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529B1 -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 - Google Patents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529B1
KR100928529B1 KR1020090048973A KR20090048973A KR100928529B1 KR 100928529 B1 KR100928529 B1 KR 100928529B1 KR 1020090048973 A KR1020090048973 A KR 1020090048973A KR 20090048973 A KR20090048973 A KR 20090048973A KR 100928529 B1 KR100928529 B1 KR 100928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fastening
fastened
hole
bear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태
Original Assignee
이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태 filed Critical 이중태
Priority to KR102009004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1/00Methods, apparatus, or devices for covering or wrapping cores by wind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H81/02Covering or wrapping annular or like cores forming a closed or substantially closed fig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는 전선과 마사를 연합작업할 때 마사가 일정장력을 유지하며 연합장치로 공급되도록 하여 권취롤에서 빨리 풀려 발생하는 정체현상과 늦게 풀려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 따른 본 발명은 내측에 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고 마사가 원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100)과, 상기 권취롤(1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연합할 때 마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상기 권취롤(100)의 타 단에 체결되어 연합작업할 때 권취롤(100)의 고속회전을 제어하는 휠 브레이크(500)와, 상기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휠 브레이크(500) 내측에 체결되는 주축(700)을 포함하는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에 있어서, 상기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은, 내측에 형성되어 주축(700)이 삽입되는 주축 체결공(3111)과/ 고정부재(315)의 연장봉(3131-1) 원주와 동일 또는 크게 형성하여 스프링(3133)이 주축 체결공(3111)으로 빠지지않도록 격벽(3113-15)을 갖도록 형성한 상부체결공(3113-11)과 고정부재(315)의 고정봉(3135-1) 삽입되는 하부 체결공(3133-13)으로 구분되는 고정부재 체결공(3113-1)이 형성된 연장블록(3113)을 갖는 몸체(311)와; 상기 몸체(311)의 일단 또는 중앙 원주면에 체결되어 권취롤(100)을 주축(700)보다 빠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313)과;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체결봉(3135)이 체결되도록 체결봉 체결공(3131-11)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봉(3131-1)을 갖는 푸쉬버튼(3131)과/ 가압하여 하향된 푸쉬버튼(3131)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3133)과/ 연장봉(3131-1)에 체결고정되고 주축(700)의 절개부(710)에 삽입되어 주축(700)의 회전시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같이 회전되도록 하되 하단에 체결봉(3135)의 원주보다 크게 형성되어 주축(700)의 절개부(710)에 구비된 고정공(711)에 삽입되어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주축(700)에 고정시키는 고정봉(3135-1)이 형성된 체결봉(3135)으로 된 고정부재(315)를 갖는 주축 체결부(310)와; 일단에 권취롤(100)의 관통공(110)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체결되도록 일측으로 협소되는 경사면(3311-1)이 구비된 연장부(3311)와/ 주축(700)에 주축 체결부(31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동부재(333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동부재(3330)가 슬라이딩 가능한 한도에서 체결할 수 있도록 원주면에 체결공(3315)이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3313)을 갖는 몸체(3310)와;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주축에 체결할 때 주축(700)의 길이가 짧은 경우 몸체(3310) 내측으로 삽입 슬라이딩되어 주축(70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에 스프링(3133)이 체결되는 스프링 체결공(3331)이 형성되어 있고, 타 단에 마감부재(3350)를 몸체(33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마감부재 체결공(3333)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 주축 체결부(310)의 베어링(313) 원주면에 끼워지도록 베어링 끼음부(3335)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재(3330)와; 주축(700)에서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이탈시켰을 때 주축 체결부(310)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3340)과; 이동부재(3330)가 몸체(3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3310)에 형성된 마감부재 체결공(3333)을 통하여 체결되는 마감부재(3350)를 갖는 권취롤 체결부(330)를 포함한다.
연합장치, 마사, 장력, 베어링, 휠 브레이크

Description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twine tension support instrument for combin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과 마사를 연합작업할 때 마사가 일정장력을 유지하며 연합장치로 공급되도록 하여 권취롤에서 빨리 풀려 발생하는 정체현상과 늦게 풀려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그 전기가 흐르는 동선과 동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절연재로 외부를 감싼 피복부로 이루어진다.
전선의 굵기는 전선 내부를 흐르는 전기의 전압, 전류량 또는 전선을 연결하여 사용되는 장소의 상태 즉, 전선을 연결하여 구동되는 기계가 많은 경우 동선을 분할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동선을 다선 구비한 후 피복함으로써 결정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선의 수를 늘리면 전류량이 증대되어 다수의 장치에 연결할 수 있으나 전압도 같이 증대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즉, 전압을 견디지못하여 단선됨으로 전류가 다른 동선으로 흘러 합선에 의한 화재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 생하게 된다.
이에 전선을 다수로 합쳐 그 외측을 다시 피복하여 전선을 굵게 만들어 사고를 방지하였다.
상기와 같이 굵은 전선을 형성할 때 마사(재질에 따라 마사, pp사, 종이사 등으로 구분, 본 명세서에서는 마사로 통칭)를 같이 연합하여 피복하였다.
마사를 같이 피복하는 이유는 전선의 장력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즉, 연질의 재질로 피복된 전선을 현장에서 당기며 작업할 때 전선 내부에 있는 동선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같이 피복하여 장력을 높여주는 것이다.
종래의 연합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사가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1)을 주축(7)에 체결한다.
이후 마사의 끝단을 연합장치에 고정한다.
전선의 끝단을 연합장치에 고정한다.
이때 마사와 전선의 수는 임의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이후 연합장치를 구동하면 전선과 마사가 꼬아지면서 연합작업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사가 권취된 권취롤(1)은 주축(7)에 직접체결되므로 주축(7)과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그러나 권취롤(1)에 감겨있는 마사는 연합장치에 공급될 때 일정한 장력을 가지며 공급되어야 하는데, 처음에는 많이 감겨있는 상태라 중량에 의해 주축(7)의 회전이 느려지고 이에 따라 풀리는 속도가 느려지므로 마사의 공급량이 적어져 마 사가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이 수행되어 마사의 권취량이 적어졌을 때는 회전속도가 빨라 트위스트장치에서 원하는 마사의 양보다 많이 풀려 정체현상이 발생되므로 일정의 장력을 가지고 연합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장력이 떨어져 연합과정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선과 마사를 연합작업할 때 일정장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권취롤에서 빨리 풀려 발생하는 정체현상과 늦게 풀려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의 특징은,
내측에 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고 마사가 원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100)과, 상기 권취롤(1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연합할 때 마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상기 권취롤(100)의 타 단에 체결되어 연합작업할 때 권취롤(100)의 고속회전을 제어하는 휠 브레이크(500)와, 상기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휠 브레이크(500) 내측에 체결되는 주축(700)을 포함하는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에 있어서,
상기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은,
내측에 형성되어 주축(700)이 삽입되는 주축 체결공(3111)과/ 고정부재(315)의 연장봉(3131-1) 원주와 동일 또는 크게 형성하여 스프링(3133)이 주축 체결공(3111)으로 빠지지않도록 격벽(3113-15)을 갖도록 형성한 상부체결공(3113-11)과 고정부재(315)의 고정봉(3135-1) 삽입되는 하부 체결공(3133-13)으로 구분되는 고정부재 체결공(3113-1)이 형성된 연장블록(3113)을 갖는 몸체(311)와;
상기 몸체(311)의 일단 또는 중앙 원주면에 체결되어 권취롤(100)을 주축(700)보다 빠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313)과,;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체결봉(3135)이 체결되도록 체결봉 체결공(3131-11)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봉(3131-1)을 갖는 푸쉬버튼(3131)과/ 가압하여 하향된 푸쉬버튼(3131)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3133)과/ 연장봉(3131-1)에 체결고정되고 주축(700)의 절개부(710)에 삽입되어 주축(700)의 회전시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같이 회전되도록 하되 하단에 체결봉(3135)의 원주보다 크게 형성되어 주축(700)의 절개부(710)에 구비된 고정공(711)에 삽입되어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주축(700)에 고정시키는 고정봉(3135-1)이 형성된 체결봉(3135)으로 된 고정부재(315)를 갖는 주축 체결부(310)와;
일단에 권취롤(100)의 관통공(110)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체결되도록 일측으로 협소되는 경사면(3311-1)이 구비된 연장부(3311)와/ 주축(700)에 주축 체결부(31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동부재(333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동부재(3330)가 슬라이딩 가능한 한도에서 체결할 수 있도록 원주면에 체결공(3315)이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3313)을 갖는 몸체(3310)와;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주축에 체결할 때 주축(700)의 길이가 짧은 경우 몸체(3310) 내측으로 삽입 슬라이딩되어 주축(70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에 스프링(3133)이 체결되는 스프링 체결공(3331)이 형성되어 있고, 타 단에 마감부재(3350)를 몸체(33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마감부재 체결공(3333)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 주축 체결부(310)의 베어링(313) 원주면에 끼워지도록 베어링 끼음부(3335)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재(3330)와;
주축(700)에서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이탈시켰을 때 주축 체결부(310)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3340)과;
이동부재(3330)가 몸체(3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3310)에 형성된 마감부재 체결공(3333)을 통하여 체결되는 마감부재(3350)를 갖는 권취롤 체결부(330)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는 전선과 마사를 연합작업할 때 일정장력을 유지하며 연합장치로 공급되도록 하여 권취롤에서 빨리 풀려 발생하는 정체현상에 의해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는 연합작업할 때 권취롤에서 마사가 늦게 풀려 연합장치로 마사가 미처 공급되지 못하여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진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마사가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100)과 권취롤(1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연합작업할 때 권취롤(100)에 감겨있는 마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권취롤(100)의 타 단에 체결되어 연합작업할 때 권취롤(1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휠 브레이크(500)와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휠 브레이크(500) 내측에 체결되는 주축(700)으로 구성된다.
권취롤(100)은 내측에 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이하 설명할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휠 브레이크(500)가 내삽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마사가 원주면에 권취되어 있다.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은 권취롤(100)의 일단에 체결되어 권취롤(100)과 같이 회전되되, 권취롤(100)에 권취되어 있는 마사의 중량에 의해 회전속도가 느려짐에 따라 연합장치로 공급되는 마사의 양이 적어져 마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은 이하 설명할 주축(700)에 체결되도록 하는 주축 체결부(310)와 주축 체결부(310)가 내삽되며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권취롤 체 결부(330)로 이루어진다.
주축 체결부(310)는 몸체(311)와 베어링(313)과 고정부재(315)로 이루어진다.
몸체(311)는 내측에 주축(700)이 삽입되도록 주축 체결공(3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 또는 중앙 원주면에는 베어링(313)이 체결되어 이하 설명할 권취롤 체결부(330)가 주축(700)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몸체(311)의 타 단에는 고정부재(315)가 내삽되도록 고정부재 체결공(3113-1)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블록(311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 체결공(3113-1)은 상부체결공(3113-11)과 하부체결공(3113-13)으로 구분된다.
상부체결공(3113-11)은 이하 고정부재(315)의 연장봉(3131-1)의 원주와 동일 또는 크게 형성되되, 스프링(3133)이 주축 체결공(3111)으로 빠지지않도록 격벽(3113-15)을 갖도록 형성되되 격벽(3113-15)에는 체결봉(3135)이 상하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체결봉(3135)의 원주와 동일한 구멍(3113-151)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체결공(3133-13)은 고정부재(315)의 고정봉(3135-1) 삽입된다.
고정부재(315)는 푸쉬버튼(3131)과 스프링(3133)과 체결봉(3135)으로 이루어진다.
푸쉬버튼(3131)은 고정부재(315) 전체를 가압하여 하향 되도 록 하는 것으로, 원형 또는 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이하 설명할 체결봉(3135)이 체결되도록 체결봉 체결공(3131-11)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봉(3131-1)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133)은 가압하여 하향된 푸쉬버튼(3131)의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체결봉(3135)은 연장봉(3131-1)에 체결고정되고 이하 설명할 주축(700)의 절개부(710)에 삽입되어 주축(700)의 회전시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같이 회전되도록 한다.
체결봉(3135)의 하단에는 고정봉(3135-1)이 체결봉(3135)의 원주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하 주축(700)의 절개부(710)에 구비된 고정공(711)에 삽입되어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주축(700)에 고정시키게 된다.
권취롤 체결부(330)는 마사가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100)의 관통공(110)에 내삽되어 권취롤(100)의 회전속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몸체(3310)와 이동부재(3330)와 마감부재(3350)로 이루어진다.
몸체(3310)의 일단에는 연장부(3311)가 형성되는데, 연장부(3311)는 권취롤(100)의 관통공(110)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체결되도록 일측으로 협소되는 경사면(3311-1)을 갖는다.
즉, 권취롤(100)의 관통공(110)이 크면 몸체(3310)에 가까운 곳에 작으면 몸체(3310)에서 먼곳의 경사면(3311-1)에 걸려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몸체(3310)에는 관통공(3313)이 형성되어 주축(700)에 주축 체결부(31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동부재(333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동부재(3330)가 슬라이딩 가능한 한도에서 체결할 수 있도록 원주면에 체결공(33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3330)는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주축에 체결할 때 주축(700)의 길이가 짧은 경우 몸체(3310) 내측으로 삽입/슬라이딩되어 주축(70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동부재(3330)의 일단에는 스프링(3133)이 체결되는 스프링 체결공(33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 단에는 이하 마감부재(3350)를 몸체(33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마감부재 체결공(33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에는 주축 체결부(310)의 베어링(313) 원주면에 끼워지도록 베어링 끼음부(3335)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133)은 주축(700)에서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이탈시켰을 때 주축 체결부(310)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마감부재(3350)는 이동부재(3330)가 몸체(3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3310)에 형성된 마감부재 체결공(3333)을 통하여 체결된다.
휠 브레이크(500)는 권취롤(100)의 타 단 즉,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이 내삽되지 않은 곳에 체결되어 권취롤(100)이 빠르게 회전되어 권취되어 있는 마사가 연합장치로 과잉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휠 브레이크(500)의 몸체(510) 내측에는 베어링(530)을 내삽하고, 주축(700)을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공(511)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530)은 휠 브레이크(500)가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같은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축(700)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된다.
몸체(510)의 외측 일단에는 권취롤 체결부(330)에 형성된 연장부(3311)와 같이 권취롤(100)의 관통공(110)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체결되도록 일측으로 협소되는 경사면(551)을 갖는 연장부(5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 단에는 몸체(510)의 원주보다 크며 홈(571)을 갖는 확장부(570)가 형성되어 있다.
확장부(570)의 홈(571)에는 마찰력을 갖는 고속회전 방지부재(590)가 감겨 있어 마찰력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주축(700)은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휠 브레이크(500)가 체결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중앙이 절개된 절개부(710)에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의 체결봉(3135)이 삽입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절개부(710) 중 상하 어느 한 부분 또는 양쪽에 체결공(711)을 형성하여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의 고정봉(3135-1)이 삽입되어 주축(700)에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이 고정되도록 하였다.
주축(700)은 중앙을 기점으로 하여 절개부(710)를 양단에 구비하여 양측에서 권취롤(100)을 고정하여 마사를 공급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나타낸 계략도이다.
연합작업을 하기 전에 우선 별도의 장치에서 권취롤(100)에 마사를 권취한다.
이후 주축(700)을 연합장치에 고정시킨다.
이후 주축(700)의 일단에 휠 브레이크(500)를 체결하는데, 휠 브레이크(500)의 베어링(530)을 이용하여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한다.
이때 휠 브레이크(500)의 확장부(570)에 형성된 홈(571)에 고속회전 방지부재(590)를 가압되도록 감은 후 고속회전 방지부재(590)의 일단을 소정의 장소에 고정한다.
이후 권취롤(100)을 휠 브레이크(500)에 체결하는데, 휠 브레이크(500)의 연장부(550)가 귄취롤(100)의 관통공(110)에 삽입되도록 하여 체결한다.
이후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권취롤(100)의 타 단에 체결함과 동시에 주축(700)에 고정한다.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의 고정순서는 주축 체결부(310)의 고정부재(315)에 구비된 푸쉬버튼(3131)을 눌러 고정봉(3135-1)이 하부체결공(3133-13)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체결봉(3135)이 주축()의 절개부(710)에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귄취롤 체결부재(330)의 연장부(3311)를 귄취롤(100)의 관통공(110) 내측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푸쉬버튼(3131)의 가압을 해제하여 고정봉(3135-1)이 주축(700)의 체결공(711)에 삽입되도록 하여 주축(700)에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의 고정한다.
이때 주축(700)이 짧거나 권취롤(100)이 긴 경우 고정봉(3135-1)이 주축의 체결공(711)에 삽입되지 못하는데, 이때는 주축 체결부(310)를 가압하여 주축 체결부(310)의 일단에 체결되어 있는 베어링(313)을 이용하여 권취롤 체결부(330)의 이동부재(3330)를 가압하여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동부재(3330)가 일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주축 체결부(310)도 같이 일측으로 이동되어 거리를 보상받을 수 있어 주축(700)에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의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전선의 일단과 마사의 일단을 연합장치에 고정하여 연합장치를 구동하면 연합작업이 된다.
이때 초기상태에서는 권취롤(100)에 마사가 많이 감겨있어 마사가 끊어질 수 있는데, 이때는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흴 브레이크(500)에 구비된 베어링(313,530)이 주축(700)에서 회전되어 권취롤(10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끊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반대로 연합작업의 후반부에는 오히려 회전속도가 빨라져 연합장치에서 원하는 마사의 공급양보다 많이 공급되어 마사가 연체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때는 휠 브레이크(500)의 고속회전 방지부재(590)가 휠 브레이크(500)를 가압하여 마찰력으로 고속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 권취롤(100)의 속도를 조절하여 연합작업을 안정되게 할 수 있는 것 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권취롤이 주축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나타낸 계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권취롤 300 :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
310 : 주축 체결부 313 : 베어링
315 : 고정부재 330 : 권취롤 체결부
3330 : 이동부재 500 : 휠 브레이크
570 : 확장부 590 : 고속회전 방지부재
700 : 주축 710 : 절개부

Claims (4)

  1. 삭제
  2. 내측에 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고 마사가 원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100)과, 상기 권취롤(1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연합할 때 마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상기 권취롤(100)의 타 단에 체결되어 연합작업할 때 권취롤(100)의 고속회전을 제어하는 휠 브레이크(500)와, 상기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휠 브레이크(500) 내측에 체결되는 주축(700)을 포함하는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에 있어서,
    상기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은,
    내측에 형성되어 주축(700)이 삽입되는 주축 체결공(3111)과/ 고정부재(315)의 연장봉(3131-1) 원주와 동일 또는 크게 형성하여 스프링(3133)이 주축 체결공(3111)으로 빠지지않도록 격벽(3113-15)을 갖도록 형성한 상부체결공(3113-11)과 고정부재(315)의 고정봉(3135-1) 삽입되는 하부 체결공(3133-13)으로 구분되는 고정부재 체결공(3113-1)이 형성된 연장블록(3113)을 갖는 몸체(311)와;
    상기 몸체(311)의 일단 또는 중앙 원주면에 체결되어 권취롤(100)을 주축(700)보다 빠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313)과,;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체결봉(3135)이 체결되도록 체결봉 체결공(3131-11)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봉(3131-1)을 갖는 푸쉬버튼(3131)과/ 가압하여 하향된 푸쉬버튼(3131)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3133)과/ 연장봉(3131-1)에 체결고정되고 주축(700)의 절개부(710)에 삽입되어 주축(700)의 회전시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같이 회전되도록 하되 하단에 체결봉(3135)의 원주보다 크게 형성되어 주축(700)의 절개부(710)에 구비된 고정공(711)에 삽입되어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주축(700)에 고정시키는 고정봉(3135-1)이 형성된 체결봉(3135)으로 된 고정부재(315)를 갖는 주축 체결부(310)와;
    일단에 권취롤(100)의 관통공(110)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체결되도록 일측으로 협소되는 경사면(3311-1)이 구비된 연장부(3311)와/ 주축(700)에 주축 체결부(31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동부재(333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동부재(3330)가 슬라이딩 가능한 한도에서 체결할 수 있도록 원주면에 체결공(3315)이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3313)을 갖는 몸체(3310)와;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주축에 체결할 때 주축(700)의 길이가 짧은 경우 몸체(3310) 내측으로 삽입 슬라이딩되어 주축(70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에 스프링(3133)이 체결되는 스프링 체결공(3331)이 형성되어 있고, 타 단에 마감부재(3350)를 몸체(33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마감부재 체결공(3333)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 주축 체결부(310)의 베어링(313) 원주면에 끼워지도록 베어링 끼음부(3335)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재(3330)와;
    주축(700)에서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을 이탈시켰을 때 주축 체결부(310)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3340)과;
    이동부재(3330)가 몸체(3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3310)에 형성된 마감부재 체결공(3333)을 통하여 체결되는 마감부재(3350)를 갖는 권취롤 체결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휠 브레이크(500)는,
    내측에 통공(51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510)와;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과 같은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축(700)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된 베어링(530)과;
    상기 몸체(510) 외측 일단에 권취롤 체결부(330)에 형성된 연장부(3311)와 같이 권취롤(100)의 관통공(110)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체결되도록 일측으로 협소되는 경사면(551)을 갖는 연장부(550)와;
    상기 몸체(510)의 타 단에 형성되며 몸체(510)의 원주보다 크며 홈(571)을 갖는 확장부(570)와;
    상기 확장부(570)의 홈(571)에 감겨 마찰력으로 권취롤(100)이 고소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속회전 방지부재(5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700)은,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의 체결봉(3135)이 삽입되도록 중앙이 절개된 절개부(710)와;
    끊어짐 방지 베어링블록(300)의 고정봉(3135-1)이 삽입되는 체결공(711)이 절개부(71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
KR1020090048973A 2009-06-03 2009-06-03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 KR100928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973A KR100928529B1 (ko) 2009-06-03 2009-06-03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973A KR100928529B1 (ko) 2009-06-03 2009-06-03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529B1 true KR100928529B1 (ko) 2009-11-26

Family

ID=4160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973A KR100928529B1 (ko) 2009-06-03 2009-06-03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5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614A (ja) * 1992-10-08 1994-05-06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材のテープ巻装置
JP2003249133A (ja) 2002-02-22 2003-09-05 Miyazaki Iron Works Ltd 線材繰出装置
KR100514474B1 (ko) 2003-02-05 2005-09-14 주식회사 샤인 금속와이어를 감는 자동합사기
KR100864306B1 (ko) * 2008-07-15 2008-10-20 (주)로이포스 전선 내도용 테이프 재권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614A (ja) * 1992-10-08 1994-05-06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材のテープ巻装置
JP2003249133A (ja) 2002-02-22 2003-09-05 Miyazaki Iron Works Ltd 線材繰出装置
KR100514474B1 (ko) 2003-02-05 2005-09-14 주식회사 샤인 금속와이어를 감는 자동합사기
KR100864306B1 (ko) * 2008-07-15 2008-10-20 (주)로이포스 전선 내도용 테이프 재권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TO940577A1 (it)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della tensione di un filo.
CN112489879B (zh) 一种电力电缆生产设备及生产工艺
DE3379872D1 (en) Wire-like structure twisting machine
JPH09110296A (ja) 中空軸上に回転可能に支承された少なくとも1本の給糸ボビンを電磁的に制動し且つ連結するための装置
KR100928529B1 (ko)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
US3099412A (en) Strand control apparatus
JPS59105217A (ja) ケ−ブル撚合装置
KR100917634B1 (ko) 연합장치용 마사 장력유지기
US2875570A (en) Tape-stretching control device for electric
KR101511479B1 (ko) 와이어 코팅장치
KR101737026B1 (ko) 연선기의 선재 공급유닛
US2337977A (en) Braiding machine
US3035395A (en) Wire wrapping machine
CN107326528B (zh) 编织机
KR200234146Y1 (ko) 연선기
IE800063L (en) Strand break indicator
KR101450816B1 (ko) 연선기
JP6244586B6 (ja) 撚線製造方法及び撚線機
US1682421A (en) Aerial conductor for wireless telegraphy and winding apparatus therefor
US2231145A (en) Speed control device for reeling apparatus
ITMI990410A1 (it) Procedimento e macchina per la cordatura di una coppia di conduttorisecondo due eliche equiverse tra loro sfasate di mezzo passo
US4237683A (en) Device for delivering yarns
US2509333A (en) Creel spindle for twisting machines and the like
US1579769A (en) Material-handling apparatus
US2425977A (en) Core covering apparatus with tension controlling and stopp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