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700B1 - 해저용 앵커 - Google Patents

해저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700B1
KR101697700B1 KR1020160104583A KR20160104583A KR101697700B1 KR 101697700 B1 KR101697700 B1 KR 101697700B1 KR 1020160104583 A KR1020160104583 A KR 1020160104583A KR 20160104583 A KR20160104583 A KR 20160104583A KR 101697700 B1 KR101697700 B1 KR 10169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fixing pin
intermittent
body cover
b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봉
Original Assignee
장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봉 filed Critical 장원봉
Priority to KR102016010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43Anchors foldable or capable of being disassembl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서 선박 또는 부유물(표)의 정박을 위해 사용되는 해저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량의 모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복수 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몸체 베이스와, 몸체 베이스의 최상측에 결합되는 몸체커버가 주요하게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몸체 베이스 및 몸체커버는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각각이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동됨으로써 접힘 및 펼침 동작되는, 해저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해저용 앵커는, (a)다층의 몸체 베이스가 그 내부에 모래를 수용한 상태에서 몸체커버와 함께 접혀짐으로 인해 앵커의 기능을 수행하고, (b)사용자의 인상 조작에 의해 다층의 몸체 베이스와 몸체커버가 펼쳐짐에 따라 몸체 베이스 내부에 수용되었던 모래가 배출되면서 앵커를 용이하게 인상(引上)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저용 앵커{SEA FLOOR ANCHOR}
본 발명은 해상에서 선박 또는 부유물(표)의 정박을 위해 사용되는 해저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량의 모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복수 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몸체 베이스와, 몸체 베이스의 최상측에 결합되는 몸체커버가 주요하게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몸체 베이스 및 몸체커버는 연속으로 배열되고, 각각이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동됨으로써 접힘 및 펼침 동작되는, 해저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해저용 앵커는, (a)다층의 몸체 베이스가 그 내부에 모래를 수용한 상태에서 몸체커버와 함께 접혀짐으로 인해 앵커의 기능을 수행하고, (b)사용자의 인상 조작에 의해 다층의 몸체 베이스와 몸체커버가 펼쳐짐에 따라 몸체 베이스 내부에 수용되었던 모래가 배출되면서 앵커를 용이하게 인상(引上)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앵커(Anchor)란, PC강봉, PC강선, 스트랜트 등의 인장재를 타설하고 긴장함으로써 적정량의 하중을 갖도록 하여 해저(지반)에 전하여 닿도록 함으로써, 해상의 선박 또는 부유물(표)의 정박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앵커는 형태와 기능에 따라 강철제 일반앵커, 스톡앵커 및 편(片)갈고랑이 앵커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들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a) 선박 또는 부유물(표)에 설치되고, 일단이 해상과 육지의 경계인 콘크리트 블록에 설치된 고정수단에 체결시켜 정박시킨다.
(b) 선박 또는 부유물(표)에 설치되고, 적정량의 하중을 갖도록 하여 바닷물로 입수시켜 해저에 닿아 상기 선박 또는 부유물(표)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그러나 (a)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블록이 마련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정박이 불가능하다. 즉, 바다 중심에서 선박 또는 부유물(표)을 정박시킬 수 없다.
그리고 (b)의 경우에는, 통상의 앵커는 하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인력으로 인상하기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대형선은 앵커의 제어가 가능한 기계장치를 마련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계장치의 하중 역시 상당하고, 이에 따라 소형선은 기계장치의 마련이 불가능하여 비교적 가벼운 하중의 앵커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앵커에 관련한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705호에 오탁방지막 지지용 앵커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소정 길이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연결 고리, 상기 연결 고리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고, 소정각도를 갖는 절곡부를 중심으로 양측을 따라 곧게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편 및 상기 절곡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삽입부와 수직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 지지용 앵커"를 기재하고 있다.
또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560382호에는 오탁방지막용 강관말뚝 앵커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상단부가 개구 된 내부공(11)이 있고 외주면 양측에 구멍(12)이 있으며 상단부에는 로프고정부(13)를 갖는 강관말뚝(10)과, 상기 강관말뚝(10)에 구비되는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하단걸림부(22)가 회동되고, 힌지축(21)을 중심으로 내측 방향으로 상단눌림단부(23)를 갖는 하나 이상의 회동걸림수단(20)과, 상기 회동걸림수단(20) 상부쪽의 내부공(11)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단눌림단부(23)를 가압하는 뾰족가압부(31)가 있는 가압수단(30)과, 상기 회동걸림수단(20)의 하단걸림부(22)와 가압수단(30)의 뽀족가압부(31)가 당김 와이어(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상기한 바에서 지적된 하중에 관련된 문제점과 인상(引上)시 요구되는 힘을 줄일 수 있는 문제점을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705호(2013.01.21.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560382호(2015.10.19.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에서 선박 또는 부유물(표)의 정박을 위해 사용되는 해저용 앵커에 있어서, 다량의 모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복수 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몸체 베이스와, 몸체 베이스의 최상측에 결합되는 몸체커버가 주요하게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몸체 베이스 및 몸체커버는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각각이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동됨으로써 접힘 및 펼침 동작되는, 해저용 앵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는, 힌지를 통해 체결되는 다수 개의 몸체 베이스(12a, 12b, 12c ... 12n) 및 상기 몸체 베이스(12a)와 힌지를 통해 체결되는 몸체커버(11)를 포함하는 앵커몸체(10)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몸체 베이스(12a, 12b, 12c ... 12n)와 몸체커버(11)는,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동됨으로써 접힘 및 펼침 동작되고, 몸체 베이스는 이의 상면에 무게 보강수단이 수용되는 수용홈(121)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몸체커버(11)는 이의 상면 중 일방향에서 반대 일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면서 이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몸체커버 루프(11a); 상기 복수 개의 몸체커버 루프(11a)의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단속 축 삽입부(11b); 및 상기 몸체커버 루프(11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커버 루프(11a)의 상면 일측에서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핀 삽입구(11c);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단속 축 삽입부(11b)에 삽입되는 단속 축(20)을 더 포함하되, 단속 축(20)은 이의 외면 일측에 복수 개 형성된 단속돌기(21); 및 이의 외면 다른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 삽입구(11c)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 관통홀(22);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속 축(20)의 양단에 고정연결되는 앵커몸체 당김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핀 관통홀(22)을 관통하여 고정핀 삽입구(11c)에 삽입되고 상기 단속 축(20)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고정핀(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핀(30)은 일측에 고정핀 당김부재(31)가 고정연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힌 상태에 있는 앵커몸체(10)의 외면을 감싸는 단속 와이어(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속 와이어(50)는 (a)일예로서 양단이 단속돌기(21)에 연결되거나, (b)다른 일예로서 일단이 단속 축(20)에 고정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단속돌기(21)에 연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는, 해저(海底)에 닿아있는 앵커몸체(10)를 인상하는 경우, 고정핀 당김부재(31)를 당기면 고정핀(30)이 고정핀 관통홀(22) 및 고정핀 삽입구(11c)로부터 삽입 해제되고, 이에 따라 단속 축(20)이 움직여 단속 와이어(50)가 단속돌기(21)와 연결 해제되며, 단속 와이어(50)의 풀림에 의해 앵커몸체(10)를 구성하는 몸체커버(11)와 다수 개의 몸체 베이스(12)가 펼침 동작됨으로써, 상기 몸체 베이스(12) 내부에 형성된 수용홈(121)에서 모래가 배출되고, 상기 몸체커버(11)와 다수 개의 몸체 베이스(12)가 일직선으로 펼쳐짐에 의해 상기 앵커몸체(10)가 인상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는, 몸체 베이스와 몸체커버가 접힌 상태에서 그 내부에 모래를 수용하고 있으므로, 앵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중을 확보할 수 있고, 앵커를 해저(海底)로부터 인상(引上)하는 경우, 상기 몸체 베이스와 몸체커버가 펼쳐지면서 수용되었던 모래가 배출되어 하중이 가벼워짐과 더불어, 상기 몸체 베이스와 몸체커버가 일직선으로 펼쳐짐으로써, 물 내부의 압력에 대한 영향이 감소되어 인상을 한층 더 쉽게하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가 펼쳐진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가 펼쳐진 다른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해상에서 선박 또는 부유물(표)의 정박을 위해 사용되는 해저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량의 모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복수 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몸체 베이스와, 몸체 베이스의 최상측에 결합되는 몸체커버가 주요하게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몸체 베이스 및 몸체커버는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각각이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동됨으로써 접힘 및 펼침 동작되는, 해저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해저용 앵커는, (a)다층의 몸체 베이스가 그 내부에 모래를 수용한 상태에서 몸체커버와 함께 접혀짐으로 인해 앵커의 기능을 수행하고, (b)사용자의 인상 조작에 의해 다층의 몸체 베이스와 몸체커버가 펼쳐짐에 따라 몸체 베이스 내부에 수용되었던 모래가 배출되면서 앵커를 용이하게 인상(引上)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가 펼쳐진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는 박스형태의 앵커몸체(10)로부터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앵커몸체(10)는, 몸체커버(11) 및 다수 개의 몸체 베이스(12)로 구성된다.
몸체 베이스(12)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다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넓은 면이 맞닿도록 다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커버(11)는 몸체 베이스(12)의 최상측 즉, 몸체 베이스(12) 중 가장 상단에 위치한 것의 상측에 위치된다.
몸체커버(11)를 먼저 설명하면, 몸체커버(11)는 이의 상면에 복수 개의 몸체커버 루프(11a)가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커버 루프(11a)는 몸체커버(11)의 상면 중 일방향에서 반대 일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면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몸체커버 루프(11a)의 첨부된 도면과 같이 일정각도의 경사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몸체커버(11)의 몸체커버 루프(11a)에는 이의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단속 축 삽입부(11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커버 루프(11a)는 이의 상면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핀 삽입구(11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핀 삽입구(11c)는 복수 개의 몸체커버 루프(11a) 중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면에서는 3개의 몸체커버 루프(11a) 중 중간에 위치한 몸체커버 루프(11a)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몸체커버 루프(11a)에 고정핀 삽입구(11c)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중간에 위치한 몸체커버 루프(11a)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고정핀 삽입구(11c)는 후술될 고정핀 관통홀(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몸체 베이스(12)는, 이의 일면에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121)이 다수 개 배열된다.
수용홈(121)에는 모래가 수용되는데, 이때 모래 수용이 필요한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가 물(해저) 속에 잠길 수 있도록 무게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수용홈(121)에 모래가 수용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일회성이면서 가격이 다소 저렴한 모래를 사용하는 것일 뿐, 이를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이 있거나, 신규하게 개발된다면 이를 대처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이하, 몸체 베이스(12)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기 수용홈(121)이 형성되는 일면을 상면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 일면을 하면으로 지칭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면 몸체 베이스(12)는 복수 개가 연속되도록 직선상에 배열되며, 마주 닿는 면이 힌지를 통해 체결된다.
이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가 펼쳐진 다른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몸체 베이스(12)는 복수 개가 직선상에 연속 배열되면서, 상호 간에 힌지를 통해 체결되되, 체결되는 힌지의 위치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가장 하단부의 몸체 베이스(12n)와 이에 체결되는 다른 몸체 베이스(12c)는 상면 일측에 힌지가 구성되고, 상기 다른 몸체 베이스(12c)와 또 다른 몸체 베이스(12b)는 하면 일측에 힌지가 구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또 다른 몸체 베이스(12b)와 이에 체결되는 최상측에 위치하는 몸체 베이스(12a)는 상면 일측에 힌지가 구성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면 일측 - 하면 일측 - 상면 일측과 같이 지그재그로 힌지가 위치되는 것인데, 이로 인해 도 4와 같이 앵커몸체(10)가 접힘 또는 펼침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술된 사항과 반대로 힌지의 구성이 하면 일측 - 상면 일측 - 하면 일측으로 구성되어도, 도 4와 같이 앵커몸체(10)가 접힘 또는 펼침 조작될 수만 있다면 어떻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최상측에 위치하는 몸체 베이스(12a)는 몸체커버(11)에 체결되는데, 이들의 힌지 체결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지그재그 배열됨이 당연하다.
이상의 서술은, 몸체 베이스(12)가 4개의 다층구조로 구성되는 일예를 설명하므로 몸체베이스의 도면부호를 12a, 12b, 12c ... 12n으로 기재하고 있는데, 이는 몸체 베이스(12)의 개수가 반드시 4개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단속 축(20)은 강 또는 쇠 재질로서 원형의 긴 봉의 형태로 구성되고, 단속 축 삽입구(12b)에 삽입된 상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속 축(20)은 첨부된 도면과 같이 1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단속 축(20)이 개별 회동될 수 있도록 하며, 이의 외면에는 단속돌기(21)가 각각 1개 이상씩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단속 축(20)이 개별 회동될 수 있으므로써, 단속 축(20)이 하나의 일체형태로 구성될 때보다 후술될 단속 와이어(50)의 풀림과 걸림(연결)이 자유로울 수 있다.
단속돌기(21)는 단속 와이어(50)를 거는 역할을 하는데, 단속 와이어(50)는 앵커몸체(10)의 외면을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구성되며, 일단이 단속돌기(21)에 걸리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고리에 단속 축(20)이 끼워지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단속 와이어(50)는 양단이 막힌 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서, 단속 와이어(50)는 일단이 하나의 단속돌기(21)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다른 단속돌기(21)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단속 와이어(50)의 분실 우려가 있으므로, 단속 와이어(50)의 일단이 단속 축(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단속 축(20)은 상기 고정핀 관통홀(22)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핀 관통홀(22)은 고정핀 삽입구(11c)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속 축(20)의 양단에는 앵커몸체 당김부재(40)가 고정연결된다. 이러한 앵커몸체 당김부재(40)는 앵커몸체(10)를 해저 내에서 해수면으로 인상할 때 사용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앵커몸체 당김부재(40)가 끈이나 와이어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앵커몸체(10)를 해저에서 해수면으로 인상할 때 인가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재질(쇠사슬 등)이면 충분하다.
고정핀(30)은 고정핀 관통홀(22)과 고정핀 삽입구(11c)을 관통하는 것으로, 단속 축(2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핀 관통홀(22)과 고정핀 삽입구(11c)을 관통하는 일측의 다른 일측에는 고정핀 당김부재(31)가 고정연결될 수 있는 수단(고리)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 당김부재(31)는 고정핀(30)을 당기기 위해 조작되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용 앵커가 해저에 투입되기 전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앵커몸체(10)는 몸체커버(11)와 몸체 베이스(12)가 접힌 상태로 존재하고, 단속 축(20)이 단속 축 삽입구(11b)에 삽입된 상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단속 와이어(50)의 일단이 단속 축(20)에 형성된 단속돌기(21)에 고정 또는 연결된 상태에서 앵커몸체(10)의 외면을 둘러싸게되며, 단속 와이어(50)의 다른 일단이 단속돌기(21)에 연결되도록 된다.
이때 상기한 고정과 연결의 의미는 다르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은 조작에 의해 풀림(연결해제)가 가능한 것을 의미하나, 고정은 어떠한 경우에도 풀리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후, 고정핀(30)이 고정핀 관통홀(22)과 고정핀 삽입구(11c)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고정핀 당김부재(31)가 고정핀(30)에 고정되며, 앵커몸체 당김부재(40)가 단속 축(20)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핀 당김부재(31)와 앵커몸체 당김부재(40)는 일 부분에서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a)하나의 당김부재로서 사용자의 당김조작에 의해 고정핀(30)이 빠지도록 하고, 앵커몸체(10)가 인상되도록 할 수 있다.
(b)하나의 당김부재가 되도록 'Y'자 형태와 같이 일부분에서 합쳐지되, 합쳐진 부분부터는 고무관 등의 수단이 외면에 둘러싸여 각각 구성됨으로써 고정핀 당김부재와 앵커몸체 당김부재 각각을 당기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몸체 베이스(12)의 수용홈(121)에는 모래가 수용(충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해저용 앵커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바닷물 속으로 투입된다. 그러면 모래의 하중에 의해 투입된 해저용 앵커는 해저(海底)에 닿아 선박 또는 부유물(표)이 바닷물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해저용 앵커를 수거하기 위한 동작관계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고정핀 당김부재(31)를 당겨 고정핀(30)이 고정핀 관통홀(22)과 고정핀 삽입구(11c)로부터 삽입 해제된다. 이에 따라 단속 축(20)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면서 단속돌기(21)에 걸려 있던 단속 와이어(50)가 단속돌기(21)에서 연결이 해제되고, 앵커몸체(10)를 감싸던 단속 와이어(50)가 풀리게 되어 앵커몸체(10)의 몸체커버(11)와 다수 개의 몸체 베이스(12)가 펼침 동작되게 된다.
이때, 몸체 베이스(12)의 수용홈(121)에 수용되어 있던 모래가 수용홈(121)의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앵커몸체(10)의 하중이 가벼워지고, 몸체커버(11)와 몸체 베이스(12)가 완전히 펼쳐짐에 의해 일직선(도 3 참조) 상태로 되면, 물 내부의 압력의 영향이 감소되어 앵커몸체(10)의 인상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4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앵커몸체
11 : 몸체커버
11a : 몸체커버 루프
11b : 단속 축 삽입구
11c : 고정핀 삽입구
12 : 몸체 베이스
121 : 수용홈
20 : 단속 축
21 : 단속돌기
22 : 고정핀 관통홀
30 : 고정핀
31 : 고정핀 당김부재
40 : 앵커몸체 당김부재
50 : 단속 와이어

Claims (4)

  1. 힌지를 통해 체결되는 다수 개의 몸체 베이스(12a, 12b, 12c ... 12n) 및
    상기 몸체 베이스(12a)와 힌지를 통해 체결되며, 이의 상면 중 일방향에서 반대 일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면서 이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몸체커버 루프(11a);와, 상기 복수 개의 몸체커버 루프(11a)의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단속 축 삽입부(11b);와, 상기 몸체커버 루프(11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커버 루프(11a)의 상면 일측에서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핀 삽입구(11c);를 포함하는 몸체커버(11)를 포함하는 앵커몸체(10)와;
    상기 단속 축 삽입부(11b)에 삽입되고, 이의 외면 일측에 복수 개 형성된 단속돌기(21);와, 이의 외면 다른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 삽입구(11c)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 관통홀(22);을 포함하는 단속 축(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a)상기 다수 개의 몸체 베이스(12a, 12b, 12c ... 12n)와 몸체커버(11)는,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동됨으로써 접힘 및 펼침 동작되고,
    (b)몸체 베이스는,
    이의 상면에 무게 보강수단이 수용되는 수용홈(121)이 다수 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용 앵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속 축(20)의 일측에 고정연결되는 앵커몸체 당김부재(40);
    상기 고정핀 관통홀(22)을 관통하여 고정핀 삽입구(11c)에 삽입되고, 상기 단속 축(20)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고정핀(30); 및
    접힌 상태에 있는 앵커몸체(10)의 외면을 감싸는 단속 와이어(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핀(30)은,
    일측에 고정핀 당김부재(31)가 고정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용 앵커.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해저(海底)에 닿아있는 앵커몸체(10)를 인상하는 경우,
    고정핀 당김부재(31)를 당기면 고정핀(30)이 고정핀 관통홀(22) 및 고정핀 삽입구(11c)로부터 삽입 해제되고, 이에 따라 단속 축(20)이 움직여 단속 와이어(50)가 단속돌기(21)와 연결 해제되며, 단속 와이어(50)의 풀림에 의해 앵커몸체(10)를 구성하는 몸체커버(11)와 다수 개의 몸체 베이스(12)가 펼침 동작됨으로써,
    상기 다수 개의 몸체 베이스(12) 내부에 배열된 수용홈(121)에서 모래가 배출되고,
    상기 몸체커버(11)와 다수 개의 몸체 베이스(12)가 일직선으로 펼쳐짐에 의해 상기 앵커몸체(10)가 인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용 앵커.
  4. 삭제
KR1020160104583A 2016-08-18 2016-08-18 해저용 앵커 KR10169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83A KR101697700B1 (ko) 2016-08-18 2016-08-18 해저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83A KR101697700B1 (ko) 2016-08-18 2016-08-18 해저용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700B1 true KR101697700B1 (ko) 2017-02-01

Family

ID=5810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583A KR101697700B1 (ko) 2016-08-18 2016-08-18 해저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7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2761A (en) * 1960-08-08 1962-02-27 Beixedon Philip C De Multiple fluke folding anchor
KR20070062284A (ko) * 2005-12-12 2007-06-15 이진해 해상구조물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물설치방법
KR200464705Y1 (ko) 2010-09-30 2013-01-21 (주)강원 오탁방지막 지지용 앵커
KR20150077559A (ko) * 2013-12-27 2015-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관입식 플레이트형 앵커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560382B1 (ko) 2015-03-13 2015-10-19 이민화 오탁방지막용 강관말뚝 앵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2761A (en) * 1960-08-08 1962-02-27 Beixedon Philip C De Multiple fluke folding anchor
KR20070062284A (ko) * 2005-12-12 2007-06-15 이진해 해상구조물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물설치방법
KR200464705Y1 (ko) 2010-09-30 2013-01-21 (주)강원 오탁방지막 지지용 앵커
KR20150077559A (ko) * 2013-12-27 2015-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관입식 플레이트형 앵커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560382B1 (ko) 2015-03-13 2015-10-19 이민화 오탁방지막용 강관말뚝 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3227B2 (en) Column floater with extended cylinder and ring buoy-group
EP1984237B1 (en) Deep water installation vessel
WO2016063210A1 (en) Method for transporting a structure with buoyancy over water using a vessel, and vessel applied in the method
US656528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d assembling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US3946684A (en) Semi-submersible jackup apparatus
US6503022B1 (en) Bouyant moon pool plug
BRPI1001222B1 (pt) método de fixação de uma estrutura de armação em um casco flutuante
FI62650B (fi) Foerankringsbar flytande plattform
KR102644260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US20100175606A1 (e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US3922868A (en) Deep water platform construction
KR101697700B1 (ko) 해저용 앵커
KR101578456B1 (ko)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AU2010216206B2 (en)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KR101078391B1 (ko) 2개의 스퍼드를 이용한 밸런스 바지선
US20070204785A1 (en) Ballast extension-submersion truss stable platform
NL1023320C2 (nl) De uitvinding heeft betrekking op een methode voor fabricage, installatie en verwijderen van een offshore platform.
US20220243415A1 (en) Installation arrangement with jack-up rig and a barge and a method for setting up the installation arrangement
KR101315190B1 (ko)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제작방법
JP5684220B2 (ja) 浮標の設置方法
KR101508028B1 (ko) 반잠수식 유닛 건조 방법, 반잠수식 유닛 건조용 키트 및 반잠수식 유닛
KR101324118B1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을 이용한 유빙 관리 방법
KR101699961B1 (ko) 다용도 폰툰용 닻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폰툰의 정박용 닻 연결구조
JPS61115794A (ja) フロ−トオンフロ−トオフ船
NO316465B1 (no) Lastesystem for overforing av hydrokarb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