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753B1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753B1
KR100932753B1 KR1020070128714A KR20070128714A KR100932753B1 KR 100932753 B1 KR100932753 B1 KR 100932753B1 KR 1020070128714 A KR1020070128714 A KR 1020070128714A KR 20070128714 A KR20070128714 A KR 20070128714A KR 100932753 B1 KR100932753 B1 KR 10093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yoke
magnet
magnet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774A (ko
Inventor
박순종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7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스피커가 개시된다. 상기 스피커는 자기회로부의 플레이트는 제 1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고, 자기회로부의 요크 및 마그네트는 제 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어, 제 2 프레임이 제 1 프레임에 결합되면, 자기회로부가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접착제로 자기회로부를 상호 접착할 필요가 없고, 접착제로 자기회로부를 상호 접착한다 하더라고, 접착제의 경화에 관계 없이 부품들의 조립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립공정 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마그네트와 요크가 제 2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조립공정 도중 마그네트와 요크의 손상이 없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스피커 {SPEAKER}
도 1은 종래의 스피커의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20 : 제 1,2 프레임 130 : 자기회로부
140 : 진동부 150 : 캡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란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피커의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프레임(10)의 하면 중앙부측에 플레이트(21)가 인서트 사출로 일체로 형성된다. 플레이트(21)의 하면에는 마그네트(23)와 요크(25)가 순차적으로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다. 플레이트(21)와 마그네트(23)와 요크(25)가 자기회로부(20)를 구성한다.
프레임(10)의 상면 테두리부측에는 에지(31)를 매개로 진동판(33)이 결합되고, 진동판(33)의 중앙부측에는 보이스코일(35)이 결합된다. 그리고, 외주면은 프레임(10)에 결합되고, 내주면은 보이스코일(35)에 결합되어 보이스코일(35)이 프레임(10)의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37)가 마련된다. 에지(31)와 진동판(33)과 보이스코일(35)과 댐퍼(37)가 진동부(30)를 구성한다.
그리하여, 보이스코일(35)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보이스코일(35)과 자기회로부(20)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이스코일(35)이 프레임(10)의 수직방향으로 진동하고, 이로인해 진동판(33)이 진동하면서 음향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는 마그네트(23)와 요크(25)를 접착제로 상호 접착한 후, 프레임(10)에 인서트된 플레이트(21)에 마그네트(23)를 접착제로 접착한다. 그런데, 마그네트(23)와 요크(25)를 접착시키는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그네트(23)를 플레이트(21)에 접착하거나, 플레이트(21)와 마그네트(23)를 접착시키는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는 상태에서 다음의 공정으로 이동시키면, 부품들의 조립 위치가 어긋나 불량이 발생한다. 따라서,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므로, 조립공정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 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기회로부(20)의 마그네트(23)와 요크(25)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조립공정 도중 스크래치가 생기는 등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상호 결합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지지된 요크와 상기 제 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며 상기 요크 및 상기 플레이트와 각각 접촉 결합된 마그네트를 가지는 자기회로부;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결합된 보이스코일을 가지며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된 제 1 프레임(110)과 제 2 프레임(120)이 마 련된다.
이하, 제 1 프레임(110)과 제 2 프레임(12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프레임(110,120)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제 1 프레임(110)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제 2 프레임(110)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제 1 프레임(110)은 상하면이 개방된 대략 콘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프레임(120)은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측이 제 1 프레임(110)의 하부측에 결합된다. 이때, 제 1 프레임(110)의 하부측 외주면 및 제 2 프레임(120)의 상부측 내주면에는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나선형태의 치(齒)(112,122)가 각각 형성된다.
제 1 프레임(110)과 제 2 프레임(120)에는 플레이트(131), 요크(133) 및 마그네트(135)를 가지는 자기회로부(130)가 결합되고, 제 2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진동판(141), 에지(143), 보이스코일(145) 및 댐퍼(147)를 가지는 진동부(140)가 설치된다.
자기회로부(1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플레이트(131)는 링형상으로 마련되어 제 1 프레임(110)의 하부측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프레임(110)은 합성수지제로서, 사출 성형된다. 이때, 소정의 금형 속에 플레이트(131)를 놓고, 수지를 주입하면, 플레이트(131)기 제 1 프레임(110)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요크(133)는 받침판(133a)과 받침판(133a)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 된 폴(133b)을 가진다. 마그네트(135)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은 받침판(133a)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면은 플레이트(131)의 하면에 접촉된다. 폴(133b)은 마그네트(135)와 플레이트(131)를 관통하며, 폴(133b)의 외주면과 마그네트(135)의 내주면 사이 및 폴(133b)의 외주면과 플레이트(131)의 내주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요크(133)의 받침판(133a)의 외경은 마그네트(135)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 2 프레임(120)의 내주면에는 단면(段面)(124)이 형성되어 제 2 프레임(120)의 내경이 받침판(133a) 및 마그네트(135)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받침판(133a)이 위치되는 제 2 프레임(120)의 하부측 내경은 마그네트(135)가 위치되는 제 2 프레임(120)의 상부측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요크(133)와 마그네트(135)를 제 2 프레임(120)의 적소에 결합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플레이트(131)는 제 1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요크(133)와 마그네트(135)는 제 2 프레임(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제 2 프레임(120)을 제 1 프레임(110)에 결합하면, 마그네트(135)의 상면 및 하면은 플레이트(131)의 하면 및 요크(133)의 받침판(133a)의 상면에 각각 접촉되어 결합된다. 이때, 마그네트(135)와 플레이트(131) 및 마그네트(135)와 요크(133)의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마그네트(135)와 플레이트(131) 사이 및 마그네트(135)와 요크(133)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요크(133)와 마그네트(135)를 제 2 프레임(120) 의 내부에 삽입 지지한 상태에서, 제 2 프레임(120)을 제 1 프레임(110)에 결합하면, 자기회로부(130)가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접착제의 경화에 제약을 받지 않고 조립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조립공정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마그네트(135)와 요크(133)가 제 2 프레임(120)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마그네트(135)와 요크(133)가 손상될 우려가 적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진동부(1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에지(143)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측이 제 1 프레임(110)의 상면 테두리부측에 결합된다. 진동판(141)은 콘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측이 에지(143)의 내주면측에 결합되고, 중앙부측에는 보이스코일(145)의 상단부측이 결합된다. 보이스코일(145)의 하부측은 자기회로부(130)의 갭(G)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보이스코일(145)에 전류가 공급되면, 보이스코일(145)과 자기회로부(130)의 작용에 의하여, 보이스코일(145)이 제 1 및 제 2 프레임(110,120)의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진동판(141)을 제 1 및 제 2 프레임(110,120)의 수직방향으로 진동시킨다. 그러면, 진동판(141)의 진동에 의하여 음향이 재생되는 것이다.
보이스코일(145)의 진동시 보이스코일(145)이 제 1 및 제 2 프레임(110,120)의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147)는 링형상으로 마련되어 외주면측은 제 1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보이스코일(145)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126은 보이스코일(145) 및 자기회로부(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공이고, 150은 보이스코일(145)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사시도로서, 도 2a 및 도 2b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210)의 하부측 외주면에는 걸림돌기(212)가 형성되고, 제 2 프레임의 상단면(上端面)에는 걸림돌기(212)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고리(222)가 형성된다. 즉, 걸림돌기(212)와 걸림고리(222)에 의하여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이 상호 결합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사시도로서, 도 2a 및 도 2b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310)의 하단면(下端面) 및 제 2 프레임(320)의 상단면(上端面)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재(360)가 체결되는 결합돌기(312,322)가 각각 형성된다. 즉, 체결돌기(360)가 결합돌기(312) 및 결합돌기(322)에 체결되므로 인하여, 제 1 프레임(310)과 제 2 프레임(320)이 상호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자기회로부의 플레이트는 제 1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고, 자기회로부의 요크 및 마그네트는 제 2 프레임의 내 부에 삽입 지지되어, 제 2 프레임이 제 1 프레임에 결합되면, 자기회로부가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접착제로 자기회로부를 상호 접착할 필요가 없고, 접착제로 자기회로부를 상호 접착한다 하더라고, 접착제의 경화에 관계 없이 부품들의 조립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립공정 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마그네트와 요크가 제 2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조립공정 도중 마그네트와 요크의 손상이 없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6)

  1. 일측 외주면에 나선형태의 치(齒)가 형성된 제 1 프레임;
    일측 내주면에 상기 제 1 프레임의 치와 맞물려 결합되는 치(齒)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된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지지된 요크와 상기 제 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며 상기 요크 및 상기 플레이트와 각각 접촉 결합된 마그네트를 가지는 자기회로부;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결합된 보이스코일을 가지며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일측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 1 프레임;
    일단면(一端面) 외주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된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지지된 요크와 상기 제 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며 상기 요크 및 상기 플레이트와 각각 접촉 결합된 마그네트를 가지는 자기회로부;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결합된 보이스코일을 가지며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3. 일단면(一端面)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 1 프레임;
    일단면(一端面)에 상기 제 1 프레임의 결합돌기와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된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지지된 요크와 상기 제 2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며 상기 요크 및 상기 플레이트와 각각 접촉 결합된 마그네트를 가지는 자기회로부;
    상기 제 1 프레임에 결합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결합된 보이스코일을 가지며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에는 방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외경과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은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단면(段面)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 내경은 상기 요크의 외경 및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과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6. 삭제
KR1020070128714A 2007-12-12 2007-12-12 스피커 KR10093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714A KR100932753B1 (ko) 2007-12-12 2007-12-12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714A KR100932753B1 (ko) 2007-12-12 2007-12-12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774A KR20090061774A (ko) 2009-06-17
KR100932753B1 true KR100932753B1 (ko) 2009-12-21

Family

ID=4099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714A KR100932753B1 (ko) 2007-12-12 2007-12-12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806A (ko) * 2014-11-27 2016-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4899A (ja) * 2002-01-31 2003-08-08 Kenwood Corp スピーカの磁気回路
KR20040070532A (ko) * 2003-02-04 2004-08-11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KR100802514B1 (ko) * 2006-08-31 2008-02-12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4899A (ja) * 2002-01-31 2003-08-08 Kenwood Corp スピーカの磁気回路
KR20040070532A (ko) * 2003-02-04 2004-08-11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KR100802514B1 (ko) * 2006-08-31 2008-02-12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806A (ko) * 2014-11-27 2016-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50792B1 (ko) * 2014-11-27 2016-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774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46897A (ko) 마이크로 스피커의 자기회로
KR101150508B1 (ko)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
JP2011023810A (ja) 電磁変換器
KR100932753B1 (ko) 스피커
KR101552224B1 (ko) 측면 방사형 마이크로스피커 및 이를 구비하는 인클로져스피커
JP5082401B2 (ja) スピーカの製造方法、スピーカおよびスピーカ製造用治具
JP5309811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と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用振動板の製造方法
JP2006217122A (ja) スピーカの振動系及びその振動系の製造方法
KR101061284B1 (ko) 슬림형 스피커
KR101759065B1 (ko) 틴셀 와이어 삽입형 댐퍼를 구비한 스피커 및 그 댐퍼의 제조방법
KR100962596B1 (ko) 스피커
KR101318698B1 (ko) 마이크로 스피커
KR101152646B1 (ko) 음향 변환 장치
KR20040107014A (ko)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KR101369330B1 (ko) 슬림형 프로텍터 및 이를 구비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 모듈
KR101503869B1 (ko) 스피커용 자기회로 및 스피커용 자기회로 제조방법
JP2005064831A (ja) スピーカ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スピーカ装置
KR20090022704A (ko) 스피커
KR100993242B1 (ko) 스피커
KR102647551B1 (ko) 마이크로스피커용 진동판
KR101439911B1 (ko) 링플레이트를 부착한 진동판 및 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KR20110085102A (ko) 스피커
KR101345335B1 (ko) 스피커
KR200234420Y1 (ko) 스피커의 프레임 결합구조
KR20220111354A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