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356B1 -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356B1
KR100927356B1 KR1020070138564A KR20070138564A KR100927356B1 KR 100927356 B1 KR100927356 B1 KR 100927356B1 KR 1020070138564 A KR1020070138564 A KR 1020070138564A KR 20070138564 A KR20070138564 A KR 20070138564A KR 100927356 B1 KR100927356 B1 KR 10092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haft
diameter portion
outer diamet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529A (ko
Inventor
임병철
Original Assignee
(주)은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은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07013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3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08Protec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중에 쉽게 이완 또는 분리되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 롤러본체(11)가 끼워지는 외경부(22)와 축부재(13)가 관통되는 축공(24)이 형성되며 상기 외경부(22)의 일단에는 상기 롤러본체(11)의 단부가 걸리도록 돌출된 단턱부(23)가 형성되고 외경부(22)의 타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25) 또는 돌기가 형성된 외부캡(20)과, 상기 외부캡(20)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본체(11)가 끼워지는 외경부(32)와 상기 축부재(13)가 관통되는 축공(34)이 형성되며 외경부(32)의 일단에는 외부캡(20)의 상기 홈(25) 또는 돌기가 끼워지는 돌기(35) 또는 홈이 형성된 내부캡(30)과, 상기 외부캡(20)의 축공(24) 및 내부캡(30)의 축공(34)에 관통되며 축부재(13)가 끼워지는 축지지부재(28)와, 상기 외부캡(20)과 내부캡(30) 및 축지지부재(28)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강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이 제공된다.
컨베이어, 롤러, 엔드캡, 테이퍼, 외부캡

Description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End cap for conveyor roller}
본 발명은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중에 쉽게 이완 또는 분리되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에 관한 것이다.
제품이나 부품의 이송을 위해 컨베이어가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 상차나 하차용으로 자바라식으로 신축가능하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컨베이어롤러가 사용된다. 도 1은 이러한 신축가능한 자바라로 이루어진 이동식 컨베이어롤러를 보여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원통형 롤러(2)가 장착된 자바라프레임(4)을 포함하고, 그 하단에는 바퀴(6)가 장착된 구조를 취한다. 이 자바라프레임(4)은 길이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도 만곡되도록 휘어질 수 있어서, 임의의 곡선루트로 컨베이어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원통형 롤러(2)는 신축식 또는 이동식 컨베이어롤러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컨베이어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이러한 컨베이어시스템에 사용되는 원통형 롤러(2)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 롤러본체(11)의 단부에 엔드캡(12)이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축부재(13)가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컨베이어롤러(2)의 엔드캡(12)은 롤러본체(11)가 끼워지는 단턱부(15)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개구부(16)가 형성된 외륜(14)과, 이 외륜(14)의 개구부(16)에 끼워지는 내륜(17)과, 이 외륜(14)과 내륜(17)에 동시에 관통되는 축공에 끼워지며 축부재(13)가 삽입되는 지지링(18)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링(18)의 외경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이에 대응하는 외륜(14)과 내륜(17)의 오목부에는 다수개의 강구(19)가 끼워져서 지지링(18)과 축부재(13)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롤러(11)를 장시간 사용하면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물건의 하중에 의해 눌리는 롤러본체(11)가 엔드캡(12)의 외륜(14)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 때 외륜(14)에는 보강재로 기능하는 단턱부(15)가 외측단에 치우쳐 돌출되므로, 외륜(14)에 가해지는 하중이 단턱부(15)의 반대쪽인 내측으로 집중하여 외륜(14)의 불균일한 변형을 초래하고, 이에 따라 외륜(14)의 일측 개구부(16)에 끼워진 내륜(17)이 개구부(16)의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어, 내륜(17)이 외륜(14)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조립이 헐거워져서, 결과적으로 컨베이어기구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사용중에 조립이 헐거워지거나 분리되지 않아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새로운 구조의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원통형 롤러본체(11)가 끼워지는 외경부(22)와 축부재(13)가 관통되는 축공(24)이 형성되며 상기 외경부(22)의 일단에는 상기 롤러본체(11)의 단부가 걸리도록 돌출된 단턱부(23)가 형성되고 외경부(22)의 타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25) 또는 돌기가 형성된 외부캡(20)과, 상기 외부캡(20)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본체(11)가 끼워지는 외경부(32)와 상기 축부재(13)가 관통되는 축공(34)이 형성되며 외경부(32)의 일단에는 외부캡(20)의 상기 홈(25) 또는 돌기가 끼워지는 돌기(35) 또는 홈이 형성된 내부캡(30)과, 상기 외부캡(20)의 축공(24) 및 내부캡(30)의 축공(34)에 관통되며 축부재(13)가 끼워지는 축지지부재(28)와, 상기 외부캡(20)과 내부캡(30) 및 축지지부재(28)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강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축지지부재(28)의 내측은 점진적으로 그 내경이 확장되는 테이퍼부(29)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캡(30)의 축공(34)은 상기 축지지부재(28)의 테이퍼부(29)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확개부(3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12)을 구성함에 있어, 외부캡(20)과 내부캡(30)이 공히 원통형 롤러본체(11)에 끼워져 접촉되도록 하고, 외부캡(20)과 내부캡(30)의 둘레방향 홈(25)과 돌기(35)를 반경방향으로 서로 중첩시켜서 조립함으로써, 롤러본체(11)로부터 엔드캡(12)이 가압력을 받을수록 각각의 홈(25)과 돌기(35)가 서로 견고하게 맞물리게 되므로, 외부캡(20)과 내부캡(30) 상호간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컨베이어기구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이송되는 물건의 하중에 의해 엔드캡(12)이 이탈되거나 조립이 헐거워지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컨베이어 롤러의 축부재(13)가 끼워지는 축지지부재(28)의 내측단에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테이퍼부(29)로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롤러의 조립을 위해 외부에서 축부재(13)를 끼울 때, 축부재(13)가 롤러본체(11)를 지나서 타측의 엔드캡(12)의 축지지부재(28)의 축공으로 삽입될 때, 삽입되는 구멍이 넓게 확장되어 있어서, 축부재(13)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된다. 또한 축지지부재(28)의 테이터부(29)가 내부캡(30)을 외부캡(20)과 이탈되지 않도록 넓은 면적에 서 접촉하면서 지지하므로, 내부캡(30)이 외부캡(20)과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 롤러본체(11)가 끼워지는 외경부(22)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축부재(13)가 관통되는 축공(24)이 형성된 외부캡(20)이 구비된다. 이 외부캡(20)의 외경부(22)의 일단에는 상기 롤러본체(11)의 단부가 걸리도록 돌출된 단턱부(23)가 형성되고 외경부(22)의 타측에는 원주방향으로 홈(25)이 형성된다. 이 홈(25) 대신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 외부캡(20)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본체(11)가 끼워지는 외경부(32)와 상기 축부재(13)가 관통되는 축공(34)이 형성된 내부캡(30)이 구비된다. 이 내부캡(30)의 외경부(32)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캡(20)의 홈(25)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35)가 형성된다. 만일 외부캡(20)측에 홈(25) 대신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캡(30)에는 돌기 대신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캡(20)과 내부캡(30)의 축공(24,3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축지지부재(28)가 끼워진다. 이 축지지부재(28)와 외부캡(20) 및 내부캡(30) 사이에는 다수의 강구(19)가 끼워져서 구름베어링으로 작동되며, 이를 위해 축지지부재(28)와 외부캡(20) 및 내부캡(30)에는 이러한 강구(19)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축지지부재(28)의 일측, 즉 외부캡(20)의 반대쪽에는 나팔형태로 확장 되는 테이퍼부(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테이퍼부(29)가 끼워지는 내부캡(30)의 축공(34)에는 테이퍼부(29)의 외주면이 밀착되는 확개부(39)가 형성된다. 상기 축지지부재(28)로부터 축부재(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클립(40)이나 기타 적절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부캡(20)과 내부캡(30)이 서로 측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외부캡(20)의 외경부(22)의 홈(25)과 내부캡(30)의 외경부(34)의 돌기(35)가 서로 반경방향으로 겹쳐져서 맞물리므로,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물건의 하중이 롤러본체(11)를 통해 엔드캡(12)을 반경방향으로 누르면, 외부캡(20)와 내부캡(30)이 서로 홈(25)과 돌기(35)에서 서로 더욱 맞물리므로, 외부캡(20)과 내부캡(30)이 서로 분리 또는 이탈되는 일이 방지되어, 장시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컨베이어롤러의 조립상태가 헐거워지지 않고 내구성이 유지된다.
또한, 컨베이어 롤러의 축부재(13)가 끼워지는 축지지부재(28)의 내측단을 내경이 확장되는 테이퍼부(29)로 구성함으로써, 축부재(13)를 끼울 때 구멍에 삽입하기가 용이하여 컨베이어 롤러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이 테이퍼부(29)가 내부캡(30)의 축방향 변위를 규제하므로 내부캡(30)의 이탈을 더욱 억제할 수 있고, 내부캡(30)과 외부캡(20)의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바라식 컨베이어기구의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컨베이어 롤러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컨베이어 롤러 엔드캡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Claims (2)

  1. 원통형 롤러본체(11)가 끼워지는 외경부(22)와 축부재(13)가 관통되는 축공(24)이 형성되며 상기 외경부(22)의 일단에는 상기 롤러본체(11)의 단부가 걸리도록 돌출된 단턱부(23)가 형성되고 외경부(22)의 타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25) 또는 돌기가 형성된 외부캡(20)과, 상기 외부캡(20)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본체(11)가 끼워지는 외경부(32)와 상기 축부재(13)가 관통되는 축공(34)이 형성되며 외경부(32)의 일단에는 외부캡(20)의 상기 홈(25) 또는 돌기가 끼워지는 돌기(35) 또는 홈이 형성된 내부캡(30)과, 상기 외부캡(20)의 축공(24) 및 내부캡(30)의 축공(34)에 관통되며 축부재(13)가 끼워지는 축지지부재(28)와, 상기 외부캡(20)과 내부캡(30) 및 축지지부재(28)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강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재(28)의 내측은 점진적으로 그 내경이 확장되는 테이퍼부(29)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캡(30)의 축공(34)은 상기 축지지부재(28)의 테이퍼부(29)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확개부(3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
KR1020070138564A 2007-12-27 2007-12-27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 KR100927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564A KR100927356B1 (ko) 2007-12-27 2007-12-27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564A KR100927356B1 (ko) 2007-12-27 2007-12-27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529A KR20090070529A (ko) 2009-07-01
KR100927356B1 true KR100927356B1 (ko) 2009-11-19

Family

ID=4132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564A KR100927356B1 (ko) 2007-12-27 2007-12-27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3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3308A (en) 1994-06-28 1995-07-18 J.P.G. Composite Plus Inc. Rolle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944161A (en) 1994-12-01 1999-08-31 Jvl Industries Pty Ltd End cap assembly for a roller tube of a conveyor roller
KR100304132B1 (ko) 1999-03-11 2001-09-24 라복남 충격전이 방지형 롤러장치
US6802410B2 (en) 2000-04-19 2004-10-12 Jlv Industries Pty Ltd Conveyor roller bearing hou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3308A (en) 1994-06-28 1995-07-18 J.P.G. Composite Plus Inc. Rolle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944161A (en) 1994-12-01 1999-08-31 Jvl Industries Pty Ltd End cap assembly for a roller tube of a conveyor roller
KR100304132B1 (ko) 1999-03-11 2001-09-24 라복남 충격전이 방지형 롤러장치
US6802410B2 (en) 2000-04-19 2004-10-12 Jlv Industries Pty Ltd Conveyor roller bearing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529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9525A (en) Roller seating
EP1764521A3 (en) Sensor-equipped rolling bearing assembly
EP2969704B1 (en) Steering column support bearing
JP2007032679A (ja) 円すいころ軸受
US6802410B2 (en) Conveyor roller bearing housing
US20120008894A1 (en) Combination thrust flange and thrust plate
JP5277756B2 (ja) 複列スラストころ軸受
KR100927356B1 (ko) 컨베이어 롤러의 엔드캡
US6042275A (en) Radial roller bearing
CN111173842B (zh) 旋转用密封
JP2001317550A (ja) リニアベアリング
EP1860337A4 (en) NEEDLE BEARING
JP4966000B2 (ja) スラスト軸受用保持器
US6679560B1 (en) Wheel for an in-line skate
US3515445A (en) Conveyor bearing
JP2009047275A (ja) 揺動軸受
JP5015693B2 (ja) 揺動軸受
JP4622440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軸受装置
US10514064B2 (en) Bearing package and installation tool
JP2002327737A (ja) 球面滑り軸受
JP2017180517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2008232240A (ja) ラジアル・スラストころ軸受
JP2007192342A (ja) 車輌用軸受装置
JP2006250322A (ja) 軸装置
KR100424334B1 (ko)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