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967B1 -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 Google Patents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967B1
KR100926967B1 KR1020070126077A KR20070126077A KR100926967B1 KR 100926967 B1 KR100926967 B1 KR 100926967B1 KR 1020070126077 A KR1020070126077 A KR 1020070126077A KR 20070126077 A KR20070126077 A KR 20070126077A KR 100926967 B1 KR100926967 B1 KR 100926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resin
resin composition
image forming
res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296A (ko
Inventor
장영규
이영실
오세진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9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A) 열가소성 매트릭스 수지 100 중량부; 및 (B)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큰 표면저항률, 우수한 저항 균일성, 균일한 전기 전도성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를 제공한다.
매트릭스 수지, 탄소나노튜브, 열가소성 수지, 표면저항률, 저항 균일성, 기계적 물성, 화상 성형 장치, 전사벨트

Description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Semiconductive Resin Composition and Image Forming Intermediate Transfer Belt Using the Sam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에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하여 균일한 저항특성을 가지며, 우수한 탄성률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최근 PC, 디지털 비디오,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부착 휴대 전화 등의 정보 기기의 고성능화, 고용량화로 사진이나 화상 등의 칼라 정보가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되어 왔다. 또한 출력장치인 프린터의 색채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 히, 칼라 프린터에 대해 고속, 고화질, 컴팩트화, 고 신뢰성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들을 달성할 수 있는 중요 부분 중의 하나로 중간 전사 벨트를 들 수 있다.
복사기, 프린터 등의 전자 사진 기기는 색채화에 수반해, 고화질, 고속화, 컴팩트화, 범용 용지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들을 달성하기 위해, 전자 사진 기기의 전사 프로세스에 대해 중간 전사 벨트 방식이 채용되어 반도전성의 중간 전사 벨트가 중요 부품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간 전사 벨트의 재료로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PVDF), 폴리 아미드이미드(PAI), 폴리이미드(PI) 수지나 고무(Rubber) 등의 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는 벨트의 둘레방향의 큰 저항률(표면저항률) 및 표면저항률보다는 작은 두께방향의 저항률(체적저항치)을 가질 것 또한 이들 저항률이 벨트면 위의 위치, 사용환경, 전압 등에 의해 변동되지 않을 것, 벨트의 둘레방향의 인장탄성률이 높을 것, 표면이 평활하고 또한 접촉각이 커서 토너가 벨트로부터 전사재(종이)에 전사되기 쉬울 것(우수한 박리토너성), 감광드럼이나 토너 등을 화학적으로 오염시키지 않을 것(우수한 비오염성), 난연성일 것 등의 특성이 요망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반도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 열가소성 수지에 카본블랙 등의 전도성 첨가제를 혼합, 분산시켜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카본 블랙과 같은 전도성 첨가제의 경우, 상당량이 첨가되지 않는 한 (중량 대비 10 % 이상) 반도전성 열가소성 수지의 전기 전도성을 원하는 정도로 충 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반면, 전도성 첨가제를 다량으로 첨가할 경우, 열가소성 매트릭스 수지의 기본적 물성, 예를 들어, 내충격성, 탄성율 등의 기계적 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일본특허 제2560727에서는 폴리이미드에 카본 블랙을 분산시켜 전사벨트에 이용하는 방법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10 중량% 이상의 카본 블랙의 분산을 위하여 용액상태로 전처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미국특허등록 제5,021,036호의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에 5-20 중량%의 아세틸렌 블랙 등을 분산시켜 전사벨트를 얻었으나, 상기 전사벨트는 고함량 필러의 분산 문제와 물성저하가 수반된다.
일반적으로 전사벨트를 이루는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또는 불소수지 등의 수지에 카본블랙 함량을 10-20 중량% 정도 분산시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과도한 양의 카본 블랙을 사용할 경우, 균일한 분산이 어렵고 전사벨트용 필름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필름의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가소성 매트릭스 수지에 전도성 분산제로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함으로써, 소량의 전도성 분산제로도 우수한 전도성이 구현되고, 또한 전도성 분산제의 함량을 낮출 수 있어 기존의 고분자 수지가 가지는 점성 및 탄성 특성을 저해하지 않고 우수한 분산성, 균일 저항특성, 박리 토너성, 및 비오염성을 갖는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저항 특성과 전도성을 갖는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큰 표면저항률과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는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리 토너성과 비오염성이 우수한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도성 분산제의 함량을 낮출 수 있어 원재료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A) 열가소성 매트릭스 수지 100 중량부; 및 (B)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탄소나노튜브(B)는 직경이 0.5∼100 nm이며, 길이가 0.01 ㎛∼100 ㎛이고, 종횡비(L/D)가 100∼1,000 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를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전사벨트는 인가전압 100 내지 250 V에서 표면 저항이 108∼1012 Ω/sq 이다.
상기 전사벨트의 두께는 50∼150 ㎛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에 사용되는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A) 매트릭스 수지
본 발명의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매트릭스 수지로는 압출 또는 사출 성형이 가능한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범용 플라스틱과 열가소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제한 없이 사용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적 예로는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아 크릴계 수지, 폴리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릴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불소화 비닐리덴 수지, 폴리설폰 수지 및 액정중합체 수지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적 구성 및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고무강화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등과 같은 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열가소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충격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공중합하거나 충격향상성분을 블렌딩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매트릭스 수지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 리에스테르의 블렌드를 사용한다.
(B) 탄소나노튜브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는 높은 기계적 강도와 높은 영스 모듈러스(Young's Modulus)와 높은 종횡비(aspect ratio)의 기계적 특성을 가지므로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의 전도성 분산제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높은 전기전도성과 높은 열안정성을 가지는 물질로서,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를 고분자 복합체에 응용하면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는 방법은 전기 방전법(Arc-discharge), 레이저 어블레이션법(Laser ablation),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열화학 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전기분해법 등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합성 방법에 관계없이 얻어진 탄소나노튜브들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그 벽의 개수에 따라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 wall carbon nanotube),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 wall carbon nanotub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 wall carbon nanotube)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는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성과 가공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의 크기는 직경 0.5∼100 nm인 것이 좋으며, 1∼15 nm가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는 0.01∼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0.5∼1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과 길이 범위 내에서 전기 전도성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는 상기와 같은 크기로 인해 종횡비(aspect ratio) (L/D)가 크며, L/D가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L/D가 10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열가소성 매트릭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된다. 만일 탄소나노튜브가 0.1 중량부로 사용될 경우, 충분한 전도성을 얻을 수 없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높은 전도성으로 전사능력이 발현되지 않으며, 수지 고유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필요한 통상의 첨가제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예로는 반응 안정제, 에스테르 교환반응 억제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활제, 염료, 안료, 가소제, 충격보강제 등이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첨가제는 열가소성 매트릭스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균일한 저항 특성과 전도성을 가지고, 또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 큰 표면저항률과 우수한 분산성, 박리 토너성과 비오염성을 가지므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는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성성분과 선택적으로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pellet)의 형태로 제조한다. 제조된 펠렛은 환 형태의 다이가 부착된 일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다이 입구에서 녹아 있던 수지 조성물은 환 형태의 다이를 통해 냉각 시스템을 거치면서 고형화 되고 실린더 형태의 전사벨트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몰드에서 빠져나온 수지는 물, 공기 또는 냉각장치 등을 이용하여 빠르게 냉각시켜 비정질화 한다. 즉, 압출기에서 빠져나온 수지는 원하는 형태인 실린더 모양의 형태를 갖추며 이후 금속 몰드와 냉각장치를 거치는데, 이때, 수지가 지니고 있는 열을 흡수하여 모양의 변형 및 결정화도를 낮춘다. 또한 금속 몰드에서 빠져나오는 수지는 일정한 속도로 잡아당겨 얇은 필름 형태의 실린더 모양으로 제조된다. 상기 연신속도는 1 m/min 내지 7 m/min이 적당하다.
상기 전사벨트의 두께는 50∼150 ㎛, 바람직하게는 70∼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20 ㎛이다.
본 발명의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제조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 벨트는 인가전압 100 내지 250 V에서 표면 저항 값이 108∼1012 Ω/sq, 바람직하게는 1×1010∼1×1012 Ω/sq 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전성이라 함은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 소재와 달리 낮은 도전성을 가짐을 말한다. 특히, 고분자 소재의 경우, 절연성을 나타내지만 약한 도전성을 가미하기 위하여 도전 필러를 투입하는데 그 양에 따라 낮은 도전성에서 금속에 근접하는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에서 요구하는 전도성은 금속과 같은 높은 전도성이 아니라 낮은 전도성(108∼1012 Ω/sq) 영역이기에 이런 영역의 전도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를 반도전성 수지라 표현하였다.
상기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전사벨트는 단층 형태 뿐만 아니라, 다층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 및 첨가제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매트릭스 수지
A1) 폴리카보네이트 : 중량평균분자량(Mw) 25,000인 비스페놀-A형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였다(Teijin Panlite 1250WP).
A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 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축중합한 중합체를 사용하였으며, 고유점도가 1.0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다(Chang Chun PBT1200-211H).
A3)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 1,4-부탄디올과 나프탈산 또는 디메틸 나프탈레이트를 축중합한 중합체를 사용하였으며, 고유점도가 1.1인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다(Teijin Chemical TQB-OT).
(B) 탄소나노튜브
벨기에 Nanocyl 사의 NC 7000 제품으로 직경 10∼15 nm, 길이 1∼25 ㎛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였다.
(C) 카본 블랙
일본 Mitsubishi Chemical의 Ketjen black 600JD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7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L/D=36, φ=45㎜ (압출기 구경)인 이축 압출기에 상기 혼합물을 투입하여 펠렛 형 태의 수지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복합체를 환 형태의 다이가 부착된 일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다이 입구에서 녹아 있던 수지 조성물은 환 형태의 다이를 통해 냉각 시스템을 거치면서 고형화되어 실린더 형태의 전사벨트를 제조할 수 있었다. 상기 전사벨트의 표면 저항 및 두께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2
탄소나노튜브 대신 카본 블랙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전사벨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사벨트의 표면 저항 및 두께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사벨트에 대해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1) 표면 저항(Ω/sq) : Mitsubishi Chemical의 Hiresta UP(MCP-HT450)을 사용하여 4점법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4점법 방식은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이다.
2) 두께(㎛) : contact type measuring 장치(Mitutoyo사의 mic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충격강도(1/8", kgf cm/cm) : 23 ℃에서 ASTM D 256에 의거하여 시험편에 노치(notch)를 내어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07087843595-pat00001
실시예 8∼18
매트릭스 수지로 폴리에틸렌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계 수지, ABS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릴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불소화 비닐리덴 수지, 폴리설폰 수지 및 폴리우레아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전사벨트를 제조하였으며, 각각 표면 저항이 108∼1012 Ω/sq 의 범위에 해당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1에서, 비교예 1의 결과로 보아 카본 블랙만 사용하였을 경우, 필름 형성 후 전도도는 약 1010 Ω/sq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그 정도의 전도도 발현을 위해서는 고 함량인 18 중량부의 카본 블랙이 첨가 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와 같이 카본 블랙을 탄소나노튜브와 유사한 함량으로 사용할 시에는 표면저항이 높고,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0.7% 정도의 낮은 함량에서도 전도성이 발현되며 1%를 사용하였을 경우, 화상 형성용 전사벨트로 사용 가능한 1010 Ω/sq 정도의 전도도 발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의 결과에서 고분자 매트릭스에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였을 경우, 소량의 탄소나노튜브 첨가만으로 우수한 전도성을 나타내었으며 다량의 첨가제 사용으로 인한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용 전사벨트로의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 전기 전도성, 큰 표면저항률 및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A) 열가소성 매트릭스 수지 100 중량부; 및
    (B)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열가소성 매트릭스 수지(A)는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릴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불소화 비닐리덴 수지, 폴리설폰 수지 및 액정중합체 수지,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이고,
    상기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은 용융압출 가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B)는 직경이 0.5∼100 nm이며 길이가 0.01 ㎛∼100 ㎛이고 종횡비(L/D)가 100∼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반응 안정제, 에스테르 교환반응 억제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활제, 염료, 안료, 가소제, 충격보강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열가소성 매트릭스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는 인가전압 100 내지 250 V에서 표면 저항이 108∼1012 Ω/sq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벨트의 두께는 50∼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KR1020070126077A 2007-12-06 2007-12-06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KR100926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77A KR100926967B1 (ko) 2007-12-06 2007-12-06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77A KR100926967B1 (ko) 2007-12-06 2007-12-06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296A KR20090059296A (ko) 2009-06-11
KR100926967B1 true KR100926967B1 (ko) 2009-11-17

Family

ID=4098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077A KR100926967B1 (ko) 2007-12-06 2007-12-06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498A1 (ko) * 2013-09-02 2015-03-05 (주) 엘지화학 탄소나노물질이 결합된 열가소성 고분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8009B (zh) * 2021-09-13 2022-12-2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導電聚酯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927A (ja) * 2002-02-26 2003-09-0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ポリイミドフィルム、ポリイミド管状物及び電子写真用管状物
WO2007078140A1 (en) * 2006-01-03 2007-07-12 Kolon Industries, Inc. Intermediate transfer be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927A (ja) * 2002-02-26 2003-09-0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ポリイミドフィルム、ポリイミド管状物及び電子写真用管状物
WO2007078140A1 (en) * 2006-01-03 2007-07-12 Kolon Industries, Inc. Intermediate transfer be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498A1 (ko) * 2013-09-02 2015-03-05 (주) 엘지화학 탄소나노물질이 결합된 열가소성 고분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10266675B2 (en) 2013-09-02 2019-04-23 Lg Chem, Ltd. Thermoplastic polymer combined with carbon nano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10676595B2 (en) 2013-09-02 2020-06-09 Lg Chem, Ltd. Methods for combining thermoplastic polymer with carbon nano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296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487B1 (ko) 다층 구조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KR101309738B1 (ko) 고분자/필러의 전기전도성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84067A1 (ko) 전도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JP2006274073A (ja) 樹脂組成物、その樹脂成形体、及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5084065A1 (ko)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JP2006282843A (ja) 微細炭素繊維含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70122306A (ko) 대전방지용 탄소 복합재,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CN106633778A (zh) 一种高含量玻璃纤维增强抗静电pc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2003156902A (ja) 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スリーブ又はチューブ
KR100926967B1 (ko) 전사벨트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WO2015083893A1 (ko) 전도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JP5214171B2 (ja) 半導電性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組成物、半導電性樹脂成形物及び電荷制御部材
JP7309444B2 (ja) 樹脂組成物、樹脂成形体、樹脂積層体、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5552028B2 (ja) 半導電性樹脂組成物、成形物品、及び、半導電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6808418B2 (ja) 半導電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体及び電子写真用シームレスベルト
KR101114992B1 (ko) 현상 롤러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현상 롤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32307A1 (ko)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복합재 및 이를 함유하는 성형품
JP7463144B2 (ja) 半導電性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シームレスベルト
JP2020098252A (ja) 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9181828A1 (ja)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27848A (ja) 半導電性ポリアミド系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半導電性ベルト、画像形成装置、及び導電性ベルトの製造方法
JP6598669B2 (ja) 半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用シームレスベルト
JP6590708B2 (ja) 半導電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425370B1 (ko)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벨트
JP6752137B2 (ja) 画像形成装置用転写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用転写ベル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