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778B1 -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778B1
KR100928778B1 KR1020020061192A KR20020061192A KR100928778B1 KR 100928778 B1 KR100928778 B1 KR 100928778B1 KR 1020020061192 A KR1020020061192 A KR 1020020061192A KR 20020061192 A KR20020061192 A KR 20020061192A KR 100928778 B1 KR100928778 B1 KR 100928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hute
storage bin
material storage
ch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249A (ko
Inventor
김명한
조상원
김교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778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콘베어에 의해 수송되는 주원료, 부원료를 레일상에서 주행하는 트리퍼커의 장입슈트를 통하여 원료저장빈에 장입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장입슈트의 내부를 제 1,2슈트로 분할하는 수직격벽을 갖추고, 상기 수직격벽의 상부단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판상의 댐퍼를 갖추며, 상기 제 1,2슈트의 하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2슈트의 외부면에 장착된 제 1,2스프링부재에 타단이 탄력지지되는 제 1,2게이트를 갖추어 주원료, 부원료를 안내배출하는 슈트부; 상기 댐퍼의 하부단에 장착된 아암과 제 1,2와이어로프를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는 제 1,2터치바를 갖추고, 상기 댐퍼를 회동시킬수 있도록 상기 제 1,2슈트의 외부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제 1,2터치바의 타단과 간섭되는 제 1,2스트라이커를 상기 원료저장빈에 갖추어 제 1,2슈트의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부 및 상기 제1슈트의 벽면에 형성된 보조슈트내로 유입되는 부원료를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를 갖추고, 상기 제 2스프링부재의 하부단에 장착된 감지바를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를 갖추어 주원료, 부원료의 오입조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20061192
트리퍼카, 원료저장빈, 댐퍼, 수직격벽, 터치바, 스트라이커, 감지센서

Description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WRONG CHARGING OF TRIPPER CAR IN STORAGE BIN}
도 1은 일반적인 제철소의 저장빈과 장입설비인 트리퍼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트리퍼카를 이용하여 저장빈에 원료를 장입하는 작업도,
도 3은 일반적인 트리퍼카의 장입슈트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주원료저장빈 4 ..... 부원료저장빈
5 ..... 트리퍼카 6 ..... 장입슈트
10a,10b ... 제 1,2슈트 11 .... 수직격벽
12 .... 댐퍼 12a .... 댐퍼축
13,14 ... 제 1,2게이트 17a,17b ... 제 1,2스프링부재
31,32 ... 제 1,2터치바 33,34 ... 제 1,2스트라이커
36a,36b ... 제 1,2와이어로프 37 .... 가이더
51 .... 제 1감지센서 52 .... 제 2감지센서
53 .... 보조슈트 55 ..... 가이더
본 발명은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를 이용한 원료장입시 오입조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서로 다른 비중을 갖는 주원료와 부원료를 해당하는 주원료저장빈과 부원료저장빈에 각각 입조하는 과정에서 트리퍼카가 저장빈의 위치를 오인하거나 불출설정의 착오로 인한 원료의 오입조를 방지하여 조업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고로원료의 성분안정화에 의해서 원료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방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빈설비인 주원료저장빈과 부원료저장빈에 주원료인 철광석과 부원료인 석회석, 규석 및 사문암을 입조하는 작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장빈(3)(4)상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되는 트리퍼카(6)와, 수송물을 이송하도록 순환구동되는 벨트콘베어(9) 및 상기 벨트콘베어(9)에 의해서 운반되는 수송물을 상기 저장빈(3)(4)상으로 낙하투입하도록 안내하는 장입슈트(5)로 이루어진 원료장입설비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즉, 도 2와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저장빈(3)(4)상에 설치된 트리퍼카(6)는 모터부재(6a)의 구동력에 의해서 레일(6b)을 따라 주행되는바, 주원료장입빈(3)에 주원료인 철광석을 장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운전실의 작업자가 상기 트리퍼카(6)를 주원료저장빈(3)의 직상부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벨트콘베어(9)에 의해 운반되는 철광석을 장입슈트(5)내로 낙하시켜 그리즐리바(8)를 거쳐 상기 주원료장입빈(3)에 장입하는 한편, 상기 부원료장입빈(4)에 부원료를 장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트리퍼카(6)를 부원료저장빈(4)상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벨트콘베어(9)에 의해 운반되는 부원료인 석회석, 규석 및 사문암을 상기 장입슈트(5), 그리즐리바(8)를 거쳐 상기 부원료장입빈(3)에 장입하였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원료,부원료 장입장업공정중 상기 벨트콘베어(9)에 의해 운반되는 원료 또는 부원료에 맞추어 상기 트리퍼카(6)의 위치를 설정할 때 그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운전실 근무자와 현장 근무자와 통신연락의 오인으로 인하여 상기 주원료저장빈(3)에 부원료가 오입조되거나 상기 부원료저장빈(4)에 주원료가 오입조되면, 소결 및 고로 원료의 성분이 불안정해지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주원료와 부원료의 혼합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원료를 공급함으로써 조업의 안정화를 기대하고, 원료품질의 저하 및 다량의 잡광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벨트콘베어에 의해 수송되는 주원료, 부원료를 레일상에서 주행하는 트리퍼커의 장입슈트를 통하여 원료저장빈에 장입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장입슈트의 내부를 제 1,2슈트로 분할하는 수직격벽을 갖추고, 상기 수직격벽의 상부단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판상의 댐퍼를 갖추며, 상기 제 1,2슈트의 하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2슈트의 외부면에 장착된 제 1,2스프링부재에 타단이 탄력지지되는 제 1,2게이트를 갖추어 주원료, 부원료를 안내배출하는 슈트부;
상기 댐퍼의 하부단에 장착된 아암과 제 1,2와이어로프를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는 제 1,2터치바를 갖추고, 상기 댐퍼를 회동시킬수 있도록 상기 제 1,2슈트의 외부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제 1,2터치바의 타단과 간섭되는 제 1,2스트라이커를 상기 원료저장빈에 갖추어 제 1,2슈트의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부 및
상기 제1슈트의 벽면에 형성된 보조슈트내로 유입되는 부원료를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를 갖추고, 상기 제 2스프링부재의 하부단에 장착된 감지바를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를 갖추어 주원료, 부원료의 오입조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벨트콘베어(9)에 의해 수송되는 비중이 높은 철광석과 같은 주원료 또는 비중이 낮은 석회석, 사문암 및 규석등과 같은 부원료를 레일상에서 왕복주행하는 트리퍼카의 장입슈트(5)를 통하여 해당하는 주원료저장빈(3)과 부원료저장빈(4)에 장입하는 공정중 상기 주원료저장빈(3)에 부원료가 오입조되거나 상기 부원료장입빈(4)내로 주원료가 오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결광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잡광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러한 장치(1)는 슈트부(10), 작동부(30) 및 감지부(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주원료저장빈(3) 또는 부원료저장빈(4)내로 주원료 또는 부원료를 선택적으로 안내배출하는 슈트부(10)는 수직격벽(11), 댐퍼(12) 및 제 1,2게이트(13)(14)로 구성되는바, 상기 수직격벽(11)은 상기 장입슈트(5)의 내부를 주원료가 장입되는 제 1슈트(10a)와 부원료가 장입되는 제 2슈트(10b)로 각각 양분하여 분할하도록 상기 장입슈트(5)의 내부공간에 수직하게 갖추어지는 격벽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댐퍼(12)는 상기 수직격벽(11)의 상부단에 하부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제 1,2슈트(10a)(10b)의 배출유로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상기 수직격벽(11)의 상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작동되는 사각판상의 판부재로서, 상기 댐퍼(12)의 하부단에 갖추어진 댐퍼축(12a)의 좌우양단은 상기 장입슈트(5)의 내부면 좌우양측에 장착되는 지지판(15)의 홀더(15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슈트(10a)(10b)의 내부면에는 상기 댐퍼(12)이 상부단이 접하여 정지되는 스토퍼(12b)(12c)이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 1,2게이트(13)(14)는 상기 수직격벽(11)의 하부단과 만나는 제 1,2슈트(10a)(10b)의 하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바, 상기 제 1,2게이트(13)(14)의 게이트축(13a)(14a)좌우양단은 상기 제 1,2슈트(10a)(10b)의 내부면 좌우양측에 장착되는 또다른 홀더(16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제 1,2게이트(13)(14)의 자유단인 타단은 상기 제 1,2슈트(10a)(10b)의 외부면에 돌출된 고정핀(16b)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 1,2스프링부재(17a)(17b)의 하단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2슈트(10a)(10b)의 하부개구부는 상기 제 1,2스프링부재(17a)(17a)의 탄성력에 의해 개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스프링부재(17a)(17b)의 하부단은 상기 제 1,2슈트(10a)(10b)의 외부면에 장착된 제 1,2쉬브(18a)(18b)에 감기는 연결와이어(18c)(18d)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 1,2게이트(13)(14)의 자유단에 장착되는 연결바(19a)(19b)와 각각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제 1슈트(10a)의 제 1게이트(13)는 제 1스프링부재(17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닫힘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비중이 높은 주원료인 철광석의 장입시 상기 게이트축(13a)을 중심으로 하여 하강선회되어 개방되며, 상기 제 2슈트(10b)의 제 2게이트(14)는 상기 주원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부원료를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열림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벨트콘베어(9)에 의해서 운반되는 주원료 또는 부원료를 해당하는 주원료저장빈(3)과 부원료저장빈(4)에 각각 입조하도록 상기 장입슈트(5)의 제 1,2슈트(10a)(10b)의 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30)는 제 1,2터치바(31)(32)와, 제 1,2스트라이커(33)(34)를 갖추어 구성하는바, 상기 제 1,2터치바(31)(32)는 상기 댐퍼(12)의 하부단에 장착되는 상,하부아암(35a)(35b)사이를 연결하는 로프고리(35c)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 1,2와이어로프(36a)(36b)의 타단과 조립되고, 상기 제 1,2슈트(10a)(10b)의 외부면에 길이중간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제 1,2터치바(31)(32)의 타단인 자유단에 간섭되는 제 1,2스트라이커(33)(34)는 상기 주원료저장빈(3)과 부원료저장빈(4)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물로서, 좌우양단은 해당하는 상기 제 1,2터치바(31)(32)와의 간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부로 굽힘가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2스트라이커(33)(34)는 상기 제 1,2슈트(10a)(10b)의 외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된 제 1,2터치바(31a)(32b)에 각각 대응하여 선,후단이 접촉되도록 일정간격(G)을 두고 주원료저장빈(3)과 부원료저장빈(4)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격벽(11)에 해당하는 장입슈트(5)의 일측외부면에 가이더(37)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가이더(37)의 장공(37c)에 상항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조립된 안내구(37a)는 상기 댐퍼(12)의 하부아암(35b)의 하부단과 연결되는 한편, 상기 안내구(37a)와 상기 가이더(37)의 하부단 사이에는 상기 안내구(37a)를 하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37b)를 갖추어 구성한다.
한편, 상기 장입슈트(5)를 통한 주원료,부원료의 오입조를 감지하는 감지부(50)는 상기 제 1,2슈트(10a)(10b)에 각각 제 1,2감지센서(51)(52)를 각각 갖추어 구성하는바, 상기 제 1감지센서(51)는 상기 제1슈트(10a)의 외벽면에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보조슈트(53)를 갖추고, 상기 보조슈트(53)에는 주원료보다 낮은 비중을 갖는 부원료의 오입조에 의한 상기 제 1슈트(10a)하부단에 장착된 제 1게이트(13)의 담힘시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부원료를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51)를 갖추어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감시센서(51)는 상기 제 2슈트(10b)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되고, 비중이 높은 주원료의 오입조에 의한 상기 제 2게이트(14)의 하방선회시 하부로 늘어지는 제 2스프링부재(17b)의 하부단에 장착된 감지바(55)를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52)를 갖추어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철광석과 같이 비중이 무거운 주원료를 주원료저장빈(3)에 장입하는 작업은, 트리퍼카(6)가 주원료저장빈(3)측으로 주행되면서 상기 저장빈(3)에 장착된 제 1스트라이커(33)가 해당하는 제 1터치바(31)의 일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 1터치바(31)의 하부단이 상방으로 선회되어 상승되면, 상기 제 1터치바(31)의 상부단에 연결된 제 1와이어로프(36a)가 당겨지게 된다.
제 1와이어로프(36a)가 당겨지면 제 1와이어로프(36a)의 타단에 연결된 로프고리(35c)도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입슈트(5)의 수직격벽(11) 상부단에 댐퍼축(12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와이어로프(36a)의 타단과 로프고리(35c)를 매개로 연결된 댐퍼(12)는 제 1슈트(10a)를 개방하고, 제 2슈트(10b)는 밀폐하도록 도면상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되어 스토퍼(12c)에 접하여 정지된다. 한편, 제 1와이어로프(36a)와 로프고리(35c)를 매개로 연결된 제 2와이어로프(36b)는 제1 와이어로프(36a)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제 2와이어로프(36b)에 연결된 제 2터치바(32)의 상부단이 상방으로 선회되어 상승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스트라이커(34)가 제 2터치바(32)로부터 접촉이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 2터치바(32)는 제 2스트라이커(34)에 구속받지 않고 상부단이 상방으로(즉, 하부단이 하방으로) 선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입슈트(5)내로 투입되는 주원료인 철광석은 선택적으로 개방된 개방된 제1슈트(10a)내로 낙하공급되고, 상기 제 1슈트(10a)의 하부단에 장착된 제 1게이트(13)는 상기 제 1슈트(10a)내로 장입되는 철광석의 무게에 의해서 하방으로 선회되어 개방됨과 동시에 제 1스프링부재(17a)는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하부로 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슈트(10a)가 개방되어 주원료가 장입되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실수 및 착오로 인하여 상기 제 1슈트(10a)내로 비중이 낮은 부원료가 오입조되면, 비중이 7 내지 8인 철광석에 비하여 비중이 3,4 내지 3.7로 상대적으로 낮은 부원료가 제 1슈트(10a)내로 낙하되기 때문에, 비중이 무거운 주원료 입조시 하부로 선회되어 개방작동되어 있던 제 1게이트(13)는 제 1스프링부재(17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선회되어 상기 제 1슈트(10a)의 하부를 밀폐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슈트(10a)내로 오입조되는 부원료는 상기 제 1슈트(10a)의 일측면에 장착된 보조슈트(53)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부원료는 상기 보조슈트(53)에 장착된 만량검출기인 제 1감지센서(51)에 감지되어 라인을 비상정지시키거나 작업자에게 오입조상태를 알수 있도록 경고신호 및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주원료저장빈(3)에 부원료가 장입되는 오입조를 방지하여 원료혼합시 혼합비율의 정밀도를 높일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비중이 가벼운 부원료를 부원료저장빈(4)에 장입하는 작업은, 부원료저장빈(4)에 장착된 제 2스트라이커(34)가 해당하는 제 2터치바(32)의 일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 2터치바(32)의 하부단이 상방으로 선회되어 상승되면, 상기 제 2터치바(32)의 상부단에 연결된 제 2와이어로프(36b)가 당겨지게 된다.
제 2와이어로프(36b)가 당겨지면 제 2와이어로프(36b)의 타단에 연결된 로프고리(35c)도 당겨지게 된다. 로프고리(35c)가 당겨짐에 따라 로프고리(35c)를 매개로 연결된 댐퍼(12)는 제 1슈트(10a)는 밀폐하고, 제 2슈트(10b)는 개방하도록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스토퍼(12b)에 접하여 정지됨에 따라, 상기 트리퍼카(6)를 통하여 장입슈트(5)내로 투입되는 부원료는 선택적으로 개방된 제2슈트(10b)내로 전량 낙하공급된다. 한편, 제 2와이어로프(36b)와 로프고리(35c)를 매개로 연결된 제 1와이어로프(36a)는 제2 와이어로프(36b)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제 1와이어로프(36a)에 연결된 제 1터치바(31)의 상부단이 상방으로 선회되어 상승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스트라이커(33)가 제 1터치바(31)로부터 접촉이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 1터치바(31)는 제 1스트라이커(33)에 구속받지 않고 상부단이 상방으로(즉, 하부단이 하방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슈트(10b)의 하부단에 장착된 제 2게이트(14)는 입조되는 부원료의 무게에 의해서 하방으로 선회되어 더 개방됨과 동시에 제 2스프링부재(17b)는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하부로 늘어지게 되지만, 상기 제 2스프링부재(17b)의 하부단에 장착된 감지바(55)의 위치는 상기 제 2감지센서(52)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 2감지센서(52)로부터 감지신호를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2슈트(10b)가 개방되어 부원료가 장입되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실수 및 착오로 인하여 상기 제 2슈트(10b)내로 비중이 큰 주원료가 오입조되면, 상기 제 2슈트(10b)내로 중량이 무거운 주원료가 낙하되기 때문에, 비중이 낮은 부원료 입조시 하부로 선회되어 개방작동되어 있던 제 2게이트(14)는 제 2스프링부재(17b)가 더욱 하부로 늘어지도록 하방으로 선회되어 개방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2스프링부재(17b)의 하부단에 장착된 감지바(55)가 제 2감지센서(52)에 감지되어 라인을 비상정지시키거나 작업자에게 오입조상태를 알수 있도록 경고신호 및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부원료저장빈(4)에 주원료가 장입되는 오입조를 방지하여 원료혼합시 혼합비율의 정밀도를 높일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결 및 고로에서 사용되는 원료인 철광석 및 부원료이 주원료저장빈 이나 부원료저장빈에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원료를 공급함으로써, 조업의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고, 오입조시 발생되는 원료품질의 저하를 방지하여 소결광 성분안정에 기여하고, 다량의 잡광발생에 따른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벨트콘베어에 의해 수송되는 주원료, 부원료를 레일상에서 주행하는 트리퍼커의 장입슈트를 통하여 원료저장빈에 장입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장입슈트의 내부를 제 1,2슈트로 분할하는 수직격벽을 갖추고, 상기 수직격벽의 상부단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판상의 댐퍼를 갖추며, 상기 제 1,2슈트의 하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2슈트의 외부면에 장착된 제 1,2스프링부재에 타단이 탄력지지되는 제 1,2게이트를 갖추어 주원료, 부원료를 안내배출하는 슈트부;
    상기 댐퍼의 하부단에 장착된 아암과 제 1,2와이어로프를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는 제 1,2터치바를 갖추고, 상기 댐퍼를 회동시킬수 있도록 상기 제 1,2슈트의 외부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제 1,2터치바의 타단과 간섭되는 제 1,2스트라이커를 상기 원료저장빈에 갖추어 제 1,2슈트의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부 및
    상기 제1슈트의 벽면에 형성된 보조슈트내로 유입되는 부원료를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를 갖추고, 상기 제 2스프링부재의 하부단에 장착된 감지바를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를 갖추어 주원료, 부원료의 오입조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스트라이커는 상기 제 1,2슈트의 외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길 이로 돌출된 제 1,2터치바에 각각 대응하여 선,후단이 접촉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주원료저장빈과 부원료저장빈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격벽에 해당하는 장입슈트의 일측외부면에 가이더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가이더의 장공에 상항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조립된 안내구는 상기 댐퍼의 하부아암의 하부단과 연결되는 한편, 상기 안내구와 상기 가이더의 하부단 사이에는 상기 안내구를 하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
KR1020020061192A 2002-10-08 2002-10-08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 KR100928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192A KR100928778B1 (ko) 2002-10-08 2002-10-08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192A KR100928778B1 (ko) 2002-10-08 2002-10-08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249A KR20040032249A (ko) 2004-04-17
KR100928778B1 true KR100928778B1 (ko) 2009-11-25

Family

ID=3733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192A KR100928778B1 (ko) 2002-10-08 2002-10-08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7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328B1 (ko) * 2012-03-20 2014-04-22 (주)포스코 일 방향 슈트를 이용한 원료 입조 시스템
KR20210115482A (ko)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포스코 피처리물 운반장치 및 피처리물 운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8176A (zh) * 2017-06-01 2017-08-29 佛山石湾鹰牌陶瓷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种面料的送料系统
CN108031401A (zh) * 2018-01-29 2018-05-15 中国农业科学院农田灌溉研究所 灌溉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805A (ja) * 1985-07-20 1987-01-29 Kobe Steel Ltd ベルレス式装入装置を備えた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
JPH06221904A (ja) * 1993-01-22 1994-08-12 Hino Motors Ltd 材料秤量装置
JPH07285678A (ja) * 1994-04-19 1995-10-31 Mitsubishi Materials Corp 粉粒体の輸送装置
JPH09286488A (ja) * 1996-04-16 1997-11-04 Nkk Corp 粉粒体ホッパーの棚吊り除去方法
JPH10236635A (ja) * 1997-02-24 1998-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ベアの分配払い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0017314A (ko) * 1999-08-10 2001-03-05 신형인 분체 투입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805A (ja) * 1985-07-20 1987-01-29 Kobe Steel Ltd ベルレス式装入装置を備えた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
JPH06221904A (ja) * 1993-01-22 1994-08-12 Hino Motors Ltd 材料秤量装置
JPH07285678A (ja) * 1994-04-19 1995-10-31 Mitsubishi Materials Corp 粉粒体の輸送装置
JPH09286488A (ja) * 1996-04-16 1997-11-04 Nkk Corp 粉粒体ホッパーの棚吊り除去方法
JPH10236635A (ja) * 1997-02-24 1998-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ベアの分配払い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0017314A (ko) * 1999-08-10 2001-03-05 신형인 분체 투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328B1 (ko) * 2012-03-20 2014-04-22 (주)포스코 일 방향 슈트를 이용한 원료 입조 시스템
KR20210115482A (ko)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포스코 피처리물 운반장치 및 피처리물 운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249A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20894A (zh) 一种装车机头和自动装车设备
KR100928778B1 (ko) 원료저장빈에서 트리퍼카의 오입조 방지장치
CN101200260A (zh) 电梯
CA2588987A1 (en) Combination weigher
KR20130054656A (ko) 원료 장입 장치
KR101537391B1 (ko) 카운터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6281258A (zh) 一种自动火车装卡系统
US2097909A (en) Conveyer control system
US7510363B2 (en) Bundle handling device
KR102100795B1 (ko) 하역장치 및 하역방법
CA24437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loading of dumper
CN113548489A (zh) 一种货物卸船直装火车用直装系统及操控方法
KR100851151B1 (ko) 고로 장입 원료 운반장치의 광석 통과 기점 검출장치
JP2017197339A (ja) 焼鉱搬送クレーン設備におけるワイヤロープの弛み防止方法
JPH09315588A (ja) 連続式アンローダ
JP6692198B2 (ja) 精米搬送装置
KR100920563B1 (ko) 드럼갭에 따른 와이어의 텐션조정이 가능한 언로더의드럼와이어 가이드장치
US1270896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US1791844A (en) Trolley for bucket conveyers
KR200284328Y1 (ko) 스텍커용 버킷의 충돌 방지장치
KR101277494B1 (ko) 선박용 적하장치
JPS609659A (ja) シヨツトブラストにおける製品投入装置
JPH05331875A (ja) 船槽の荷揚げ装置
KR100442671B1 (ko) 수직식 핸들러의 반도체 소자 걸림 해제장치
RU22881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чистки кузовов думпка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