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401B1 -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데이터베이스 - Google Patents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데이터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401B1
KR100928401B1 KR1020070034104A KR20070034104A KR100928401B1 KR 100928401 B1 KR100928401 B1 KR 100928401B1 KR 1020070034104 A KR1020070034104 A KR 1020070034104A KR 20070034104 A KR20070034104 A KR 20070034104A KR 100928401 B1 KR100928401 B1 KR 100928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record
item
record information
informa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792A (ko
Inventor
김윤년
김진상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웨어
Priority to KR102007003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401B1/ko
Priority to PCT/KR2008/001939 priority patent/WO2008123718A1/en
Publication of KR2008009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의무기록정보별로 각기 다른 항목이 구비되고, 각 항목에 대한 값이 대응되게 저장되는 속성 값(Attribute value) 구조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어느 한 의무기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표시된 의무기록정보에 항목추가가 요청되면, 해당 의무기록정보에 대해 상기 요청된 항목을 추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표시된 의무기록정보에 항목삭제가 요청되면, 해당 의무기록정보에 대해 상기 요청된 항목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우 베이스 데이터 구조 기반의 의무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와 의료지식의 발전으로 수시로 변화하는 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 환경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70034104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Description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Method of managing database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database thereof}
도 1은 종래의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이하 도 3이라 칭함)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화면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에서 서식 문서의 종류는 1500개에서 4000개에 이르며, 이 서식을 구성하는 의무기록정보의 항목은 수만개에 이른다.
이러한 의무기록정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로는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에 다수의 항목을 구비하는 테이블(Table)을 구성하고, 의무기록정보를 상기 항목에 대응되게 기록하는 방법이 채용되었다.
종래 방식에 따른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구현 예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환자정보 테이블에는 환자를 구분하기 위한 키 항목(KEY), 환자의 이름 항목(PT_NAME), 성별 항목(PT_SEX), 나이 항목(PT_AGE), 주민등록번호 항목(PT_REGISTRYNO) 등의 다수의 항목이 구비되며, 각 환자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환자정보 테이블의 항목별로 기록된다. 즉, 김아무개라는 환자의 환자정보에는 키 항목(KEY)에는 1이 입력되고, 이름 항목(PT_NAME)에 김아무개가, 성별 항목(PT_SEX)에 남자, 나이 항목(PT_AGE)에 21세, 주민등록번호 항목(PT_REGISTRYNO)에 970105-1234567 등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항목들이 미리 정해진 테이블에 환자에 대한 데이터를 기입하여 저장함에 따라, 상기 테이블의 항목을 변경 또는 삭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즉, 환자의 특성에 따라 어느 한 환자에 대해서만 추가 항목이 필요한 경우에 모든 환자에 대해 해당 항목이 추가되므로, 환자정보 테이블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한 테이블의 변형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전문가가 이행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요구와 의료지식의 발전으로 수시로 변화하는 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 환경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용이한 관리는 매우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속성값 구조를 응용한 로우 베이스 데이터 구조 기반의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방법은, 의무기록정보별로 각기 다른 항목이 구비되고, 각 항목에 대한 값이 대응되게 저장되는 속성 값(Attribute value) 구조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어느 한 의무기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표시된 의무기록정보에 항목추가가 요청되면, 해당 의무기록정보에 대해 상기 요청된 항목을 추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표시된 의무기록정보에 항목삭제가 요청되면, 해당 의무기록정보에 대해 상기 요청된 항목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의무기록정보별로 각 기 다른 항목이 구비되고, 각 항목에 대한 값이 대응되게 저장되는 속성 값(Attribute value) 구조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속성 값(Attribute value) 구조를 응용한 로우 베이스 데이터 구조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는 속성 값 구조로 구성한 환자정보 테이블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환자 정보 테이블은 키 항목과 속성(Attribute), 값(Value), 추가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키 항목은 환자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에 따라 각기 다른 키(key) 값이 부여된다. 그리고 각 환자정보에는 각기 다른 다수의 속성(Attribute)이 부여되고, 각 다수의 속성에는 해당 값(Value)과 각 값의 추가정보가 대응되게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정보를 속성 값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항목의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1환자정보에 주소항목(PT_ADDRESS)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환자정보에 속성인 주소항목과 해당 속성에 대한 값인 주소정보와 주소정보의 추가정보만을 부가하기만 하면 되므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전체적으로 변형하는 등의 수정이 불필요하다.
상기 속성 값 구조를 의무기록정보에 적용하기 위해 구비되는 부가정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서식항목명은 각 서식 항목의 명칭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항목조절형태는 하나의 서식항목이 어떤 형태로 표현되어질 것인지를 결정하는 인자로서 여러줄에 걸쳐서 표시될 것인지, 일정한 항목들의 나열로 결정될 항목인지를 결정하는 요소로 항목의 조절형태를 의미한다. 상기한 항목조절형태로는 MTEXT, TEXT, IMEGE, MCHECK, MRADIO, CHECK, COMBO이 있다. 상기 MTEXT는 다수 라인 텍스트 형태를 나타내고, TEXT는 단문 텍트스 형태를 나타내고, IMEGE는 이미지를 담을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MCHECK는 멀티 체크 박스를 담을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MRADIO는 레이디오 버튼을 담을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CHECK는 싱글 체크 박스를 담을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COMBO는 리스트 형식으로 값을 담을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항목 조절 기본값은 항목 조절 형태가 가질 수 있는 기본적인 값들로서 이 항목의 값에 의해 항목의 값 부분에 기록될 내용들이 결정된다.
좀더 설명하면, MTEXT의 {DIAGNOSE}는 상병관련 콘트롤을 기록할 때에 사용되고, {OP/PROCEDURE}는 수술처치 콘트롤을 기록할 때에 사용되고, {MEDICATION}은 내복외용약 콘트롤을 기록할 때에 사용되고, {INJECTION}은 주사약 콘트롤을 기록할 때에 사용되고, {SYMPTON}는 증상관련 콘트롤을 기록할 때에 사용되고, 빈공백은 멀티라인 형태의 프리 텍스트를 기록할 때에 사용된다.
그리고, TEXT의 ##.##는 시간 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마스크이고, ####-####-####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스크이고, 기타 입력값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입력형태이고, 빈공간은 단문의 프리 텍스트를 기록할 때에 사용된다.
그리고 IMAGE는 항목이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 형태의 내용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여기서, 의무기록정보의 이미지 저장방법은 인체의 신체 부위를 밑그림으로 표시하는 이미지 작성 콘트롤을 화면에 보여주고, 특정 부위를 표시하거나 텍스트로 입력을 하면 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된 전체 이미지를 그대로 표시하거나 썸 네일(Thumb nail) 형태로 표시된다.
이외에도, 상기 추가항목에는 데이터의 타입을 정의하기 위한 항목의 데이터 형태, 데이터 형태가 숫자일 경우에 숫자의 크기를 규정하기 위한 항목의 크기, 항목의 기본단위를 정의하기 위한 기본단위, 항목이 참조치를 가지는 경우에 이 항목에 대한 참조치를 보여주기 위한 항목의 참조치, 증상이나 진행상태 관리를 위한 항목의 정도 관리값, 화면상에 보여지는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값인 항목의 순서, 항목이 만들어진 일자를 관리하기 위한 작성일자, 항목이 만들어진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작성시간, 항목에 어떤 특정한 공지사항이나 주의가 필요한 내용을 담고 싶을 때 사용할 항목인 비고란, 해당 항목이 어떤 서식종류에 포함되는지를 고나리하기 위한 서식코드, 항목들간의 상위와 하위관계를 표시하기 위한 항목들간의 인덴츠(INDENTS) 등이 포함된다.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로우 베이스 데이터 구조 기반의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버(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비스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4,106)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의무정보를 추가, 삭제, 수정을 이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비스를 위한 툴은 대형 병원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100)에 설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4,106)를 통해 제공되거나, 소규모의 병원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직접 설치되어 의무정보를 추가, 삭제, 수정을 이행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104,106) 중 어느 하나가 어느 한 의무기록정보에 접근하면 의무기록정보 관리창을 표시한다(200단계). 상기 의무기록정보 관리 창의 예를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에 예시된 의무기록정보는 환자정보로서 해당 환자에 대한 진단명, 날짜 등의 다수의 항목(attribute)과 각 항목에 대한 값(value) 및 추가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추가정보는 입력유형과 기초입력값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무기록정보 관리창의 표시후에,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의무기록정보에 대한 항목추가가 요청되는지를 체크한다(202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항목추가가 요청되면, 상기 서버(100)는 직접 항목 추가하기, 의무기록 항목 탭을 이용한 항목 추가하기 중 어느 한 방식에 따른 항목 추가인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른 항목 추가를 이행한다(204단계).
<직접 항목 추가하기>
먼저 직접 항목 추가하기 방식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의무기록정보 관리창에서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서버(100)는 도 7의 (a)와 같이 잘라내기, 복사, 한줄 삽입, 여러줄 삽입, 삭제 등의 오른쪽 버튼 기능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메뉴중 한줄 또는 여러줄 삽입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100)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의무기록정보 관리창에 한줄 또는 여러줄을 삽입하고, 상기 삽입된 줄의 항목입력란에는 항목을, 추가정보 입력란에는 추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음으로써, 해당 의무기록정보에 항목을 추가한다.
<의무기록 항목 탭을 이용한 항목 추가하기>
그리고 의무기록 항목 탭을 이용한 항목 추가하기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의무기록정보 관리창에서 새로운 항목을 넣을 위치를 도 8의 (a)와 같이 선택하고, 미리 설정된 의무기록 항목(medical record item) 탭을 클릭하면, 상기 서버(100)는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무기록 항목들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의무기록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면, 상기 서버(100)는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항목을 상기 선택된 위치에 삽입한다.
상기 항목의 삽입후에는 상기 서버(100)는 해당 항목의 추가정보 입력란에는 추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음으로써, 해당 의무기록정보에 항목을 추가한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의무기록정보 관리창의 표시중에 사용자가 슬 립(slip) 방식으로 값(value) 입력을 명령하면, 상기 슬립방식으로 값을 입력받아 저장한다(206,208 단계).
여기서, 상기 슬립 방식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도 9의 (a)와 같이 어느 한 항목의 값(value) 부분을 클릭하면, 도 9이 (b)와 같이 코드별로 다양한 값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한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가 어느 한 값을 선택하면,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값을 해당 항목의 값부분에 기입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의무기록정보 관리창의 표시중에 사용자가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오른쪽 버튼 메뉴를 활성화시켜 오른쪽 버튼 메뉴를 실행시키면, 해당 메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210,212단계). 상기 오른쪽 버튼 메뉴는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한줄삽입, 여러줄 삽입, 삭제하기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오른쪽 버튼 메뉴를 이용한 복사 또는 삭제 등은 상기 의무기록정보 관리창에 표시된 모든 부분에 대해 이행되며, 이하 항목에 대한 복사 및 삭제 기능 수행 과정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복사>
먼저 상기 항목의 복사기능을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의무기록 정보 관리창의 어느 한 항목을 드래그 또는 선택하여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서버(100)는 도 10의 (b)와 같이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한줄 삽 입, 여러줄 삽입, 삭제 등의 오른쪽 버튼 기능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메뉴 중 복사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선택된 항목을 임시 저장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도 10의 (c)와 같이 상기 의무기록 정보 관리창의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하여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오른쪽 버튼 기능 메뉴를 표시한 후에 도 10의 (d)와 같이 붙여넣기 메뉴를 클릭하면, 도 10의 (e)와 같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임시저장한 항목을 해당 위치에 복사한다.
<삭제>
상기 항목의 삭제기능을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의무기록 정보 관리창의 어느 한 항목을 선택하여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서버(100)는 도 10의 (b)와 같이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한줄 삽입, 여러줄 삽입, 삭제 등의 오른쪽 버튼 기능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메뉴 중 삭제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선택된 항목을 도 11의 (c)와 같이 삭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우 베이스 데이터 구조 기반의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와 의료지식의 발전으로 수시로 변화하는 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 환경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정보별로 항목의 추가 및 삭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우 베이스 데이터 구조 기반의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와 의료지식의 발전으로 수시로 변화하는 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 환경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정보별로 항목의 추가 및 삭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의무기록정보는 다양한 속성을 가지는 다수의 항목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항목 각각에는,
    의무기록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키 정보와,
    상기 항목에 대응되는 데이터와,
    상기 항목의 데이터 타입을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 형태 정보 및,
    상기 항목의 데이터 크기를 규정하는 크기 정보 및,
    상기 항목의 데이터 기본단위를 정의하는 기본단위 정보 및,
    상기 항목의 참조치 정보 및,
    상기 항목의 데이터가 지시하는 증상 및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정도 관리값 정보 및,
    상기 항목의 작성일시정보 및,
    상기 다수의 항목 사이의 상위 및 하위 관계를 나타내는 인덴츠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의무기록정보가 다수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어느 한 의무기록정보에 대한 접근이 요청되면, 상기 의무기록정보에 할당된 키 정보를 가지는 항목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항목들을 의무기록정보 관리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의무기록정보에 이미지 데이터의 항목 추가가 요청되면, 인체의 신체부위를 밑그림으로 표시하는 이미지 작성 콘트롤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밑그림상의 특정 위치에 대한 표식 또는 텍스트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위치에 대한 표식 또는 텍스트가 입력된 밑그림 전체 또는 썸 네일 이미지를 데이터로 하며, 상기 표시된 의무기록정보에 할당된 키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항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의무기록정보에 이미지 데이터가 아닌 항목 추가가 요청되면, 상기 표시된 의무기록정보에 할당된 키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요청된 항목에 대해 입력된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새로운 항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의무기록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대한 삭제가 요청되면, 그 삭제 요청된 항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의 추가요청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거나,
    항목들이 안내된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입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상기 데이터, 상기 부가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요청에 따라 복사, 잘라내기, 삭제, 붙여넣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70034104A 2007-04-06 2007-04-06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데이터베이스 KR100928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104A KR100928401B1 (ko) 2007-04-06 2007-04-06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데이터베이스
PCT/KR2008/001939 WO2008123718A1 (en) 2007-04-06 2008-04-04 Method of managing database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databa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104A KR100928401B1 (ko) 2007-04-06 2007-04-06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데이터베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792A KR20080090792A (ko) 2008-10-09
KR100928401B1 true KR100928401B1 (ko) 2009-11-26

Family

ID=3983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104A KR100928401B1 (ko) 2007-04-06 2007-04-06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데이터베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8401B1 (ko)
WO (1) WO20081237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9306A1 (en) * 2011-10-17 2013-04-25 Apa Concepts And Development Group, Llc Allheal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364B1 (ko) * 2010-07-29 2013-04-09 주식회사 평화이즈 통합의료정보 시스템의 전자서식 생성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503A (ja) 1999-01-29 2000-08-11 Fujitsu Ltd 診療録電子記録装置
JP2006139389A (ja) 2004-11-10 2006-06-01 Fujitsu Ltd 診療録作成用プログラム
KR20060110114A (ko) * 2005-04-19 2006-10-24 린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의무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무 기록 생성 방법
JP2006338523A (ja) 2005-06-03 2006-12-14 Nidek Co Ltd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579B1 (ko) * 2003-07-14 2005-12-22 이지케어텍(주) 온라인 상에서의 의무기록서식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503A (ja) 1999-01-29 2000-08-11 Fujitsu Ltd 診療録電子記録装置
JP2006139389A (ja) 2004-11-10 2006-06-01 Fujitsu Ltd 診療録作成用プログラム
KR20060110114A (ko) * 2005-04-19 2006-10-24 린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의무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무 기록 생성 방법
JP2006338523A (ja) 2005-06-03 2006-12-14 Nidek Co Ltd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9306A1 (en) * 2011-10-17 2013-04-25 Apa Concepts And Development Group, Llc Allheal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792A (ko) 2008-10-09
WO2008123718A1 (en)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5350A (en) Medical information log system
US9152631B2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4389011B2 (ja) 医用レポート作成装置、医用レポート作成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103019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atient medical information
US200701128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on and distribution of documents
KR100928401B1 (ko) 의무기록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데이터베이스
US20040030583A1 (en) Clinician-laboratory electronic communication system
CN105474218A (zh) 用于报告多个医疗程序的系统和方法
US8190559B2 (en)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ocuments
JP5260003B2 (ja) ファイル検索装置及びファイル検索プログラム
JP6947253B2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及び電子カルテプログラム
JP2008210077A (ja) 診療支援装置におけるテンプレート作成方法およびテンプレート作成プログラム
US8190563B2 (en)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document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encoding medium recorded with a computer program
JP2000222510A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JPH10177642A (ja) 画像検索情報管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が読取可能な記憶媒体並びに画像検索情報管理装置
JPH0981585A (ja)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
JP2008250791A (ja) 医療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733504B2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及び電子カルテプログラム
JP2002207823A (ja) 診療支援装置、及び医療文書用データの供給方法
EP3144829A1 (en) Medical-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medical-document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JPH10340261A (ja) 文書閲覧システム
JP2002342137A (ja) 文書管理装置及び文書管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1142997A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JP5352197B2 (ja) 業務支援データベース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011662B2 (ja) 電子ファイリング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