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671B1 -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코일 정렬기 - Google Patents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코일 정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671B1
KR100922671B1 KR1020070099075A KR20070099075A KR100922671B1 KR 100922671 B1 KR100922671 B1 KR 100922671B1 KR 1020070099075 A KR1020070099075 A KR 1020070099075A KR 20070099075 A KR20070099075 A KR 20070099075A KR 100922671 B1 KR100922671 B1 KR 10092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guide means
passing
coils
wi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3974A (ko
Inventor
김회곤
이육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케이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케이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케이에스이
Priority to KR102007009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67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2Devices for guiding or positioning the winding material on the for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2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과 가이드수단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인출중인 코일의 손상됨을 방지토록 한 코일 권선기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프레임들을 가지며,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다수개의 권취롤들에 감겨져 있는 코일들의 인출동작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가이드수단들이 동일한 구조로 하여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장착되며 내부에는 코일을 통과시키는 통과구멍이 형성된 수직파이프와, 상기 수직파이프의 일측에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장착되며 다른 가이드수단의 수직파이프를 통과한 상태로 인출되는 코일을 통과시키는 통과구멍이 형성된 수평파이프로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Figure R1020070099075
코일 권선기, 코일, 가이드수단, 코일 정렬기

Description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코일 정렬기{COIL ARRANGING}
본 발명은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코일 정렬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과 가이드수단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인출중인 코일의 손상됨을 방지토록 하고, 또한 가이드수단을 통과한 여러가닥의 코일들을 중앙으로 뭉쳐 정렬할 수 있도록 한 코일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코일은 통상 모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모터의 고정자 및 회전자에 각각 권선된 상태에서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회전자가 회전 구동하도록 고정자와 회전자 상호간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한편, 상기한 코일은 선형제품으로서, 이러한 코일을 모터의 코어형상에 맞도록 감아 권취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데, 이때 필요로 하는 수단이 바로 코일 권선기이다.
상기 코일 권선기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06. 04. 26. 자로 출원하여 2007. 06. 20. 자로 등록받은 등록특허번호 제 10-0732373 호 (명칭: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꼬임 방지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지지프레임 아래로 코일이 감겨져 있는 다수개의 권취롤들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상에는 코일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수직 및 수평가이드롤들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수직 및 수평가이드롤을 통해 인출되는 여러가닥의 코일들간의 꼬임을 방지시키는 꼬임 방지장치가 더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코일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수단인 수직 및 수평가이드롤이 보빈형태로 제작됨에 따라 코일이 수직 및 수평가이드롤을 한바퀴 감겨진 상태에서 인출동작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인출동작은 수직 및 수평가이들과 코일간의 마찰을 발생시켜 코일이 손상되는 문제점과 회전 마찰에 따른 소음 발생이 높다는 단점 그리고 코일의 인출속도가 각 수직 및 수평가이드롤마다 차이를 가져와 코일마다 각기 다른 장력이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한편, 코일 권취기에는 권취유닛에 여러가닥의 코일들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도록 인출중인 코일들을 중앙으로 뭉쳐 정렬시킬 수 있는 정렬수단을 더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수단을 통과하는 코일들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코일 권선기를 제공 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코일 권선기에서 인출되는 여러가닥의 코일들을 한 곳으로 모아준 상태로 권취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코일 권선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일 권선기에 있어서,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프레임들과,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권취롤에 감겨져 있는 코일의 인출동작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가이드수단들이 동일한 구조로 하여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권취롤에 감겨져 있는 코일을 통과시키는 통과구멍이 형성된 수직파이프와, 상기 수직파이프의 일측에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장착되며 다른 가이드수단의 수직파이프에서 인출된 코일을 통과시키는 통과구멍이 형성된 수평파이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 권선기에는 상기 가이드수단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여러가닥의 코일들을 중앙으로 뭉쳐 정렬시키는 코일 정렬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 정렬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코일 권선기에서 인출되는 여러가닥의 코일들을 통과시키는 탄성튜브와, 상기 본체의 양 단부에 일체 형성되며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절결부들을 통해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오무려지며 상기 탄성튜브의 외경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전, 후 수평 이동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가압부를 눌러주는 경사턱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기는 다음과 같은 많은 작용효과를 달성한다.
먼저, 본 발명은 코일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파이프형태인 수직 및 수평파이프로 구성하여 코일과 가이드수단간의 마찰을 최소화시킴으로서, 마찰로 인한 코일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코일들의 인출속도가 마찰로 인해 서로 차이가 나지 않게 됨으로서 여러가닥의 코일들을 균일한 장력으로 인출시킬 수 있어 인출과정에서 코일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 권선기에 설치되는 코일 정렬기를 통해 가이드수단을 거쳐 권취유닛으로 인출되는 여러가닥의 코일들을 중앙으로 뭉쳐 정렬시키도록 함으로서 손 쉽게 여러가닥의 코일들을 권취유닛에 권취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권선기(100)는 지면상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지지대(1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0)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수평프레임(12)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아래에는 코일(20)이 권취되어 있는 다수개의 권취롤(22)들이 위치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상에는 다수개의 가이드수단(30)들이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수단(30)은 수직 및 수평파이프(32, 34) 그리고 상기 수직 및 수평파이프(32, 34)를 지지프레임(12)상에 고정시키는 클램프(36)로 구성하여 각 권취롤(22)의 위쪽마다 하나씩 개별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가이드수단(30)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로 제작되어 지는 바, 하기에서는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하나의 가이드수단(30) 구조에 대하여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수단(30)을 구성하는 수직파이프(32)는 "ㄱ"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로 내부에는 권취롤(22)에 감겨져 있는 코일(20)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구멍(32a)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30)을 구성하는 수평파이프(34)는 상기 수직파이프(32)의 일측에 인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파이프(32)와 함께 지지프레임(12)상에 클램프(36)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평파이프(34)의 내부에는 코 일(20)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구멍(34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파이프(34)의 통과구멍(34a)으로 끼워지는 코일(20)은 앞쪽에 위치하는 다른 가이드수단의 수직파이프를 통과한 코일이 끼워지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세개의 가이드수단에 코일들이 통과하는 과정을 대표하여 기술하면 도 2에서와 같이, 먼저 첫 번째 권취롤(22)에서 인출되는 코일(20)은 첫 번째 가이드수단(30)인 수직파이프(32)를 통과한 후, 두 번째 가이드수단(130)의 수평파이프(134)를 통과하게 되고, 또한 두 번째 권취롤(122)에서 인출되는 코일(20)은 두 번째 가이드수단(130)인 수직파이프(132)를 통과한 후, 세 번째 가이드수단(230)의 수평파이프(234)를 통과시키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권취롤(222)에서 인출되는 코일(20)은 세 번째 가이드수단(230)의 수직파이프(232)를 통과한 후, 곧바로 꼬임방지장치(40)로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코일(20)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30)은 종래와 같이 보빈형태로 제작된 수직 및 수평가이드롤(32, 34)에 코일(20)이 한바퀴 감겨진 상태에서 인출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 및 수평파이프(32, 34)의 통과구멍(32a, 34a)에 끼워진 상태로 관통하며 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코일(20)과 수직 및 수평파이프(32, 34)간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출과정에서 코일(20)의 손상됨을 줄여줄 수 있고, 또한 코일(20)들의 인출속도가 마찰로 인해 서로 차이가 나지 않게 됨으로서 여러가닥의 코일(20)들을 균일한 장력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보빈타입에 비하여 부피를 줄여줄 수 있음으로서, 지지프레임(12)상에 보다 많은 개수를 장착할 수 있어, 많은 개수의 코일들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수단을 통과한 코일들은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는 꼬임 방지장치(40)를 통과하며 서로간의 꼬임이 방지된 상태에서 코일 정렬기(5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코일 정렬기(50)는 코일 권선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수단(3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여러가닥의 코일(20)들을 중앙으로 뭉쳐 정렬시킨 상태로 권취유닛(미 도시 함)으로 인출시키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는 위 코일 정렬기(50)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정렬기(50)는 본체(52)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52)는 파이프 형태로 양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원통체 형태의 탄성튜브(54)가 관통 설치된다. 상기 탄성튜브(54)로는 전술한 꼬임 방지장치(40)를 거친 여러가닥의 코일(20)들이 통과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코일(20)들은 탄성튜브(5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중앙으로 뭉쳐지며 정렬되어 진다.
상기 본체(52)의 양단부에는 탄성가압부(56)가 일체 연장 형성된다. 상기 탄성가압부(56)는 둘레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이 절결부(56a)들을 통해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오무려지며 탄성튜브(54)의 외경을 가압하여 상기 탄성튜브(54)를 통과하는 여러가닥의 코일(20)들이 중앙으로 뭉쳐진 상태로 흐트려지지 않도록 코일(20)들을 가압 고정하게 된다.
상기 탄성가압부(56)의 외경에는 너트(58)가 끼워진다. 상기 너트(58)의 내 부 둘레면에는 나사산(60)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58)의 나사산(60)은 상기 본체(52)의 양단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62)에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회동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52)의 나사산(62)을 타고 전, 후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너트(58)의 내부에는 경사턱(64)이 일체 형성된다. 상기 경사턱(64)은 상기 탄성가압부(56)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58)의 수평 이동동작에 따라 상기 탄성가압부(54)를 눌러주게 되며, 따라서 탄성가압부(56)는 경사턱(64)의 누름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오무려지며 탄성튜브(56)의 외경을 가압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권취기(100)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12) 아래로 권취롤(22)을 위치시킨 후, 상기 권취롤(22)에 감겨져 있는 코일(20)을 풀어준 다음, 지지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수단(30)으로 통과시키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코일 권취기(100)에 장착되어 있는 다수개의 권취롤 및 가이드수단들중에서 3개의 권취롤 및 가이드수단의 연결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도 2에서와 같이 먼저, 첫 번째 권취롤(22)에 감겨져 있는 코일(20)은 첫 번째 가이드수단(30)인 수직파이프(32)로 통과시킨 후, 두 번째 가이드수단(130)의 수평파이프(134)와 세 번째 가이드수단(230)의 수평파이프(234)로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다음, 꼬임방지장치(40)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어서, 두 번째 권취롤(122)에 감겨져 있는 코일(20)은 두 번째 가이드수단(130)의 수직파이프(132)로 통과시킨 후, 세 번째 가이드수단(230)의 수평파이프(234)로 통과시킨 다음, 꼬임방지장치(40)를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세 번째 권취롤(222)에 감겨져 있는 코일(20)은 세 번째 가이드수단(230)의 수직파이프(232)를 통과시킨 다음, 꼬임방지장치(40)로 곧바로 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구조를 통해 코일(20)들은 종래와 같이 가이드롤에 감겨지며 인출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수단(30)인 수직 및 수평파이프(32, 34)의 통과구멍(32a, 34a)을 관통한 상태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인출과정에서 가이드수단(30)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출중인 코일(20)의 손상됨을 줄여줄 수 있고, 코일(20)들의 인출속도를 균일하게 하여 불균형한 장력발생을 줄여줄 수 있다.
한편, 위 가이드수단(30)을 거쳐 꼬임방지장치(40)를 통과한 여러가닥의 코일(20)들은 코일 정렬기(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중앙으로 뭉쳐지며 한 곳에 모여진 후, 권취유닛으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도 5와 도 5에서와 같이, 꼬임방지장치(40)를 통과한 여러가닥의 코일(20)들은 본체(52)를 관통하고 있는 탄성튜브(54)에 끼워넣어 여러가닥의 코일들을 중앙으로 뭉쳐지도록 한다.
이어서, 본체(52)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58)를 회동시켜 수평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너트(58)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턱(64)이 탄성가압부(56)를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가압부(56)는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오무려지며 탄성튜브(54)의 외경을 가압하여 상기 탄성튜브(54)를 통과하는 코일(20)들의 흐트러짐을 방지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꼬임방지장치(40)를 통과하는 코일(20)들의 개수가 적을 경우에는 적은 개수의 코일(20)에 맞추어 탄성튜브(54)의 외경을 더욱 강하게 가압하여야 하며, 이때에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너트(58)를 다시 회동시켜 수평으로 계속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너트(58)의 이동거리만큼 경사턱(64)이 탄성가압부(56)를 더욱 강하게 눌러주게 됨으로서 탄성가압부(56)는 큰 각도로 오무려지며 탄성튜브(54)의 외경을 가압해 코일(20)의 개수가 적더라도 상기 탄성튜브(54)를 통과하는 코일(20)들의 흐트러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일 권선기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코일 권선기의 주요구성을 일부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코일 정렬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코일 정렬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코일 정렬기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C-C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지지프레임 20: 코일
22: 권취롤 30: 가이드 수단
32: 수직파이프 34: 수평파이프
40: 꼬임 방지장치 50: 코일 정렬기
52: 본체 54: 탄성튜브
56: 탄성가압부 58: 너트
64: 경사턱 100: 코일 권선기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코일 권선기에 있어서,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프레임들을 가지며;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다수개의 권취롤들에 감겨져 있는 코일들의 인출동작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가이드수단들이 동일한 구조로 하여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장착되며 내부에는 코일을 통과시키는 통과구멍이 형성된 수직파이프와;
    상기 수직파이프의 일측에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장착되며 다른 가이드수단의 수직파이프를 통과한 상태로 인출되는 코일을 통과시키는 통과구멍이 형성된 수평파이프로 구성하며;
    상기 코일 권선기에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코일 권선기에서 인출되는 여러가닥의 코일들을 통과시키는 탄성튜브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일체 형성되며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절결부들을 통해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오무려지며 상기 탄성튜브의 외경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와;
    상기 탄성가압부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본체와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전, 후 수평 이동하는 너트 및 ;
    상기 너트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가압부를 눌러주는 경사턱으로 구성한 코일 정렬기를 더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수단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여러가닥의 코일들을 중앙으로 뭉쳐 정렬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기.
KR1020070099075A 2007-10-02 2007-10-02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코일 정렬기 KR10092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075A KR100922671B1 (ko) 2007-10-02 2007-10-02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코일 정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075A KR100922671B1 (ko) 2007-10-02 2007-10-02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코일 정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974A KR20090033974A (ko) 2009-04-07
KR100922671B1 true KR100922671B1 (ko) 2009-10-19

Family

ID=4076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075A KR100922671B1 (ko) 2007-10-02 2007-10-02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코일 정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8124A (zh) * 2017-10-31 2018-02-02 贵州金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频变压器的铜线导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7674U (ko) * 1986-08-27 1988-03-10
JP2001009183A (ja) * 1999-06-29 2001-01-16 Taisei:Kk 糸保持器付糸巻立て及び糸保持器
US6328238B1 (en) 1999-10-28 2001-12-11 Avaya Technology Corp. Cable pay-out tube
KR100732373B1 (ko) * 2006-04-26 2007-06-28 주식회사 한빛케이에스이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꼬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7674U (ko) * 1986-08-27 1988-03-10
JP2001009183A (ja) * 1999-06-29 2001-01-16 Taisei:Kk 糸保持器付糸巻立て及び糸保持器
US6328238B1 (en) 1999-10-28 2001-12-11 Avaya Technology Corp. Cable pay-out tube
KR100732373B1 (ko) * 2006-04-26 2007-06-28 주식회사 한빛케이에스이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꼬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974A (ko)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30485B (zh) 纺丝卷绕机
CN210029533U (zh) 一种可以平稳放线的倒筒机
CN210682754U (zh) 一种自动扎线机用绕线机构
KR100922671B1 (ko)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코일 정렬기
CN212197871U (zh) 一种纺织纱线整理收卷装置
DE102008038343A1 (de) Garnhaspelmaschine und Garntexturiermaschine
CN209143387U (zh) 一种涤仿棉的仿棉聚酯纤维的槽筒式络纱机
KR100732373B1 (ko)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꼬임 방지장치
CN215283677U (zh) 一种纱管加工用卷管装置
CN205099835U (zh) 导纱器、芯纱供给装置及纺纱机械
CN202337613U (zh) 一种纱线色卡机的样品线放置台
CN104060362A (zh) 一种用于超细金属丝整经的纱架
CN201588035U (zh) 整经机的压辊机构
CN206615869U (zh) 纱线卷绕机
CN220264756U (zh) 一种纱线导线设备
CN108792784B (zh) 一种纺织用络筒机
DE3039857C2 (de) Vorrichtung zum Bilden von festen Anfangswindungen auf Leerspulen von Textilmaschinen
KR200421633Y1 (ko) 코일 권선기에 사용되는 꼬임 방지장치
CN204753079U (zh) 缝纫机线架
CN108529317B (zh) 一种纺织过程中提高线束缠绕效率的方法
CN212075943U (zh) 一种双导纱络筒机
CN220400314U (zh) 一种绕包线加工用绕包装置
CN210163564U (zh) 一种环锭纺纱用梳棉装置
CN115807281A (zh) 一种分条整经机自动分绞系统
CN220224479U (zh) 一种纺纱加工用的捻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