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223B1 -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Google Patents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0223B1 KR100930223B1 KR1020070107695A KR20070107695A KR100930223B1 KR 100930223 B1 KR100930223 B1 KR 100930223B1 KR 1020070107695 A KR1020070107695 A KR 1020070107695A KR 20070107695 A KR20070107695 A KR 20070107695A KR 100930223 B1 KR100930223 B1 KR 1009302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
- buoyancy
- hole
- fastening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39 Spr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부에 소정의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부를 가지며 물에 부유하는 부력통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 부력통의 적층되는 체결부의 관통공에 관통 결합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앵커의 외주에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어, 최하단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앵커에 착탈하며, 최상단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지지하는 상기 앵커가 상기 체결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부력통의 연결 및 분리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부에 소정의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부를 가지며 물에 부유하는 부력통을 상호 연결하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닷가나 강가와 같이 물이 인접한 곳에는 보트나 배가 접안할 수 있도록 접안시설이 되어 있다. 이러한 접안시설로는 항만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호수가 등과 같이 나무나 판재에 의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도 있게 된다.
레저형 보트와 같은 소형의 선박은 정박하는 특별한 시설이 없고, 목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하거나 대형의 선박들이 접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대형의 선박을 이용한 구조물에 모터보트를 접안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모터보트의 높이 차가 발생되므로 정박된 모터보트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썰물과 밀물에 의하여 모터보트의 높이는 다르게 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접안시설에서 정박중인 모터보 트로 이동이 불편하면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안되는 보트와 접안시설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승선과 하선에 안전성을 부여하고, 정박되는 보트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속이 빈 복수의 부력통을 연결하여 접안시설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접안시설을 구성하는 부력통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구 유니트가 필요하며,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부력통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분리작업 또한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부력통의 연결 및 분리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측부에 소정의 관통공(25)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부(21,22,23,24)를 가지며 물에 부유하는 부력통(1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각 부력통(10)의 적층되는 체결부(21,22,23,24)의 관통공(25)에 관통 결합되는 앵커(31)와; 상기 앵커(31)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앵커(31)의 외주에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어, 최하단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지지하는 스프링(41)과; 상기 스프링(41)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앵커(31)에 착탈하며, 최상단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지지하는 상기 앵커(31)가 상기 체결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51)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31)는 원형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앵커(31)의 외주에는 상기 앵커(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원호형상을 가지며 등간격으로 돌출된 4개의 리브(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5)은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25)의 각 변에는 상기 앵커(31)의 외주 일 영역이 부분적으로 끼워맞춤결합되는 제1그루브(27)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5)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리브(33)가 끼워맞춤결합되는 제2그루브(2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앵커에는 상기 스프링이 인출입하는 한 쌍의 인출입공이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양단으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상기 인출입공에 인출입하며 상기 최하단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암과, 상기 아암의 말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인출입공의 둘레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앵커에 상호 대향하게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착탈공과, 상기 한 쌍의 착탈공에 결합되는 스토퍼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가능한 핸드그립을 형성하며 상기 앵커에 착탈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와 상기 핸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앵커와 핸들을 상호 연결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앵커와 핸들 사이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리브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앵커와 상기 핸들에 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앵커의 단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앵커를 관통공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일부 및 아암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푸싱부와, 상기 코일부 및 아암 중 어느 하나가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코일부 및 아암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거나 걸어 인장하여 상기 앵커의 인출입공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스프링을 상 기 인출입공으로 수용시켜 상기 최하단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지지해제하는 스프링 작동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부력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부력통의 연결 및 분리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부력통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통(10)은 물에 부유 가능하도록 속이 빈 육면체형상을 가진다.
부력통(10)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데, 내부에는 중공부(11, 도 4참조)가 형성되어서 부력에 의하여 물 위에 뜨게 된다. 부력통(1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이음매 없이 전체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력통(10)의 네 측면에는 삽입돌기(13)와 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한 쌍의 부력통(10)은 삽입돌기(13)와 삽입홈(15)에 의하여 서로 밀착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부력통(10)의 각각의 측면 모서리에는 인접하는 부력통(10)을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부(21,22,23,2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부력통(10)의 모서리 에는 제1체결부(21), 제2체결부(22), 제3체결부(23) 및 제4체결부(24)가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체결부(21,22,23,24)는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부력통(10)이 서로 밀착되는 모서리에는 서로 높이가 다른 체결부가 적층된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부력통(10)이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4개의 체결부(21,22,23,24)가 연결되는데, 연결되는 4개의 체결부(21,22,23,24)는 서로 높이가 다르므로 중복되지 않으면서 적층된다. 만약 3개의 부력통(10)이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3개의 체결부가 적층된다.
또한, 각 체결부(21,22,23,24)에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30)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2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5)은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관통공(25)의 각 변에는 후술할 앵커(31)의 외주 일 영역이 부분적으로 끼워맞춤결합되는 제1그루브(27)가 함몰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25)의 각 모서리에는 후술할 리브(33)가 끼워맞춤결합되는 제2그루브(29)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인접하게 연결되는 부력통(10)에 의하여 적층되는 체결부(21,22,23,24)에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30)가 관통 결합되어, 인접하는 부력통(10)을 서로 연결한다.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부력통(10)의 각 체결부(21,22,23,24)의 관통공(25)에 관통 결합되는 앵커(31)를 가진다.
앵커(31)는 원형단면의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앵커(31)의 외주에는 앵커(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원호형상을 가지며 등간격으로 돌출된 4개의 리 브(33)가 형성되어 있다. 앵커(31)의 외주 일 영역은 제1그루브(27)에 끼워맞춤결합되고, 리브(33)는 제2그루브(29)에 끼워맞춤결합되며, 이에 앵커(31)는 체결부(21,22,23,24)의 관통공(25)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각 부력통(10)은 견고하게 연결된다. 또한, 관통공(25)에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앵커(31)의 단부는, 앵커(31)가 관통공(25)에 간편하게 삽입되도록,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한편, 앵커(31)에는 스프링(41)이 인출입하는 한 쌍의 인출입공(35)이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41)은 앵커(31)의 내주에 배치되어, 앵커(31)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앵커(31)의 인출입공(35)에 인출입한다.
또한, 앵커(31)의 일단부에는 그 외주를 따라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37)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41)은 스프링강 재질로 이루어지며, 스프링(41)은 코일부(43)와, 코일부(43)의 양단으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인출입공(35)에 인출입하며 적층되는 체결부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체결부(24, 도 5참조)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암(45)과, 각 아암(45)의 말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인출입공(35)의 둘레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49)를 포함한다.
아암(45)은 코일부(43)의 양단으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인출입공(35)에 인출입하며 각 체결부(21,22,23,24)의 관통공(25)에 접촉 및 이격하는 한 쌍의 제1아암(46)과, 제1아암(46)의 말단부로부터 상호 대향하도록 절곡 연장되어 인출입공(35)에 인출입하며 적층되는 체결부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체결부(24)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2아암(47)을 가진다. 여기서, 앵커(31)가 관통공(25) 통과시 한 쌍의 지지부(49)가 앵커(3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하며 상호 접근하여 압축되도록, 즉 제1아암(46) 및 제2아암(47)이 인출입공(35)으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제1아암(46)은 코일부(4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스프링(41)은 전체적으로 코일부(43)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인접하는 부력통(10)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체결부(24)의 저부면을 지지한다.
또한, 앵커(31)에는 스프링(41)과 이격 배치되어, 적층되는 체결부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체결부(23, 도 5참조)를 지지하는 스토퍼(51)가 착탈한다. 스토퍼(51)는, 앵커(31)에 상호 대향하게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착탈공(53)과, 한 쌍의 착탈공(53)에 결합되는 스토퍼핀(55)을 포함한다.
이에, 스토퍼(51)는 스프링(41)과 함께, 앵커(31)가 체결부(21,22,23,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앵커(31)의 상단부에는 앵커(31)의 개구를 폐쇄하는 핸들(61)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61)은 파지가능한 한 쌍의 핸드그립(63)을 가지며, 핸드그립(63)은 상호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앵커(31)와 핸들(61)은 핀 결합되어 있다.
즉, 핸들(61)에는 앵커(31)의 착탈공(53)과 연통하는 한 쌍의 연통공(65)이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앵커(31)의 착탈공(53)과 핸들(61)의 연통공(65)을 상호 연통하도록 앵커(31)와 핸들(61)을 결합한 후, 이들 착탈공(53)과 연통공(65)에 스토퍼핀(55)을 관통 결합함으로써, 앵커(31)와 핸들(61)은 상호 결합된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17은 부력통(10)의 상부에 형성된 요철면이다. 또한, 미설명된 참조부호 19는 각 부력통(10)의 모서리에 형성된 안착홈이고, 안착홈(19)에는 핸들(61)의 핸드그립(63)이 수용가능하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30)를 사용하여, 복수의 부력통(10)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30)는 인접하는 부력통(10)의 수에 따라서 2개, 3개 혹은 4개의 체결부와 연결되게 된다. 즉, 2개의 부력통(10)을 연결하는 부위에는 2개의 체결부와 연결되게 되고, 3개의 부력통(10)과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3개의 체결부와 연결되게 되며, 4개의 부력통(10)과 연결되는 중앙 부위에서는 4개의 체결부와 연결되게 된다.
즉, 2개의 체결부가 연결되는 부위는 제2체결부(22)와 제4체결부(24)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연결되는 부력통(10)에 의하여 제1체결부(21), 제2체결부(22), 제3체결부(23) 혹은 제4체결부(24) 중에서 2개가 조합되는 가지의 수로 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서로 높이가 동일한 제1체결부(21)와 제1체결부(21)는 서로 연결될 수 없게 되고, 제1체결부(21)와 제1체결부(21)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체결부(제2체결부, 제3체결부, 제4체결부) 중에서 하나의 체결부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체결부(21,22,23,24)가 이격되는 거리는 각각의 체결부(21,22,23,24)의 두께보다도 더 작게 되면 서로 겹쳐질 수 있게 되므로, 각각의 체결부(21,22,23,24)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체결부(21,22,23,24)들의 두께보다도 더 크게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30)를 사용하여 4개의 부력통(10)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각 부력통(10)의 체결부(21,22,23,24)를 적층시킨다.
이 때, 각 부력통(10)의 체결부(21,22,23,24)가 겹치지 않게, 그리고 각 부력통(10)의 체결부(21,22,23,24)의 관통공(25)이 상호 연통하도록 각 부력통(10)을 밀착시킨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30)의 앵커(31)를 각 부력통(10)의 적층된 체결부(21,22,23,24)의 각 관통공(25)에 관통 결합한다.
이 때, 앵커(31)가 관통공(25)의 통과시 앵커(31)의 인출입공(35)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링(41)의 아암(45)은 압축되면서 인출입공(35)으로 수용되어, 앵커(31)는 각 체결부(21,22,23,24)의 관통공(25)을 원활하게 통과하게 된다.
이어서, 앵커의 스프링(41)이 최하단에 위치한 체결부(24)의 관통공(25)을 통과하면, 앵커(31)의 인출입공(35)으로 수용된 스프링(41)의 아암(45)은 스프링(41)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앵커(31)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인장하면서 인출입공(35)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 스프링(41)의 지지부(49)가 인출입공(35)의 둘레, 즉 앵커(31)의 내측면에 걸림유지된다.
계속해서, 앵커(31)의 인출입공(35)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링(41)이 적층된 체 결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체결부(24)의 저부면을 지지하도록 앵커(31)의 높이를 조절한 후, 앵커(31)에 핸들(61)을 결합한다.
그리고, 앵커(31)의 착탈공(53)과 핸들(61)의 연통공(65)을 상호 연통시킨 후, 이들 착탈공(53)과 연통공(65)에 스토퍼핀(55)을 관통 결합한다.
이 때, 스토퍼핀(55)은 앵커(31)를 관통하며 적층된 체결부 중 최상단에 위치한 체결부(23)의 상부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앵커(31)와 핸들(61)을 상호 연결한다.
이에, 스토퍼핀(55)은 스프링(41)과 함께, 앵커(31)가 각 체결부(21,22,23,2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4개의 부력통(10)은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앵커(31)의 상부에 핸들(61)을 장착한 후, 핀 결합하여 앵커(31)와 핸들(61)을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부력통(10)을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30)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형상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30')로서,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앵커(31)와 핸들(61) 사이에 앵커(31)와 핸들(61)을 상호 연결하는 슬리브(71)가 마련되어 있다. 슬리브(71)는 그 일단부가 앵커(31)의 내주에 끼워맞춤결합되도록 단차를 형성하는 속이 빈 원형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앵커(31)와 슬리브(71)와 핸들(61)이 핀 결합되어 있다. 슬리브(71)에는 앵커(31)의 착탈공(53)과 연통하는 한 쌍의 앵커연통공(73)이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슬리브(71)에는 핸들(61)의 연통공(65)과 연통하는 한 쌍의 핸들연통공(75)이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앵커(31)의 착탈공(53)과 슬리브(71)의 앵커연통공(73)에 스토퍼핀(55)을 관통 결합함으로써 앵커(31)와 슬리브(71)를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핸들(61)의 연통공(65)과 슬리브(71)의 핸들연통공(75)에 핸들 연결핀(79)을 관통 결합함으로써 핸들(61)과 슬리브(71)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31)와 핸들(61) 사이에 슬리브(71)를 마련함으로써, 앵커(31)와 핸들(61) 사이의 길이가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길이가 연장된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3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의 앵커(31')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31')는 한 쌍의 스프링(41)이 상호 직각을 이루며 앵커(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의 구성품으로서, 상호 연결된 부력통(10)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스프링 작동부재(81)를 더 가진다.
스프링 작동부재(81)는 긴 바아형상의 본체(83)를 가지며, 본체(83)의 상단부에는 파지가능한 핸드그립(85)이 장착되어 있다. 본체(83)의 하단부에는 코일부(43) 및 아암(45)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기 위한 하향 절개된 갈고리 형상의 푸싱부(87)가 형성되어 있고, 푸싱부(87)와 인접한 영역에는 코일부(43) 및 아암(45) 중 어느 하나를 걸도록 상향 절개된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89)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스토퍼핀(55)을 앵커(31)의 착탈공(53)으로부터 분리하고, 핸들(61)을 앵커(31)로부터 분리한 후, 스프링 작동부재(81)를 사용하여 코일부(43) 및 아암(45)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거나 걸어 인장하여, 앵커(31)의 인출입공(35)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링(41)을 인출입공(35)으로 수용시킴으로써, 최하단에 위치하는 체결부(24)가 지지해제되어, 각 체결부(21,22,23,24)의 관통공(25)에 관통 결합된 앵커(31)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부력통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부력통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구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부력통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를 사용하여 부력통을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를 사용하여 부력통을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앵커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스프링 작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력통 21,22,23,24 : 체결부
25 : 관통공 27 : 제1그루브
29 : 제2그루브 30,30' :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31,31' : 앵커 33 : 리브
35 : 인출입공 41 : 스프링
43 : 코일부 45 : 아암
49 : 지지부 51 : 스토퍼
53 : 착탈공 55 : 스토퍼핀
71 : 슬리브 81 : 스프링 작동부재
87 : 푸싱부 89 : 걸림부
Claims (10)
- 측부에 소정의 관통공(25)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부(21,22,23,24)를 가지며 물에 부유하는 부력통(1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에 있어서,상기 각 부력통(10)의 적층되는 체결부(21,22,23,24)의 관통공(25)에 관통 결합되는 앵커(31)와;상기 앵커(31)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앵커(31)의 외주에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어, 최하단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지지하는 스프링(41)과;상기 스프링(41)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앵커(31)에 착탈하며, 최상단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지지하는 상기 앵커(31)가 상기 체결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51)를 포함하며,상기 앵커(31)는 원형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앵커(31)의 외주에는 상기 앵커(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원호형상을 가지며 등간격으로 돌출된 4개의 리브(33)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관통공(25)은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25)의 각 변에는 상기 앵커(31)의 외주 일 영역이 부분적으로 끼워맞춤결합되는 제1그루브(27)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5)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리브(33)가 끼워맞춤결합되는 제2그루브(2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앵커(31)에는 상기 스프링(41)이 인출입하는 한 쌍의 인출입공(35)이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고;상기 스프링(41)은 코일부(43)와, 상기 코일부(43)의 양단으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상기 인출입공(35)에 인출입하며 상기 최하단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암(45)과, 상기 아암(45)의 말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인출입공(35)의 둘레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토퍼(51)는,상기 앵커(31)에 상호 대향하게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착탈공(53)과,상기 한 쌍의 착탈공(53)에 결합되는 스토퍼핀(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제1항에 있어서,파지가능한 핸드그립(63)을 형성하며 상기 앵커(31)에 착탈되는 핸들(6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앵커(31)와 상기 핸들(61)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앵커(31)와 핸들(61)을 상호 연결하는 슬리브(7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슬리브(71)는 상기 앵커(31)와 상기 핸들(61)에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관통공(25)에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앵커(31)의 단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코일부(43) 및 아암(45)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푸싱부(87)와, 상기 코일부(43) 및 아암(45) 중 어느 하나가 걸리는 걸림부(89)를 가지며, 상기 코일부(43) 및 아암(45)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거나 걸어 인장하여 상기 앵커(31)의 인출입공(35)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스프링(41)을 상기 인출입공(35)으로 수용시켜 상기 최하단에 위치하는 체결부를 지지해제하는 스프링 작동부재(8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7695A KR100930223B1 (ko) | 2007-10-25 | 2007-10-25 |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7695A KR100930223B1 (ko) | 2007-10-25 | 2007-10-25 |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1916A KR20090041916A (ko) | 2009-04-29 |
KR100930223B1 true KR100930223B1 (ko) | 2009-12-09 |
Family
ID=4076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7695A KR100930223B1 (ko) | 2007-10-25 | 2007-10-25 |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022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442Y1 (ko) | 2009-12-31 | 2010-04-09 | 오세진 | 체결구조를 단순화한 일체형 부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8877B1 (ko) * | 2017-04-04 | 2019-10-04 | 전준구 | 수상용 구조물 제조용 프로파일 부재 |
KR102084034B1 (ko) | 2017-12-11 | 2020-03-04 | 주식회사 지엔씨 | 조립형 플로트 |
CN114701596A (zh) * | 2022-04-06 | 2022-07-05 | 奕江山环境科技(北京)有限公司 | 一种浮岛柔性连接件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46024A (ja) * | 1998-07-30 | 2000-02-15 | Taisei Corp | ドリフトピン |
KR20030073051A (ko) * | 2002-03-08 | 2003-09-19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체결핀 |
KR100697094B1 (ko) * | 2005-01-14 | 2007-03-21 | 한성호 | 내구성이 증대된 조립식 접안시설 및 그의 제조방법. |
-
2007
- 2007-10-25 KR KR1020070107695A patent/KR10093022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46024A (ja) * | 1998-07-30 | 2000-02-15 | Taisei Corp | ドリフトピン |
KR20030073051A (ko) * | 2002-03-08 | 2003-09-19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체결핀 |
KR100697094B1 (ko) * | 2005-01-14 | 2007-03-21 | 한성호 | 내구성이 증대된 조립식 접안시설 및 그의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442Y1 (ko) | 2009-12-31 | 2010-04-09 | 오세진 | 체결구조를 단순화한 일체형 부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1916A (ko) | 2009-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13076B1 (en) | A system for connecting marine bodies | |
KR100930223B1 (ko) |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
JP5475414B2 (ja) | ライザー切り離し及び保持機構 | |
EP2905217B1 (en) | Vessel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a floating platfor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such a platform | |
KR20120125719A (ko) | 선박용 앵커링시스템의 체인록커에 구비되는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 | |
JPS5924033B2 (ja) | ロ−プ取付体 | |
ES2275910T3 (es) | Conectores estructurales no concentricos de capacidad elevada. | |
JP2016510287A (ja) | 組立式ポンツーン | |
CN109466706B (zh) | 一种组合式浮台 | |
KR101712029B1 (ko) | 다기능 플로팅 데크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구조물의 조립식 설치방법 | |
KR101291055B1 (ko) | 해상 구조물용 체인 고정장치 | |
KR20090048061A (ko) |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 |
KR101313164B1 (ko) | 선박 건조용 계선주 | |
KR102573845B1 (ko) | 팽창 구조체를 이용한 해상기초의 인발공법 및 동 공법이 적용되는 인발구조가 형성된 해상기초 | |
CN215904692U (zh) | 一种组合式下水梯 | |
KR101775902B1 (ko) | 해양플랫폼의 연결장치 | |
CN211810118U (zh) | 一种分体式拖船架 | |
KR101699961B1 (ko) | 다용도 폰툰용 닻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폰툰의 정박용 닻 연결구조 | |
KR102507440B1 (ko) | 수중로프 수거장치 | |
KR101152677B1 (ko) | 수밀부가 구비된 선박 예인장치 | |
KR101697700B1 (ko) | 해저용 앵커 | |
KR200305913Y1 (ko) | 선박용 다용도 흡착판 | |
CN201914416U (zh) | 埋入式带缆柱 | |
CN214089954U (zh) | 一种水下自卸式的拉锚系统 | |
KR20130004716A (ko) | 부유식 안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