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087B1 - 자유 정렬 포가 및 화기 장치 - Google Patents

자유 정렬 포가 및 화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087B1
KR100925087B1 KR1020077005670A KR20077005670A KR100925087B1 KR 100925087 B1 KR100925087 B1 KR 100925087B1 KR 1020077005670 A KR1020077005670 A KR 1020077005670A KR 20077005670 A KR20077005670 A KR 20077005670A KR 100925087 B1 KR100925087 B1 KR 100925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 alignment
carriage
height
alignment carriage
fire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827A (ko
Inventor
루디 베크만
Original Assignee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5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08Bearings, e.g. trunnions; Brakes or blocking arrangements
    • F41A27/12Brakes or locks for blocking traversing or elevating gear in a fix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기, 특히 중 기관총의 높이 및 가로 조준을 위한, 화기(2, 2')용 자유 정렬 포가(1)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자유 정렬 포가(1)는, 연속적인 가로 및 높이 조준 장치(8, 10, 12)와, 가로 및 높이 조준을 조정하는 장치 및 대응 작동 요소(42, 51; 64, 82)를 포함한다. 연속 가로 또는 높이 조준을 위한 작동 요소(8, 10, 12)와, 가로 또는 높이 조준을 조정하는 작동 요소(13)는, 손으로 조작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 유닛(21, 22) 내에 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기 장치에 있어서, 자유 포가(1)와, 자유 포가 및 부 포가에 탑재된 화기(2, 2')를 포함하고, 부 포가는 화기 장치를 베이스 또는 지지부(예컨대 건축물 상)에 연결하기 위해 차량 및/또는 삼각대에 결합되는, 화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유 정렬 포가 및 화기 장치{FREE MOUNTING AND WEAPON ARRANGEMENT WITH A FREE MOUNTING}
본 발명은 높이 및 측면을 조정 가능한 화기, 예컨대 기관총, 가닛 발사장치(garnet thrower), 가닛 자동화기 등을 위한 자유 정렬 포가(free arranging gun carriage)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자유 정렬 포가는 3각대 등의 적절한 베이스상에서 지면 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자유 정렬 포가는 차량이나 건축물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핸들형의 제어 유닛을 거쳐서 화기의 극히 가변적인 측면 및 높이 정렬에 적합한 자유 정렬 포가는 미국 특허 제 2,458,956 호에 개시되어 있다. 사수의 지향 운동이 기둥을 거쳐서 전달되고, 기둥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뻗은 샤프트가 측면 정렬을 위해 조정될 수 있고, 샤프트는 화기와 핸들형 제어 유닛에 결합되어 있다. 높이의 정렬을 위해서, 제어 유닛의 수직 회전 운동이 샤프트 드라이브를 거쳐 화기의 수직(높이) 회전 운동으로 변형된다. 화기의 발사를 위해 제어 유닛에 방아쇠 장치가 설치된다. 측면 및 높이의 조정을 위한 장치는 미국 특허 제 2,458,956 호에 개시되어 있지 않다. 전환 드라이브(switch-over drive)가 선택 가능한 상이한 기어 변속비를 갖는 크랭크 회전을 대응하는 정렬 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 구동 정렬 장치가 스위스 특허 제 222826 호에 개시되어 있다. 드라이브의 전환 위치에 따라, 크랭크 운동이 상이하게 전달되어 정렬 운동으로 변환된다. 스위스 특허 제 222826 호는, 조준경의 광축과 튜브 코어(tube core) 사이의 시각(sight angle)을 웜 기어 드라이브를 거쳐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조준 장치(sight device)에 관한 것이다.
자유 정렬 포가는 다양한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자유 정렬 포가는 원활하게 작동하고 정밀하게 조정 가능해야 한다. 화기의 취급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화기의 취급을 향상시켜야 한다. 또한, 조정이 정밀하고 안정적이어야 한다. 특히, 발사 범위에서 가닛을 발사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자유 정렬 포가는 표적 영역에서의 탄약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조정 가능한 높이 및 측면 방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자유 정렬 포가는 상이한 유형의 화기에 적합해야 하고 또 일관된 취급이 가능해야 한다.
전형적인 자유 정렬 포가는 이러한 요건들을 부분적으로만 또는 부적절하게만 충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유형의 화기를 일관되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자유 정렬 포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관된 작동 개념에 의해서, 상이한 종류의 화기에 적응 가능하다. 직관적으로 취급 가능한 제어 요소에 의해서, 모든 중요한 조준 및 발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목적은, 이 제어 요소를 상이한 종류의 화기에 사용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자유 정렬 포가에 의해서 달성된다. 따라서, 자유 정렬 포가는 높이 및 측면 방향을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한 설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자유 정렬 포가는 높이 및 측면 위치를 조정하는, 즉 위치설정된 후에 높이 또는 측면 방향으로 보다 정밀한 조정을 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자유 정렬 포가는 화기 뿐만 아니라 적절한 제어 요소를 작동시키는 방아쇠를 갖는데, 이 방아쇠에 의해서 사수는 높이 또는 측면 방향을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위치설정 후에 높이 또는 측면 방향의 보다 정밀한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제어 요소에 의해서, 사수는 방아쇠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한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제어 유닛은 연속적인 높이 또는 측면 조정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위치설정된 후에 보다 정밀한 높이 또는 측면 조정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능 요소를 포함한다. 몇 개의 제어 유닛, 예컨대 2개의 제어 유닛이 설치되어, 예컨대 사수가, 높이 방향의 연속 조정을 위한 그리고 높이 방향의 보다 정밀한 조정을 위한 장치를 갖는 제어 유닛을 자신의 오른손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사수의 왼손으로는, 측면 방향의 연속 조정과 측면 방향의 보다 정밀한 조정을 위한 제어 요소를 갖는 유사한 제어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개시된 추가의 전개에 따르면, 이들 제어 유닛은 핸들 바에 조립되고 또 사수를 향하는 화기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화기의 주 축(작동 축)을 횡단하여 뻗고, 양자의 제어 유닛 사이에 연결 축을 형성한다. 하나의 제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핸들 레버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어 요소를 포함하며, 이것 에 의해서 방아쇠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 3 항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회전 핸들을 포함하며, 이 회전 핸들에 의해서 스프링 탑재 브레이크 기구가 작동하여 측면 방향 또는 높이 방향의 위치에서 자유 정렬 포가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오른손으로 회전 핸들을 작동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브레이크 기구가 작동하여 높이 방향 위치를 정지시키고, 왼손으로 회전 핸들을 작동시켜서, 브레이크 기구가 작동하여 측면 방향 위치를 정지시킨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추가의 전개에 따르면, 회전 테이블은, 그 회전 테이블을 조작함으로써, 즉 탄성력에 대항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브레이크 기구를 해제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된다. 이것은, 2개의 회전 핸들의 설비에 의해서, 사수가 정지한 측면 방향 위치에서 높이 방향을 조정하고 또 정지한 높이 방향 위치에서 측면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수가 양쪽 회전 핸들을 작동시키면, 사수는 화기를 수평(측방향) 및 수직(높이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에 따른 유압 모형은, 특히 브레이크 해제 유압 장치의 고정, 자동 세정 및 정밀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특별하게 선정된 "유압 전동장치"에 의해서, 손으로 매우 강한 스프링의 제동력에 견디는 것이 가능하다. 즉, 특수하게 설계된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서 지향 위치를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중화기 또는 강력한 반동이 생기는 화기의 경우에도, 발사 후에 화기의 동작이 변화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6에 따르면, 회전 핸들은 유압 부품에 연결되는데, 이 유압 부품은, 브레이크를 해제하거나 또는 브레이크 스프링을 조일 때, 회전 핸들에 재설정 힘을 가하여, 회전 핸들을 시작 위치로 재설정한다. 그 결과, 회전 핸들을 해제할 때, 자유 정렬 포가가 고정 위치를 취한다. 이와 동시에, 회전 핸들은, 회전 영역의 가장자리에 있는 상사점을 지나도록 회전하면, 정지 위치를 취한다. 이러한 정지 위치에서, 회전 핸들은 유압 부품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일정 위치에 고정되므로, 해제되더라도 그의 시작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다. 그 결과, 브레이크는 해제 상태로 유지되고, 화기는 회전 핸들을 작동시키는 일이 없이 자유 정렬 포가상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핸들은 화기를 적절한 위치로 회전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재설정을 위해서는, 수동 회전에 의해서 다른 회전 방향으로의 상사점을 초과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회전 핸들은 포가가 고정되는 시작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청구항 7에 따르면, 회전 핸들의 표시된 작동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커넥팅 로드 커플링이 제공되어, 이것에 의해서 회전 핸들의 회전이, 작동유로 작동하는 피스톤으로서 설계된 유압 부품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청구항 8에 개시된 추가의 전개에 따르면, 회전 핸들의 접촉점과 커넥팅 로드를 거쳐서 회전 핸들에 연결된 유압 부품의 접촉점 사이의 최적의 배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청구항 6에 개시된 작동 모드를 니 레버 시스템(knee-lever system)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처음에, 유압 부품에 의해서, 커넥팅 로드가 회전 핸들의 회전 방향에 대항하는 힘을 가한다. 이 힘을 제로(0)로 감소시키는 상사점을 극복한 후에, 회전 핸들의 회전 방향으로 다른 힘이 증가되어, 유압 부품을 거쳐서 커넥팅 로드에 가해지는 힘을 고정된 위치에 유지시킨다. "니 조인트(knee joint)"의 소정의 과대 확장에 따라서, 정지 위치로부터 해제하는데 필요한 힘을 결정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따르면, 측면 또는 높이 방향의 미세 조정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 요소는, 제어 유닛에 배치될 수 있는 조정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을 제어 유닛의 발단부에 배치함으로써, 연속적인 높이 또는 측면 조정을 위해 제어 요소(회전 핸들 등)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청구항 10에 따르면, 회전 핸들의 회전 축을 향하는 동축 조립체에 의해서 통합 기능이 더욱 증가한다. 그 결과, 2 핸들 조립체의 경우에, 높이 방향(조정 및 정밀 조정)을 위한 제어 요소(회전 핸들 및 제어 기어)와 측면 방향을 위한 제어 요소 사이에 긴밀한 기능적 결합이 항상 존재한다. 이러한 조립체에 의해서, 사수가 자신의 눈을 조준기에서 떼는 일이 없이 포가를 조정하기가 특히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1에 따르면, 조정 또는 방향 설정은, 청구항 12에 개시된 추가의 전재에 따라, 스핀들 전동장치, 특히 자동 잠금 스핀들 전동 장치 형태의 직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수행된다. 청구항 13에 따르면, 이러한 스핀들 전동장치는 벨 크랭크 기어, 예컨대 베벨 기어를 통해서 각 제어 기어와 결합된다. 벨 크랭크 전동장치를 제어 기어의 회전 축에 대해서 실제로 임의의 각도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4에 따르면, 제어 기어는, 그 제어 기어의 인접한 회전 위치 사이의 범위(회전 각도)가 측면 또는 높이 방향의 특정 각도 차에 대응하도록, 각 화기 또는 조준기상에 배열된 조정 범위를 규정하는 고정 멈춤쇠를 구비한다. 그 결과, 사수가 방위 위치를 정밀하고 확실하며 정확히 규정된 재 조정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기 장착판을 2 자유도를 갖는 접합부를 거쳐서 베이스(자유 조정 과정 에서 가동 상태로 유지됨)에 결합함으로써, 방향 설정의 연속 조정 및 보다 정밀한 조정이 기계적으로 완전하게 분리된다. 그러나, 제어 요소의 특수한 배열 때문에, 그들은 기능적으로 통합된다.
청구항 16에 개시된 모델에 따르면, 접합부는 각 단부에 하나의 섹션과, 2개의 단부 섹션 사이에 중앙 섹션을 갖는 접합 로드 형태를 갖는다. 이들 섹션의 각각은 테이퍼진 어댑터에 의해서 결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달성되는 이 접합 로드의 가요성 접합부의 굽힘 및 비틀림 탄성에 의해서, 조정을 행하는데 필요한 베이스에 대하여 한정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한 화기 장착판의 탄력성이 생긴다.
청구항 17에 따르면, 단부 섹션은 베이스의 측벽 내에 상호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단부(고정된 베어링)에서, 단부 섹션은 베이스에 부착된다. 중앙 섹션은 화기 장착판에 부착된다. 액츄에이터는, 이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자마자 접합 로드의 축에 배치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화기 장착판에 탑재된 화기가 회전하도록, 화기 장착판과 베이스 사이에서 기능한다.
청구항 19에 따르면, 화기 장착판과 베이스 사이에 추가의 안내부가 마련된다. 이 안내부는 접합 로드를 과도하게 변형시키거나 왜곡시키는 일이 없이, 화기에서 발생하는 반동력을 화기 장착판으로부터 베이스 쪽으로 전달한다. 이 안내부는 예컨대 베이스에 부착되어 주 축을 횡단하여 뻗어 있고 미끄럼 홈(guideway)에서 이동하는 핀을 갖는 미끄럼 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특징적으로, 미끄럼 홈은 조정 접합 로드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으로 뻗어 있다.
청구항 20에 개시된 모델에 따르면, 베이스는 높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측방향 포이를 거쳐서 피벗 포크에 수직으로 조정 가능하게 현수되어 있다. 피벗 포크는, 측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조정 가능한(회전하는) 수직으로 뻗은 피벗을 거쳐서 스윙 아웃 드럼에 배치된다. 청구항 21에 따르면, 베이스와 피벗 포크 사이에 그리고 피벗 포크와 스윙 아웃 드럼 사이에 브레이크 기구가 설치된다. 이들 브레이크 기구는 각 제어 요소에 의해서 제어되는 액츄에이터와 상호 작용한다.
청구항 22에 개시된 추가의 전개에 따르면, 작동 장치(자유 정렬 포가상에 위치함)와 화기상의 방아쇠 기구의 유압 결합이 존재한다. 각 유압 장치의 결합은, 화기의 방아쇠 기구에 소망하는 바 대로 작용하도록 이루어진다. 그 결과, 자유 정렬 포가에서 실현되는 제어 개념은, 예컨대 완전히 상이한 방아쇠 기구(엄지손가락에 의한 조작, 집게손가락에 의한 조작 등)를 구비하는 다양한 화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사수가 본 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자유 정렬 포가에 익숙해야 하는 이유가, 포가에 탑재된 어떠한 화기를 조작하는데도 전혀 어려움이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청구항 23에 개시된 바와 같은 추가의 전개에 따르면, 이러한 융통성은, 다양한 종류의 화기와 화기 장착판 사이의 절단면을 형성하는 어댑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향상된다. 그 결과, 주로 포가 또는 화기를 전혀 변화시킬 필요 없이, 어떠한 적절한 화기도 본 발명에 개시된 자유 정렬 포가에 연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청구항 24는, 화기가 장착된 본 발명에 개시된 자유 정렬 포가가 특정한 2차 포가에 연결되는 화기 배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2차 포가는 차량에 연결되거나, 또는 화기 배열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스탠드에 의해서 지면이나 차량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신규한 자유 정렬 포가를 사용하여, 특정한 화기 배열에 의한 어떠한 조작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화기를 장착한 신규한 자유 정렬 포가의 사시도 및 어댑터에 배치되어 그 어댑터에 의해서 자유 정렬 포가에 장착되는 다른 화기의 부분 도면,
도 2는 도 1에서 화기를 제거한 상태의 자유 정렬 포가의 배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화기를 제거한 상태의 자유 정렬 포가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제어 유닛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제어 유닛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따른 피벗 핀의 영역에서 자유 정렬 포가의 C-C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따른 포이(trunnion)의 영역에서 자유 정렬 포가의 D-D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접합 로드의 영역에서 베이스 및 화기 장착판을 통해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접합 로드의 영역에서 베이스 및 화기 장착판을 통해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2개의 제어 위치(I 및 Ⅱ)에서 회전 핸들과 유압 부품 사이의 결합을 나타내는 다아이그램.
본 발명의 자유 정렬 포가의 조립체에 대해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자유 정렬 포가(1)는 이 자유 정렬 포가(1)에 고정된 화기(2)의 높이 및 측면 방향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적절한 어댑터(3)에 의해서, 화기(2") 또는 자유 정렬 포가(1)를 임의로 구조 변경할 필요 없이 다양한 화기(2)를 자유 정렬 포가(1)에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유 정렬 포가(1)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뻗은 높이 방향 축(4)을 따른 높이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뻗은 측면 방향 축(5)을 따른 측방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뻗은 높이 방향 축(6)을 따르는 높이 방향 위치와 수직방향으로 뻗은 측방향 축(7)을 따르는 측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8 참조). 자유 정렬 포가(1)는 피벗 디쉬(pivot dish)(8)를 구비하는데, 이 피벗 디쉬에는, 포이(9)에 의해서 피벗 포크(pivot fork)(10) 형태의 베이스가 높이 방향 축(4)을 따라 수직으로 회전하도록 매달려 있다. 높이 방향 축(4)은 2개의 포이(9)를 통해 뻗어 있다. 피벗 디쉬(8)는 수직 하방향으로 돌출한 피벗 핀(11)(도 6 참조)을 갖는 베어링 박스(12)로서 형성된 특수한 스윙아웃 드럼(swing-out drum)에 적소에 설치되어, 측면 방향 축(5)을 따라 회전한다. 베어링 박스(12)는 도시되지 않은 제 2 베이스에 확고하게 부착되며, 제 2 베이스는 자유 정렬 포가(1)를, 예컨대 차량 또는 건축물상에서 지면에 고정된 3각대에 연결한다.
화기(2, 2')는 직접적으로 또는 어댑터(3)를 거쳐서 화기 장착판(13)에 확고하게 부착된다. 피벗 포크(10)에 대해서, 화기 장착판은 높이 조정축(6)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 측면 조정축(7)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화기 장착판(13) 및 피벗 포크(10)는 접합 로드(14)를 거쳐서(도 8 및 9 참조) 그리고 2개의 조정 포이 유닛(15, 16)을 거쳐서(도 4 및 5 참조) 연결되어 있다. 조정 전달 유닛(15)은 측면 방향 위치를 따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조정 전달 유닛(16)은 높이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시된 자유 정렬 포가는 벨트 박스 부속품(17)(도 2 및 3 참조), 부품 프레임(18) 및 조정 가능한 쇼울더 지지체(19)를 포함한다. 벨트 박스 부속품(17)에 연결된 벨트 박스(도시 안됨)로부터, 화기(2, 2')에 포이 벨트(도시 안됨)가 공급된다. 어댑터 레일(20)에 의해서, 부품 프레임(18)상에 각종 연장 부품, 예컨대 조준기, 표적 장치, 야간 투시장치, 거리 측정기(range finder), 램프 등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쇼울더 지지체는 소위 피카티니 레일(picatinny rail)인 어댑터 레일(20)에 부착된다.
화기(2, 2')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자유 정렬 포가(1)를 작동시키고 제어하기 위해서, 화기(2, 2')의 후방에 서 있는 사수의 위치에서 보아 2개의 제어 유닛(21, 22)[하는 좌측 제어 유닛(21)이고 다른 하나는 우측 제어 유닛(22)]이 존재한다. 이들 제어 유닛(21, 22)은 높이 및 측면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보다 정밀한 측면 및 높이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화기의 발사에 필요한 전체의 제어 요소들을 포함한다.
높이 방향을 위해서, 피벗 포크(10)가 2개의 포이(9)(도 7 참조)를 거쳐서 피벗 디쉬(8)에 현수되어 있다. 포이(9)는 피벗 디쉬(8) 또는 피벗 포크(10)의 특정 측벽(23, 24)을 연결한다. 피벗 포크(10)는 2개의 측벽(24)을 연결하는 제 2 베이스(25)를 포함한다. 제 2 베이스(25)상에는, 화기(2, 2')의 주축(27)을 횡단하여 주 브레이크 기구(28)가 배열되는 리시버(26)가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구(28)는 2개의 브레이크 단부(29, 30)를 포함하는데, 이들 단부는 리시버(26)에 배치되고, 그의 외측에 브레이크 패드(31)를 보유하고 있다. 단부(30)와 하나의 축방향 로킹 장치(32)에 부착된 스프링(33)은 브레이크 단부(29, 30)를 서로 멀리 가압하여, 브레이크 패드(31)가 피벗 디쉬(8)의 측벽(23)의 내측에 접촉하게 한다. 그 결과, 피벗 포크(10)가 피벗 디쉬의 내측에 고정되고, 화기(2, 2')의 높이 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제 1 브레이크 기구(28)를 작동(해제)시키기 위해서, 단부(30)는 유압 부품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유압 부품의 내부에서, 로드(34)의 일단부에, 브레이크의 단부(30)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피스톤(35)이 제공되어 있다. 우측 단부(30)를 폐쇄하는 미끄럼 홈(36)을 통하여, 로드(34)가 외측으로 안내된다. 피스톤(35)과 미끄럼 홈(36)의 내부 사이에 배치된 챔버가 부속품 및 유압 배관(도시 안됨)(도 4 및 5 참조)을 거쳐서 우측 제어 유닛(22)에 연결된다. 우측 제어 유닛(22)에는, 스티어링 로드(41)를 거쳐서 회전 핸들(42)에 연결된 유압 부품(40)이 제공된다. 높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서, 사수는 회전 핸들(42)을 수동으로 조작한다. 스티어링 로드(41)는 유압 부품(40)에 회전 운동을 전달하여 유압 배관(39)과 챔버(37)(도 7)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 압력은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피스톤(35)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제 1 브레이크 기구(28)의 전체 길이를 단축시킨다. 그 결과, 브레이크 패드(31)가 피벗 디쉬(8)의 측벽(23)으로부터 분리되고, 피벗 포크(10)가 포이(9)(도 7 참조)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자유 정렬 포가(1)를 제어 유닛(21, 22)과 필요한 경우, 쇼울더 지지체(19)의 지원으로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수는 자유 정렬 포가(1)와 결과적으로 화기(2, 2')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른 위치가 설정되자 마자, 사수는 자신의 손을 회전 핸들(42)에서 뗀다. 스프링(33)이 2개의 단부(29, 30)를 멀어지게 한다. 피스톤(35)은 유압액을 챔버(37)의 외부로 밀어내고, 부속품(38) 및 유압 라인을 거쳐서 유압 부품(40) 내로 가압하며, 스티어링 로드(41)에 의해서, 회전 핸들(42)을 출발 위치로 인도한다. 그 결과, 피벗 포크(10)가 다시 피벗 디쉬(8)에 부착되고, 화기(2, 2')가 수직으로 조정된다. 높이 방향의 조정이 완료된다.
측방향(도 6 참조)의 조정을 위해서, 피벗 핀(11)이 피벗 디쉬(8)의 바닥측에 부착된다. 이 피벗 핀(11)은 측방향 축(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어링 박스(12)의 내부에 배치된다. 피벗 핀은 하측 원통형 베어링 영역(43)과 상측 원통형 베어링 영역(44)을 갖는데, 이들 영역은 베어링 박스(12)의 특수한 구조의 내부 영역으로 포위된 상이한 단면 치수를 갖는다. 측방향 축(5)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뻗고 하방향을 향하는 베어링 영역(45)이, 베어링 박스(12)에 대향된 특수 구조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반경방향 및 축방향의 힘이 피벗 디쉬(8) 또는 피벗 핀(11)과 베어링 박스(12)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부속품은 피벗 핀(1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피벗 디쉬(8)의 바닥(47)에 인접한 포이(11)의 상부 영역을 통해서 제 2 브레이크 기구(48)가 뻗어 있는데, 이 제 2 브레이크 기구는 제 1 브레이크 기구(28)와 유사하게, 스프링(49)을 거쳐서 베어링 박스(11)의 브레이크 드럼형 코일 영역(50) 내로 분리하여 가압된다. 이런 방법으로, 피벗 디쉬(8)가 베어링 박스(12)에 부착되고, 화기(2, 2')는 측방향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측방향의 위치(도 5 참조)를 조정하기 위해서, 제 1 브레이크 기구(28)와 유사한 제 2 브레이크 기구(48)가, 좌측 회전 핸들(51), 스티어링 로드(52), 유압 부품(53) 및 제 2 브레이크 기구(48)에 연결된 수납 관(55)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사수가 좌우측 제어 유닛(21, 22)상의 하나의 회전 핸들(42, 51)을 각각의 손으로 쥐고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기(2, 2')의 측면 및 높이 방향의 조정 또는 포가(1)의 자유 조정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브레이크 기구(28, 48)가 해제된 상태로 화기(2, 2')를 회전 핸들(42, 51)에 의해서 높이 및 측방향 축(4, 5)을 따라서 자유롭게 회전시키고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은 스티어링 로드(52, 41)의 회전 핸들(51, 42)과 유압 부품(40, 53)의 작동 피스톤(56)의 종방향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Ⅰ는 출발 위치의 회전 핸들(41, 52)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Ⅱ는 작동 위치의 회전 핸들(41, 52)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Ⅰ 및 Ⅱ로부터, 화살표 방향(57)의 회전 운동이 스티어링 로드를 거쳐서 화살표 방향(58)의 직선 운동으로 어떻게 전환되는 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각 단부에서, 스티어링 로드(52, 41)는 구형 세그먼트(59)를 갖는데, 이 구형 세그먼트(59)는 작동 피스톤(56)내의 회전 핸들(42, 51)에 있는 특수 리테이너(60, 61)에 설치된다. 작동 피스톤의 리테이너(60)는 테이퍼져 있어서, 스티어링 로드(52, 41)의 각도 위치를 회전 핸들(51, 42)쪽으로 또는 작동 피스톤(56)쪽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회전 핸들(51, 42)의 조정 범위에 상사점(62)을 갖는 관절(knee joint) 조립체가 실행된다.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해서 회전 핸들(51, 42)을 그의 위치(Ⅰ)에서 벗어나서 상사점(62)을 지나 회전시키도록 이 상사점이 조정된다. 그 결과, 작동 피스톤(56)에 전달되는 브레이크 기구(28 또는 48)의 리셋(reset) 힘(F)이 스티어링 로드(41, 52)에 영향을 미쳐서, 외부 회전력을 필요로 함이 없이 회전 핸들(51, 42)을 위치(Ⅱ)에 유지시킨다. 이 위치에서, 스프링(33, 49)이 브레이크 기구(28, 48)를 제공 위치로 인도해야할 필요 없이 회전 핸들(51, 42)을 해제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자유 정렬 포가(1)가 마모의 징후 없이 수평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이 작동 방법은 이동하는 표적을 검출하여 명중시키는데 바람직하다. 반복 세팅을 위해서, 회전 핸들(42, 51)은 화살표 방향(57)을 거슬러 상사점(62)을 지나역 회전하여, 작동 피스톤(56)에 가해지는 리셋 힘(F)이 회전 핸들(62)을 그의 출발 위치(Ⅰ)로 인도한다. 그 결과, 브레이크 기구(28, 48)는 회전 핸들(42, 51)에 회전력을 가하거나 또는 가하지 않으면서 해제되거나 또는 해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브레이크 기구(28, 48)와 회전 핸들(42, 51)의 유압 연결에 의해서, 매우 직접적인 제어가 허용된다. 적절한 "유압" 전달에 의해서, 심지어 높은 제동력을 압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유압 연결 외에, 링크연결 또는 특수한 구조의 지레장치에 의해서 연결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높이 및 측면 방향의 조정을 행하는 과정을 도 4, 5, 8 및 9에 도시한다. 이를 위해서, 조정 전달 유닛(15)을 거쳐서 피벗 포크(10)의 접속편(63)과 결합된 화기 장착판(13)의 후방(사수를 향하는 쪽) 단부에 좌측 제어 유닛(21)이 부착된다. 측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전달 유닛은, 외부 나사 블록(65)을 거쳐서 내부 나사 슬리브(66)에 결합하는 제어 기어(64)를 포함한다. 내부 나사 슬리브(66)는, 측방향의 위치설정을 위해 볼트(69)에 의해서 결합 편(63) 내의 소켓(70)에 부착된 로드(67)를 거쳐서 결합 편(68)에 부착되어 있다. 소켓(70)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결합 편(63)의 축(7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측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사수는 제어 기어(64)를 회전 축(72)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 과정 중에, 제어 기어(64)와 회전하지 않게 연결된 외부 나사 블록(65)의 나사가 내부 나사 슬리브(66)의 내부 또는 외부로 나사결합 또는 해제된다. 나사 결합 과정 중에, 측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전달 유닛(15)의 전체 길이가 단축된다. 로드(67)는 결합 편(63)을 결합 편(68) 및 소켓 위로 이동시키고, 결과적으로 화기 장착판(13)의 후단부를 피벗 포크(10)의 결합 편(63)쪽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은, 전단부가 접합 로드(14)를 거쳐서 피벗 포크(10)와 결합된 화기 장착판(13)가 측면 조정 축(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도 8 참조). 이 과정에서, 접합 로드(14)는 왜곡(절곡)된다. 또한, 접합 로드(14)는 테이퍼진 어댑터(74, 75)를 거쳐서 중앙 섹션(76)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단부 섹션(72, 73)를 갖는다. 접합 로드는 높이 조정 축(6)과 동축으로 뻗어 있다. 단부 섹션(72, 73)의 각각은 피벗 포크(10)의 측벽(24) 내에 특정 리테이너에 상호 결합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일 단부 섹션(72)에는 스크류 볼트(760)가 부착되어 있다. 타 단부 섹션(73)은 자유 회전하는 각 리테이너에 상호 결합된다. 화기 장착판(13)는 접합 로드의 중앙 섹션(76)을 수용하는 소켓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중앙 섹션(76)은 리테이너 소켓과 중앙 섹션(76)을 관통하는 볼트(도시 안됨)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조정 전달 유닛(15)에 의해서 조정하는 과정에서, 화기 장착판(13)의 후단부는 피벗 포크(10)에 대해서 또는 결합 편(63)에 대해서 수평방향(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피벗 포크(10) 및 화기 장착부의 리테이너 내의 접합 로드(14)의 부착은, 측방향 조정 축(7)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테이퍼진 어댑터(74, 75)가 휘어지고, 단부 섹션(73)이 피벗 포크(10)의 측벽(24)에서 직선 운동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어댑터(74, 75)는, 특히 수평 방향으로 유연성이 증가하는 한편 수직 방향으로는 단면적이 완전하게 전개되는 정도까지 평탄하게 된다. 이것은 접합 로드(14)의 수직 방향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것은, 화기(2, 2') 및 그와 관련된 구조용 부품의 중력이 접합 로드(14)의 휨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최소의 휨만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9는 반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추가의 미끄럼 홈(guideway)(78)을 도시하고 있다. 이 미끄럼 홈은 화기 장착판(13)의 종방향 융기부(80) 내에서 뻗은 만곡된 미끄럼 홈(79)과, 피벗 포크(10)의 만곡된 교차 닙(nib)(8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의 곡률 반경은 안내 영역과 측면 조정 축(7)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교차 닙(81)은 미끄럼 홈(79) 내측에 뻗어 있고, 접합 로드(14)를 변형 및 왜곡시킴이 없이 그리고 화기(22')를 그의 조정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일이 없이 화기(2, 2')가 발사될 때, 반동력을 받는다.
일부 모델(도시 안됨)에서, 미끄럼 홈은 피벗 포크(10)의 내측에 위치하고, 교차 닙 또는 핀은 화기 장착판(13)상에 위치한다.
도 5는 높이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전달 유닛(16)이 측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전달 유닛(16)과 유사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유일한 차이점은, 제어 기어(82)가 샤프트(83)를 거쳐서 베벨 기어(85, 86)와 함께 벨 크랭크(84)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수직으로 배열된 베벨 기어(87)는 제어 핀(87)의 외부 스크류 나사와 상호 작용하는 내부 스크류 나사(86)를 가지며, 제어 핀(87)은 피벗 포크(10)에 연결된 어댑터 베이스(89)에 크로스 바(88)를 거쳐 결합되어 있다. 제어 기어(82)를 회전시키면, 베벨 기어(86)가 샤프트(83) 및 베벨 기어(85)에 의해서 동력을 공급받는다. 베벨 기어(86)는 회전을 통하여 화기 장착판(13)의 후단부와 함께 외부 스크류 나사를 따라 제어 핀(87)상에서 수직방향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접합 로드(14)가 중앙 섹션(74)의 회전 말단이 되고, 회기 장착부(13)가 화기(2, 2')와 함께 높이 조정 축(6)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위아래로 회전한다.
변형 모델(도시 안됨)에서, 접합 로드는, 단부 섹션(72, 73) 및 중앙 섹션(77)이 완전한 끼움 접속을 거쳐서 피벗 포크(10) 또는 화기 장착판(13)와 비틀림 없이 결합되도록 설계된다. 그러한 비틀림 없는 완전한 끼움 접속은, 예컨대 특정한 홈, 다측면 윤곽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에 의해서 실현된다. 그러한 접속에서, 테이퍼진 어댑터(74, 75)는 높이 조정 과정에서 비틀려진다. 피벗 포크내의 단부 섹션(72)의 축방향 부착과 중앙 섹션(77) 상의 화기 장착판(13)의 축방향 부착은, 통상의 완전한 끼움 또는 마찰 잠금 방식(클램핑 끼움, 억지 끼움)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모델에서, 상술한 접합 로드는 2개의 자유도로 짐벌(gimbal) 장착된다. 예컨대, 이것은 화기 장착부의 바닥측에 배치되어 볼트가 관통하는 수직 드릴 구멍을 갖는 강성 접합 로드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화기 장착판(13)는 볼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리고 로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소켓(70)은 결합 편(63)에 활주 위치에 배치되어, 결합 편이 소켓(70)을 향하여 그리고 그에 따라 절곡력을 가할 필요 없이 조정 전달 유닛(15)을 향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횡방향 볼트(88)상의 제어 핀(87)의 현수는, 측방향의 위치 조정 과정에서, 횡단 볼트(88)를 제어 핀(87)의 장착 구멍에서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지 프레임(89)으로부터 제어 핀으로의 상대 이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수행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장착 프레임은 각각의 구멍(90)(도 5 참조)을 갖는다.
제어 기어(64, 82)는 이 제어 기어(64, 82)를 하나의 표시 위치로부터 다음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만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멈춤쇠(detent)(91)를 갖는다. 그 결과, 요소(65, 66; 86, 87)의 나사 피치에 따라서, 화기 장착판(13)가 한정된 정도로만 회전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멈춤쇠(91)의 거리와 나사 피치는, 제어 기어(64, 82)의 회전 위치 사이의 회전 각이 화기(2, 2') 또는 관련된 조준 또는 표적 장치에 따라 정렬되는 한정된 높이 또는 측면 각도차에 대응하도록 선택된다.
일부 모델(도시 안됨)에서, 높이 조정 또는 측면 조정은, 전술한 스핀들/직선 전달에 의해서 보다는 적절한 유압 드라이브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실린더/피스톤 조립체는 피벗 포크에 대한 화기 장착판(13)의 수평 또는 수직 조정을 취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제어 기어(64, 82)상에 각각의 유압 부품이 존재한다.
도 4는 화기(2, 2')를 발사하기 위해서, 각 제어 유닛(21, 22)은 액츄에이터(95)와 접속된 유압 부품(93)을 갖는 작동 레버(92)를 구비하고 있고, 유압 부품은 유압 라인(94)을 거쳐 화기(2, 2')의 방아쇠 기구에 작용한다(도 1 참조). 이 목적을 위해서, 하나의 액츄에이터(95)가 단발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회전할 수 있고, 제 2 액츄에이터(95)가 연발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안전하고 보수 유지가 적은 상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유압 결합 이외에, 링크, 지레 장치 또는 전기적으로 또는 전자기적으로 작동하는 다른 소자 또는 방아쇠(trigger)와 같은 적절한 기계적 요소에 의해서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자유 정렬 포가(1)는 360°의 수평 회전 범위(측방향)와 수평 레벨에 대하여 -10°내지 +40°의 수직 회전 범위(높이 방향)를 제공한다.
각각의 구조용 부품의 적절한 조정에 의해서, 다른 회전 범위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벗 포크(10)를 향한 포가(13)의 조정 영역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20'에 이른다. 하나의 지표 위치로부터 다음 위치로의 제어 기어(64, 82)의 조정의 결과, 항상 높이 또는 측면 방향으로 1'의 위치 조정이 행하여진다. 1'은 1킬로미터의 거리에서 1 미터의 조준 편차에 대응하는 각도 조정과 관련이 있다. 2개의 지표 위치간의 위치 차이가 유닛(1')의 복수 또는 소량에 대응한 모델이 존재한다. 실험을 통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다른 변형 또는 변동을 발견할 수 있었다.

Claims (24)

  1. 높이 및 측면을 조정 가능한 화기(2, 2')용 자유 정렬 포가(gun carriage)(1)에 있어서,
    높이 및 측면 방향의 연속적인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8, 10, 12)와,
    높이 및 측면 방향의 보다 정밀한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15, 13, 16)와,
    높이 또는 측면 방향의 조정 및 높이 또는 측면 방향의 보다 정밀한 조정을 위한 제어 요소(42, 51; 64, 82)로서, 상기 제어 요소는 수동으로 제어 가능한 제어 유닛(21, 22)과 결합되는, 상기 제어 요소(42, 51; 64, 82)를 포함하며,
    제 1 제어 요소(42)는 상기 자유 정렬 포가(1)를 높이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1 브레이크 기구(28)를 구동시키고,
    제 2 제어 요소(51)는 상기 자유 정렬 포가(1)를 측면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2 브레이크 기구(48)를 구동시키고,
    높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제 3 제어 요소(82)는 상기 높이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13, 16)를 구동시키고,
    측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제 4 제어 요소(64)는 상기 측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13, 15)를 구동시키는
    자유 정렬 포가.
  2. 제 1 항에 있어서,
    핸들 바 형태의 2개의 상기 제어 유닛(21, 22)은 화기(2, 2')의 후단부에서 화기(2, 2')의 주 축(27)을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어 유닛(21, 22)에 의해 높이 또는 측면 방향의 조정 또는 보다 정밀한 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21, 22)에는 방아쇠(95)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요소(92)가 설치되어 있는
    자유 정렬 포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요소는 회전 핸들(42, 51)로서 설계되는
    자유 정렬 포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핸들(42, 51)은,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회전 핸들(42, 51)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기구(28, 48)를 해제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접속되어 있는
    자유 정렬 포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유압으로(hydraulically) 작동하고, 유압 부품(40, 53), 유압 라인(55) 및 브레이크 장치를 해제하는 유압 장치(35)를 구비하는
    자유 정렬 포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핸들(42, 51)은 유압 부품(40, 53)에 연결되고, 조정 범위 내에서상기 회전 핸들(42, 51)을 조작할 때, 탄성력을 통해서 유압 장치(35) 및 유압 라인(55)을 거쳐 전달되는 동력이 회전 핸들(42, 51)의 회전 방향(57)에 대항하는 힘을 가하여 회전 핸들(42, 51)을 재설정하고, 상기 회전 핸들(42, 51)을 상사점(62)을 지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유압 부품(40, 53)에 작용하는 힘(F)이 회전 핸들을 정지 위치에 이르게 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 핸들(42, 51)에 어떠한 외력도 가해지지 않으면서, 브레이크가 해제 위치에 유지되는
    자유 정렬 포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핸들(42, 51)과 상기 유압 부품(40, 53) 사이의 접속은 커넥팅 로드(41, 52)에 의해서 실행되고, 상기 커넥팅 로드는 상기 회전 핸들(42, 51)의 회전 운동을 상기 유압 부품(40, 53)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자유 정렬 포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41, 52)의 각 단부는 볼 조인트(59)를 거쳐서 상기 회전 핸들(42, 51) 및 상기 유압 부품(40, 53)에 연결되어 있는
    자유 정렬 포가.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또는 측면 방향의 조정을 위한 장치(13, 16; 13, 15)용 제 3 및 제 4 제어 요소는 상기 제어 유닛(21, 22) 상에 배열되는 제어 기어(64, 82)로서 설계되는
    자유 정렬 포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요소는 회전 핸들(42, 51)로서 설계되며,
    상기 제어 기어(64, 82)는 상기 회전 핸들(42, 51)의 회전 축(720)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는
    자유 정렬 포가.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또는 측면 방향의 보다 정밀한 조정을 위한 장치는 상기 제어 기어(64, 82)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는 조정 구동 유닛(15, 16)을 거쳐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화기 장착부(13)를 구비하는
    자유 정렬 포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구동 유닛(15, 16)은 선형 구동부의 형태를 취하는
    자유 정렬 포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15, 16)는 벨 크랭크 전동장치(84)를 거쳐서 상기 제어 기어(64, 82)에 결합되는
    자유 정렬 포가.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어(64, 82)는 균일하게 분포된 멈춤쇠(91)에 의해 한정된 회전 위치를 취하고, 상기 제어 기어(64, 82)의 회전 위치 사이의 회전 각도는 높이 또는 측면 방향의 특정 각도차에 대응하는
    자유 정렬 포가.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기 장착부(13)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2 자유도를 갖는 조인트를 거쳐서 베이스(10)에 결합되는
    자유 정렬 포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 자유도를 갖는 조인트는 2개의 단부 섹션(72, 73) 및 중앙 섹션(76)을 가진 접합 로드(14)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섹션(76)의 각 단부에서, 테이퍼진 평탄한 어댑터(74, 75)가 단부 섹션(72, 73)에 대한 접속을 형성하여, 각 단부 섹션이 상기 중앙 섹션(76)과 함께 가요성 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요성 접속부가 실제로 상기 테이퍼진 어댑터(74, 75)를 구성하는
    자유 정렬 포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로드(14)는 화기(2, 2')의 주 축(27)을 횡단하여 연장하고, 상기 단부 섹션(72, 73)은 상기 화기 장착부를 둘러싸는 베이스(10)의 측벽(24) 내로 돌출하여 특정 개구부에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접합 로드(14)의 중앙 섹션(76)은 상기 화기 장착부에 연결되는
    자유 정렬 포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섹션(72, 73) 중 하나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10)에 상호 연결되는
    자유 정렬 포가.
  19. 제 15 항에 있어서,
    화기의 주 축(27)을 횡단하여 연장하는 안내부(78)가 화기 장착부(13)와 베이스(10) 사이의 반발력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안내부(78)는 상기 베이스에 부착된 미끄럼 홈(guideway)(79)과, 상기 화기 장착부(13)상에 조립되며 상기 홈(79) 내에 연장되는 횡단 닙(81)의 형태로 구성되는
    자유 정렬 포가.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높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2개의 측방향 포이(trunnion; 9)를 거쳐서 피벗 디쉬(8)에 수직으로 조정 가능하게 현수되어 있고, 상기 피벗 디쉬(8)는 측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수직으로 뻗은 피벗 핀(11)을 거쳐서 저장 드럼(12)에 배치되는
    자유 정렬 포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 1 브레이크 기구(28)는 베이스(10)와 피벗 디쉬(8) 사이의 높이 방향 조정을 정지시키고, 제 2 브레이크 기구(48)는 피벗 디쉬(8)와 저장 드럼(12) 사이의 측면 방향 조정을 정지시키는
    자유 정렬 포가.
  2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는 유압 부품(93), 유압 라인(94) 및 유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부품(93)은 상기 제어 요소(92)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압 장치는 화기(2, 2')의 방아쇠의 액츄에이터(95)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자유 정렬 포가.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이한 화기(2, 2')가 특정 어댑터(3)를 거쳐서 상기 화기 장착부(13)에 부착될 수 있는
    자유 정렬 포가.
  24. 화기 장치에 있어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자유 정렬 포가(1)와,
    상기 자유 정렬 포가(1)에 조립된 화기(2, 2')와,
    2차 포가에 탑재된 자유 정렬 포가(1)를 포함하고,
    상기 2차 포가가 차량 또는 스탠드에 결합됨으로써, 화기(2, 2')가 지면 또는 차량에 고정되는
    화기 장치.
KR1020077005670A 2004-09-09 2005-09-08 자유 정렬 포가 및 화기 장치 KR100925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3711.4 2004-09-09
DE102004043711A DE102004043711B4 (de) 2004-09-09 2004-09-09 Freirichtlafette sowie Waffenanordnung mit einer Freirichtlafe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827A KR20070057827A (ko) 2007-06-07
KR100925087B1 true KR100925087B1 (ko) 2009-11-05

Family

ID=3535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670A KR100925087B1 (ko) 2004-09-09 2005-09-08 자유 정렬 포가 및 화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10391B2 (ko)
EP (1) EP1848950A1 (ko)
KR (1) KR100925087B1 (ko)
CA (1) CA2578832C (ko)
DE (1) DE102004043711B4 (ko)
WO (1) WO2006027249A1 (ko)
ZA (1) ZA2007019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9513B2 (en) * 2003-10-09 2010-03-02 Elbit Systems Ltd. Multiple weapon system for armored vehicle
BE1016871A3 (fr) * 2005-12-05 2007-08-07 Fn Herstal Sa Dispositif ameliore pour la telecommande d'une arme.
US8448561B2 (en) * 2006-08-24 2013-05-28 Raytheon Company Weapon mount
US20080047421A1 (en) * 2006-08-24 2008-02-28 Carroll Alf L Iii Weapon mount
US20080047420A1 (en) * 2006-08-24 2008-02-28 Carroll Alf L Iii Weapon mount
US8109192B2 (en) * 2009-01-28 2012-02-07 Nobles Manufacturing, Inc. Locking mount system for weapons
US8322269B2 (en) * 2009-02-06 2012-12-04 Flex Force Enterprises LLC Weapons stabilization and compensation system
ES2351448B1 (es) * 2009-05-07 2012-03-15 Explosivos Alaveses, S.A. Sistema de absorción de cargas din�?micas.
US8479634B2 (en) * 2010-06-16 2013-07-09 William J. Nemec Trunnion nose guard
US8549786B1 (en) 2010-12-17 2013-10-08 Todd Griffith Rifle rest
US8347776B2 (en) 2011-01-24 2013-01-08 Milton Manufacturing, Inc. Vehicle attached gun mount
US8413569B1 (en) * 2011-09-28 2013-04-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arallel actuator gun mount
US8978538B1 (en) * 2012-08-28 2015-03-17 Chris Schaller Secondary weapon mount
US10371479B2 (en) * 2013-09-11 2019-08-06 Merrill Aviation, Inc. Stabilized integrated commander's weapon station for combat armored vehicle
US9074847B1 (en) 2014-08-28 2015-07-07 Flex Force Enterprises LLC Stabilized weapon platform with active sense and adaptive motion control
KR101649411B1 (ko) * 2014-09-30 2016-08-18 현대위아 주식회사 원격사격체계의 고각 구동장치의 브레이크 해제장치
ES2565694B1 (es) * 2014-10-03 2017-01-20 Anortec, Sl Afuste orientable modular para armas y kit de afuste orientable modular
ES2614253B1 (es) * 2015-11-27 2018-03-15 Anortec, Sl Afuste orientable modular para armas, perfeccionado
US9739561B1 (en) * 2017-02-28 2017-08-22 H & H Tool Shop, Llc Mounting assembly for a firearm
CN108627047A (zh) * 2018-07-12 2018-10-09 中国人民解放军陆军炮兵防空兵学院郑州校区 通用型枪代炮射击支撑装置
DE102019008623A1 (de) * 2019-12-13 2020-12-24 Bundesrepublik Deutschland, vertr. durch das Bundesministerium der Verteidigung, vertr. durch das Bundesamt für Ausrüstung, Informationstechnik und Nutzung der Bundeswehr Lafetten-Adapter-Set
US10982924B1 (en) * 2020-10-19 2021-04-20 Saudi Advanced Technologies Company (Wahaj) Weapon mou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8409A (en) * 1942-03-18 1945-06-19 Joseph F Joy Hydraulic elevat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5403A (en) * 1918-11-15 1920-03-30 Spencer C Stanley Machine-gun tripod
US1805547A (en) * 1930-02-24 1931-05-19 Colt S Mfg Co Machine gun mount
NL49939C (ko) * 1938-12-30
US2441874A (en) * 1942-02-24 1948-05-18 Harold W Evans Gun mount for land and water vehicles
CH222826A (de) * 1942-06-23 1942-08-15 Emil Busch Ag Zieleinrichtung für Geschütze, Maschinengewehre oder dergl.
US2458956A (en) * 1942-06-26 1949-01-11 Motley Lewis Gun mounting
US2566855A (en) * 1943-01-04 1951-09-04 Rose Brothers Ltd Gun mounting
US2412109A (en) * 1943-12-03 1946-12-03 Bell Aircraft Corp Gun and sight mounting
US2486526A (en) * 1945-03-03 1949-11-01 United Shoe Machinery Corp Fire control apparatus
US2452147A (en) * 1945-05-09 1948-10-26 United Shoe Machinery Corp Training mechanism for firearms
US2841887A (en) * 1945-05-09 1958-07-08 Clark Kendall Gun training mechanism
US2596223A (en) * 1946-08-16 1952-05-13 United Shoe Machinery Corp Control apparatus for power-operated gun mounts
NL83466C (ko) * 1951-07-11
US2782687A (en) * 1952-05-16 1957-02-26 Mach Tool Works Oerlikon Gun carriage with pedal-controlled training
US2858740A (en) * 1952-08-01 1958-11-04 Michael G Harring Gun carriage rotatable through 360 deg.
DE1095165B (de) * 1958-08-21 1960-12-15 Hans Kolb Lafette
LU45645A1 (ko) * 1964-03-12 1965-09-13
US3233517A (en) * 1964-09-08 1966-02-08 Robert N Morrison Tripodal gun support
CH494940A (de) * 1966-06-24 1970-08-15 Walter Dipl Ing Ruf Panzerfahrzeug mit einer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leichten Waffe auf dem Dach
DE2902992C3 (de) * 1979-01-26 1981-09-24 Heckler & Koch Gmbh, 7238 Oberndorf Lafette zur Aufnahme leichter Maschinenwaffen mit einer Umlenkvisierung
US4686888A (en) * 1983-06-22 1987-08-18 Am General Corporation Turret system for lightweight military vehicle
US5922987A (en) * 1996-06-18 1999-07-13 Mcdonnell Douglas Helicopter Co. Hydraulic traverse and elevation mechanism
FR2827668B1 (fr) * 2001-07-17 2003-10-03 Giat Ind Sa Systeme de pointage en site et en gisement d'une arme
SE520373C2 (sv) * 2001-09-18 2003-07-01 Alvis Haegglunds Ab För ett militärt fordon avsett vapentorn bestyckat med ett mellankalibrigt automatvapen och ett relativt grovkalibrigt vap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8409A (en) * 1942-03-18 1945-06-19 Joseph F Joy Hydraulic elevat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78832C (en) 2009-11-24
ZA200701986B (en) 2008-05-28
CA2578832A1 (en) 2006-03-16
DE102004043711A1 (de) 2006-03-30
US7210391B2 (en) 2007-05-01
KR20070057827A (ko) 2007-06-07
DE102004043711B4 (de) 2007-05-31
EP1848950A1 (de) 2007-10-31
WO2006027249A1 (de) 2006-03-16
US20060048642A1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087B1 (ko) 자유 정렬 포가 및 화기 장치
US7047863B2 (en) Remote aiming system with video display
WO2014148766A1 (ko) 비동축형 견착부와 조준기를 갖는 굴절형 화기
ZA200610075B (en) Shoulder support
WO2019178530A1 (en) Firearm scope mount
KR100522269B1 (ko) 권총 및 소총용 광총
CA2602558A1 (en) Fastening system for fixing a component to a small arm and small arm comprising such a system
EP1144936B1 (en) Loading system
DE1288957B (de) Feuerleitanlage mit einem Zielfernrohr und Infrarot-Ortungsgeraet
EP1420282A1 (en) Pre-assembled pivoting lens unit
CN110081772A (zh) 使用两脚架支撑遥控狙击步枪的方法及其遥控操枪机构
KR100539855B1 (ko) 위치 조정 장치
RU201091U1 (ru) Приклад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оворотной щекой
US4193334A (en) Gun sight positioning mechanism
US4970938A (en) Mechanical servosystem for optical aiming device
US4635526A (en) Weapon for launching a number of grenades
US4791853A (en) Weapon aiming system for use in a tank
RU2256138C1 (ru) Оружейная установка
AT502686B1 (de) Plattform für ein optronisches zusatz-zielgerät
RU2265784C1 (ru) Станок оружия
CA2273116C (en) Weaponry sight device
US886598A (en) Gun with screw elevating mechanism and adjustable sight device.
CN117870455A (zh) 一种用于巷战辅助枪械配件
EP0162180A1 (en) Weapon for launching a number of grenades
PT800050E (pt) Arma de fogo para fins multipl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