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955B1 - 데이터 기록 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 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955B1
KR100923955B1 KR1020037016198A KR20037016198A KR100923955B1 KR 100923955 B1 KR100923955 B1 KR 100923955B1 KR 1020037016198 A KR1020037016198 A KR 1020037016198A KR 20037016198 A KR20037016198 A KR 20037016198A KR 100923955 B1 KR100923955 B1 KR 100923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ymbol
symbols
recording
refl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973A (ko
Inventor
사이토아키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디스크 앤드 디지털 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디스크 앤드 디지털 솔루션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디스크 앤드 디지털 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05000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9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are linked to media defects or read/write e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11B20/0011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wherein the record carrier stores a unique medium identif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8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devices recording or reproducing contents to/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0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devices recording or reproducing contents to/from a record carrier wherein the copy protection scheme builds on multi-session recording, e.g. defective table of contents [TOC] in the 2nd ses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57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 G11B20/005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said format change concerning the physical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 G11B20/005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said format change concerning the physical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wherein the shape of recording marks is altered, e.g. the depth, width, or length of 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11B2020/14618 to 14 modulation, e.g. the EFM code used on CDs or 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11B2020/183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Reed Solomon [RS] code
    • G11B2020/18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Reed Solomon [RS] code using a cross-interleaved Reed Solomon [CIR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4 심볼의 데이터(도 11a)로부터 2심볼의 패리티(도 11b)가 생성된다. 이들의 6심볼이 EFM 변조되어 각 심볼의 8비트가 14비트의 패턴으로 변환된다(도 11c). 디스크 상에 형성된 피트/랜드 열(도 11d)에 있어서 2개의 심볼을 재기입한다. 1개는, 원래 (0x40)로 되어 있는 것이다. 피트/랜드 열에 대해서 추가 기록을 행함으로써, 비트 길이가 길어진다(도 11e). 재생된 14비트의 데이터는, 재생 측에서 8비트로 변환된다. 원래의 데이터(0x40)가 (0x22)에 재기입된다. 추가 기록된 데이터 심볼(0x22)이 에러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패리티도 변경한다.
Figure R1020037016198
반사막, 기록 영역, 패리티, 심볼, 피트, 랜드

Description

데이터 기록 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판독 전용(ROM) 타입의 광디스크에 대해 적용되는 데이터 기록 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널리 보급되어 있는 콤팩트 디스크(CompactDisc;CD)의 규격은 콤팩트 디스크 오디오(CD-DA)로 불려지는 규격서(RedBook)에 기재된 규격에 따른 것이다. 이 규격서를 기초로 하여, CD-ROM를 시작으로 하는, 여러 가지의 포맷이 규격화되어 이른바 CD패밀리가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지 CD라고 칭했을 경우에는, CD패밀리에게 포함되는 각종의 포맷의 디스크를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
반사막을 가지는 디스크에 대해서, 반사막의 재료를 선정하고, 레이저 빔을 반사막에 조사함으로써, 피트의 길이를 바꾸어 그에 따라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록을 적정하게 추가 기록이라고 하기로 한다. 이 반사막에 대한 추가 기록에 의해, 예를 들면 디스크의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D 포맷에 있어서, 식별 정보를 기록하려고 했을 경우, CD 포맷에 있어서의 Q 채널의 서브 코드를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CD에서는, CIRC(Cross lnterleave Reed-Solomon Code)라고 하는 에러 정정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반사막에 대해서 디스크 식별 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추가 기록했을 때, 추가 기록된 데이터가 CIRC에 의해 에러로서 검출되어 정정된다. 이 경우에는, 추가 기록되기 전의 원래의 데이터가 판독된다. 또, CIRC의 에러 정정 능력을 넘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정정 불능이 되어, 에러로서 읽어낼 수 없게 되거나 보간에 의해 추가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낼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먼저 제안되어 있는 추가 기록의 방법은, 에러 정정 부호화가 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만 행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추가 기록의 적용 범위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 기록의 적용 범위를 보다 확장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 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매체는, 반사막을 가지는 데이터 기록 매체에 있어서,
복호했을 때 에러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의 기록 영역 중 일부의 데이터가 반사막으로의 기록에 의해 재기입된 데이터 기록 매체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방법은, 반사막을 가지는 데이터 기록 매체를 작성하기 위한 기록 방법에 있어서,
복호했을 때 에러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의 기록 영역 중 일부의 데이터를 반사막으로의 기록에 의해 재기입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장치는, 반사막을 가지는 데이터 기록 매체를 작성하기 위한 기록 장치에 있어서,
복호했을 때 에러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의 기록 영역 중 일부의 데이터를 반사막으로의 기록에 의해 재기입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복호했을 때 에러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반사막에 대해서 추가 기록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러 정정 부호화를 복호했을 때 재기입 데이터를 읽을 수 없게 되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에러 정정 부호화가 된 영역에 대해서도 추가 기록이 가능해져, 추가 기록의 적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CD의 기록 패턴과 CD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스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추가 기록의 설명을 위한 약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광디스크의 기록 포맷의 설명을 위한 약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광디스크의 기록 포맷의 설명을 위한 약선도이다.
도 6은 CIRC의 인코더의 일례의 블록도이다.
도 7은 CIRC의 인코더의 일례의 것보다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8은 CIRC의 디코더의 일례의 블록도이다.
도 9는 CIRC의 디코더의 일례의 것보다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CIRC의 인터리브의 설명을 위한 약선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가 기록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이다.
도 12는 CIRC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추가 기록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이다.
도 13은 CIRC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추가 기록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이다.
도 14는 CIRC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추가 기록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이다.
도 15는 CIRC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추가 기록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디스크 식별 정보(이하, UDI라고 칭한다)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해서 기록하는 경우에 적용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UDI는 개개의 디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UDI는 예를 들면 디스크 제조자명, 디스크 판매자명, 제조 공장명, 제조년, 시리얼 번호, 시간 정보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추가 기록되는 정보는 UDI에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정보로 양호하다. UDI는 예를 들면 기지의 CD 플레이어 또는 CD-ROM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기록 된다. 먼저, 일실시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광디스크, 예를 들면 CD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기지의 CD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소정 트랙 피치 Tp(예를 들면 1.6μm)의 트랙 상에, 피트라고 하는 요부와 피트가 형성되지 않은 랜드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피트 및 랜드의 길이는, 3T~11T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T는, 최단의 반전 간격이다. CD에는 아래쪽으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레이저광이 맞는 아래쪽으로부터 차례로, 두께 1.2 mm의 투명 디스크 기판(1)과 그 상에 피복된 반사막(2)과 반사막(2)에 피복된 보호막(3)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반사막(2)은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CD는 판독 전용 디스크이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사막(2)이 피복된 후에, 반사막(2)에 대해서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정보(UDI)가 기록된다.
이와 같은 CD의 제조 공정의 흐름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에서는 유리판에 감광 물질인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된 유리 원반이 스핀들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기록 신호에 따라 온/오프된 레이저광이 포토레지스트 막에 조사되어 마스터가 작성된다. 포토레지스트 막이 현상 처리되어 포지형 레지스트의 경우에는 감광된 개소가 녹아, 요철 패턴이 포토레지스트 막 상에 형성된다.
포토레지스트 원반에 대해서 도금이 되는 전기 주조 처리에 의해 1매의 메탈 마스터가 작성된다(스텝 S2). 메탈 마스터로부터 복수 매의 마더가 작성되고(스텝 S3), 또한, 이 마더로부터 복수 매의 스탬퍼가 작성된다(스텝 S4). 스탬퍼를 사용하여 디스크 기판이 작성된다. 디스크 기판의 작성 방법으로서는, 압축성형, 사출 성형, 광 경화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스텝 S6에 있어서, 반사막 및 보호막이 피착된다. 종래의 디스크 제조 방법에서는, 또한, 라벨 인쇄를 행함으로써 CD를 제작하고 있었다.
한편, 도 2의 예에서는, 반사막(미러부 예를 들면, 랜드)에 대해서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또한, 정보를 추가 기록하는 공정 S7이 부가된다. 반사막 위의 랜드는,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열처리(열기록)에 의해 원자가 이동하여 막구조나 결정성이 변화되고, 그곳의 개소의 반사율이 저하된다. 그 결과, 랜드일지라도, 레이저광이 조사된 다음에는, 귀환 레이저광이 적게 되어, 판독 장치로부터는 피트와 마찬가지로 인식된다.
이것을 이용하여 비트 길이를 변화시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막은, 반사율이 레이저 조사에 의해 변화하는 재료가 사용된다. 반사율이 저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에 의해 반사율이 높아지는 재료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의 합금막 Al100-yXy로 반사막이 구성된다. X로서는, Ge, Ti, Ni, Si, Tb, Fe, Ag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원소가 사용된다. 또, A1합금막중의 조성비 y는, 5<y<50〔원자%〕로 선정된다.
또, 반사막을 Ag100-zYz의 Ag 합금막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그 경우, Y로서는, Ge, Ti, Ni, Si, Tb, Fe, Al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원소가 사용된다. 또, A1합금막 중의 조성비 z는, 5<z<50〔원자%〕로 선정된다. 반사막은 예를 들면,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AlGe 합금에 의한 반사막을 50 nm의 막두께로 형성하고, 대물 렌즈를 통하여 투명 기판 또는 보호막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했을 경우에, Ge의 조성비가 20〔원자%〕의 경우에는, 기록 파워가 6~7〔mW〕의 경우에, 반사율이 6% 정도 저하되고, Ge의 조성비가 27.6〔원자%〕의 경우에는, 기록 파워가 5~8〔mW〕의 경우에, 반사율이 7~8% 정도 저하된다. 이와 같은 반사율의 변화가 생기는 것에 의해, 반사막에 대한 추가 기록이 가능해진다.
도 3은 UDI의 추가 기록의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록 데이터와 피트 및 랜드의 대응의 방법은, 전의 패턴과의 관계로 패턴 A와 패턴 B가 있을 수 있다.
먼저, 패턴 A에 대하여 설명한다. 심볼간에 3비트의 예를 들면 머징 비트(000)가 삽입된다. 추가 기록을 하는 경우, 8비트의 데이터 심볼이 예를 들면 (0x47)로 된다. 0x는 16진표기를 의미한다. 이 8비트를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변조한 결과의 14비트의 패턴(O010O100100100)이 도 3에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두 개의 피트의 사이의 사선 영역에 대해서 추가 기록용의 레이저 빔을 조사한다. 그 결과, 사선 영역의 반사율이 저하되고, 기록 후에는, 두 개의 피트가 결합한 하나의 피트로서 재생된다. 이 경우의 14비트의 패턴이 (00100100000000)으로 된다. 이것은, EFM 복조했을 경우에는, (0x07)의 8비트로서 복조된다.
패턴 B의 경우에는, 머징 비트가 (001)로 된다. 이 경우도, 패턴 A와 마찬가 지로, 사선 영역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8비트를 (0x47)로부터 (0x07)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래는, (0x47)인 데이터 심볼을 (0x07)에 재기입할 수 있다. 이 예 이외에도 추가 기록데이터의 종류로서는,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원래 (0x40)인 데이터 심볼을 (OxO0)로 변화시킬 수 있다. 단, 추가 기록은, 원래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미러부에 대해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에 의해, 비트 길이를 바꾸는 것이므로, 추가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가 제한된다.
다음에, CD로 사용되어 있는 에러 정정 부호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CD에서는, 에러 정정 부호화 방식으로서, C1계열(수직 방향)과 C2계열(경사 방향)과의 2겹으로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CIRC가 채용되어 있다. 그리고,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는 1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EFM 변조되어 기록된다.
도 4는 EFM 변조되기 전의 CD의 데이터 구조의 1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1프레임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를 16비트로 샘플링 했을 경우에, L(좌), R(우) 각 6 샘플 워드분에 상당하는 24 심볼(1심볼은 16비트를 2분할하여 이루어지는 8비트)의 데이터 비트와 4 심볼의 Q 패리티와 4 심볼의 P 패리티와 1심볼의 서브 코드로 이루어진다. 디스크 상에 기록되는 1프레임(lEFM 프레임이라고도 함)의 데이터는, EFM 변조에 의해 8비트가 14 비트로 변환되는 동시에 직류분 억압 비트가 부가되어 프레임 싱크가 부가된다.
따라서, 디스크 상에 기록되는 1프레임은,
프레임 싱크 24채널 비트
데이터 비트 14·24 = 336 채널 비트
서브 코드 14 채널 피트
패리티 14·8 = 112 채널 비트
머징 비트 3·34 = 102 채널 비트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1프레임의 총 채널 비트 수가 588채널 비트이다.
EFM 변조 방식에서는, 각 심볼(8 데이터 비트)이 14 채널 비트로 변환된다. EFM 변조의 최소 시간 폭(기록 신호의 1과 1의 사이의 0의 수가 최소로 되는 시간 폭) Tmin가 3T이며, 3T에 상당하는 비트 길이가 0.87μm으로 된다. T에 상당하는 비트 길이가 최단 비트 길이이다. 또, 각 14채널 비트의 사이에는, 3비트의 머징 비트가 배치된다. 또한, 프레임의 선두에 프레임 싱크 패턴이 부가된다. 프레임 싱크 패턴은 채널 비트의 주기를 T로 할 때에, 11T, 11T 및 2T가 연속하는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턴은, EFM 변조 규칙에서는, 생기지 않는 것으로, 특이한 패턴에 의해 프레임 싱크를 검출할 수 있다. 1프레임은, 총비트수가 588 채널 비트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프레임 주파수는 7.35 kHz 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을 98개 모은 것을, 서브 코드 프레임(또는 서브 코드 블록)이라 한다. 이 서브 코드 프레임은, 통상의 CD의 재생 시간의 1/75초에 상당한다. 도 5는 98개의 프레임을 세로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교체하여 나타낸 서브 코드 프레임을 나타낸다. 각 프레임의 1심볼의 서브 코드는, P~W의 8채널의 각 채널의 1비트를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코드의 완결하는 주기( 98프레임)의 데이터에 의해 1섹터가 구성된다. 그리고, 98프레임의 선두의 2프레임의 서 브 코드는 서브 코드 프레임 싱크 S0, S1이다. CD-ROM 등으로 광디스크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서브 코드의 완결하는 단위인 98프레임(2,352바이트)의 1섹터로 된다.
도 6 및 도 7은 CIRC 방식의 부호화의 흐름에 따라 나타내진 블록도이다. 오디오 신호의 1워드가 상위 8비트와 하위 8비트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24 심볼(W12n, A, W12n, B,··, W12n+11, A, WI2n+11, B)(상위 8비트가 A, 하위 8비트가 B로 나타나고 있다)가 2심볼 지연/스크램블 회로(11)에 공급된다. 2심볼 지연은 짝수 워드의 데이터 L6n, R6n, L6n+2, R6n+2,···에 대해서 실행되어 C2부호기(12)로 해당하는 계열이 모두 에러된 경우라도, 보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스크램블은 최대의 버스트 에러 보간 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행하고 있다.
2심볼 지연/스크램블 회로(11)로부터의 출력이 C2부호기(12)에 공급된다. C2부호기(12)는, GF(28) 상의(28,24,5) 리드·솔로몬 부호의 부호화를 행하고, 4 심볼의 Q 패리티 QI2n, Q12n+1, Q12n+2, Q12n+3이 발생한다. C2부호기(12)의 출력의 28 심볼이 인터리브 회로(13)에 공급된다. 인터리브 회로(13)는, 단위 지연량을 D라하면, 0, D, 2D,···로 등차적으로 변화하는 지연량을 각 심볼에게 주는 것에 의해, 심볼의 제1의 배열을 제2의 배열로 변경하는 것이다. 인터리브 회로(13)에 의해, 버스트 에러가 분산된다.
인터리브 회로(13)의 출력이 C1부호기(14)에 공급된다. GF(28) 상의(32,28,5) 리드·솔로몬 부호가 C1부호로서 사용된다. C1부호기(14)에서 4 심볼의 P 패리티 P12n, P12n+1, P12n+2, P12n+3이 발생한다. C1부호, C2부호의 최소 거리는 모두 5이다. 따라서, 2심볼 에러의 정정, 4 심볼 에러의 소실 정정(에러 심볼의 위치를 알고 있는 경우)이 가능하다.
C1부호기(14)로부터의 32심볼이 1심볼 지연 회로(15)에 공급된다. 1심볼 지연 회로(15)는, 인접하는 심볼을 떼어놓음으로써, 심볼과 심볼의 경계에 걸치는 에러에 의해 2심볼 에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 Q 패리티가 인버터에 의해 반전되어 있지만, 이것은 데이터 및 패리티가 모두 영이 되었을 때도, 에러를 검출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인터리브 회로(13)의 단위 지연량은, D=4프레임으로 되어, 인접하는 심볼이 4프레임씩 떨어져 있다. ClRC4 방식의 경우에는, 최대 지연량이 27D(=108프레임)가 되어, 총 인터리브 길이가 l09 프레임으로 된다.
도 8 및 도 9는 복호화의 흐름에 따라 나타내진 블록도이다. 복호화의 처리는 전술한 부호화의 처리와 역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EFM 복조 회로로부터의 재생 데이터가 1심볼 지연 회로(21)에 공급된다. 부호화 옆의 1심볼 지연 회로(15)로 주어진 지연이 이 회로(21)에서 캔슬된다.
1심볼 지연 회로(21)로부터의 32심볼이 C1복호기(22)에 공급된다. C1복호기(22)의 출력이 디인터리브 회로(23)에 공급된다. 디인터리브 회로(23)는 인터리브 회로(13)에 의해 주어진 지연량을 캔슬하도록, 28 심볼에 대해서 27D, 26D,···, D, 0의 등차적으로 변화하는 지연량을 준다. 디인터리브 회로(23)의 단위 지연량은 D=4프레임으로 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지연량 D가(D=4)이며, 총 인터리브 길이가 109(=108+1) 프레임이며, 1섹터로부터 조금 크게 된다. 총 인터리브 길이는, 디스크 상에 부착한 지문, 디스크의 상처 등에 의해 다수의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잘못하는, 버스트 에러에 대한 정정 능력을 규정하는 것이 되어, 그것이 길이만큼 버스트 에러 정정의 능력이 높다.
디인터리브 회로(23)의 출력이 C2복호기(24)에 공급되고, C2부호의 복호가 된다. C2복호기(24)의 24 심볼의 출력이 2심볼 지연/디스크램블 회로(25)에 공급된다. 이 회로(25)에서 24 심볼의 복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C1복호기(22) 및 C2복호기(24)로부터의 에러 플래그로부터 보간 플래그 생성 회로(26)에서 보간 플래그가 생성된다. 이 보간 플래그에 의해 에러인 것이 나타내는 데이터가 보간된다. 이와 같이, CIRC에서는 수직 방향에 C1계열로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는 동시에, 경사 방향으로 C2계열로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여 2겹으로 에러 정정 부호화를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러 정정 부호화 영역 중 일부의 데이터를 재기입 일로 원하는 데이터, 예를 들면 UDI를 기록하는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데이터의 재기입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단, 도 11a 내지 도 11h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서, CIRC 보다도 간단한 에러 정정 부호화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1a에 나타내는 4 심볼의 데이터(0x82, 0xef, 0x75, 0x40)로부터 도 11b에 나타내는 2심볼의 패리티(0xba, 0xe2)가 생성된다. 이 에러 정정 부호화는, 1심볼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그리고, 구체적인 패리티 심볼의 2진수는, 단순한 코드 예이며, 예를 들면 리드 솔로몬 부호의 패리티 심볼이지만, 에러 정정 부호화의 연산으로 요구된 값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6심볼이 EFM 변조되어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심볼의 8비트가 14비트의 패턴으로 변환된다. 머징 비트는 부가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11c중의 "l"은, 레벨의 반전을 의미하므로, 디스크 상의 요철 패턴으로서의 피트/랜드 열은 도 11d에 나타나는 것으로 된다. 예를 들면 "1"이 연속하는 기간이 피트의 기간이며, "0"이 연속하는 기간이 랜드의 기간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추가 기록이 이루어진다. 도 11에서는, 테두리로 둘러싸여 나타나는 바와 같이, 2개의 심볼이 재기입된다. 1개의 심볼은 원래 (Ox40)로 되어 있는 데이터이다. 도 11d에 나타나는 피트/랜드 열에 대해서 추가 기록을 행함으로써, 도 1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트 길이가 길게 된다. 도 11e에 나타내는 추가 기록 후의 피트/랜드 열을 재생한 경우, 도 11f에 나타내는 14비트의 데이터가 재생된다.
이 14비트의 데이터는, 재생 측에서 8비트로 변환되고, 도 11g에 나타내는 판독한 모든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래의 데이터 (0x40)가 (0x22)에 재기입된 것으로 된다. 6심볼로 구성되는 에러 정정 부호 계열의 1심볼만을 변경하면, 복호 시에 에러로서 검출되어 정정된다. 즉, 원래의 데이터인 (0x40)가 재생된다. 이 경우에는 재기입 데이터 (0x22)를 재생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도 11의 예에서는, 복호 시에 추가 기록한 데이터 심볼(0x22)이 에러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패리티 심볼(0xe2)을 (Qx01)로 변경한다. 이 재기입 후의 데이터 심볼 및 패리티 심볼(0x01)을 포함하는 6심볼(0x82, 0xef, 0x75, 0x22, 0xba, 0x01)은, 재생 시에 에러 정정 복호화를 행한 경우에 에러 없음으로 검출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데이터(0x22)가 포함되는 경우의 패리티 심볼로서 (Oxba)(OxO1)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재기입 후의 데이터 심볼을 도 11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기록되는 데이터와 기록하고 싶은 원하는 정보, 예를 들면 UDI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상에서는, 추가 기록이 이루어지는 구간이 절대 어드레스 등으로 미리 규정되어 있다. 도 11은 그와 같은 구간의 예이다. 그리고, 그 구간에 기록하는 데이터가 소정 데이터로 규정되어 있다. 전술한 예에 있어서의 추가 기록한 데이터(0x22)는 기지(旣知)의 데이터인 (0x40)와 상위하므로, 재생 시에 재기입된 것이 검출될 수 있다. 재기입 데이터인 (0x22) 자신을 UDI의 데이터의 전체 또는 일부로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그 경우에는, 추가 기록 데이터의 종류가 제약되어 있으므로, 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일실시예에서는, 기지의 재기입이 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예를 들면 UDI의 1비트를 표현한다. 도 11의 예와 같이, 데이터의 재기입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1"로 판정한다. 단, 재기입이 되어 있지 않으면, "0"으로 판정한다. 도 11a 내지 도 11h의 구간을 N회 마련하면, N비트를 추가 기록할 수 있다. 실제로는, N회의 구간을 다시, 반복하여 기록하는 다중 기록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CIRC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ClRC에서는, 4 심볼의 패리티 심볼을 부가하는 것이므로, 5 심볼 이상의 에러에 대해서는, 판정 불능으로 된다. 이것을 이용하여, 5개의 데이터 심볼의 재기입을 행하고, 에 러 정정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그에 따라, 재기입 데이터열을 재생 시에 판독할 수 있다.
리드 솔로몬 부호의 복호에서는, 신드롬을 계산하고, 에러의 유무를 판정한다. 신드롬은 패리티 심볼의 개수와 같은 수이다. CIRC에서는 4개의 신드롬이 계산된다. 모든 신드롬이 0의 경우에 에러가 없다고 판정된다. 이론상, 4 심볼의 패리티를 부가하는 경우에는 5개의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 데이터의 재기입을 행하면, 모든 신드롬을 O으로 할 수 있다. 단, 신드롬치 계산에서는, 임의의 수치로부터 임의의 수치로의 치환이 가능하지 않으며, 그 데이터 위치로 치화가능한 값이 한정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추가 기록 방법의 한계에 의해, 임의의 데이터로부터 임의의 다른 데이터로의 재기입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재기입 가능한 조합으로 데이터열의 후보가 결정된다. 조합은, 원래의 데이터와 재기입 후의 데이터의 조합을 의미한다. 또한, 전후의 데이터를 고려하여 데이터열의 후보가 정해진다. 이들의 2개의 조건을 고려하여, 재기입 가능하며, 재기입 후에 신드롬이 O으로 되는 데이터 배열이 결정된다.
또한, CIRC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러 정정 부호로서 C1부호 및 C2부호의 두 개가 사용되어 각 데이터 심볼이 이들의 부호 계열에 의해 이중으로 부호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재기입 데이터열이 2단째의 에러 정정에 의해 재기입 전의 상태로 되돌려져 재기입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부호 계열의 양자에서 에러 정정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4 심볼의 패리티를 부가하는 CIRC에서는, 5개의 심볼을 재기입하는 것에 의해 모든 신드롬치를 0으로 할 수 있다. 단, 이 5 심볼을 임의의 경우의 것으로 하면, 그 후의 2단째의 에러 정정 부호화(C1부호)를 만족하는 5 심볼을 각각 부가할 필요가 있어, 전체적으로 발산해 버린다. 5 심볼의 위치를, l개를 임의의 위치로 택하고, 나머지 4개의 심볼을 패리티 부가 영역으로 택함으로써, 발산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2로 내지 도 15는 CIRC에 있어서 재기입해야 할 5개의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입력 데이터의 24 심볼 중에서 재기입하는 5개의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사선 영역으로 나타낸다. 이들의 5개의 데이터 심볼은 같은 C2부호의 계열에 포함되는 것으로, 5개의 데이터 심볼의 값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복호 시에 C2복호의 신드롬치를 모두 0으로 할 수 있다. 도 13은 C2부호기의 출력 측에 있어서의 5개의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사선 영역으로서 나타낸다.
C2부호기의 출력이 인터리브 회로에 의해 인터리브 되어 C1부호기에 입력된다. 도 14는 C1부호기의 출력 측에 있어서의 5개의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사선 영역으로 나타낸다. C1부호기의 출력이 1심볼 지연 회로를 통하여 EFM 변조기에 공급된다. 도 15는 EFM 변조기에 대해서 주어지는 5개의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사선 영역으로서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기입되는 5개의 데이터 심볼의 각각 대해, C1복호 시에 모든 신드롬치가 O으로 되도록, 4개의 C1 패리티 심볼이 재기입된다. 최종적으로는, 25개의 심볼이 추가 기록에 의해 재기입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반사막에 대한 추가 기록에 한정되지 않고, 상 변화막, 광자기 기록막 등에 대해서 추가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면 CD-DA의 포맷의 데이터와 CD-ROM의 포맷의 데이터를 각각 기록하는 다중 세션의 광디스크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정보로서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문자 데이터, 컴퓨터 그래픽 데이터, 게임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여러 가지의 데이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DVD 비디오, DVD-ROM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성된 디스크에 대해서 추가 기록을 행함으로써, 에러 정정 부호화 영역에 디스크 식별 정보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에러 정정 부호화 영역에 대해서도 추가 기록이 가능해지므로, 추가 기록의 적용 범위를 넓힐 수가 있다.

Claims (6)

  1. 피트 및 랜드가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상에 덮인 반사막, 및 상기 반사막에 덮인 보호층을 포함하는 재생 전용 광기록 매체로서,
    상기 반사막에 대한 추가 기록에 의해, 기록 영역 내의 소정의 에러 정정 부호화 계열에 포함되는 복수 심볼(symbol) 중 기지(旣知)의 심볼이 그 에러 정정 부호화 계열에 의해서 에러로서 검출되지 않는 다른 심볼로 재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생 전용 광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旣知)의 심볼이 상기 다른 심볼로 재기록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원하는 데이터의 1 비트(bit)에 대응시킨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생 전용 광기록 매체.
  3. 피트 및 랜드가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상에 덮인 반사막, 및 상기 반사막에 덮인 보호층을 포함하는 재생 전용 광기록 매체의 광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반사막에 대한 추가 기록에 의해, 기록 영역 내의 소정의 에러 정정 부호화 계열에 포함되는 복수 심볼(symbol) 중 기지(旣知)의 심볼이 그 에러 정정 부호화 계열에 의해서 에러로서 검출되지 않는 다른 심볼로 재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생 전용 광기록 매체의 광기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旣知)의 심볼이 상기 다른 심볼로 재기록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원하는 데이터의 1 비트(bit)에 대응시킨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생 전용 광기록 매체의 광기록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37016198A 2002-04-12 2003-04-08 데이터 기록 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KR100923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10345 2002-04-12
JP2002110345A JP4132934B2 (ja) 2002-04-12 2002-04-12 再生専用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録方法
PCT/JP2003/004440 WO2003088223A1 (fr) 2002-04-12 2003-04-08 Support d'enregistrement de donnees, proce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et dispositif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973A KR20050003973A (ko) 2005-01-12
KR100923955B1 true KR100923955B1 (ko) 2009-10-29

Family

ID=2924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198A KR100923955B1 (ko) 2002-04-12 2003-04-08 데이터 기록 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246299B2 (ko)
EP (1) EP1505576A4 (ko)
JP (1) JP4132934B2 (ko)
KR (1) KR100923955B1 (ko)
CN (1) CN1244911C (ko)
BR (1) BR0304415A (ko)
CA (1) CA2450237C (ko)
HK (1) HK1068449A1 (ko)
MX (1) MXPA03011367A (ko)
TW (1) TWI255454B (ko)
WO (1) WO2003088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388A (ja) * 1994-11-25 1996-06-04 Sanwa Planning:Kk 家屋の床下の調湿具
CN100429715C (zh) * 2002-04-18 2008-10-2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提供在子码通道内具有可记录区域的只读记录载体的方法和设备
US6976430B2 (en) 2002-09-02 2005-12-2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gniter for inf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WO2008026601A1 (fr) * 2006-08-28 2008-03-0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FILM RÉFLÉCHISSANT EN ALLIAGE Ag POUR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OPTIQUE,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OPTIQUE ET CIBLE DE PULVÉRISATION POUR FILM RÉFLÉCHISSANT EN ALLIAGE Ag POUR FORMATION DE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OPTIQUE
KR20090014828A (ko) * 2007-08-07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러 정정 코드를 암호화하는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 및플래시 메모리 시스템의 암호화 방법
JP4946844B2 (ja) * 2007-12-13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US9178534B2 (en) * 2012-05-29 2015-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for partial reverse concatenation for data storage devices using composite cod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7030B1 (en) * 1997-12-16 2002-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CC block format for stora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5035B1 (en) 1995-10-09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 optical disk and an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ES2247261T3 (es) * 1997-05-30 2006-03-01 Macrovision Europe Limited Metodo para proteger contra copia un soporte de registro con un patron de logica de errores.
KR100255191B1 (ko) * 1997-12-31 2000-06-01 윤종용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서 종류 검출을 위한 디스크와그 종류 검출방법
US6425098B1 (en) * 1998-10-20 2002-07-23 Midbar Tech (1998) Ltd. Prevention of disk piracy
JP4312361B2 (ja) * 1999-10-13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IL133236A0 (en) * 1999-11-30 2001-03-19 Ttr Technologies Ltd Copy-protected digital audio compact disc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same
US6715122B2 (en) * 2000-02-23 2004-03-30 Doug Carson & Associates, Inc. Copy protection through symbol substitution and induced errors
US6487155B1 (en) * 2000-04-11 2002-11-26 Doug Carson & Associates, Inc. Optical disc authentication using alternate data modulation encoding schemes
JP4402315B2 (ja) * 2000-04-12 2010-0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
JP4348851B2 (ja) * 2000-09-21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方法
CN1264145C (zh) * 2001-06-08 2006-07-12 新力光碟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记录方法及数据记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7030B1 (en) * 1997-12-16 2002-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CC block format for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68449A1 (en) 2005-04-29
MXPA03011367A (es) 2005-04-19
CN1516869A (zh) 2004-07-28
CN1244911C (zh) 2006-03-08
BR0304415A (pt) 2004-07-27
JP4132934B2 (ja) 2008-08-13
US7246299B2 (en) 2007-07-17
TWI255454B (en) 2006-05-21
EP1505576A4 (en) 2009-08-19
CA2450237A1 (en) 2003-10-23
CA2450237C (en) 2013-05-07
WO2003088223A1 (fr) 2003-10-23
US20040174791A1 (en) 2004-09-09
EP1505576A1 (en) 2005-02-09
KR20050003973A (ko) 2005-01-12
AU2003236316A1 (en) 2003-10-27
TW200402709A (en) 2004-02-16
JP2003308613A (ja) 200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11981B2 (en)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ata receiving method
KR100923955B1 (ko) 데이터 기록 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JP4143330B2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
WO2006080521A1 (ja) 光ディスク製造方法及び装置、光ディスク並びにその再生方法
KR20040103751A (ko) 디지털 데이터의 기록 매체,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방법 및 재생 장치
US20030172341A1 (en)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and data determination method
JP3671940B2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3979088B2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2004296049A (ja) 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装置
JP3979087B2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4404227B2 (ja) 再生専用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録方法
JP3603884B2 (ja) 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2005310270A (ja) 固有の識別情報が書き込まれた再生専用の光記録媒体
JP3960263B2 (ja) データ記録方法
KR20040108527A (ko) 데이터 기록 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JP3873755B2 (ja) 記録媒体、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3754917B2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3754918B2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2004152371A (ja) オーディオデータ加工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オーディオデ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