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652B1 - 전압 분배기 - Google Patents

전압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652B1
KR100929652B1 KR1020070047498A KR20070047498A KR100929652B1 KR 100929652 B1 KR100929652 B1 KR 100929652B1 KR 1020070047498 A KR1020070047498 A KR 1020070047498A KR 20070047498 A KR20070047498 A KR 20070047498A KR 100929652 B1 KR100929652 B1 KR 100929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trol signal
voltages
divide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150A (ko
Inventor
김관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047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652B1/ko
Priority to US11/967,839 priority patent/US8063708B2/en
Priority to JP2008006329A priority patent/JP2008289119A/ja
Publication of KR2008010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8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03K19/0016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control or a clock signal, e.g. in order to apply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전압을 분배하여 다수의 분배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분배수단과, 상기 다수의 분배전압 중 제1 및 제2 분배전압을 인가받으며 조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 제2 분배전압 또는 제1 및 제2 분배전압의 중간레벨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수단을 구비하는 전압분배기를 제공한다.
전압 분배기, 중간레벨전압

Description

전압 분배기{VOLTAGE DIVIDER}
도 1은 일반적인 전압 분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압 분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이 다수 적용된 전압 분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압 분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 전압분배부 430 : 다중화부
V_DIV1 : 제1 분배전압 V_DIV2 : 제2 분배전압
CTR_LEV1 : 제1 조합제어신호 CTR_LEV2 : 제2 조합제어신호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전압을 분배하여 더 다양하고 세밀한 분배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전압 분배기(voltage divid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RAM)을 비롯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전원 전압과 반도체 메모리 소자 내부에서 생성된 다수의 내부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동작하고 있다. 다수의 내부 전원 전압은 설계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레벨을 가지고 있으며, 전압 분배기는 외부 전원 전압을 분배하여 내부 전원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가장 보편화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요즈음,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설계 기술이 고집적화, 저전력화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좀 더 적은 면적을 사용하여 좀 더 다양하고 세밀한 내부 전원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압 분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압 분배기는 전압분배부(310)와 전압선택부(330)를 구비한다.
전압분배부(310)는 외부전압단(VDD)과 접지전압단(VSS)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저항(R31, R32, R33, R34)과, 퓨즈(FUS1)를 구비하고 있다. 전압분배부(310)에서 생성되는 분배전압은 다수의 저항(R31, R32, R33, R34)의 저항 값과 퓨즈(FUS1)의 컷팅(cutting)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압선택부(330)는 일반적인 멀티플렉서(multiplexer)로, 전압분배부(310)에서 생성된 2개의 분배전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하여 선택신호(SEL)를 입력받는다.
다시 말하면, 전압 분배기의 전압분배부(310)는 기본적으로 외부전압단(VDD)과 접지전압단(VSS) 사이에 직렬 연결된 3개의 저항(R31, R32, R33)을 구비하며, 더 다양한 분배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추가로 R34 저항과 FUS1 퓨즈를 구비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더 세밀하고 다양한 분배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병렬 저항과 저 많은 퓨즈를 추가로 설계해야 해야 한다.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저항과 퓨즈가 다른 소자(예컨대, 트랜지스터)에 비해 비교적 큰 면적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칩 설계에 있어서 그에 따른 면적 확보에 대한 부담을 안겨 주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칩 면적의 부담을 줄이면서 다양한 분배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전압 분배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분배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데 반해 면적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전압 분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원전압을 분배하여 다수의 분배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분배수단과, 상기 다수의 분배전압 중 제1 및 제2 분배전압을 인가받으며, 조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 제2 분 배전압 또는 제1 및 제2 분배전압의 중간레벨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수단을 구비하는 전압분배기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원전압을 분배하여 다수의 분배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분배수단; 상기 다수의 분배전압 중 제1 및 제2 분배전압을 인가받으며, 조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 제2 분배전압 또는 제1 및 제2 분배전압의 중간레벨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레벨다변화수단; 및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레벨다변화수단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압선택수단을 구비하는 전압분배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압 분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압 분배기는 외부전압(VDD)을 분배하여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DIV2)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분배부(410)와,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DIV2)을 인가받고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V_DIV1), 제2 분배전압(V_DIV2) 또는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DIV2)의 중간레벨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압분배부(410)는 외부전압(VDD)단과 접지전압단(VSS) 사이에 직렬 연결된 3개의 저항(R41, R42, R43)을 구비하여,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DIV2)을 생성한다.
다중화부(430)는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V_DIV1)단과 출력단(OUT)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1 스위칭부(432)와,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에 응답하여 제2 분배전압(V_DIV2)단과 출력단(OUT)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2 스위칭부(43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432)는 제1 분배전압(V_DIV1)단과 출력단(OUT)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연결되고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를 게이트 입력받는 제1 NMOS 트랜지스터(NM41)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스위칭부(434)는 제2 분배전압(V_DIV2)단과 출력단(OUT)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연결되고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를 게이트 입력받는 제2 NMOS 트랜지스터(NM4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는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CIV2)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조합제어신호는 모드 레지스터 셋(mode register set : 도면에 미도시)에서 생성될 수 있고, 외부 도는 내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단한 동작 설명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전압분배부(410)는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DIV2)을 생성한다.
첫 번째 경우로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가 논리'하이(high)'이고 제2 조 합제어신호(CTR_LEV2)가 논리'로우(low)'인 경우, 제1 NMOS 트랜지스터(NM41)가 턴 온(turn on)되고 제2 NMOS 트랜지스터(NM42)가 턴 오프(turn off) 되어 출력단(OUT)을 통해 제1 분배전압(V_DIV1)이 출력된다.
두 번째 경우로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가 논리'로우'이고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가 논리'하이'인 경우, 제1 NMOS 트랜지스터(NM41)가 턴 오프되고 제2 NMOS 트랜지스터(NM42)가 턴 온되어 출력단(OUT)을 통해 제2 분배전압(V_DIV2)가 출력된다.
세 번째 경우로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가 모두 논리'하이'인 경우,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NM41, NM42)가 모두 턴 온되어 출력단(OUT)을 통해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DIV2)의 중간레벨전압이 출력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분배기는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VEV2)에 응답하여 3가지 상태의 전압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5V의 외부전압(VDD)으로 4V의 제1 분배전압(V_DIV1)과 3V의 제2 분배전압(V_DIV2)이 생성된다면, 첫 번째 경우로 4V의 분배전압을 얻을 수 있고 두 번째 경우로 3V의 분배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세 번째 경우로 첫 번째 경우와 두 번째 경우에서 얻을 수 있는 분배전압의 중간레벨전압인 3.5V의 분배전압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구성이 다수 적용된 전압 분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압 분배기는 외부전압(VDD)을 분배하여 다수의 분배전 압(V_DIV1, V_DIV2, V_DIV3, V_DIV4, V_DIV5)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분배부(510)와,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V_DIV1), 제2 분배전압(V_DIV2) 또는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DIV2)의 중간레벨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레벨다변화부(530)와,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에 응답하여 제3 분배전압(V_DIV3), 제4 분배전압(V_DIV4) 또는 제3 및 제4 분배전압(V_DIV3, V_DIV4)의 중간레벨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레벨다변화부(550), 및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레벨다변화부(530, 55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압 선택부(570)를 구비할 수 있으며, 활성화 신호(EN_DIV)에 응답하여 전압분배부(51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부(5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활성화부(590)는 전압분배부(51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외부전압단(VDD)에서 접지전압단(VSS)으로 흐르는 전류를 막아주기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활성화부(590)의 NMOS 트랜지스터(NM55)가 항상 활성화되어 전압분배부(510) 역시 항상 활성화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활성화부(590)의 NMOS 트랜지스터(NM55)에 의한 전압강화를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 활성화부(590)를 생략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전압분배부(510)는 외부전압(VDD)단과 접지전압단(VSS) 사이에 직렬 연결된 5개의 저항(R51, R52, R53, R54, R55)을 구비하여, 제1 내지 제4 분배전압(V_DIV1, V_DIV2, V_DIV3, V_DIV4)을 생성한다.
제1 레벨다변화부(530)는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에 응답하여 제1 분배 전압(V_DIV1)단과 제1 출력단(OUT1)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1 스위칭부(532)와,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에 응답하여 제2 분배전압(V_DIV2)단과 제1 출력단(OUT1)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2 스위칭부(53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칭부(532)는 제1 분배전압(V_DIV1)단과 제1 출력단(OUT1)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연결되고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를 게이트 입력받는 제1 NMOS 트랜지스터(NM51)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스위칭부(534)는 제2 분배전압(V_DIV2)단과 제1 출력단(OUT1)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연결되고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를 게이트 입력받는 제2 NMOS 트랜지스터(NM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레벨다변화부(550)는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에 응답하여 제3 분배전압(V_DIV3)단과 제2 출력단(OUT2)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3 스위칭부(552)와,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에 응답하여 제4 분배전압(V_DIV4)단과 제2 출력단(OUT2)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4 스위칭부(55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스위칭부(552)는 제3 분배전압(V_DIV3)단과 제2 출력단(OUT2)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연결되고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를 게이트 입력받는 제3 NMOS 트랜지스터(NM53)를 구비할 수 있고, 제4 스위칭부(554)는 제4 분배전압(V_DIV4)단과 제2 출력단(OUT2)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연결되고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를 게이트 입력받는 제4 NMOS 트랜지스터(NM54)를 구비할 수 있다.
전압선택부(570)는 일반적인 먹스 회로로써, 제1 및 제2 레벨다변화부(530, 55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한 개의 선택신호(SEL)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선택신호(SEL)는 전압선택부(570)에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개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및 제2 레벨다변화부(530, 550)의 두 개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한 개의 선택신호(SEL)를 가질 수 있다.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는 제1 분배전압(V_DIV1)과 제3 분배전압(V_DIV3)에 대응하며,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는 제2 분배전압(V_DIV2)과 제4 분배전압(V_DIV4)에 대응한다.
제1 레벨다변화부(530)를 대표로 하여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를 설명하면,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는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CIV2)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는 모드 레지스터 셋(mode register set : 도면에 미도시)에서 생성될 수 있고, 외부 또는 내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간단한 동작 설명을 살펴보면, 전압분배부(510)는 제1 내지 제4 분배전압(V_DIV1, V_DIV2, V_DIV3, V_DIV4)을 생성한다.
첫 번째 경우로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가 논리'하이'이고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가 논리'로우'인 경우, 제1 NMOS 트랜지스터(NM51)와 제3 NMOS 트랜지스터(NM53)가 턴 온되고 제2 NMOS 트랜지스터(NM52)와 제4 NMOS 트랜지스터(NM54)가 턴 오프되어 제1 출력단(OUT1)을 통해 제1 분배전압(V_DIV1)이 출력되고 제2 출력단(OUT2)을 통해 제3 분배전압(V_DIV3)이 출력된다. 그래서, 선택신호(SEL)에 따라 최종 출력단(DIV_OUT)으로 제1 분배전압(V_DIV1) 또는 제3 분배전압(V_DIV3)이 출력될 수 있다.
두 번째 경우로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가 논리'로우'이고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가 논리'하이'인 경우, 제1 NMOS 트랜지스터(NM51)와 제3 NMOS 트랜지스터(NM53)가 턴 오프되고 제2 NMOS 트랜지스터(NM52)와 제4 NMOS 트랜지스터(NM54)가 턴 온되어 제1 출력단(OUT1)을 통해 제2 분배전압(V_DIV2)이 출력되고 제2 출력단(OUT2)을 통해 제4 분배전압(V_DIV4)이 출력된다. 그래서, 선택신호(SEL)에 따라 최종 출력단(DIV_OUT)으로 제2 분배전압(V_DIV2) 또는 제4 분배전압(V_DIV4)이 출력될 수 있다.
세 번째 경우로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가 모두 논리'하이'인 경우, 제1 NMOS 트랜지스터(NM51)와 제2 NMOS 트랜지스터(NM52)가 턴 온되어 제1 출력단(OUT1)을 통해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DIV2)의 중간레벨전압이 출력되고, 제3 NMOS 트랜지스터(NM53)와 제4 NMOS 트랜지스터(NM54)가 턴 온되어 제2 출력단(OUT2)을 통해 제3 및 제4 분배전압(V_DIV1, V_DIV2)의 중간레벨전압이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선택신호(SEL)에 따라 최종 출력단(DIV_OUT)으로 제1 출력단(OUT1) 또는 제2 출력단(OUT2)의 전압레벨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전압분배부(510)에서 5V의 외부전압(VDD)으로 4V의 제1 분배전압(V_DIV1)과, 3V의 제2 분배전압(V_DIV2)과, 2V의 제3 분배전압(V_DIV3), 및 1V의 제4 분배전압(V_DIV4)을 생성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가 논리'하이'이고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가 논리'로우'일 경우, 최종 출력단(DIV_OUT)으로 제1 분배전압(V_DIV1)인 4V 또는 제3 분배전압(V_DIV3)인 2V가 출력될 수 있고,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가 논리 '로우'이고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가 논리'하이'일 경우, 최종 출력단(DIV_OUT)으로 제2 분배전압(V_DIV2)인 3V 또는 제4 분배전압(V_DIV4)인 1V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가 모두 논리'하이'일 경우, 최종 출력단(DIV_OUT)으로 제1 분배전압(V_DIV1)과 제2 분배전압(V_DIV2)의 중간레벨전압인 3.5V 또는 제3 분배전압(V_DIV3)과 제4 분배전압(V_DIV4)의 중간레벨전압인 1.5V가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압 분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압 분배기는 외부전압(VDD)을 분배하여 제1 분배전압(V_DIV1)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전압분배부(610)와, 외부전압(VDD)을 분배하여 제2 분배전압(V_DIV2)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전압분배부(630), 및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V_DIV1), 제2 분배전압(V_DIV2) 또는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DIV2)의 중간레벨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부(6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전압분배부(610)는 외부전압(VDD)단과 접지전압단(VSS) 사이에 직렬 연결된 2개의 저항(R61, R62)을 구비하여 제1 분배전압(V_DIV1)을 생성하고, 제2 전압분배부(630)는 외부전압(VDD)단과 접지전압단(VSS) 사이에 직렬 연결된 2개의 저항(R63, R64)을 구비하여 제2 분배전압(V_DIV2)을 생성한다.
다중화부(650)는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V_DIV1)단과 출력단(OUT)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1 스위칭부(432)와, 제2 조합 제어신호(CTR_LEV2)에 응답하여 제2 분배전압(V_DIV2)단과 출력단(OUT)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2 스위칭부(43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조합제어신호(CTR_LEV1)가 논리'하이'이고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가 논리'로우'인 경우, 제1 NMOS 트랜지스터(NM61)가 턴 온(turn on)되고 제2 NMOS 트랜지스터(NM62)가 턴 오프(turn off) 되어 출력단(OUT)을 통해 제1 분배전압(V_DIV1)이 출력된다. 그리고,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가 논리'로우'이고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2)가 논리'하이'인 경우, 제1 NMOS 트랜지스터(NM61)가 턴 오프되고 제2 NMOS 트랜지스터(NM62)가 턴 온되어 출력단(OUT)을 통해 제2 분배전압(V_DIV2)가 출력된다. 또한,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가 모두 논리'하이'인 경우, 제1 및 제2 NMOS 트랜지스터(NM41, NM42)가 모두 턴 온되어 출력단(OUT)을 통해 제1 및 제2 분배전압(V_DIV1, V_DIV2)의 중간레벨전압이 출력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압 분배기도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VEV2)에 응답하여 3가지 상태의 전압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칩 면적은 많이 차지하지만 더 세밀한 전압레벨을 생성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저항 한 개의 전압 강하가 최소 1V라고 가정하고, 도 4에서와 같이 외부전압(VDD)이 5V라고 가정한다.
제1 전압분배부(610)의 제1 저항(R61)을 최소로 설계하고 제2 저항(R62)을 적절히 설계하면 제1 분배전압(V_DIV1)으로 4V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압분배부(630)의 제3 저항(R63)을 최소보다 크게 설계하고 제4 저항(R64)을 적절히 설계하면 제2 분배전압(V_DIV2)으로 3.5V를 생성할 수 있다. 때문에,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조합제어신호(CTR_LEV1, CTR_LEV2)에 응답하여 4V의 분배전압과 3.5V의 분배전압과 중간레벨전압인 3.75V의 분배전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스위칭부를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를 다른 종류의 트랜지스터로 대체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한 논리 게이트 및 트랜지스터는 입력되는 신호의 극성에 따라 그 위치 및 종류가 다르게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다양하고 세밀한 분배 전압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이것을 소스로 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회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분배전압을 생성하는데 반해 칩 면적에 대한 부담을 줄여 줌으로써, 효율적인 레이아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2)

  1. 전원전압을 분배하여 다수의 분배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분배수단과,
    상기 다수의 분배전압 중 제1 및 제2 분배전압을 인가받으며, 조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 제2 분배전압 또는 제1 및 제2 분배전압의 중간레벨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다중화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다중화수단은,
    상기 제1 조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단과 상기 다중화수단의 출력전압단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조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 분배전압단과 상기 출력전압단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2 스위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가 동시에 턴온되어 상기 출력전압단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분배전압의 중간레벨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분배수단은,
    전원전압단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제어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분배전압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분배전압단과 상기 출력전압단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연결되고 상기 제1 조합제어신호를 게이트 입력받는 제1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2 분배전압단과 상기 출력전압단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연결되고 상기 제2 조합제어신호를 게이트 입력받는 제2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제어신호는 외부 또는 내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분배수단은,
    상기 제1 분배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전압분배수단과,
    상기 제2 분배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전압분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분배수단은 각각,
    전원전압단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11. 전원전압을 분배하여 다수의 분배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분배수단;
    상기 다수의 분배전압 중 제1 및 제2 분배전압을 인가받으며, 조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 제2 분배전압 또는 제1 및 제2 분배전압의 중간레벨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레벨다변화수단; 및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레벨다변화수단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압선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레벨다변화수단은 각각,
    제1 조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분배전압단과 해당 레벨다변화수단의 출력전압단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1 스위칭부와, 제2 조합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 분배전압단과 상기 출력전압단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제2 스위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가 동시에 턴온되어 상기 출력전압단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분배전압의 중간레벨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분배수단은,
    전원전압단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다수의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제어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분배전압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분배전압단과 상기 출력전압단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연결되고 상기 제1 조합제어신호를 게이트 입력받는 제1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2 분배전압단과 상기 출력전압단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연결되고 상기 제2 조합제어신호를 게이트 입력받는 제2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는 상기 다수의 레벨다변화수단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개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제어신호는 외부 또는 내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분배수단은,
    상기 제1 분배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전압분배수단과,
    상기 제2 분배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전압분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분배수단은 각각,
    전원전압단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22. 제11항에 있어서,
    활성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분배수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분배기.
KR1020070047498A 2007-05-16 2007-05-16 전압 분배기 KR100929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498A KR100929652B1 (ko) 2007-05-16 2007-05-16 전압 분배기
US11/967,839 US8063708B2 (en) 2007-05-16 2007-12-31 Phase locked loop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8006329A JP2008289119A (ja) 2007-05-16 2008-01-15 Pllとその駆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498A KR100929652B1 (ko) 2007-05-16 2007-05-16 전압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150A KR20080101150A (ko) 2008-11-21
KR100929652B1 true KR100929652B1 (ko) 2009-12-03

Family

ID=4028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498A KR100929652B1 (ko) 2007-05-16 2007-05-16 전압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11B1 (ko) 2010-12-30 2012-11-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압 생성 방법
KR101352080B1 (ko) * 2012-02-07 2014-01-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압분배장치 및 그 구현방법
KR20160110736A (ko) * 2015-03-11 2016-09-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사이클 형 전압 분배기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320A (ko) * 1998-04-03 1999-11-05 김영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KR20040037915A (ko) * 2002-10-31 2004-05-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가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320A (ko) * 1998-04-03 1999-11-05 김영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KR20040037915A (ko) * 2002-10-31 2004-05-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가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150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596B1 (ko) 업-슬루율 및 다운-슬루율, 업-드라이빙 세기 및다운-드라이빙 세기가 상호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출력드라이버 회로
US8598936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521370B1 (ko) 파워 검출부를 구비하여 누설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레벨쉬프터
EP0905902B1 (en) Constant current cmos output driver circuit with dual gate transistor devices
US6281730B1 (en) Controlled slew rate driver
US70881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gating
KR100670653B1 (ko) 반도체 소자의 출력 드라이버
KR19990042470A (ko) 전력소비 억제회로
KR10091581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US20010002796A1 (en) Programmable multi-standard I/O architecture for FPGAs
KR100566302B1 (ko) 파워업 신호 발생 장치
KR100929652B1 (ko) 전압 분배기
US7135895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output circuit adaptively suppressing SSO noise
JP2006135560A (ja) レベルシフト回路およびこれを含む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492853B1 (en) Master/slave method for a ZQ-circuitry in multiple die devices
US7800402B1 (en) Look-up table overdrive circuits
KR101535224B1 (ko) 듀티 제어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US7154318B2 (en) Input/output block with programmable hysteresis
US9912321B2 (en) Data output circuit
US7072227B2 (en) Current mode output driver
JP2008092530A (ja) 信号伝送回路
CN101485089B (zh) 电子电路及其方法
KR100961102B1 (ko) 집적회로
US9698787B1 (en) Integrated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and high-speed current steering logic (HCSL) circuit and method of use
KR100728944B1 (ko) 와이드 전압형 입력 버퍼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