기준점 설정을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상판 110 : 지지돌기
111 : 진공홈 120 : 설치공간
121 : 진공공간 122 : 필터공간
123 : 진공홀 130 : 입구
131 : 출구 200 : 압력게이지
300 : 진공게이지 400 : 스위치
500 : 상판커버 600 : 필터커버
610 : 연결공 700 : 하판
710 : 진공홈 720 : 지지돌기
730 : 진공홀 B : 에어절감밸브
S : 진공센서 V : 진공발생기
F : 필터

Claims (7)

  1. 상면에는 격자형으로 배열된 지지돌기(110)와 진공홈(11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양측으로 구획된 설치,진공,필터공간(120)(121)(122)이 형성되어 일측 필터공간(122)의 상부에 진공홈(111)과 통하는 진공홀(123)이 형성되며, 후방 양측에는 설치공간(120) 및 진공공간(121)과 각각 통하는 입,출구(130)(131)가 구비된 상판(100); 상기 상판(100)의 설치,진공,필터공간(120)(121)(122)에 설치되는 에어절감밸브(B),진공센서(S)와 진공발생기(V) 및 필터(F); 상기 상판(100)의 전방 중앙과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입구(130) 및 진공공간(121)과 통하는 압력,진공게이지(200)(300); 상기 상판(100)의 전방 양측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진공공간(121)을 각각 개폐시키는 스위치(400); 상기 상판(100)의 하부 내측에 기밀하게 체결되는 상판커버(500); 상기 양측 필터공간(122)의 하부에 기밀하게 체결되어 타측 필터공간(122)과 통하는 연결공(610)을 구비하는 필터커버(600);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체결되어 저면에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된 진공홈(710)과 지지돌기(720)가 구비되고, 진공홈(710)에는 연결공(610)과 통하는 진공홀(730)이 구비된 하판(700)을 포함하는 진공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의 내부 중앙에는 입구(130) 및 압력게이지(200)와 통하는 제1압력라인(140)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100)의 내부 양측에는 에어절감밸브(B) 및 진공발생기(V)와 통하는 제2압력라인(141)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100)의 내부 양측에는 진공공간(121)과 필터공간(122) 및 진공게이지(300)와 통하는 진공라인(142)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100)의 전방 중앙과 양측에는 압력게이지(200)와 진공게이지(300)를 수용하는 게이지커버(15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00)의 전방 양측에는 스위치(400)를 수용하는 스위치홈(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척.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커버(150)의 내측 중앙부에는 압력,진공게이지(200)(300)의 볼트(210)(310)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151)가 구비되고, 상기 암나사(151)의 전방 하부에는 압력,진공게이지(200)(300)의 너트(211)(311)를 돌릴 수 있도록 렌치홈(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척.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홈(160)에는 키(161)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400)의 일측 외면에는 키(161)에 끼워지는 키홈(410)과 단속홈(411)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400)의 후방 외면에는 제1,2환홈(420)(430)이 구비되고, 상기 제1,2환홈(420)(430)에는 진공라인(142)과 통하는 제1,2관통홀(421)(4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421)의 중앙에는 진공공간(121)과 통하는 제1연결홀(422)이 후방으로 관통되고, 상기 제2관통홀(431)의 중앙에는 외부와 통하는 제2연결홀(432)이 전방으로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척.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110)에는 기준점 설정용 암나사(11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척.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홀(123)의 상부 외측으로는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12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척.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커버(500)의 중앙부 양측에는 필터삽입공(510)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커버(600)의 양측 상부에는 필터삽입공(510)에 끼워지는 삽입관(620)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관(620)의 일측에는 진공라인(142)과 통하도록 절개부(6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척.
KR1020080005731A 2008-01-18 2008-01-18 진공척 KR100932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31A KR100932816B1 (ko) 2008-01-18 2008-01-18 진공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31A KR100932816B1 (ko) 2008-01-18 2008-01-18 진공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20A KR20090079620A (ko) 2009-07-22
KR100932816B1 true KR100932816B1 (ko) 2009-12-21

Family

ID=4129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731A KR100932816B1 (ko) 2008-01-18 2008-01-18 진공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877B1 (ko) * 2014-03-11 2016-08-11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들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 조립체
KR101829039B1 (ko) * 2017-11-22 2018-03-29 박미경 베큠척
CN109483429B (zh) * 2018-10-18 2020-10-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承载装置及承载方法
CN115393979B (zh) * 2022-07-18 2023-12-22 福建省电信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北斗定位的共享单车行车记录仪及其记录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347A (ja) * 1986-09-03 1988-03-18 Rohm Co Ltd チヤツクテ−ブル
US5775395A (en) * 1996-04-10 1998-07-07 Wilkins; David Vacuum fixture
JP2000308934A (ja) * 1999-04-27 2000-11-07 New Sutorongu Hanbai Kk 真空チャック
JP2001287129A (ja) * 2000-04-05 2001-10-16 Bm:Kk 真空チャ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347A (ja) * 1986-09-03 1988-03-18 Rohm Co Ltd チヤツクテ−ブル
US5775395A (en) * 1996-04-10 1998-07-07 Wilkins; David Vacuum fixture
JP2000308934A (ja) * 1999-04-27 2000-11-07 New Sutorongu Hanbai Kk 真空チャック
JP2001287129A (ja) * 2000-04-05 2001-10-16 Bm:Kk 真空チャ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20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696B1 (ko) 진공척
KR100932816B1 (ko) 진공척
US7055545B2 (en) Modular center set faucet and valve body
US9758949B2 (en) Fluid delivery system with a housing and at least one fluid inlet and one fluid outlet
US7870866B2 (en) Valve stem assembly for clamping a tire pressure detector
US7735519B2 (en) Water inlet device for mounting a valve body on a deck background of the invention
CN101035953B (zh) 卫生盥洗台配件
US6969462B2 (en) Pipe mounting apparatus for water filter
JP2010084854A (ja) ガス供給装置
US20100170577A1 (en) Separable faucet using plastic control valve
KR100955174B1 (ko) 진공척 기능을 가지는 마그네틱척
JP4615577B2 (ja) タイヤ圧検出器をクランプ固定するためのバルブステムアセンブリ
US20120285569A1 (en) Faucet that can be Assembled Easily and Quickly
KR20130016144A (ko) 고순도 가스배관의 피팅 고정부재
CN115897732A (zh) 一种水龙头
JP5257769B2 (ja) 循環アダプタ取付具
KR100718076B1 (ko) 원터치 누름식 수도꼭지
KR100669927B1 (ko) 진공 발생 시스템의 진공 강제 해제장치
KR100798146B1 (ko) 정수기용 파우셋
US8534964B2 (en) Drilling device with oil supply unit
CN217732810U (zh) 一种台式净水器
CN217418369U (zh) 台式净水机
CN211145435U (zh) 可快速安装烟斗管的水龙头
JP5567798B2 (ja) 分岐栓
JP4636701B2 (ja) 水栓の配管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