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797B1 -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797B1
KR100932797B1 KR1020080007180A KR20080007180A KR100932797B1 KR 100932797 B1 KR100932797 B1 KR 100932797B1 KR 1020080007180 A KR1020080007180 A KR 1020080007180A KR 20080007180 A KR20080007180 A KR 20080007180A KR 100932797 B1 KR100932797 B1 KR 100932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cking
handle
slider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214A (ko
Inventor
호 식 박
Original Assignee
호 식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 식 박 filed Critical 호 식 박
Priority to KR1020080007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7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환기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유닛과; 양측이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환기구를 개폐하는 다수의 셔터유닛과; 상기 프레임유닛의 내측에 상기 다수의 셔터유닛이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셔터유닛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절레버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레버가 상기 프레임유닛의 일측으로 관통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유닛과; 상기 조절레버와 연결되어 손잡이를 제공하며 상기 조절레버의 돌출 길이방향 측방으로 탄성적으로 접히게 형성되어 그 돌출길이가 최소화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는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로킹장치의 로킹유닛을 탄성지게 접철 가능하게 형성하여 셔터유닛의 열림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딩 전, 후의 길이방향 돌출 길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킹장치의 핸들의 돌출길이가 최소화되어 건물의 창틀 등에 설치될 시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킹유닛이 슬라이딩 전,후 접철되면서 걸림돌기가 그에 대응되는 가이드유닛의 열림각도조절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셔터유닛의 열림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접철식, 로킹장치, 비틀림스프링

Description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Bendable locking apparatus of ventilation window}
본 발명은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창에 설치되며 핸들의 돌출길이를 최소화한 접철식의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창의 개폐에 사용되는 로킹장치(locking apparatus)는 셔터(shutter)에 연결되어 원하는 바에 따라 상기 셔터를 일정각도 개폐하여 그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환기창의 로킹장치로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로킹장치(10)는 핸들(20)과, 상기 핸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로킹부재(30)와, 상기 로킹부재(30)의 이동 경로인 로킹 가이드(40), 및 일단이 'ㄷ'자 형상인 조절레버(5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20)에는 상기 로킹부재(30)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21) 및 푸쉬 홈(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21)은 핸들(20)의 내부에 형성되어 후술할 로킹 바(32)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푸쉬 홈(22)은 핸들(2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후술할 푸쉬버튼(31)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20)은 환기창 개폐장치의 셔터(미도시) 개폐를 조절하는 조절레버(50)와 결합된다.
상기 로킹부재(30)는 푸쉬버튼(31)과, 로킹바(32) 및 스프링(33)을 포함한다.
상기 로킹바(32)는 로킹돌기(32a) 및 삽입 홀(미도시)이 형성된 로킹몸체(32b)를 포함하며, 푸쉬버튼(31)의 조작에 의하여 핸들(2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 상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더욱이, 상기 로킹바(32)의 일측에 형성된 로킹돌기(32a)는 후술할 로킹 가이드(40)에 형성된 열림각도조절홈(42)에 끼워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 로킹바(32)의 타측에는 스프링(3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푸쉬버튼(31)은 일측이 로킹바(32)에 형성된 삽입 홀에 삽입되며, 이 삽입 홀에 삽입되는 부분은 삼각형 형태로, 삽입 홀에 처음 삽입되는 부분이 넓이가 좁은 형태이다.
그리고, 삽입 홀에 처음 삽입되는 끝부분에도 스프링(3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로킹 가이드(40)는 반원의 형태로 상부의 곡면에 관통구(41)가 형성되며, 이 관통구(41) 상에는 일정간격으로 열림각도조절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41)에는 조절레버(50)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로킹장치(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들(20)에 설치된 푸쉬버튼(31)을 누르면, 삽입 홀에 삽입된 푸쉬버튼(31)이 로킹부재(30)에 결합된 스프링(33)을 수축시키게 되어, 핸들(20) 외부로 돌출되어 있던 로킹돌기(32a)가 핸들(20)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조절레버(50)가 결합된 핸들(20)을 관통구(41) 내에서 이동시켜 원하는 각도만큼 셔터를 개폐한 후, 그 위치에서 누르고 있던 푸쉬버튼(31)을 놓게 되면 로킹부재(30)에 결합된 스프링(33)이 다시 팽창하여 로킹돌기(32a)를 핸들(20) 외부로 돌출시키게 된다.
그러면, 다시 돌출된 로킹돌기(32a)는 그 위치의 열림각도조절홈(42)에 끼워지게 되어 원하는 만큼 개폐된 셔터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로킹장치(10)는 핸들(20)이 조절레버(5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로서, 셔터의 개페를 위한 작동 전, 후에 사용자의 보행에 따른 신체의 일부가 돌출된 핸들(20)에 걸려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종래의 로킹장치(10)가 채용된 환기창의 경우, 건물의 창틀 등에 설치될 시 핸들(20)의 돌출 길이만큼 시공상의 제약요소가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행시 신체의 일부가 로킹장치의 핸들부분에 걸려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접철식의 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로킹장치의 핸들의 돌출길이를 최소화하여 주변 구조물의 시공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환기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유닛과;
양측이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환기구를 개폐하는 다수의 셔터유닛과;
상기 프레임유닛의 내측에 상기 다수의 셔터유닛이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셔터유닛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절레버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레버가 상기 프레임유닛의 일측으로 관통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유닛과;
상기 조절레버와 연결되어 손잡이를 제공하며 상기 조절레버의 돌출 길이방향 측방으로 탄성적으로 접히게 형성되어 그 돌출길이가 최소화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는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로킹장치의 로킹유닛을 탄성지게 접철 가능하게 형성하여 셔터유닛의 열림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딩 전, 후의 길이방향 돌출 길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킹장치의 핸들의 돌출길이가 최소화되어 건물의 창틀 등에 설치될 시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킹유닛이 슬라이딩 전,후 접철되면서 걸림돌기가 그에 대응되는 가이드유닛의 열림각도조절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셔터유닛의 열림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로킹유닛과 주요부(가이드유닛과 조절레버)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로킹유닛의 분해 사시도, 및 도 5는 도 2의 로킹유닛의 배면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100)는, 프레임유닛(110)과, 셔터유닛(120)과, 회전유닛(130)과, 가이드유닛(140) 및 로킹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유닛(110)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1)과, 상기 서로 마주보는 수직 프레임(111) 사이를 연결하여 환기구(110a)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셔터유닛(120)은 후술할 연동프레임(131)과 조절레버(132)의 회전량에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개폐가 조절되도록 양측이 상기 프레임 유닛(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유닛(110)의 환기구(110a)를 개폐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닛(130)은 상기 프레임유닛(110)의 어느 하나의 수직프레임(111) 내측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셔터유닛(120)의 일측과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프레임(131)과, 일측이 상기 연동프레임(131)과 회전링크(도시 생략)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셔터유닛(120)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타측에 후술할 슬라이더(151)와 결합되도록 볼트삽입구(132a)가 형성되는 조절레버(1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레버(132)는 타측이 어느 하나의 수직프레임(111) 바깥으로 관통 돌출되어 위, 아래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유닛(140)은 반원형상으로 상기 프레임유닛(110)의 상기 연동프레임(131)이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111)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조절레버(132)가 삽입관통되어 가이드되는 세로형상의 관통구(141)와, 상기 관통구(141)의 길이방향으로 둘레면에 다수의 열림각도조절홈(1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로킹유닛(150)은 상기 조절레버(132)의 타측이 내측에 삽입고정되며 상기 볼트삽입구(132a)와 연통되는 볼트결합구(151a)로 볼트(B) 삽입되어 결합되는 슬라이더(151)와, 상기 슬라이더(151)와 고정연결핀(P)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152)과, 상기 핸들(152)이 상기 슬라이더(151)와 'ㄴ'자 형상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연결핀(P)을 감싸며 양단이 상기 슬라이더(151)와 핸들(152)의 일측에 각각 접촉되는 비틀림스프링(1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152)에는 상기 조절레버(132)를 회전시킬 때 조절레버(132)의 길이방향으로 기립되어 상기 슬라이더(151)를 내삽 수용하는 슬라이더수용홈(1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핸들(152)을 상기 조절레버(132)의 길이방향과 일직선상에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조절레버(132)의 회전 작동을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핸들(152)의 슬라이더수용홈(152a) 상에는 그 깊이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단차진 안착부(152b)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151)의 일측 모서리의 음형진 걸림부(151b)가 면접촉식으로 배치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152)의 안착부(152b) 반대면에는 상기 가이드유닛(140)의 열림각도조절홈(142)에 선택적으로 대응되어 걸림되도록 돌출된 걸림돌기(152d)가 구비된 다.
이상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인 151c와 152c는 각각 슬라이더와 핸들의 핀결합구이며, 151d는 조절레버의 타측이 삽입되는 레버삽입구이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접철식 로킹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셔터유닛(120)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열려 있어 환기구(110a)가 일부 개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로킹유닛(150)의 핸들(152)를 도시된 좌측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돌기(152d)를 가이드유닛(140)의 열림각도조절홈(142)으로부터 그 걸림상태를 해제시킴과 아울러 조절레버(132)의 길이방향과 수평되게 기립시킨다.
뒤이어 사용자는 상기 로킹유닛(150)의 핸들(152)을 가이드유닛(140)의 관통구(141) 형상을 따라 위, 아래로 슬라이딩시키게 되고, 따라서 다수의 셔터유닛(120)이 연동식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는바, 환기구(110a)를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개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핸들(152)에 가하는 기립을 위한 회전력을 풀게 되면 상기 핸들(152)이 비틀림스프링(153)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슬라이더(151)와 'ㄴ'자 형상을 이루도록 원위치 되고, 걸림돌기(152d)가 그에 대응되는 가이드유닛(140)의 열림각도조절홈(142)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셔터유닛(120)의 열림각도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로킹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로킹유닛과 주요부(가이드유닛과 조절레버)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로킹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로킹유닛의 배면을 보인 평면도이다.

Claims (6)

  1.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환기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유닛과;
    양측이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환기구를 개폐하는 다수의 셔터유닛과;
    상기 프레임유닛의 내측에 상기 다수의 셔터유닛이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셔터유닛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절레버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레버가 상기 프레임유닛의 일측으로 관통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유닛과;
    상기 조절레버와 연결되어 손잡이를 제공하며 상기 조절레버의 돌출 길이방향 측방으로 탄성적으로 접히게 형성되어 그 돌출길이가 최소화되는 로킹유닛과;
    반원형상으로 상기 프레임유닛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조절레버가 삽입관통되어 가이드되는 세로형상의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길이방향으로 둘레면에 다수의 열림각도조절홈이 형성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조절레버가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고정연결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절레버를 회전시킬 때 조절레버의 길이방향으로 기립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내삽 수용하는 슬라이더수용홈이 형성된 핸들과, 상기 핸들이 상기 슬라이더와 'ㄴ'자 형상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연결핀을 감싸며 양단이 상기 슬라이더와 핸들의 일측에 각각 접촉되는 비틀림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슬라이더수용홈에는,
    그 깊이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단차진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 모서리의 음형진 걸림부가 면접촉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안착부 반대면에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열림각도조절홈에 선택적으로 대응되어 걸림되도록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KR1020080007180A 2008-01-23 2008-01-23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KR100932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180A KR100932797B1 (ko) 2008-01-23 2008-01-23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180A KR100932797B1 (ko) 2008-01-23 2008-01-23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214A KR20090081214A (ko) 2009-07-28
KR100932797B1 true KR100932797B1 (ko) 2009-12-21

Family

ID=4129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180A KR100932797B1 (ko) 2008-01-23 2008-01-23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7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63B1 (ko) 2010-05-20 2010-10-12 (주)한성윈도우 환기창용 루버의 회전체와 각도조정레버의 결합구조
KR101194340B1 (ko) 2010-05-04 2012-10-24 주식회사 이건창호 루버 시스템 조작장치
KR102261315B1 (ko) * 2020-04-23 2021-06-07 김종오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8658A (zh) * 2016-01-20 2017-07-28 翊丰通风有限公司 百叶窗叶片固定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5889A1 (en) * 1992-09-08 1994-03-17 Verosol (Australia) Pty. Limited A sliding partition containing rotatable louvres
KR200372390Y1 (ko) * 2004-09-23 2005-01-14 호 식 박 로킹유닛 및 이를 채용한 환기창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5889A1 (en) * 1992-09-08 1994-03-17 Verosol (Australia) Pty. Limited A sliding partition containing rotatable louvres
KR200372390Y1 (ko) * 2004-09-23 2005-01-14 호 식 박 로킹유닛 및 이를 채용한 환기창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340B1 (ko) 2010-05-04 2012-10-24 주식회사 이건창호 루버 시스템 조작장치
KR100987363B1 (ko) 2010-05-20 2010-10-12 (주)한성윈도우 환기창용 루버의 회전체와 각도조정레버의 결합구조
KR102261315B1 (ko) * 2020-04-23 2021-06-07 김종오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214A (ko) 200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797B1 (ko)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EP2601370B1 (en) Ventilation and locking system and closure assembly equipped with such a system
JP5829532B2 (ja) 開度規制装置及び建具
KR101943741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JP2002220969A (ja) 窓開閉装置
EP3115534B1 (en) Support mechanism for a closure element of a ventilation and locking system
KR101091801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200431307Y1 (ko) 운동의자의 록킹장치
KR1013712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05565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JP4426477B2 (ja) 開放支援機構付き鎌錠および建具
KR101119924B1 (ko) 볼 조인트를 이용한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102102895B1 (ko) 차일드 시트용 앵커 커버 장치
JP5100147B2 (ja) 窓換気用のステー
KR102444253B1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KR200372390Y1 (ko) 로킹유닛 및 이를 채용한 환기창 개폐장치
TWI433987B (zh) 門窗結構體
JP3304074B2 (ja) 内倒し窓の障子開き状態保持装置
KR100925199B1 (ko)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KR200415618Y1 (ko) 창호용 하드웨어
JP4765129B2 (ja) 窓開閉装置
KR102187289B1 (ko)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CN111379490B (zh) 门体的开闭机构
WO2005031096A1 (ja) 乳幼児用フェンス
JP2004257177A (ja) シャッターの錠装置及びその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