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295B1 - 원통형 연료탱크용 리저버컵 - Google Patents

원통형 연료탱크용 리저버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295B1
KR100921295B1 KR1020070107823A KR20070107823A KR100921295B1 KR 100921295 B1 KR100921295 B1 KR 100921295B1 KR 1020070107823 A KR1020070107823 A KR 1020070107823A KR 20070107823 A KR20070107823 A KR 20070107823A KR 100921295 B1 KR100921295 B1 KR 100921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fuel
cup body
cup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992A (ko
Inventor
최원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2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용 리저버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피지용 연료탱크와 같은 원통형의 연료탱크에 적용되어 연료의 무효잔량을 최소화하면서 연료가 안정적으로 엔진에 공급되도록 한 연료탱크용 리저버컵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가 기울어지더라도 소량의 연료가 안정적으로 엔진에 공급되도록 연료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료가 채워지는 용기 형태의 컵바디와, 상기 컵바디에 구비되어 연료탱크의 연료가 상기 컵바디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수단으로 이루어진 연료탱크용 리저버컵에 있어서,
상기 컵바디는 원통형의 연료탱크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그 하부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연료탱크용 리저버컵을 제공한다.
엘피지, 연료탱크, 리저버컵, 무효잔량, 유입관

Description

원통형 연료탱크용 리저버컵{Reservoircup for Cylinder Type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용 리저버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피지용 연료탱크와 같은 원통형의 연료탱크에 적용되어 연료의 무효잔량을 최소화하면서 연료가 안정적으로 엔진에 공급되도록 한 연료탱크용 리저버컵에 관한 것이다.
연료탱크는 연료를 저장하여 운행중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일반적으로 연료탱크 내에 설치된 연료펌프를 통하여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한다.
자동차의 시동성 및 지속적인 차량의 주행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연료가 부족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전/후 또는 좌/우 기울어진 상태에서 시동 또는 운행을 하게 되면 연료펌프가 닿지 않는 곳에 연료가 치우쳐 있게 되어 엔진의 정상적인 동작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연료탱크 내에는 연료펌프가 항상 일정한 양의 연료를 안정적으로 엔진에 공급할 수 있도록 리저버컵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리저버컵은 연료공급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며, 초기 시동 안정성 및 주행시 시동꺼짐 등의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도1은 종래 원통형의 연료탱크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2a 및 도2b는 종래 연료탱크용 리저버컵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이며, 도3은 종래 원통형의 연료탱크에 내장된 리저버컵의 배치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통상의 연료탱크(10)는 대부분 바닥이 평평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일부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특히 엘피지용 차량에 사용되는 가스봄베의 경우가 그러하다.
한편, 도2a 및 도2b는 종래 연료탱크(10)에 사용되는 리저버컵(20)을 나타낸 것인데, 상기 리저버컵(20)은 바닥이 평평한 형태의 연료탱크용으로 사용되던 것이었으나, 엘피지용 가스봄베와 같이 원통형의 연료탱크(10)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하, 도2a와 도2b를 참조하여 종래 리저버컵(2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알아본다.
리저버컵(20)은 통상적으로 컵바디(21)와 상기 컵바디(21)로 연료를 유입하는 유입관(22)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컵바디(21)는 그 바닥이 평평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도3과 같이 원통형의 연료탱크(10)에 설치할 때 연료탱크(10)와의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컵바디(21)에 설치되어 외부의 연료(즉, 연료탱크(10) 내부의 연료)가 컵바디(2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상기 유입관(22)은 상기 컵바디(21)의 어느 일측면에 있는 연료만을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의 연료탱크(10)에 상기 리저버 컵(20)을 설치할 경우, 상기 연료탱크(10)와 상기 리저버컵(20) 사이에 필연적으로 공간(s)이 생기게 되어 그 공간에 연료가 채워지게 되지만, 상기 공간에 채워진 연료는 사용이 불가하고 계속해서 그 자리에 머무는 무효잔량으로써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자동차가 전후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는 상기 연료탱크(10)도 함께 전후 또는 좌우로 기울게 되는바, 이러한 상황에서는 컵바디(21)의 어느 일측면에 있는 연료만을 유입하도록 된 유입관(22)을 통해서는 연료의 유입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연료의 안정적인 공급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저버컵이 원통형태의 연료탱크에 밀착 설치되도록 하여 연료탱크와의 사이에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연료의 무효잔량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또한, 연료탱크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연료탱크의 연료가 계속해서 리저버컵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안정적 공급이 가능토록 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탱크가 기울어지더라도 소량의 연료가 안정적으로 엔진에 공급되도록 연료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것 으로, 연료가 채워지는 용기 형태의 컵바디와, 상기 컵바디에 구비되어 연료탱크의 연료가 상기 컵바디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수단으로 이루어진 연료탱크용 리저버컵에 있어서,
상기 컵바디는 원통형의 연료탱크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그 하부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연료탱크용 리저버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입수단은 상기 연료탱크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연료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연료탱크의 좌우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컵바디 각면의 하부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수단은 상기 연료탱크가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연료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컵바디의 각면 하부측에서도 어느 하나는 전방에, 다른 하나는 후방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컵바디는 사각통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수단은 외부의 연료가 상기 컵바디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단이 상기 컵바디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컵바디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저버컵이 원통형의 연료탱크에 밀착됨으로써 연료탱크와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연료의 무효잔량의 대거 줄어드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탱크의 각 방향 기울어짐을 고려하여 설치된 리저버컵의 유입수단 에 의하여 연료탱크가 어떤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연료를 안정적으로 리저버컵으로 유입시켜 엔진에 공급하게 됨으로써 시동시나 주행중 시동이 꺼지는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저버컵의 평면도이고, 도5는 도4의 "A"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6은 도4의 "B"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7은 원통형의 연료탱크에 본 발명의 리저버컵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8은 연료탱크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이고, 도9는 연료탱크가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저버컵(1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리저버컵(100)은 연료탱크(10)가 기울어지더라도 소량의 연료가 안정적으로 엔진에 공급되도록 연료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료가 채워지는 용기 형태의 컵바디(110)와, 상기 컵바디(110)에 구비되어 연료탱크(10)의 연료가 상기 컵바디(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수단(1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컵바디(110)는 원통형의 연료탱크(10)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그 하부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컵바디(1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곡면은 상기 연료탱크(10) 바닥면의 곡률반경에 맞게 설정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컵바디(110)는 내부에 연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면 족하고, 그 형상에는 크게 제한받을 필요없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바디(110)가 사각통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공이 용이하고 연료를 수용할 수 있는 체적을 높였으며 무엇보다도 연료탱크(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연료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유입수단(120)은 상기 연료탱크(10)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연료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료탱크(10)의 좌우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컵바디(110)의 각면의 하부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유입수단(120)이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탱크(10)의 좌우에 해당하는 상기 컵바디(110)의 각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됨으로써 연료탱크(10)가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기울어진 부분으로 고이는 연료를 최대한 유입할 수 있어서 연료의 무효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수단(120)은 상기 연료탱크(10)가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연료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컵바디(110)의 각면 하부측에서도 어느 하나는 전방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4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입수단(120)이 상기 연료탱크(10)의 좌우에 대응하는 상기 컵바디(110)의 좌우측면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되, 그 위치가 어느 일측면에서는 전방에 배치되었다면 다른 일측면에서는 그와 엇갈리 게 후방에 배치되도록 하여 연료탱크(10)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기울어진 부분으로 고이는 연료를 최대한 유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수단(120)은 외부의 연료가 상기 컵바디(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속이 빈 중공의 유입관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유입관은 그 일단이 상기 컵바디(1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컵바디(110) 내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은 상기 컵바디(110)의 측면을 관통하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유입관은 상기 컵바디(110)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ㄱ"자 형태로 절곡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리저버컵(100)이 원통형의 연료탱크(10)에 설치되면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바디(110)의 하부면이 연료탱크(1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연료탱크(10)와의 사이에 공간이 전혀 생기지 않으므로, 연료의 무효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은 종래 원통형의 연료탱크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도2a 및 도2b는 종래 연료탱크용 리저버컵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
도3은 종래 원통형의 연료탱크에 내장된 리저버컵의 배치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저버컵의 평면도,
도5는 도4의 "A"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6은 도4의 "B"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7은 원통형의 연료탱크에 본 발명의 리저버컵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8은 연료탱크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
도9는 연료탱크가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탱크 100 : 리저버컵
110 : 컵바디 120 : 유입수단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연료탱크(10)가 기울어지더라도 소량의 연료가 안정적으로 엔진에 공급되도록 연료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료가 채워지는 용기 형태의 컵바디(110)와, 상기 컵바디(110)에 구비되어 연료탱크(10)의 연료가 상기 컵바디(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수단(120)으로 이루어진 연료탱크용 리저버컵에 있어서,
    상기 컵바디(110)는 원통형의 연료탱크(10)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그 하부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수단(120)은, 연료탱크(10)의 좌우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컵바디(110) 각면의 하부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컵바디(110)의 각면 하부측에서도 어느 하나는 전방에, 다른 하나는 후방에 각각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컵바디(1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컵바디(110)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연료탱크용 리저버컵.
KR1020070107823A 2007-10-25 2007-10-25 원통형 연료탱크용 리저버컵 KR100921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823A KR100921295B1 (ko) 2007-10-25 2007-10-25 원통형 연료탱크용 리저버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823A KR100921295B1 (ko) 2007-10-25 2007-10-25 원통형 연료탱크용 리저버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992A KR20090041992A (ko) 2009-04-29
KR100921295B1 true KR100921295B1 (ko) 2009-10-09

Family

ID=4076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823A KR100921295B1 (ko) 2007-10-25 2007-10-25 원통형 연료탱크용 리저버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989B1 (ko) 2016-06-07 202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 리저버의 연료공급 안정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9218A (ja) * 1996-09-03 1997-06-30 Horie Metal Co Ltd フューエルリザーバーを備えた燃料タンク
KR20050089750A (ko) * 2005-04-01 2005-09-08 주식회사 위너 차량용 엘피지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KR20050100760A (ko) * 2004-04-14 2005-10-20 장봉우 폭발, 소음 및 슬로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내부에 구비된 차량용 엘피지 탱크
KR100681283B1 (ko) 2005-08-31 2007-02-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엘피엘아이 연료시스템의 연료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9218A (ja) * 1996-09-03 1997-06-30 Horie Metal Co Ltd フューエルリザーバーを備えた燃料タンク
KR20050100760A (ko) * 2004-04-14 2005-10-20 장봉우 폭발, 소음 및 슬로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내부에 구비된 차량용 엘피지 탱크
KR20050089750A (ko) * 2005-04-01 2005-09-08 주식회사 위너 차량용 엘피지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KR100681283B1 (ko) 2005-08-31 2007-02-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엘피엘아이 연료시스템의 연료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992A (ko)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0936B2 (ja) 燃料タンク構造
JP2007137406A (ja) 自動二輪車の燃料供給装置及び自動二輪車
KR100921295B1 (ko) 원통형 연료탱크용 리저버컵
TW200726690A (en) Fuel pump collocation structure for scooter type vehicle
JP2008150975A (ja) 燃料タンクのサブチャンバ構造
KR100793998B1 (ko) 안장형 연료탱크의 듀얼 제트펌프 구조
JP6016049B2 (ja) 車両の燃料供給装置
JP2008155890A (ja) 燃料タンク構造
JP2007132268A (ja) 燃料貯留システム
JP2009180146A (ja) サブタンク及びこれを用いた燃料供給装置
JP2000264324A (ja) タンク構造
JP2009179226A (ja) 燃料タンク構造
JP2009143378A (ja) 燃料タンク構造
JP4038382B2 (ja) ポリタンクの注出装置
JP2005155513A (ja) 燃料移送システム
JPH10305838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JP2007303447A (ja) 燃料タンク
JP2008207712A (ja) 燃料タンク構造
JP7267152B2 (ja) 燃料供給装置
KR100514889B1 (ko) 차량의 연료탱크
JP2000257524A (ja) 燃料タンク部構造
US20030071079A1 (en) Multiple use hand operated piston pump
JP3983227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200215789Y1 (ko) 가스차량용 비상연료주입기
KR20040037931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피드 파이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