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806B1 -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806B1
KR100925806B1 KR1020080006089A KR20080006089A KR100925806B1 KR 100925806 B1 KR100925806 B1 KR 100925806B1 KR 1020080006089 A KR1020080006089 A KR 1020080006089A KR 20080006089 A KR20080006089 A KR 20080006089A KR 100925806 B1 KR100925806 B1 KR 10092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construction
floor
sla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232A (ko
Inventor
조병철
임복수
정낙준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8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80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1/350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characterised by the in situ moulding of large parts of a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조공사가 진행되는 시공층에 창호자재를 미리 반입하여 상부층의 골조공사와 하부층의 창호공사를 병행하여 진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마감공사의 조기 착수를 통해 공기단축을 꾀한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은 (a)하부층 바닥슬래브 위에 하부층 창호자재를 반입하면서 하부층 바닥슬래브 위로 천장슬래브를 포함한 하부층 골조를 시공하는 단계; 그리고, (b)하부층의 천장슬래브를 상부층 바닥슬래브로 하여 그 위에 상부층 창호자재를 반입하면서 상부층 바닥슬래브 위로 천장슬래브를 포함한 상부층 골조를 시공하고 동시에 하부층 바닥슬래브 위의 창호자재를 이용하여 하부층 창호공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골조공사, 창호공사, 병행시공, 양중

Description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window in parallel with framework}
본 발명은 골조공사와 창호공사를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조공사가 진행되는 시공층에 창호자재를 미리 반입하여 상부층의 골조공사와 하부층의 창호공사를 병행하여 진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마감공사의 조기 착수를 통해 공기단축을 꾀한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시공을 위한 공종은 크게 골조공사(철근콘크리트구조의 아파트의 경우에 벽체와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철근, 콘크리트 작업 등)와 마감공사(도장공사, 창호공사 등)로 구분할 수 있다.
마감공사는 공종간의 간섭과 작업하중 때문에 골조공사를 마친 후에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다만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골조공사가 지상 10~15층 정도 진행된 시점에서 공종간의 간섭과 작업하중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기 때문에 그때부터 비로소 마감공사를 착수하여 왔다. 그런데, 마감공사가 종결되어야 비로소 건축물이 완공되므로 일정기간을 차지하는 마감공사의 착수시점은 전반적인 공사기간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가 되며, 이에 마감공사의 착수시점이 늦어질수록 그만큼 공사기간은 연장될 수밖에 없다.
한편, 마감공사에는 창호공사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데, 통상 고층건물의 창호공사는 외부 가설 리프트카(호이스트)를 이용하여 각종 창호자재(창호틀, 창짝, 유리 등)를 창호 시공층으로 운반하고 창호 시공층 외곽에 각종 비계(작업발판, 안전난간 등)를 수행한 후에 창호를 설치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창호 설치에 앞서 진행되어야 하는 창호공사용 가설공사(별도의 가설 리프트카를 설치하거나 창호 시공층마다 반복적으로 비계를 설치하는 것)는 작업량 증대의 주요한 요인이 되며, 나아가 마감공사의 착수시점과 함께 공기지연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다층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마감공사의 조기 착수를 통해 공기단축을 꾀할 수 있게 한 상부층 골조와 하부층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골조공사 수행에 이용된 각종 가설재(비계 등)를 창호공사 등 마감공사 수행에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작업량 감축과 공사비 절 감을 가능케 한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다층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a)하부층 바닥슬래브 위에 하부층 창호자재를 반입하면서 하부층 바닥슬래브 위로 천장슬래브를 포함한 하부층 골조를 시공하는 단계; 그리고, (b)하부층의 천장슬래브를 상부층 바닥슬래브로 하여 그 위에 상부층 창호자재를 반입하면서 상부층 바닥슬래브 위로 천장슬래브를 포함한 상부층 골조를 시공하고 동시에 하부층 바닥슬래브 위의 창호자재를 이용하여 하부층 창호공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골조공사 진행과정에 미리 창호자재를 반입함으로써 상부층의 골조공사와 하부층의 창호공사를 병행하여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감공사의 조기 착수에 따른 마감공사의 조기 종결로 전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골조공사와 창호공사의 병행시공으로 골조시공에 이용되는 시스템거푸집(거푸집과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 등이 일체로 결합됨)를 그대로 마감공사(창호공사)에도 유용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마감공사를 위한 비계설치 등 가설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전반적으로 경제성 확보가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 골조공사용 시스템거푸집이 시공할 건축물의 외부를 감싸면서 안전한 작업공간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골조공사용 시스템거푸집을 이용하면서 실시하는 마감공사는 안전성은 물론 시공품질 확보에도 더욱 유리해진다.
셋째, 창호를 조기에 설치하기 때문에 외부와의 차단을 통해 골조의 안정적인 보양이 가능하여 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정성 확보에 유리해진다.
본 발명은 다층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골조공사가 진행되는 시공층에 창호자재를 미리 반입한 후 상부층의 골조공사와 하부층의 창호공사를 병행하여 진행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고층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4개층을 하나의 시공사이클로 하여 골조공사와 창호공사 등의 마감공사를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을 하나의 실시예로 제안하며, 또한 골조공사와 창호공사의 병행시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골조의 형틀계획, 창호설치계획, 자재운반ㆍ양중계획을 제안한다. 이로써, 골조 시공에 이용되는 크레인으로 창호자재를 양중하면서 창호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 가설 리프트카 등 별도의 창호공사용 양중장비 설치를 생략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골조 시공에 이용되는 외부 시스템 거푸집을 창호공사 등 마감공사를 위한 비계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가설작업의 일원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마감공사의 조기 착수가 가능해지고, 결국 공사 전반에 걸쳐 공기단축을 꾀하면서 경제적인 공사 수행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은 다층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크게 준비단계, 하부층 골조시공단계 및 하부층 창호와 상부층 골조의 병행시공단계로 구분된다.
(1)준비단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에서 준비단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을 위한 준비단계로 창호자재(100)를 시공할 건축물의 건축선 바깥 지상으로 근접하게 배치할 것을 제안하는데, 이는 후술하는 하부층 골조시공단계를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함이다. 이때, 창호자재(100)를 해당 창호자재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응시키면서 시공할 건축물의 건축선 외곽을 둘러싸도록 배치하면, 하부층 골조시공단계를 더욱더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활한 적용을 위해 제안된 창호자재(100)의 일례로서, 창호보양재(120)로 보양된 창호유니트(110)가 세워진 상태로 창호받침팔레트(130)에 적재된 채 고정되도록 마련한 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창호자재(100)는 지게차에 의한 용이한 운반이 가능한 것은 물론 운반중 파손억제가 가능하다. 특히, 도 2에서는 창호받침팔레트(130)를 소정두께의 받침대(131) 위 중앙에 ㄷ형채널(132)이 세워지게 접합된 부재 한쌍으로 준비하고 마주보게 배치한 ㄷ형채널(132)에 창 호보양재(120)로 보양된 창호유니트(110)를 세운 상태로 끼워 고정함으로써 마련되는 창호자재(100)를 도시하고 있는데, 한쌍의 부재로 준비된 창호받침팔레트(130)는 창호자재(100)의 폭에 무관에게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창호공사는 이와 같은 창호자재(100)에서 창호보양재(120)와 창호받침팔레트(130)를 제거한 후 창호유니트(110)만을 개구부에 설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창호자재(100)를 지게차로 운반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창호자재(100)는 창호받침팔레트의 받침대(131) 사이에 지게차의 포크(F1)가 끼워져 들어 올려지면 지게차의 이동에 따라 운반된다. 다만, 들어 올려지는 창호자재(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지게차의 포크(F1)에는 지지프레임(F2)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하부층 골조시공단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에서 하부층 골조시공단계를 보여준다. 하부층 골조시공단계는 하부층 바닥슬래브(LS) 위에 하부층 창호자재(100)를 반입하고, 동시에 하부층 바닥슬래브(LS) 위로 천장슬래브를 포함하면서 하부층 골조(벽체, 기둥, 보 등)를 시공하는 단계이다. 특히, 도 4는 하부층 골조시공단계를 3회 반복 수행함으로써 하부층 골조를 제1층(LS1), 제2층(LS2), 제3층(LS3)으로 구분하면서 각 층의 골조를 창호자재(100)가 반입된 상태로 시공한 예를 보여주며, 이때 하부층 골조시공은 시공할 건축물의 외곽을 둘러싸는 슬라이딩폼(300)을 설치한 후 매층 골조를 시공할 때마다 슬라이딩폼(300)을 상승시키면 서 진행할 수 있다. 본 단계를 통해 하부층 골조시공과 동시에 창호자재(100)의 반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골조시공에 이용되는 크레인(C)을 창호자재(100)의 반입에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창호자재(100)의 반입을 위한 별도의 가설 리프트카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본 단계에서 슬라이딩폼(300)은 크레인으로 상승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슬라이딩폼을 유압식으로 자립하여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슬라이딩폼 상승과 크레인에 의한 자재(창호자재와 골조자재) 양중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공사시간 단축에 더욱 유리하다.
한편, 크레인을 이용하여 창호자재(100)를 반입하려 한다면 도 2와 같은 창호자재(100) 여러개를 동시에 양중할 수 있어야 크레인(C)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인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같은 양중틀(200)을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창호자재(100) 여러 개를 동시에 매단 양중틀(200)을 크레인(C)으로 양중하면서 창호자재(100)를 반입하는 것이다. 도 5는 창호자재(100) 여러 개를 안정적으로 매달기 위해 제안된 양중틀(200)의 일례로서, 사다리꼴 입체형상의 프레임(310); 상기 프레임(310) 상부 네모서리에 형성되며 크레인의 갈고리에 걸린 로프가 묶이는 상부고리(320); 상기 프레임 하부에 마주보는 위치에서 나란하게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창호자재를 묶은 로프가 걸리는 하부고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이다. 다만, 도 6에서와 같이 양중틀(200)에는 여러 개의 창호자재(100)를 가로 또는 세로로 균형있게 매달도록 하여 양중시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게 한다.
(3)하부층 창호와 상부층 골조의 병행시공단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에서 하부층 창호와 상부층 골조의 병행시공단계를 보여준다. 병행시공단계는 하부층 골조시공단계 진행으로 완성된 하부층의 천장슬래브를 상부층 바닥슬래브(US)로 하여 그 위에 상부층 창호자재(100)를 반입하면서 상부층 바닥슬래브(US) 위로 천장슬래브를 포함한 상부층 골조를 시공하고, 동시에 하부층 바닥슬래브(LS) 위의 창호자재(100)를 이용하여 하부층 창호공사를 실시하는 단계이다. 하부층 골조시공단계를 통해 하부층에 이미 창호자재(100)가 반입되었으므로 본 단계에서는 바로 창호설치공사를 착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부층 골조시공단계에서 하부층 골조를 제1층(LS1), 제2층(LS2), 제3층(LS3)으로 나누어 시공하였다면, 본 단계의 하부층 창호공사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층의 견출작업과 제2층의 창호설치작업 및 제3층의 창호코킹작업으로 세분화하면서 진행하도록 한다. 이때, 하부층 및 상부층 골조를 동바리 설치가 수반되는 콘크리트공사로 시공한 경우라면, 본 단계의 하부층 창호공사는 제2층과 제3층에 설치된 동바리(S) 중 필러서포트(S1)를 제외한 나머지 동바리를 제거한 후 제거된 동바리보다 허용하중이 큰 잭서포트(S2)를 제거된 동바리 설치간격보다 넓게 설치하면서 진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잭서포트(S2)는 허용하중이 큰 동바리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일컫는 잭서포트는 물론 허용하중이 작은 일반적인 동바리 여러 개를 묶어 제작한 동바리를 포함하며, 이러한 잭서포트(S2)는 창호공사의 조기착수로 콘크리트슬래브가 자체 내력을 최대 로 발휘하지 못하는 과정에서 필러서포트(S1)와 함께 창호공사 등 마감공사 수행시 콘크리트슬래브에 작용하는 작업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잭서포트(S2)의 넓은 설치간격으로 창호공사 등 전반적인 마감공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평면이 반복되는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시공할 건축물의 외곽을 둘러싸는 슬라이딩폼(300)을 설치하여 매층 시공할 때마다 슬라이딩폼(300)을 크레인(C)으로 상승시키면서 진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골조시공에 이용되는 슬라이딩폼(300)을 도 8에서와 같이 창호공사 수행을 위한 비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8의 슬라이딩폼(300)은 전체적으로 종래의 슬라이딩폼과 동일하며, 다만 종래의 슬라이딩폼 아래로 더 연장하여 작업발판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슬라이딩폼(300)을 본 단계(하부층 창호와 상부층 골조의 병행시공단계)에서의 설치상태로서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슬라이딩폼(300)은 상부층의 골조시공을 위해 상부층 시공위치에 배치된 골조거푸집(310); 상단이 상기 골조거푸집 후면에 고정되면서 하단이 시공완료된 하부층 골조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수직지주(320); 상기 수직지주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층 바닥슬래브에 상응하게 위치한 하부층 작업발판(330); 상기 수직지주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층 바닥슬래브에 상응하게 위치한 상부층 작업발판(340);을 포함하도록 마련된 시스템 거푸집이 된다. 물론, 하부층을 3개층으로 구분하여 시공되기 때문에 하부층 작업발판(330) 또한 3개층 각각에 상응하게 마련되며, 이로써 별도의 마감공사용 비계 설치없이 하부층 작업발판(330)에서 창호공사 등 마감공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에서 준비단계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제안된 창호자재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창호자재가 운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에서 하부층 골조시공단계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창호자재 양중시 이용되는 양중틀을 보여준다.
도 6은 도 2의 창호자재를 도 5의 양중틀을 이용하여 양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에서 하부층 창호와 상부층 골조의 병행시공단계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7의 하부층 창호와 상부층 골조의 병행시공단계에서 슬라이딩폼의 설치상태를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창호자재 110: 창호유니트
120: 창호보양재 130: 창호받침팔레트
200: 양중틀
300: 슬라이딩폼
S: 동바리
S1: 필러서포트 S2: 잭서포트
C: 크레인
F1: 지게차의 포크 F2: 지지프레임
US: 상부층 바닥슬래브
LS, LS1, LS2, LS3: 하부층 바닥슬래브

Claims (7)

  1. 다층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a)하부층 바닥슬래브(LS) 위에 하부층 창호자재(100)를 반입하면서 하부층 바닥슬래브 위로 천장슬래브를 포함한 하부층 골조를 시공하는 단계; 그리고,
    (b)하부층의 천장슬래브를 상부층 바닥슬래브(US)로 하여 그 위에 상부층 창호자재(100)를 반입하면서 상부층 바닥슬래브(US) 위로 천장슬래브를 포함한 상부층 골조를 시공하고 동시에 하부층 바닥슬래브 위의 창호자재(100)를 이용하여 하부층 창호공사를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a)단계는 시공할 건축물의 외곽을 둘러싸는 슬라이딩폼(300)을 설치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b)단계는 상기 슬라이딩폼(300)을 크레인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b)단계의 슬라이딩폼(300)은,
    상부층의 골조시공을 위해 상부층 시공위치에 배치된 골조거푸집(310);
    상단이 상기 골조거푸집 후면에 고정되면서 하단이 시공완료된 하부층 골조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수직지주(320);
    상기 수직지주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층 바닥슬래브에 상응하게 위치한 하부층 작업발판(330);
    상기 수직지주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층 바닥슬래브에 상응하게 위치한 상부층 작업발판(340);을 포함하도록 마련된 시스템 거푸집이며,
    상기 (b)단계의 상부층을 하부층으로 하면서 상기 (b)단계를 하나의 반복사이클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b)단계에 앞서 (a)단계를 3회 반복 수행함으로써 하부층 골조가 상부층 바로 아래에서부터 하향하여 제1층(LS1), 제2층(LS2), 제3층(LS3)으로 구분되어 각 층에 창호자재(100)가 반입된 상태로 시공되며,
    상기 (b)단계의 하부층 창호공사는 제1층의 견출작업과 제2층의 창호설치작업 및 제3층의 창호코킹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a)단계와 (b)단계의 천장슬래브 시공은 동바리 설치가 수반되는 콘크리트공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b)단계의 하부층 창호공사는 제2층과 제3층에 설치된 동바리 중 필러서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동바리를 제거한 후 제거된 동바리보다 허용하중이 큰 잭서포트를 제거된 동바리 설치간격보다 넓게 설치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a)단계와 (b)단계의 창호자재(100) 반입은 창호자재(100)를 창호보양재(120)로 보양된 창호유니트(110)가 세워진 상태로 창호받침팔레트(130)에 적재된 채 고정되도록 마련한 후 그 창호자재(100)를 크레인으로 양중하면서 이루어지며,
    상기 (b)단계의 창호공사는 상기 창호자재(100)에서 창호보양재(120)와 창호받침팔레트(130)를 제거하여 창호유니트(110)를 설치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창호자재(100)는, 창호받침팔레트(130)를 소정두께의 받침대(131) 위 중앙에 ㄷ형채널(132)이 세워지게 접합된 부재 한쌍으로 준비하고 마주보게 배치한 ㄷ형채널(132)에 창호보양재(120)로 보양된 창호유니트(110)를 세운 상태로 끼워 고정함으로써 마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7. 제5항에서,
    상기 (a)단계와 (b)단계의 창호자재(100) 반입은 창호자재(100) 여러 개를 동시에 매단 양중틀(200)을 크레인으로 양중하면서 이루어지며,
    상기 양중틀(200)은,
    사다리꼴 입체형상의 프레임(210);
    상기 프레임 상부 네모서리에 형성되며, 크레인의 갈고리에 걸린 로프가 묶이는 상부고리(220);
    상기 프레임 하부에 마주보는 위치에서 나란하게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창호자재(100)를 묶은 로프가 걸리는 하부고리(2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KR1020080006089A 2008-01-21 2008-01-21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2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089A KR100925806B1 (ko) 2008-01-21 2008-01-21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089A KR100925806B1 (ko) 2008-01-21 2008-01-21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232A KR20090080232A (ko) 2009-07-24
KR100925806B1 true KR100925806B1 (ko) 2009-11-11

Family

ID=4129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0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5806B1 (ko) 2008-01-21 2008-01-21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466B1 (ko) * 2011-05-27 2013-01-1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골조와 외부창호의 동시 시공방법
KR101285189B1 (ko) * 2011-11-29 2013-07-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c 라멘조를 위한 외부 건식벽체 유닛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673A (ko) * 2001-07-23 2003-02-05 소도건설 주식회사 분절공법에 의한 집단형 고층건물의 시공방법
KR100647977B1 (ko) 2005-09-15 2006-11-23 페리유한회사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673A (ko) * 2001-07-23 2003-02-05 소도건설 주식회사 분절공법에 의한 집단형 고층건물의 시공방법
KR100647977B1 (ko) 2005-09-15 2006-11-23 페리유한회사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232A (ko) 200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5911A (zh) 塔吊附墙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CN106437123A (zh) 支腿自动翻转式整体提升电梯井操作平台
JP3196043B2 (ja)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構築方法並びに階段部材
CN102168484A (zh) 一种外挂脚手架及其应用方法
KR101364198B1 (ko)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JP3179045B2 (ja) 作業足場による壁工事方法
KR100925806B1 (ko) 골조와 창호의 병행시공방법
CN202483154U (zh) 一种高承载力悬挂脚手架
CN104775606A (zh) 一种用于预制装配式住宅建筑墙板施工的操作平台及施工方法
KR102102441B1 (ko) 조립식 케이지
CN107268971B (zh) 一种超高层建筑物的双重自提升式外爬架及应用方法
JPH11159128A (ja) 躯体構築用多目的ステージ
KR101140884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2787717B (zh) 自承式组合钢模板施工方法
KR20110094720A (ko)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CN104131635A (zh) 一种预制楼梯间周边剪力墙施工方法及施工平台
JP4027170B2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KR102425363B1 (ko) 클라이밍 시스템 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CN114250975A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井筒液压综合布料平台
KR101219466B1 (ko) 골조와 외부창호의 동시 시공방법
JP5166055B2 (ja) 立体駐車場の施工方法
CN112627543A (zh) 核心筒电梯井钢梁安装用井道内提升架及钢梁施工方法
KR102786962B1 (ko) 작업용 케이지가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CN112027935B (zh) 一种窗下用pc墙板的吊装施工方法
JP2004270377A (ja) 柱梁先組鉄筋体とそれを用いた先組鉄筋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