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952B1 - 전기영동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영동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전기영동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영동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952B1
KR100929952B1 KR1020030041186A KR20030041186A KR100929952B1 KR 100929952 B1 KR100929952 B1 KR 100929952B1 KR 1020030041186 A KR1020030041186 A KR 1020030041186A KR 20030041186 A KR20030041186 A KR 20030041186A KR 100929952 B1 KR100929952 B1 KR 100929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ilica
electrophoretic particles
electrophoret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702A (ko
Inventor
김종윤
송준엽
박승규
강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4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95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영동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구형의 코어부 표면에 다공성의 실리카 쉘부가 형성된 전기영동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입자는 쉘부에 형성된 메조포러스 구조로 인하여 안료 흡착성이 크므로 컬러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중 조절이 쉬워 전기영동입자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균일한 구형 형상과 크기를 가지므로 분산성이 우수하다.
Figure R1020030041186
전기영동입자. 다공성, 쉘

Description

전기영동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A electrophoretic p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phoretic display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쉘 구조를 갖는 전기영동입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카본 구조체로 이루어진 전기영동입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전기영동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전기영동현상은, 어떤 입자가 매체(분산매체)에 현탁된 경우에 입자가 전기적으로 하전되고, 또한 전계가 하전입자에 인가되는 경우에 그들이 대향 전하를 가진 전극에 분산매체를 통해서 이동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는 전자 잉크 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 위한 전기영동입자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산화철, 산화알루미늄, 카드뮴셀레나이드, 카본 블랙 및 바륨술페이트 등의 무기안료와, 프타로시아닌 블루, 프타로시아닌 그린, 한사 옐로우, 와칭 레드 및 디아릴라이드 옐로우 등의 유기안료가 포함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영동입자는 전기영동입자와 분산매체 사이에 존재하는 비중 차에 의하여 전기영동입자가 점차적으로 침전되거나 안료 흡착성이 불량하여 풀컬러 표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영동 입자의 모양과 집합체의 수가 불균일하기 때문에 분산량의 조절과 균일한 분산을 이루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료 흡착성이 크므로 컬러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중 조절이 쉬워 전기영동입자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균일한 구형 형상과 크기를 가지므로 분산성이 우수한 전기영동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전기영동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형의 코어부 표면에 다공성의 실리카 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형의 중공 코어부가 형성된 다공성의 카본 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입자에 있어서, 코어부의 입경은 5 내지 800nm이고, 쉘부의 두께는 5 내지 5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쉘부에 존재하는 기공의 평균입경 은 1 내지 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입자에 있어서, 전기영동입자의 비중을 조절하기 위하여 쉘부에 전이금속, 전이금속 산화물, 알칼리 금속염 등을 첨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구형의 코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코어, 실리카 전구체 및 계면 활성제를 용매하에서 반응시켜 상기 코어 표면에 실리카와 계면활성제 성분으로 이루어진 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결과물을 소성하여 쉘부로부터 계면활성제 성분을 제거하므로서 쉘부에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영동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구형의 실리카 코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카 코어, 실리카 전구체 및 계면 활성제를 용매하에서 반응시켜 상기 실리카 코어 표면에 실리카와 계면활성제 성분으로 이루어진 쉘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결과물을 소성하여 쉘부로부터 계면활성제 성분을 제거하므로서 쉘부에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쉘부에 형성된 기공에 모노머를 주입하는 단계; (e) 상기 모노머를 중합시켜 카본 고분자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카본 고분자 전구체를 탄화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f)단계의 결과물을 용매로 처리하여 실리카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리카 전구체로는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메틸오르토실리케이트 및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계면 활성제로는 알킬트리메톡시실란, 알킬트리에톡시실란, 할로 겐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알킬폴리옥시에틸렌 및 글리세롤에톡실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형의 코어부 표면에 다공성의 실리카 쉘부가 형성된 전기영동입자 및/또는 구형의 중공 코어부가 형성된 다공성의 카본 쉘부로 이루어진 전기영동입자가 다수 분산된 분산매체가 봉입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용 마이크로 캡슐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용 마이크로 캡슐은 프린트형 전자 잉크아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형의 코어부 표면에 다공성의 실리카 쉘부가 형성된 전기영동입자 및/또는 구형의 중공 코어부가 형성된 다공성의 카본 쉘부로 이루어진 전기영동입자가 다수 분산된 분산매체가 봉입된 전기영동입자의 분산 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안료 흡착성이 커서 컬러링이 용이하고 비중 조절이 쉬워 전기영동입자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영동입자로서, 구형의 코어부 표면에 다공성의 실리카 쉘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구형의 중공 코어부를 갖으며 다공성의 카본 쉘부로 이루어진 전기영동입자를 제조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전기영동입자는 실리카와 같은 구형의 코어부 표면에 다수의 기공들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다공성의 실리카로 이루어진 쉘부로 형성되거나 또는 구형의 중공부를 갖으며 다공성의 카본으로 이루어진 쉘부로 형성된 코어-쉘 구조이다. 코어부 또는 중공 코어부의 입경은 5 내지 800nm이고, 쉘부의 두께는 5 내지 500nm이며, 쉘 부분에 존재하는 메조포러 스 기공들의 입경은 1 내지 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많은 메조포러스 기공을 갖는 쉘부를 구비한 전기영동입자는 안료 흡착성이 크므로 컬러링이 용이하며, 균일한 구형 형상과 크기를 가지므로 분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전이금속 등이 쉽게 첨착되어 비중조절이 용이하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전기영동입자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영동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형의 코어(1)를 준비한다. 코어로는 실리카와 계면활성제 성분으로 이루어진 쉘부가 그 표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 Al, Sc, Ti, V, Cr, Fe, Co, Ni, Cu, Zn, Ga, Ge, Zr, In, Sn, La, Ce, W, Bi, Hf, Th과 같은 금속의 산화물, 실리카 등이 코어로 이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전기영동입자의 비중에 따라 적절한 재질의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카로 이루어진 구형의 코어는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메틸오르토실리케이트,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와 같은 실리카 전구체로부터 공지의 스토버 공정(Stober, W.; Fink, A.; Bohn, E. J. Colloid Inter. Sci. 1968, 26, 62)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이어서, 코어와 실리카 전구체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킬트리메톡시실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킬트리에톡시실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할로겐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알킬폴리옥시에틸렌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글리세롤에톡실레이트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용매하에서 반응시켜 코어 표면에 실리카와 계면활성제 성분으로 이루어진 쉘부(2)를 성장시킨 다.
<화학식 1>
R1R2R3R4Si(OCH3)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에틸기이고, R4는 탄소수 12 내지 22인 알킬기이다.
<화학식 2>
R1R2R3R4Si(OC2H5)4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에틸기이고, R4는 탄소수 12 내지 22인 알킬기이다.
<화학식 3>
R1R2R3R4NX
상기 화학식 3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에틸기이고, R4는 탄소수 4 내지 22인 알킬기이고, X는 할로겐이다.
<화학식 4>
R(OCH2CH2)nOH
상기 화학식 4에서, R은 탄소수 4 내지 22인 알킬기이고, n은 3 내지 20의 정수이다.
<화학식 5>
CH2(CH2O)n1HCH(CH2O)n2HCH2(CH 2O)n3H
상기 화학식 5에서, n1, n2 및 n3는 서로 독립적으로 4 내지 20의 정수이다.
그런 다음, 쉘부가 형성된 결과물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한 후 예를 들어 500 내지 600℃로 소성하여 계면활성제 성분을 제거하면 계면활성제 성분이 제거된 자리에 일정한 크기의 메조포러스 기공이 형성된 실리카 쉘부(3)가 형성된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기영동입자(10)는 그 자체로 백색도가 우수하여 백색 음영을 제공하는데 매우 유용하며, 백색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7634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반사재료를 코팅하거나 매립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전기영동입자는 쉘의 다공구조로 인하여 안료 흡착성이 크므로 컬러링에 필요한 안료 예를 들어, 아조계, 프타로시아닌계, 벤지미다솔론계, 퀴나크리돈계, 이소인돌리논계, 피라트론계, 디브롬안칸트론계, 인다트론계, 안트라피리미딘계, 프라바트론계, 페리렌계, 페리논계, 퀴노프타론계, 프타론계, 씨오이디고계, 인디고계, 디옥사진계, 안트라퀴논계, 키산텐계, 메틴계 및 아조메틴계의 안료 및 기타의 금속 착체안료를 포함하는 축합다환안료와 같은 유기안료와, 밀로리블루, 산화철, 코발트퍼플, 망가네제 퍼플, 울트라마린 블루, 프러시언 블루, 코발트 블루, 셀루리안 블루, 피리디안, 에메랄드그린, 코발트 그린 및 산화 레드철과 같은 무기안료를 흡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전기영동입자는 다음과 같은 후공정을 통하여 구형의 중공 코어부를 갖으며 다공성의 카본 쉘부로 이루어진 블랙의 전기영동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리카 쉘부가 형성된 입자(10)에 중합반응에 의하여 고분자 형성이 가능한 모노머, 예를 들어 아크릴로 니트릴, 페놀-포름알데히드, 디비닐벤젠과 같은 모노머(11)를 쉘부에 형성된 메조포러스 기공 안으로 주입한다. 이어서, 모노머를 중합시켜 카본 고분자 전구체를 형성한다. 모노머(단량체)는 중합반응시 라디칼 중합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사용되는 라디칼 개시제로서는 공지의 개시제, 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t-부틸퍼아세테이트( t-butyl peracetate),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 퍼옥사이드( acetyl peroxide), 라우릴 퍼옥사이드(lauryl peroxide)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단량체와 라디칼 개시제를 잘 혼합한 후 상기 실리카 입자의 메조 세공에 주입하고, 단량체의 특성에 따라 중합반응시킨다. 이들 중합반응은 해당분야에 공지된 것이나, 일반적으로 60∼80℃의 온도에서 약 12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켜 고분자 중합체가 함유된 실리카 구조체를 제조한다.
그런 다음, 고분자 중합체(카본 고분자 전구체)가 함유된 실리카 구조체를 예를 들어 1,000℃ 정도로 질소분위기 하에서 처리하면, 탄화된 고분자 중합체(13)가 함유된 실리카 구조체가 형성된다. 이어서, 탄화시킨 실리카 구조체를 불산이나 가성소다 수용액에 넣어 실리카 구조체를 녹여내면 구형의 중공(속이 비어 있는) 코어(Core)부(15)를 갖으며 껍질인 다공성의 쉘(Shell)이 형성된 볼 형상의 카본 구조체(2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카본 구조체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전기영동입자들은 전압 인가에 충분히 응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하전시킬 수 있는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쉘부를 하전시키거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7634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전제어제(CCA, charge-control agent)를 이용하여, 또는 유전액체 내에서 부유시 전하를 얻게 하는 방법 등으로 하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전기영동입자들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함량으로 전이금속, 전이금속 산화물, 알칼리 금속염을 첨착시켜 비중을 조절하여 분산매체와의 비중차를 없앨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리(Cu), 철(Fe), 망간(Mn), 니켈(Ni), 코발트(Co), 은(Ag), 금(Au), 바나듐(V), 루테늄(Ru), 티타늄(Ti), 크롬(Cr), 아연 (Zn), 파라듐(Pd) 등의 전이금속 또는 그 전이금속 산화물과, 브롬화 나트륨(NaBr), 요오드화 나트륨( NaI), 브롬화 칼륨(KBr), 요오드화 칼륨(KI), 요오드산 칼륨(KIO3)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입자들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전자잉크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76345호 및 2002-83946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기영동입자가 사용될 수 있는 태양을 간략히 기술하나, 위 공개특허들의 전 내용이 본 발명의 참조로서 포함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영동입자는 분산매체에 다수 분산되어 마이크로 캡슐에 봉입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전기영동입자를 분산시키는 분산매체로는 전기영동입자에 대한 용해력이 작으며 전기영동입자를 안정하게 분산할 수 있고, 이온을 포함하지 않으며 또한 전압인가에 의해 이온을 생성하지 않는 절연성을 갖는 유동액이 이용된다. 또한, 전기영동입자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기영동입자와 비중이 대략 같으며 전압 인가시 전기영동입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점성이 낮은 것이 이용된다. 이러한 분산매체의 예로서 헥산, 데칸, 헥사데칸, 케로센, 톨루엔, 크실렌, 올리브오일,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판올,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 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 테트라클로로 에틸렌 등이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분산매체 내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7634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기영동입자의 쌍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물질로서 전기장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는 액정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전기영동입자가 분산된 분산매체를 봉입하는 마이크로 캡슐은 다양한 방법으로 성취될 수 있다. 다양한 마이크로 캡슐화 공정이 Kondo의 "Microcapsule Processing and Technology" 등에 "Microencapsulation"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공정들은 수 개의 일반적인 범주 -계면 폴리머화, 원위치 폴리머화(in-situ polymerization), 물리적 공정, 액체 내 경화(in-liquid curing), 및 단순/복합 코아세르베이션(simple/complex coacervation)- 내에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은 원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특성에 따라 마이크로 캡슐화 공정 및 벽 재료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 캡슐 벽은 일반적으로 높은 전기 저항도를 가진다. 비교적 낮은 저항의 벽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어드레싱 전압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성능을 제한한다. 마이크로 캡슐 벽의 전기적 관련 특성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미국 특허 제 4,605,28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전체 명세서가 본 발명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 벽은 기계적으로 강할 수 있다(완성된 마이크로캡슐 파우더가 코팅용의 경화 가능 폴리머 바인더 내로 분무되는 경우에도, 기계적 강도가 위험하지 않은 정도임). 마이크로 캡슐은 다공성(porous)이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다공성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는 마이크로 캡슐화 공정을 이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그 마이크로 캡슐들은 제조 후 단계에서 재코팅되어야 한다(즉, 제2 마이크로 캡슐화). 또한, 마이크로 캡슐이 경화 가능 바인더 내에 분산되는 경우, 바인더는 기공들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마이크로캡슐 벽은 광학적으로 투명해야 한다. 그러나, 벽 재료는 마이크로 캡슐의 내부 분산매체 또는 그 마이크로 캡슐이 분산될 폴리머 바인더의 굴절율에 일치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영동입자가 분산된 분산매체를 봉입한 마이크로 캡슐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7634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에 적합한 캐리어 내에 마이크로 캡슐을 분산시켜 슬러리(slurry) 또는 분산을 생성함으로써 프린트 가능한 전자 잉크로 이용될 수 있다. 캐리어는 광 경화성일 수 있으며(예를 들어 UV 경화성 폴리머), 열 경화성 또는 화학 경화성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캐리어는 증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프린팅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수분계 폴리머), 비경화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경화성 시스템은 액정 디스 플레이용 대체 유동액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스토버 공정(Stober, W.; Fink, A.; Bohn, E. J. Colloid Inter. Sci. 1968, 26, 62)에 따라 실리카 코어를 형성하였다. 실리카 전구체인 테트라에톡시실란 37.5mL를 에탄올 1000mL, 물 80mL 및 28% 농도의 암모니아수 40mL를 포함하는 균일 혼합용매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켜 평균입경 300nm의 구형 실리카 코어를 형성시켰다.
이어서,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을 11.8의 몰비로 혼합한 혼합용액을 천천히 투입하여 실리카 코어 표면에 쉘부를 성장시켰다. 얻어진 입자를 여과하고 550℃에서 소성하여 계면활성제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입자의 쉘부의 두께 및 쉘부에 형성된 기공의 평균입경은 각각 70nm 및 2.8nm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입자 1g을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6g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6g의 혼합액에 함침시켜 혼합액이 입자의 다공구조 내로 스며들게 한 후, 70℃에서 6시간동안 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1000℃, 질소 분위기 하에서 7시간 동안 탄화시켰다. 그런 다음, 불산 수용액으로 실리카를 용해시키고 입자를 여과, 건조하여 내부에 구형의 중공 코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쉘부가 다공성의 카본으로 이루어진 전기영동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입자에 금속이온을 첨착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볼 적당량을 염화구리 (Cu(II)Cl2) 1N 수용액에 함침시켜 상온에서 2 내지 3 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 과정을 거쳐 70 내지 110℃에서 건조시켜 구리이온이 첨착된 전기영동입자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입자는 쉘부에 형성된 메조포러스 구조로 인하여 안료 흡착성이 크므로 컬러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중 조절이 쉬워 전기영동입자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구형 형상과 크기를 가지므로 분산성이 우수하다.

Claims (18)

  1. 구형의 코어부 표면에 다공성의 실리카 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의 코어부는 실리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
  3. 구형의 중공 코어부가 형성된 다공성의 카본 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입경은 5 내지 800nm이고, 쉘부의 두께는 5 내지 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쉘부에 존재하는 기공의 평균입경이 1 내지 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쉘부에 전이금속, 전이금속 산화물 및 알칼리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첨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구리(Cu), 철(Fe), 망간(Mn), 니켈(Ni), 코발트(Co), 은(Ag), 금(Au), 바나듐(V), 루테늄(Ru), 티타늄(Ti), 크롬(Cr), 아연(Zn) 및 파라듐(P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브롬화 나트륨(NaBr), 요오드화 나트륨(NaI), 브롬화 칼륨(KBr), 요오드화 칼륨(KI) 및 요오드산칼륨(KIO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
  8. (a) 구형의 코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코어, 실리카 전구체 및 계면 활성제를 용매하에서 반응시켜 상기 코어 표면에 실리카와 계면활성제 성분으로 이루어진 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결과물을 소성하여 쉘부로부터 계면활성제 성분을 제거하므로서 쉘부에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전기영동입자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의 코어는 실리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의 제조방법.
  10. (a) 구형의 실리카 코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카 코어, 실리카 전구체 및 계면 활성제를 용매하에서 반응시켜 상기 실리카 코어 표면에 실리카와 계면활성제 성분으로 이루어진 쉘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결과물을 소성하여 쉘부로부터 계면활성제 성분을 제거하므로서 쉘부에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쉘부에 형성된 기공에 모노머를 주입하는 단계;
    (e) 상기 모노머를 중합시켜 카본 고분자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카본 고분자 전구체를 탄화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f)단계의 결과물을 용매로 처리하여 실리카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의 전기영동입자의 제조방법.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메틸오르토실리케이트 및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의 제조방법.
  12.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킬트리메톡시실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킬트리에톡시실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할로겐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알킬폴리옥시에틸렌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글리세롤에톡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의 제조방법.
    <화학식 1>
    R1R2R3R4Si(OCH3)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에틸기이고, R4는 탄소수 12 내지 22인 알킬기이다.
    <화학식 2>
    R1R2R3R4Si(OC2H5)4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에틸기이고, R4는 탄소수 12 내지 22인 알킬기이다.
    <화학식 3>
    R1R2R3R4NX
    상기 화학식 3에서, R1,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에틸기이고, R4는 탄소수 4 내지 22인 알킬기이고, X는 할로겐이다.
    <화학식 4>
    R(OCH2CH2)nOH
    상기 화학식 4에서, R은 탄소수 4 내지 22인 알킬기이고, n은 3 내지 20의 정수이다.
    <화학식 5>
    CH2(CH2O)n1HCH(CH2O)n2HCH2(CH 2O)n3H
    상기 화학식 5에서, n1, n2 및 n3는 서로 독립적으로 4 내지 20의 정수이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아크릴로 니트릴, 페놀-포름알데히드 및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의 용매는 불산 또는 가성소다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입자의 제조방법.
  15. 제1항의 전기영동입자, 제3항의 전기영동입자 및 이들의 혼합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전기영동입자가 분산된 분산매체가 봉입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용 마이크로 캡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체는 전기장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는 액정 물질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용 마이크로 캡슐.
  17. 제15항의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프린트형 전자 잉크.
  18. 제1항의 전기영동입자, 제3항의 전기영동입자 및 이들의 혼합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전기영동입자가 분산된 분산매체가 봉입된 전기영동입자의 분산 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KR1020030041186A 2003-06-24 2003-06-24 전기영동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영동디스플레이 KR100929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186A KR100929952B1 (ko) 2003-06-24 2003-06-24 전기영동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영동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186A KR100929952B1 (ko) 2003-06-24 2003-06-24 전기영동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영동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702A KR20050000702A (ko) 2005-01-06
KR100929952B1 true KR100929952B1 (ko) 2009-12-04

Family

ID=3721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186A KR100929952B1 (ko) 2003-06-24 2003-06-24 전기영동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영동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737A2 (ko) * 2010-06-29 2012-01-05 주식회사 이미지앤머터리얼스 전기영동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매체 및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KR101208909B1 (ko) * 2010-02-26 2012-12-06 한국조폐공사 자성 입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501B1 (ko) * 2005-09-29 2006-1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중공형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형성된중공형 다공성 구조체
KR100760097B1 (ko) * 2005-12-23 2007-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종이의 화상 표시용 입자 제조방법, 이에 따른 화상표시용 입자 및 전자종이
KR100786482B1 (ko) * 2006-02-24 2007-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돌 대전형 전자종이의 백색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전자종이 표시장치
KR100789110B1 (ko) * 2006-04-25 200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57838B1 (ko) * 2007-04-24 2008-09-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동성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유동성 입자
KR101297232B1 (ko) * 2011-06-07 2013-08-16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전자 잉크, 전자 잉크용 안료 입자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1285357B1 (ko) * 2011-08-16 2013-07-11 주식회사 씨드 극초고분자량 고분자 막을 사용한 전지나 커패시터용 광 경화 잉크젯 잉크의 제조 방법
KR101285355B1 (ko) * 2011-08-16 2013-07-11 주식회사 씨드 디스플레이 및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용 광 경화 잉크젯 잉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27893B1 (ko) * 2012-03-26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1887B1 (ko) * 2012-08-28 2019-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변색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981528B1 (ko) * 2012-10-31 2019-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4755196B (zh) 2013-05-10 2016-07-27 Lg化学株式会社 含铜颗粒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093A (ja) 1998-04-27 1999-11-02 Kimoto &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
KR20020083946A (ko) * 2001-04-27 2002-11-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영동용 입자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입자를 사용하는 표시
JP2003013287A (ja) * 2001-03-13 2003-01-15 Takeshi Yao 電気泳動堆積法により電気絶縁性基材に粒子を堆積させる方法及びそれから得られる複合体
JP2003096399A (ja) * 2001-09-25 2003-04-03 Washin Chemical Industry Co Ltd 光触媒カプセル含有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光触媒カプセル含有塗膜構造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093A (ja) 1998-04-27 1999-11-02 Kimoto &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
JP2003013287A (ja) * 2001-03-13 2003-01-15 Takeshi Yao 電気泳動堆積法により電気絶縁性基材に粒子を堆積させる方法及びそれから得られる複合体
KR20020083946A (ko) * 2001-04-27 2002-11-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영동용 입자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입자를 사용하는 표시
JP2003096399A (ja) * 2001-09-25 2003-04-03 Washin Chemical Industry Co Ltd 光触媒カプセル含有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光触媒カプセル含有塗膜構造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909B1 (ko) * 2010-02-26 2012-12-06 한국조폐공사 자성 입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2002737A2 (ko) * 2010-06-29 2012-01-05 주식회사 이미지앤머터리얼스 전기영동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매체 및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WO2012002737A3 (ko) * 2010-06-29 2012-04-12 주식회사 이미지앤머터리얼스 전기영동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매체 및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702A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952B1 (ko) 전기영동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영동디스플레이
JP5421965B2 (ja) 電気泳動粒子
Li et al. Nanoparticle inks for directed assembly of three‐dimensional periodic structures
US20070178307A1 (en) Use of core-shell particles
CN105700265B (zh) 具有电场响应光子晶体特性的彩色电泳显示器及其制备方法和显示方法
JP5615840B2 (ja) 制御可能な空隙寸法を備えた自立型ナノ粒子網状組織/スキャフォルド
JP2008509271A (ja) 機能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これを用いた機能性被膜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90094858A (ko) 유기 무기 복합 도막, 이것을 사용하는 구조 색막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WO2003099941A1 (ja) 色材および色材の製造方法
Tawiah et al. An overview of the science and art of encapsulated pigments: Preparation, performance and application
Zhang et al. Necklace‐Like Nanostructures: From Fabrication, Properties to Applications
KR101308953B1 (ko) 자성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8553A (ko) 캡슐화된 촉매에 의한 졸-겔 방법
KR101339099B1 (ko) 자성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08918B1 (ko) 자성입자 및 그 제조방법
CN114181694B (zh) 一种用于电子纸的红色荧光电泳粒子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59937B1 (ko) 세라믹 나노 안료의 제조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블랙 매트릭스 제조방법
KR101906187B1 (ko) 유중수형 에멀션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JP4437906B2 (ja) 構造体の製造方法、多孔質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構造体
Caruso et al. Coated colloid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ssembly and utilization
US20140332729A1 (en) Process for encapsulating an inorganic pigment by polymerization in an organic medium
JP2006213534A (ja) 無機酸化物周期構造体
KR20170127906A (ko) 조밀도가 높은 마이크로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186057A (ja) 多孔質体を用いた電気泳動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泳動装置
Braun Natural nanobiocomposites, biomimetic nanocomposites, and biologically inspired nano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