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415B1 - 재료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재료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415B1
KR100928415B1 KR1020030013927A KR20030013927A KR100928415B1 KR 100928415 B1 KR100928415 B1 KR 100928415B1 KR 1020030013927 A KR1020030013927 A KR 1020030013927A KR 20030013927 A KR20030013927 A KR 20030013927A KR 100928415 B1 KR100928415 B1 KR 100928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bolt
screw member
moving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962A (ko
Inventor
스기야마가츠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Publication of KR2003007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Abstract

본 발명은 피도포물에 재료를 효율적으로 도포할 수 있는 재료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볼트(B)를 유지하는 회전체(16)를 포함하여, 당해 회전체(16)를 회전시키면서 소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2)과, 이 이동수단(12)의 도중에 설치되어, 회전체(16)에 유지된 볼트(B)에 액체재료를 도포하는 재료 도포수단(14)을 구비하여 재료 도포장치(10)가 구성되어 있다. 재료 도포수단(14)은, 볼트(B)의 유지위치를 회전체(16)의 회전중심측에 맞추는 위치결정수단(45)과, 당해 위치결정수단(45)으로 위치 결정된 볼트(B)를 향해서 액체재료를 토출하는 토출장치(47)를 구비하고, 회전체(19)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볼트(B)에 액체재료를 도포하도록 되어 있다.
Figure R1020030013927
회전체, 나사축, 토출장치, 도포장치, 마그넷, 체인, 가이드레일, 재료회수부.

Description

재료 도포장치{MATERIAL APPLICATION APPARATUS}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재료 도포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확대단면도,
도 3(a)는, 초기상태에서의 위치결정 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3(b)는 도 3(a)보다도 후의 상태에서의 위치결정 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도 1의 C-C선을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1의 D-D선을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5의 X-X선을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확대단면도,
도 7(a)는, 도 1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7(b)는 도 1의 E-E선을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재료 도포장치에 관계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 등의 나사축에 셀프 로킹제 등의 액체재료를 도포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재료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볼트 등의 나사부재의 체결강도를 증대시킬 목적으로, 당해 나사부재의 나사축에 셀프 로킹제 등의 액체재료를 도포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재료도포를 행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8-131917호 공보에 개시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재료 도포장치는, 볼트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하는 레일과, 이 레일의 도중에 설치되어, 당해 레일상을 회전 이동하는 볼트의 나사축에 액체재료를 도포하는 회전체와, 레일상을 회전 이동하는 볼트의 축방향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도록 당해 축방향 양단측에 설치된 1쌍의 프레임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는, 나사축을 상하에서 끼우는 제 1 및 제 2 회전체로 이루어지고, 이 중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액체재료가 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재료 도포장치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회전체 사이에 나사축이 들어가면, 당해 나사축의 외주부분과 제 2 회전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당해 제 2 회전체에 부착되어 있는 액체재료를 나사축의 외주부분에 전이시킴으로써, 볼트에 액체재료가 도포된다.
그렇지만, 상기 재료 도포장치에 있어서는, 특정한 나사축의 길이를 구비한 볼트에 대한 액체재료의 도포밖에 행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축의 길이가 상이한 여러 볼트에 대해서 액체재료의 도포작업을 행할 때에, 1장치로 행할 수 없고, 여러 볼트에 대한 액체재료의 도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재료 도포장치에서는, 상기 제 2 회전체에서의 외주 길이중 나사축 의 외주길이 만큼이 한 개당의 볼트에 대한 접촉길이로 되기 때문에, 각 볼트에 대해 균일하게 액체재료를 도포하는데는, 나사축의 외주길이 만큼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지고 볼트를 회전체에 공급하지 않으면 안되어, 액체재료를 볼트에 도포하는 작업을 연속해서 행하는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이며, 그 목적은, 피도포물에 재료를 효율적으로 도포할 수 있는 재료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도포물을 캔틸레버 형상으로 유지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당해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이 이동수단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에 유지된 피도포물에 재료를 도포하는 재료 도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료 도포수단은, 상기 피도포물의 유지위치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측에 맞추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고, 당해 위치결정수단으로 위치결정된 피도포물에 재료를 도포한다, 라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여러 사이즈의 피도포물을 회전체에 유지시켰을 때라도, 피도포물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로 여러 사이즈의 피도포물에 대응시킬 수 있고, 여러 볼트에 대한 액체재료의 도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회전체는, 자력을 사용하여 상기 피도포물의 단부를 유지 가능하게 설치된다, 라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피도포물 로서 나사부재 등의 축형상 부재를 채용했을 때에, 회전체에 유지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측에, 축방향의 위치어긋남을 규제하는 가이드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여러 길이의 축형상 부재에 대한 재료의 도포에도 무난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이동방향과 당해 회전체의 회전중심축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정렬부재를 포함하고, 이 위치정렬부재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피도포물에 대해 접하는 위치와, 이간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피도포물에 대한 상기 위치정렬부재의 접촉 및 이간에 의해 상기 피도포물이 위치결정된다, 라는 구성을 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1방향만의 위치정렬부재의 왕복운동으로 피도포물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간략화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더욱이, 피도포물을 유지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당해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이 이동수단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에 유지된 피도포물에 재료를 도포하는 재료 도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료 도포수단은,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상기 피도포물을 향해서 재료를 토출하는 토출장치를 구비한다, 라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종래 구조보다도 좁은 피치로 피도포물을 토출장치에 보냈을 때라도, 피도포물에 대한 재료의 도포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고, 피도포물의 재료도포를 보다 연속해서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토출장치는, 상기 회전체의 이동방향을 대략 따라서 늘어선 복수의 노즐에 의해 구성하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피도포물이 회전하면서,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재료가 순차 피도포물에 도포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당해 피도포물에서의 도포영역의 대략 전체 둘레에서 재료를 얼룩 없이 도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피도포물은, 나사부재이며, 당해 나사부재는, 그 나사축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을 대략 따르도록 상기 회전체에 유지되고,
상기 노즐의 각 토출구는, 상기 회전체의 이동방향을 향해서 나사축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시프트하도록 배치된다, 라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하면, 나사축에 도포된 재료가 당해 나사축의 일단측보다도 외측으로 흐르기 어려워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재료 도포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재료 도포장치(10)는, 피도포물로서의 금속제의 볼트(B)(나사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2)과, 도 1중 우측에 위치하여 이동수단(12)에 볼트(B)를 공급하는 공급수단(13)과, 이동수단(12)의 도중에 설치되어, 공급수단(13)으로부터 공급된 볼트(B)에 셀프 로킹제 등의 액체재료를 도포하는 재료 도포수단(1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재료 도포장치(10)에 적용되는 볼트(B)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2에 도시되는 바 와 같이, 머리부(H)와 나사축(S)에 의해 구성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이동수단(1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력에 의해 볼트(B)를 캔틸레버 형상으로 1개씩 유지할 수 있는 복수의 회전체(16)와, 이들 회전체(16)를 염주처럼 묶은 형상으로 유지하는 체인(17)과, 당해 체인(17)이 걸려 회전되는 스프로킷(19)과, 당해 스프로킷(19)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해서, 체인(17)을 일정 영역내에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장치(20)와, 체인(17)의 상하 양단측에 위치하여, 체인(17)의 이동방향을 제외한 2방향(도 2중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체인 가이드(22)와, 도 1중 좌우방향으로 뻗어서 각 회전체(16)의 외주 하단측이 접촉하는 상하 2단 가이드레일(24, 2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16)는, 상기 가이드레일(24, 25) 상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전하면서 일정 영역내를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회전체(16)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체인(17)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단차식 축형상의 주요부(28)와, 이 주요부(28)의 반대 체인(17)측에 나란히 연속하여 도 2중 좌단측이 개방되는 바닥있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설치되고, 또한, 가이드레일(24, 25)에 하단측이 접촉하는 금속제의 홀더(29)와, 이 홀더(29)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마그넷(30)으로 구성되고, 이 구성에 의해, 홀더(29)의 둘레가 가이드레일(24, 25)에 접촉해서 마찰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요부(28)는, 그 외주측 2개소에 둘레방향으로 뻗는 2줄의 홈(32, 33)이 형성되어 있다. 그 중, 체인(17)측이 되는 내측의 홈(32)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4, 25)의 상면측에 돌출설치된 돌기(35)가 수용되고, 이것에 의해, 도 2중 좌 우방향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한편, 외측에 위치하는 홈(33)에는, 실리콘제의 O링(37)이 끼워져서, 가이드레일(24, 25)상에서의 회전체(16)의 회전을 한층더 행하기 쉽게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마그넷(30)은, 홀더(29)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는 외경을 구비한 원통형상을 이루고, 그 중, 도 2중 좌단측의 단면이 볼트(B)의 지지면(39)으로 되어 있다. 이 지지면(39)에는, 머리부(H)측이 되는 볼트(B)의 단부(H1)가 흡착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이 때, 볼트(B)는, 나사축(S)이 회전체(16)의 회전중심축(C)을 대략 따르도록 도 2중 좌측에 돌출하는 방향으로 유지된다.
상기 회전 구동장치(20)는, 도 1중 반시계방향으로 체인(17)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것에 따라서, 각 회전체(16)는, 가이드레일(24, 25)과의 마찰에 의해, 자전하면서 도 1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공급수단(13)은,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B)가 다수 수용된 도시하지 않은 수용부로부터 볼트(B)를 한개씩 이동수단(12)측에 공급할 수 있는 공지의 파트피터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이 공급수단(13)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동수단(12)측으로 볼트(B)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로(42)와, 이 공급로(42)의 선단측 즉 도 1중 좌단측에 형성되는 동시에, 공급로(42)측으로부터 이동수단(12)측에 볼트(B)를 송출하기 위한 공급구멍(43)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공급로(42)상을 이동하는 볼트(B)는, 그 나사축(S)의 선단측이 도 1중 바로 앞쪽에 위치하는 한편, 머리부(H)가 동도면중 안쪽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공급구멍(43)은, 각 회전체(16)중 도 1중 가장 우단측이 되는 위치의 회 전체(16)의 지지면(39)에 마주 대하고 있고, 공급구멍(43)에 도달한 볼트(B)는, 마주 대하는 지지면(39)에 자력으로 흡인되어, 지지면(39)내의 랜덤한 위치에서 흡착 지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면(39)에 볼트(B)의 머리부(H)를 흡착하고 있지만, 볼트의 형상 등에 따라 나사축(S)의 선단측을 지지면(39)에 흡착시켜도 좋다.
상기 공급수단(13)으로부터 볼트(B)가 공급된 회전체(16)는, 체인(17)의 회전에 의해, 상측의 가이드레일(24)을 구르면서 도 1중 좌방을 향해서 이동하고, 그 도중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재료 도포수단(14)에 의해 나사축(S)의 외주부분의 일부영역에 액체재료가 도포된다. 또한, 그 후, 도시 생략한 건조장치에 의해 나사축(S)에 도포된 액체재료를 건조한 다음, 볼트(B)가 회전체(16)측으로부터 회수된다. 볼트(B) 회수후의 회전체(16)는, 하측의 가이드레일(25)을 구르면서 도 1중 우방을 향해서 이동하고, 다시, 공급수단(13)으로부터 볼트(B)를 받는다.
상기 재료 도포수단(14)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수단(13)으로부터 회전체(16)에 공급된 볼트(B)의 유지위치를 회전체(16)의 회전중심측에 맞추는 위치결정수단(45)과, 이 위치결정수단(45)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정확한 위치결정이 되지 않은 볼트(B)를 회전체(16)로부터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제거장치(46)와, 이 제거장치(46)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회전체(16)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볼트(B)의 나사축(S)을 향해서 액체재료를 토출하는 토출장치(47)와, 이 토출장치(47)의 하류측에 설치되어서 나사축(S)에 부착된 과잉의 액체재료를 닦아내는 닦아내기 부재(4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수단(45)은, 회전체(16)의 이동방향과 당해 회전체(16)의 회전중심축(C)(도 2 참조)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위치정렬부재(52)와, 이 위치정렬부재(52)를 동작시키는 승강기구(5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정렬부재(52)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하단부(52A)가 회전체(16)에 유지된 볼트(B)의 머리부(H) 부근에 마주 대하도록 배치되어, 회전체(16)의 높이 위치보다도 하단부(52A)가 상방에 위치하는 상한위치(도 2중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와, 하단부(52A)가 회전체(16)의 회전중심(C) 보다도 머리부(H)의 반경만큼 높은 위치가 되는 하한위치(동 도면중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 사이를 소정의 사이클로 왕복운동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체(16)가 90도 회전하는 동안에, 위치정렬부재(52)의 상하 이동이 1왕복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하단부(52A)의 도 1중 좌우방향의 길이는, 적어도 회전체(16)의 원주보다도 길게 설정하여, 1개의 볼트(B)가 하단부(52A) 아래를 통과하는 동안에 4회이상의 위치정렬을 행하도록 조정하면 된다.
승강기구(53)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동력을 상하방향의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공지의 캠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즉, 승강기구(53)는, 프레임(F)에 고정되는 모터(55)와, 이 모터(55)의 회전축(55A)에 부착되는 원반부재(56)와, 이 원반부재(56)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부착되고, 도 1중 전방 방향으로 돌출하는 편심축(57)과, 위치정렬부재(52)의 상단측에 고정되고, 또한, 편심축(57)이 삽입 통과되는 긴구멍(59)을 갖는 연결부재(60)를 구비하고 있고, 모 터(55)의 구동에 의한 편심축(57)의 회전에 의해 위치정렬부재(52)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부호 61은, 위치정렬부재(52)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이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원반부재(56)에 설치된 편심축(57)의 위치를 바꾸거나, 모터(55)의 회전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위치정렬부재(52) 상하방으로의 이동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승강기구(53)로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린더 등, 위치정렬부재(5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한, 여러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더욱이, 위치정렬부재(52)의 도 1중 지면 직교방향(전후방향)에 대한 부착 위치를 변경하거나, 다른 형상의 위치정렬부재(52)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피도포물인 볼트(B)의 크기나 형상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위치결정수단(45)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즉, 볼트(B)가 마그넷(30)의 자력에 의해 회전체(16)측에 흡착된 직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B)가 회전체(16)의 회전중심보다도 외측으로 시프트한 상태에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회전체(16)는, 자전하면서 도 1중 좌방을 향해서 이동하지만, 이것에 따라, 회전체(16)에 유지된 볼트(B)도 회전하면서 도 1중 좌방을 향해서 이동한다. 이 때, 위치정렬부재(52)가 상기 상한위치와 하한위치 사이를 복수회 상하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회전체(16)의 이동에 따라서, 당해 회전체(16)에 대한 볼트(B)의 유지위치가 점차로 회전체(16)의 회전중심에 정렬되게 된다. 즉, 볼트(B)의 유지위치가 회전체(16)의 회전중심에 정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치정렬부재(52)가 회전체(16)의 높이 위치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볼트(B)의 머리부(H)에 위치정렬부재(52)가 접촉하여, 볼트(B)의 머리부(H)를 회전체(16)에 흡착한 채, 볼트(B)의 축중심과 회전체(16)의 회전중심축(C)의 이간거리(R)가 좁아지게 된다. 그 후, 위치정렬부재(52)가 상방으로 이동해서 볼트(B)로부터 이간하고, 당해 볼트(B)가 도 1중 좌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3(a)에서 이간거리(R)가 좁혀진 볼트(B)가 다시 위치정렬부재(52)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내려져, 이간거리(R)가 더욱 좁아진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볼트(B)의 유지위치가 점차로 회전체(16)의 회전중심을 향해서 근접하고, 위치결정수단(45)의 최하류측에서는, 볼트(B)의 유지위치가 회전체(16)의 회전중심에 대략 맞추어진 상태로 된다.
상기 제거장치(46)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수단(45)을 통과한 볼트(B)가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 도시되지 않은 센서 등에 의해 검지되면, 실린더(65)가 구동하고, 그 로드(65A)의 선단측에 부착된 판형상의 떨어뜨리기 부재(66)에 의해 볼트(B)를 회전체(16)로부터 하방으로 떨어뜨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16)로부터 떨어뜨려진 볼트(B)는, 회전체(16)의 하방에 위치하는 볼트 회수부(67)로 회수된다.
상기 토출장치(47)는,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액체재료가 저장되는 탱크(69)와, 이 탱크(69)의 하단측에 연속하여 탱크(69)내의 액체재료 를 하향으로 토출하는 노즐(70)과, 이 노즐(70)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 1 재료회수부(7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70)은, 회전체(16)의 이동방향(도 5중 지면직교 방향, 도 1 및 도 6중 화살표시 M방향)을 따라서 늘어선 3개의 제 1, 제 2 및 제 3 노즐(73, 74, 75)로 이루어진다. 주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들 제 1 ∼ 제 3 노즐(73 ∼ 75)의 하단측에 위치하는 각 토출구(73A, 74A, 75A)는, 회전체(16)에 유지되어 있는 볼트(B)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높이에 설정되어 있어, 당해 볼트(B)를 향해서 액체재료를 연속적으로 적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및 제 3 노즐(73, 74, 75)의 각 토출구(73A, 74A, 75A)는, 회전체(16)의 이동방향(M)을 향해서, 볼트(B)의 나사축(S)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시프트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가장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 노즐(73)의 토출구(73A)는, 나사축(S)의 선단측보다도 약간 머리부(H) 근처가 되는 위치에서 상대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노즐(73)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2 노즐(74)의 토출구(74A)는, 제 1 노즐(73)의 토출구(73A)보다도 더욱 머리부(H)측으로 시프트하고, 제 2 노즐(74)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3 노즐(75)의 토출구(75A)는, 제 2 노즐(74)의 토출구(74A)보다도 더욱 머리부(H)측으로 시프트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B)의 나사축(S)에 비교적 광범위하게 게다가 얼룩없이 액체재료를 도포하기 위해서 이와 같이 각 토출구 위치를 설정했지만, 각 토출구(73A ∼ 75A)의 위치는, 적용되는 볼트(B)의 종류나 길이 등에 따라 전후좌우로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재료회수부(71)는, 상부가 개방하는 상자형상으로 설치되고, 당해 제 1 재료회수부(71)에서, 각 노즐(73 ∼ 75)로부터 적하된 액체재료 중 볼트(B)에 부착되지 않은 만큼이 회수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 회수된 액체도료가 재이용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출장치(47)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수단(45)에서 위치결정된 볼트(B)의 나사축(S)에 액체재료가 도포된다. 즉, 회전체(16)의 회전에 따라서 나사축(S)이 회전하면서, 제 1, 제 2, 제 3 노즐(73, 74, 75)의 순서로, 당해 각 노즐(73, 74, 75)로부터 적하된 액체재료가 나사축(S)에 부착되게 된다. 이 때, 제 1 노즐(73)로부터 토출된 액체재료는, 나사축(S)의 선단측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에 내측부분에 도포되어, 그 상태로부터 볼트(B)가 회전하면서 제 2, 제 3 노즐(74, 75)의 순서로 나사축(S)의 기단측을 향해서 액체재료가 점차로 도포되게 된다. 또한, 나사축(S)의 선단측 영역을 제외해서 액체재료를 도포하는 것으로 한 것은, 나사축(S)에 대한 액체재료의 도포에 의한 볼트(B)의 초기의 비틀어 넣기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닦아내기 부재(49)는, 도시 생략된 지지부재에 의해, 액의 받이접시 부분이 되는 상기 제 1 재료회수부(71)(도 5 참조)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닦아내기 부재(49)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나일론제의 실형상체에 의해 두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체(16)에 유지된 나사축(S)의 외주 하단측에 선단측이 접촉하는 상측부재(79)와, 이 상측부재(79)보다도 하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측부재(79)에 대하여 볼트(B)의 축방향 외측으로 약간 시프트된 위치에 설치된 하측부재(80)와, 상측부재(79)와 하측부재(80)를 결속하는 기부영역(8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닦아내기 부재(49)는, 모세관현상을 이용해서 나사축(S)에 부착된 과잉의 액체재료를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나사축(S)에 액체재료가 과잉으로 부착되면, 당해 과잉의 액체재료는, 상측 부재(79) 및 하측부재(80)상을 타고 기부영역(81)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기부영역(81)으로 이동한 액체재료는, 당해 기부영역(81)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재료회수부(82)(도 1 참조)에서 회수되어서 재이용에 제공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볼트(B)의 길이에 관계없이, 1개의 장치로 볼트(B)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볼트(B)를 회전시키면서 각 노즐(73 ∼ 75)로부터 적하한 액체재료를 도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볼트(B)에 대한 재료도포를 연속해서 행할 수 있고, 또한, 나사축(S)의 재료 도포영역에 액체재료를 얼룩 없이 도포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또, 제 1 ∼ 제 3 노즐(73 ∼ 75)이 회전체(16)의 이동방향을 향해서 나사축(S)의 기단측으로 시프트 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축(S)의 선단측 영역에 액체재료를 확실하게 도포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수단(13)으로서는, 상기 도시예 이외에, 볼트(B)를 소정 방향에서 1개씩 이동수단(12)에 공급가능한 여러 구조의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 공급수단(13)을 설치하는 일 없이, 회전체(16)에 1개씩 손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토출장치(47)로서는, 상기 노즐(70)과 같은 구조로 하지 않고, 볼 트(B)측에 액체재료를 토출할 수 있는 한, 예를 들면, 스프레이 형상, 혹은 커튼 형상으로 액체재료를 토출하는 등, 여러 형상,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원하는 도포상태가 얻어지는 한, 상기 도시예에 대해, 노즐(70)의 수를 증감하거나, 노즐(70)의 위치를 다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재료 도포장치(10)의 피도포물로서 볼트(B)를 적용했지만, 이 형상의 볼트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머리부를 갖지 않는 멈춤나사, 접시머리 나사, 납작머리 나사, 또는, 못이나 리벳 등의 나사부를 갖지 않는 다른 물품을 피도포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수단은, 재료 도포장치 이외의 다른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도포물을 캔틸레버 형상으로 유지하는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이 이동수단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에 유지된 피도포물에 재료를 도포하는 재료 도포수단을 구비하고, 이 재료 도포수단으로서, 상기 피도포물의 유지위치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측에 맞추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했으므로, 볼트에 대한 액체재료의 도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자력을 사용해서 상기 피도포물의 단부를 유지가능한 회전체의 구성으로 했으므로, 여러 사이즈의 피도포물에 대한 재료의 도포에도 무난하게 대응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피도포물에 대해 접하는 위치와, 이간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는 위치정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피도포물에 대한 상기 위치정렬부재의 접촉 및 이간에 의해 상기 피도포물을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1방향만의 위치정렬부재의 왕복 운동으로 피도포물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고, 장치 전체의 간략화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상기 피도포물을 향해서 재료를 토출하는 토출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재료 도포수단을 구성했기 때문에, 종래 구조보다도 연속해서 피도포물의 재료도포를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체의 이동방향을 대략 따라서 늘어선 복수의 노즐에 의해 상기 토출장치를 구성했기 때문에, 피도포물에서의 도포영역의 대략 전체 둘레에서 재료를 얼룩없이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의 각 토출구를, 상기 회전체의 이동방향을 향해서 나사축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시프트 하도록 배치했으므로, 나사축에 도포된 재료가 당해 나사축의 일단측보다도 외측으로 흐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자기력을 사용하여 나사부재를 캔틸레버 형상으로 유지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당해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이 이동수단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나사부재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에 따르도록 상기 회전체에 유지된 나사부재의 외주에 재료를 도포하는 재료 도포수단을 갖추고,
    상기 재료 도포수단은, 상기 나사부재의 유지 위치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 측에 맞추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이동방향과 당해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위치정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렬부재는, 회전체의 이동방향을 평행하게 따르고 당해 회전체의 원주보다 긴 길이를 갖는 하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아울러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나사부재에 대해서 상기 하단부가 상기 회전 중심보다 나사부재의 반경만큼 높은 위치에서 접하는 하한 위치와, 회전체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이간하는 상한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하단부의 길이 내에서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 사이를 복수회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나사부재를 상기 회전 중심축에 맞추며, 당해 위치결정수단으로 위치 결정된 나사부재의 외주에 재료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도포수단은,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상기 나사부재를 향해서 재료를 토출하는 토출장치를 구비하고, 아울러 상기 토출장치는, 상기 회전체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한 줄로 늘어선 복수의 노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도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각 토출구는, 상기 회전체의 이동방향을 향해서 나사부재의 나사축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시프트 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도포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30013927A 2002-03-25 2003-03-06 재료 도포장치 KR100928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83058A JP4061937B2 (ja) 2002-03-25 2002-03-25 材料塗布装置
JPJP-P-2002-00083058 2002-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962A KR20030077962A (ko) 2003-10-04
KR100928415B1 true KR100928415B1 (ko) 2009-11-26

Family

ID=2920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927A KR100928415B1 (ko) 2002-03-25 2003-03-06 재료 도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61937B2 (ko)
KR (1) KR100928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8831B2 (ja) * 2006-08-16 2013-01-16 株式会社ニッセイテクニカ ねじ部材の緩み止め剤塗布装置
JP2012239994A (ja) * 2011-05-20 2012-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シール塗布装置
US9132578B2 (en) * 2011-11-29 2015-09-15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kinning artic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5661A (ja) * 1998-04-02 1999-10-19 Toray Ind Inc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KR200170321Y1 (ko) * 1998-01-21 2000-02-01 강호정 세트스크류 접착제 코팅기의 개량 어터치먼트
JP2001508356A (ja) * 1997-01-07 2001-06-26 ナイロック・ファスナー・コーポレーション 外ねじ付き製品の頭と軸部の交差部にコーティングを塗布する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8356A (ja) * 1997-01-07 2001-06-26 ナイロック・ファスナー・コーポレーション 外ねじ付き製品の頭と軸部の交差部にコーティングを塗布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170321Y1 (ko) * 1998-01-21 2000-02-01 강호정 세트스크류 접착제 코팅기의 개량 어터치먼트
JPH11285661A (ja) * 1998-04-02 1999-10-19 Toray Ind Inc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75655A (ja) 2003-09-30
JP4061937B2 (ja) 2008-03-19
KR20030077962A (ko) 200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272B1 (ko) 기판 세정 방법 및 기판 세정 장치
JP4446875B2 (ja) 基板処理装置
KR101005955B1 (ko) 예비 토출장치 및 예비 토출방법
CN1200777C (zh) 部件的涂敷方法及其装置
WO2021053995A1 (ja) 基板洗浄装置
JP2006278592A5 (ko)
CN100508159C (zh) 基板处理装置和基板处理方法
CN107433240A (zh) 喷嘴清扫装置、涂覆装置及喷嘴清扫方法
JP3552610B2 (ja) 導電性ボールの移載装置および移載方法並びに導電性ボールの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KR100928415B1 (ko) 재료 도포장치
KR101145775B1 (ko) 스핀 헤드,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상기 스핀 헤드에서 기판을 지지하는 방법
KR102026870B1 (ko) 코팅 장치
TWI764238B (zh) 基板洗淨裝置
JP6278786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塗布ヘッドの清掃装置及び塗布液塗布装置
JP2006001057A (ja) スクリーン清掃方法およびスクリーン清掃装置
CN115698407A (zh) 床垫自动杀菌装置
KR101259273B1 (ko) 소재코팅장치
CN117443648B (zh) 一种环保压敏胶带涂布机及其工艺
KR100833931B1 (ko) 부품 실장기용 흡착헤드
JP3432796B2 (ja) 基板スピン装置
JPH10209632A (ja) 部品実装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スペンサ
JP2003010749A (ja) 塗布乾燥システム
JP3586513B2 (ja) Oリングのオイル塗布方法及び塗布装置とoリング組付装置
CN117316806A (zh) 用于防止悬浮台堵塞的装置、基板处理装置及其方法
KR100788502B1 (ko) 액분사 디스펜서용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