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190B1 -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 Google Patents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190B1
KR100921190B1 KR1020090015694A KR20090015694A KR100921190B1 KR 100921190 B1 KR100921190 B1 KR 100921190B1 KR 1020090015694 A KR1020090015694 A KR 1020090015694A KR 20090015694 A KR20090015694 A KR 20090015694A KR 100921190 B1 KR100921190 B1 KR 100921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diameter
liquid
grinding
b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국
Original Assignee
베스트화학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트화학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베스트화학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1020090015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6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일단부에 투입구(22)가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22)로 액체가 유입되며 내부에는 비드가 충전되는 제1베슬(20)과, 상기 제1베슬(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이루어져 상기 제1베슬(20)의 타단부에 연속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베슬(20)에 충전되는 비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비드가 충전되는 제2베슬(30)과, 상기 제1베슬(20)과 제2베슬(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50)와, 상기 샤프트(50)의 일측 둘레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베슬(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복수개의 제1핀(70)과, 상기 샤프트(50)의 타측 둘레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베슬(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복수개의 제2핀(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15694
제1베슬, 제2베슬, 제1핀드럼, 제2핀드럼, 직경, 비드, 액체, 그라인딩

Description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Mill with increased grinding efficiency}
본 발명은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차 그라인딩 작업과 2차 그라인딩 작업시 운동에너지 변화를 일으켜 효율적으로 액체를 그라인딩할 수 있도록 된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에 관한 것이다.
페인트는 고유 색상의 페인트안료와 수지 및 용제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페인트 등을 그라인딩하기 위하여 밀(mill)이라 칭하는 그라인딩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밀은 페인트를 보다 미세한 입자로 그라인딩함으로써 페인트의 품질 향상을 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밖에도 밀은 도료, 잉크, 염료, 의약품과 같은 액체를 그라인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밀의 그라인딩부는 액체가 투입될 베슬(vessel)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샤프트가 설치되고, 샤트프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그라인딩핀이 구비된 구조를 취한 것으로, 베슬 내부에 세라믹 구슬과 같은 비드를 충전하고, 베슬의 투입구를 통해 페인트와 같은 액체를 공급한 다음, 샤프트와 그라인딩핀을 회전시켜 비 드와 액체 입자 사이의 충돌 에너지에 의해 액체 입자를 잘게 그라인딩하여 베슬의 타측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 밀의 경우, 대부분 베슬 내부가 수평이거나 약간 경사면으로 제작되고, 액체의 그라인딩이 이루어지는 베슬이 한 개로 구성되며, 한 개의 베슬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비드(세라믹 구슬 등)가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초기 그라인딩에서부터 마지막 그라인딩 때까지 변함없는 일정한 운동에너지만을 가지로 그라인딩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라인딩 작업에 있어서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그라인딩 효율이 떨어지는 만큼 그라인딩 작업을 수차례 반복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일이 빈번하며, 이러한 점이 그라인딩 작업성을 매우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그라인딩 작업을 수차례 더 시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이외에도 그라인딩 효율성 저하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그라인딩에서부터 마지막 그라인딩 때까지 운동에너지를 가변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액체를 그라인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탑 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단부에 투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로 액체가 유입되며 내부에는 비드가 충전되는 제1베슬과, 상기 제1베슬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이루어져 상기 제1베슬의 타단부에 연속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베슬에 충전되는 비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비드가 충전되는 제2베슬과, 상기 제1베슬과 제2베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 둘레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베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복수개의 제1핀과, 상기 샤프트의 타측 둘레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베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복수개의 제2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의 그라인딩 작업이 이루어지는 베슬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베슬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베슬로 나누고, 제1베슬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사이즈를 가진 비드를 투입하고, 제2베슬에는 제1베슬에 충전되는 비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사이즈의 비드를 투입하여 그라인딩하는 구조로서, 제1베슬에서 1차로 액체를 묵직하게 때려서 그라인딩한 다음에, 제2베슬에서 보다 빠르면서도 다소 가벼운 충격 에너지로 액체를 그라인딩하기 때문에, 그라인딩하고자 하는 도료, 잉크 등은 나노단위의 입자를 얻고자 하는 모든 액체를 효율적으로 단시간 내에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료나 잉크 액체의 입자 하나 하나를 미세하게 나노(nano) 단위로 효율성 있게 그라인딩(분산, 연육, milling, grinding)하려면, 초기에 베슬 내부로 유입된 액체는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더 큰 비드에 의해 강하게 충격을 가해야 하고, 이후에는 더 작은 사이즈의 비드로 초기보다 더 빠른 선속도로 운동에너지를 보다 높게 전달하여야만 그라인딩 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게 된다. 기존 설비에는 이러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지 않아서 생산 작업에 매우 어려움이 많았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그라인딩 효율을 상당히 높이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생산 작업시의 어려움을 해소한 것이며, 이러한 점이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 핀드럼과 제2핀드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탑 밀(top mill) 본체의 일측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직경이 서로 다른 제1베슬(20)과 제2베슬(30)이 장착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1베슬(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1베슬(20)의 일단부에는 투입구(22)가 구비되어, 이러한 투입구(22)를 통해 그라인딩될 액체(예를 들어, 페인트)가 투입될 수 있다. 제1베슬(20)의 둘레부에는 비드 투입공과 비드 배출공이 형성되어, 이러한 제1베슬(20)의 내부에 후술할 제2베슬(30)로 투입될 비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비드(세라믹볼 등)가 충전된다. 구체적으로, 대략 직경 1.5mm에서 1.7mm 정도를 가진 비드가 제1베슬(20)의 내부에 충전된다. 그리고, 제1베슬(20) 자체에는 워터챔버(24)가 더 형성되어, 그라인딩 작업시 발생되는 열이 워터챔버(24)로 순환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각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베슬(3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1베슬(20)의 타단부측에 볼트 등을 매개로 연결된다. 이때, 제2베슬(30)의 직경은 제1베슬(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베슬(30)의 둘레부에도 비드 투입공과 비드 배출공이 형성되는데, 제2베슬(30)에는 제1베슬(20)에 투입되는 비드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비드가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제2베슬(30)에는 직경이 대략 0.5mm에서 0.9mm인 비드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2베슬(30) 자체에도 워터챔버(34)가 구비되어, 워터챔버(34)로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제2베슬(30)의 후단부측은 탑 밀(top mill)의 본체에 볼트 등을 매개로 수평하게 연결되어, 제1베슬(20)과 제2베슬(30)이 탑 밀 본체에 수평 방향 으로 배치된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00은 그라인딩된 액체가 거쳐서 배출구로 빠져나가는 필터유닛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핀드럼(60)의 전단부를 관통하는 볼트(미도시)가 샤프트(50)의 전단부에 체결됨으로써, 샤프트(60)와 제1핀드럼(60) 및 제2핀드럼(8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징이라고 한다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베슬(20)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베슬(30)이 연속된 구조를 이루어서, 제1베슬(20)과 제2베슬(30) 각각에 직경이 다른 비드를 충전하여 액체를 효율적으로 그라인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제1베슬(20)과 제2베슬(30)이 이어지는 부분의 내부에는 미세공을 갖는 격리판(40)이 구비된다. 제1베슬(20) 내부에서 1차로 그라인딩된 액체 중에서 그라인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액체가 격리판(40)을 통과하면서 와류가 크게 발생하면서 다른 부위에서 그라인딩 된 액체와 혼합된다. 또한, 격리판(40)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비드가 제2베슬(30)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도 한다.
상기 제1베슬(20)과 제2베슬(30)의 내부에는 샤프트(50)가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샤프트(50)의 둘레부 중에서 제1베슬(20)에 내장되는 둘레부에는 제1핀드럼(60)이 구비되고, 이러한 제1핀드럼(60)의 둘레부에 복수개의 제1핀(70)이 배치되며, 샤프트(50)의 둘레부 중에서 제2베슬(30)에 내장되는 샤프트(50)의 둘레부에 제2핀드럼(80)이 구비되고, 이러한 제2핀드럼(80) 둘레부에 복수개의 제2핀(90)이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핀드럼(60)의 직경에 비하여 제2핀드럼(8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져, 제1핀드럼(60)에 배치된 제1핀(70)의 선속도에 비하여 제2핀드럼(80)에 배치된 제2핀드럼(80)의 선속도가 상대적으로 커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제1핀드럼(60)에 구비된 제1핀(70)의 직경에 비하여 제2핀드럼(80)에 구비된 제2핀(9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며, 동시에 제1핀(70)의 길이보다 제2핀(90)의 길이가 더 길다.
본 발명은 액체를 그라인딩하는 베슬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베슬(20)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베슬(30)이 직렬형으로 조립된 구조로서, 단일의 베슬로 되어 있는 기존 베슬의 고정관념을 탈피한 방식이다.
그라인딩의 목적은 안료를 하나하나 떼어내 원자끼리 재차 뭉치는 현상을 없애주려는 것이다.
제1베슬(20)로 투입되는 초기 액체는 입자가 거칠다. 입자가 거칠다는 것은 입자가 뭉쳐있는 상태, 다시 말해, 원자와 원자끼리 붙어 있는 상태로서 그라인딩이 되어 있지 못한 상태이다.
이처럼 초기 액체의 입자가 크게 뭉쳐있는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무거운 비드로 강하게 충격을 줘야 한다. 즉, 묵직하게 액체를 때려야 한다. 보 충설명을 하자면 충격을 밀어쳤을 때와 끊어 쳤을 대의 받는 충격 에너지는 매우 다르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베슬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베슬(20)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베슬(30)로 나누고, 제1베슬(20)에는 직경이 큰 사이즈(예: 약 직경 1.5mm에서 1.7mm 정도)를 가진 비드(세리믹볼 등)를 투입하고, 제2베슬(30)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사이즈(예 : 약 지름 0.5mm에서 0.9mm)의 비드를 투입하여 그라인딩한다.
다시 말해, 제1베슬(20)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비드를 투입하여, 밀어치는 방식으로 액체를 1차로 그라인딩한다. 이렇게 제1베슬(20)에서 그라인딩된 도료나 잉크 등의 액체는 제1베슬(20)의 배출단 부분에 설치된 격리판(40)의 미세한 기공(약 0.25에서 0.35mm)을 통해 제2베슬(30)로 유입된다.
제1베슬(20)에서 제2베슬(30)로 유입되는 액체 중에서 핀드럼이나 외경 주위를 거쳐 그라인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액체가 격리판(40)을 통과하면서 와류가 크게 발생하면서 다른 부위에서 그라인딩 된 액체와 혼합된다.
이때, 제2베슬(30)의 직경이 제1베슬(20)의 그것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제2베슬(30)로 유입된 액체는 그라인딩핀과 핀드럼의 원심력에 의해 넓게 제2베슬(30) 내부로 와류를 거치며 그라인딩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제2베슬(30)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제1베슬(20)의 그것보다 작은 비드를 투입하여 끊어치는 방식으로 액체를 그라인딩한다. 제1베슬(20)로 투입된 초기 액체는 입자가 거칠어서 밀어쳐야 효율적이지만, 제1베슬(20)에서 1차 그 라인딩되어 제2베슬(30)로 투입되는 액체는 밀어 친다는 큰 충격보다는 끊어서 치는 빠르면서도 다소 가벼운 충격 에너지를 가해야 그라인딩 작업의 효율이 매우 크므로, 제2베슬(30)에는 제1베슬(20)에 투입되는 비드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비드를 투입하여 끊어지는 방식으로 액체를 그라인딩하는 것이다. 제2베슬(3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비드를 투입하여 그라인딩하면, 각 비드 사이의 틈새가 적어서 제2베슬(30) 내부에서 비드의 밀집도가 커지므로, 그만큼 액체의 그라인딩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베슬(20)과 제2베슬(30)로 나누어서 액체를 그라인딩하면 장점이 크다. 먼저, 제1베슬(20)에서 1차로 액체를 묵직하게 때려서 그라인딩한 다음에, 제2베슬(30)에서 보다 빠르면서도 다소 가벼운 충격 에너지로 액체를 그라인딩하기 때문에, 그라인딩하고자 하는 도료, 잉크 등은 나노단위의 입자를 얻고자 하는 모든 액체를 효율적으로 단시간 내에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제1베슬(20)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비드를 사용하여 1차 분산(그라인딩)을 쉽게 하고, 제2베슬(30)에서는 비드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것을 사용하여 2차 분산(그라인딩)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베슬(20)의 직경보다 제2베슬(30)의 직경이 크고(약 20mm) 제2베스 내부의 제2핀드럼(80)의 직경도 제1베슬(20) 내부의 제1핀드럼(60)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므로, 제2베슬(30) 내부의 제2그라인딩핀의 선속도는 제1베슬(20) 내부의 제1핀드럼(60)에 조립된 제1그라인딩핀의 선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다. 선속도는 다음과 같다. 제1핀(70)은 1초에 10m일 때, 제2핀(90)은 1초에 11.2m가 된다.
따라서, 제2베슬(30) 내부에서 회전되는 제2핀(90)의 선속도가 제1베슬(20) 내부의 제1핀(70)의 선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빠르고, 선속도가 더 크다면 운동에너지가 그만큼 더 많이 생성되므로, 제1베슬(20)에서보다 제2베슬(30)에서 액체가 더 미세하게 그라인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부언하면, 운동에너지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데, 제2베슬(30)에서의 제2핀(90)의 선속도가 제1베슬(20) 내부의 제1핀(70)의 선속도보다 빠르므로, 운동에너지가 보다 증가하며, 이러한 운동에너지 증가로 인하여 비드와 액체 입자 사이의 충돌 운동에너지가 커져서 결국 제1베슬(20)에서보다 제2베슬(30)에서 보다 미세하게 액체 입자가 그라인딩되는 것이다. 더욱이, 제2베슬(30)에서 액체가 제1베슬(20)에서보다 더 느리게 진행하기 때문에, 액체가 제1베슬(20)에서보다 제2베슬(30)에서 더욱 미세하게 그라인딩되어 단시간에 적합한 입자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라인딩을 해주기 위해 회전되는 샤프트(50)는 회전을 변속할 수 있는 전기, 전자부품을 부착해 사용하므로, 생산 작업에 매우 용이하다. 주축을 변속하면 장점은 유기 및 무기안료 등을 효율적으로 그라인딩 처리할 수 있다. 안료의 특성에 따라 또는 점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회전을 변속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페인트입자를 그라인딩하는 경우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도, 도료, 잉크, 염료, 의약품과 같은 재료를 그라인딩하는데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그라인딩 작업시 냉각 기능을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도 2에 확대로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핀드럼(60)의 내부에는 제1워터챔버(63)가 구비되고, 제2핀드럼(80)의 내부에도 제2워터챔버(83)가 구비되며, 샤프트(5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결합공(53)이 형성되고, 이러한 샤프트(50)의 관결합공(53)에는 냉각수 유입관(120)이 내장되어 샤프트(50)의 관결합공(53) 내주면과 냉각수 유입관(120)의 외주면 사이에 소통로(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소통로(122)는 전단 소통로(122a)와 후단 소통로(122b)로 구성된다. 즉, 냉각수 유입관(120)의 전단부측 외주면과 샤프트(50)의 내주면 사이에 제1실링재(124)가 설치되고, 냉각수 유입관(120)의 대략 중간부측 외주면과 샤프트(50)의 내주면 사이에는 제2실링재(126)가 설치되어, 제1실링재(124)와 제2실링재(126) 사이에 전단 소통로(122a)가 형성되고, 제2실링재(126)의 후단 위치부터 후단 소통로(122b)가 형성된다.
또한, 제1핀드럼(60) 내부의 제1워터챔버(63)의 전후단 내주면과 샤프트(50)의 외주면 사이는 패킹(S1 및 S2)에 의해 밀폐되어, 제1핀드럼(60) 내부의 제1워터챔버(63)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으며, 제2핀드럼(80) 내부의 제1워터챔버(83)의 전후단 내주면과 샤프트(50)의 외주면 사이는 패킹(S3 및 S4)에 의해 밀폐되어, 제2핀드럼(60) 내부의 제2워터챔버(83)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샤프트(50)의 전단부측 둘레부에는 제1핀드럼(60)의 제1워터챔버(63)와 냉각수 유입관(12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입수구(WI1)가 형성되고, 샤프트(50)의 둘레부 중에서 제1핀드럼(60)의 후단부측과 인접된 둘레부(즉, 패킹(S2) 과 인접된 둘레부)에는 제1핀드럼(60)의 제1워터챔버(63)와 소통로(122)를 연통시키는 제1출수구(WO1)가 형성된다. 이때, 제1실링재(124)는 냉각수 유입관(120)의 전단부에서 유입되는 냉각수가 샤프트(50)의 내주면과 냉각수 유입관(120) 외주면 사이의 전단 소통로(122b)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샤프트(50)의 둘레부 중에서 제2핀드럼(80)의 전단부측과 인접된 둘레부(즉, 패킹(S3)와 인접된 둘레부)에는 제2핀드럼(80)의 제2워터챔버(83)와 소통로(122)를 연통시키는 제2입수구(WI2)가 형성되고, 샤프트(50)의 둘레부 중에서 제2핀드럼(80)의 후단부측과 인접된 둘레부(즉, 패킹(S4)와 인접된 둘레부)에는 소통로(122)와 제2핀드럼(80)의 제2워터챔버(83)를 연통시키는 제2출수구(WO2)가 형성된다. 이때, 제2실링재(126)는 전단 소통로(122a)에서 샤프트(50)의 제2입수구(WI2)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샤프트(50) 내주면과 냉각수 유입관(120) 외주면 사이의 후단 소통로(122b)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외부의 냉각수 공급유닛으로부터 냉각수 유입관(120)의 전단부와 샤프트(50)의 제1입수구(WI1)를 통해 제1핀드럼(60) 내부의 제1워터챔버(63)에 냉각수가 공급됨으로써, 그라인딩 작업시 열교환되고, 제1워터챔버(63)에서 열교환된 냉각수는 다시 샤프트(50)의 제1출수구(WO1)를 통해 전단 소통로(122a)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샤프트(50)의 제2입수구(WI2)를 통해 제2핀드럼(80) 내부의 제2워터챔버(83)로 공급됨으로써, 그라인딩 작업시 열교환되고, 제2워터챔버(83)에서 열교환된 냉각수는 샤프트(50)의 제2출수구(WO2)와 후단 소통로(122b)를 통해 배출되므로, 그라인딩 작업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액체의 물성 변화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열교환된 냉각수는 다시 냉각수 공급유닛으로 배출되었다가 냉각수 유입관(120)과 제1핀드럼(50)의 제1워터챔버(53)와 제2핀드럼(80)의 제2워터챔버(83)로 다시 공급되는 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도 2의 점선 화살표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핀드럼과 제2핀드럼 부분의 단면도

Claims (5)

  1. 일단부에 투입구(22)가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22)로 액체가 유입되며 내부에는 비드가 충전되는 제1베슬(20)과, 상기 제1베슬(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이루어져 상기 제1베슬(20)의 타단부에 연속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베슬(20)에 충전되는 비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비드가 충전되는 제2베슬(30)과, 상기 제1베슬(20)과 제2베슬(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50)와, 상기 샤프트(50)의 둘레부 중에서 상기 제1베슬(20)에 내장되는 둘레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핀(40)과, 상기 샤프트(50)의 둘레부 중에서 상기 제2베슬(30)에 내장된 둘레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2핀(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슬(20)과 상기 제2베슬(30)이 이어지는 부분의 내부에는 상기 제1베슬(20) 내부에서 1차로 그라인딩된 액체가 통과되는 미세공을 갖는 격리판(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드럼(60)의 직경에 비하여 상기 제2핀드럼(8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드럼(60)에 구비된 제1핀(70)의 직경에 비하여 상기 제2핀드럼(80)에 구비된 제2핀(9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KR1020090015694A 2009-02-25 2009-02-25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KR100921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694A KR100921190B1 (ko) 2009-02-25 2009-02-25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694A KR100921190B1 (ko) 2009-02-25 2009-02-25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190B1 true KR100921190B1 (ko) 2009-10-13

Family

ID=4157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694A KR100921190B1 (ko) 2009-02-25 2009-02-25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1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7990A (ja) * 1991-11-19 1993-06-01 Inoue Seisakusho:Kk 媒体分散機
JPH06134271A (ja) * 1992-09-11 1994-05-17 Toyo Ink Mfg Co Ltd 連続式分散装置
JPH07163897A (ja) * 1993-12-10 1995-06-27 Isamu Yoshizawa 破砕機
JPH07185285A (ja) * 1993-12-28 1995-07-25 Ricoh Co Ltd 横型湿式分散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7990A (ja) * 1991-11-19 1993-06-01 Inoue Seisakusho:Kk 媒体分散機
JPH06134271A (ja) * 1992-09-11 1994-05-17 Toyo Ink Mfg Co Ltd 連続式分散装置
JPH07163897A (ja) * 1993-12-10 1995-06-27 Isamu Yoshizawa 破砕機
JPH07185285A (ja) * 1993-12-28 1995-07-25 Ricoh Co Ltd 横型湿式分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574B1 (ko) 순환형 매체 교반밀
US9308534B2 (en) Jet mill combining high speed grinding apparatus and high speed grinding apparatus with jet mill mounted thereon
CN102345441B (zh) 自进式钻孔方法及脉冲空化旋转射流喷嘴
CN103657801B (zh) 搅拌式研磨分离器及研磨装置
KR101310130B1 (ko) 원료의 미립자 가공을 위한 분쇄 및 분산장치
CN104028343B (zh) 湿法微细粉碎与分级装置
CN105944814B (zh) 一种超微粉碎机
CA2423634A1 (en) Centrifugal grinding mills
KR100921190B1 (ko)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CN203610179U (zh) 一种非金属矿用搅拌磨机
CN111185282A (zh) 一种球磨系统
KR100748233B1 (ko)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FI82616B (fi) Luftstraolekvarn foer fin- och /eller kryomalning och ytbehandling av foeretraedesvis haorda, elastiska och/eller termoplastiska material.
KR102081216B1 (ko) 분쇄 분산기
CN104971799A (zh) 一种环隙式纳米砂磨机
CN218394018U (zh) 一种气流粉碎机
CN109012910A (zh) 一种异形筒体组合连续式球磨机
CN202377049U (zh) 一种强冷却卧式砂磨机
JP2005169340A (ja) 横型湿式媒体撹拌分散粉砕装置
CN211612941U (zh) 一种螺旋出料的卧式砂磨机
CN209849041U (zh) 无机微细颗粒空化粉碎装置
KR100592922B1 (ko) 건식 나노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건식 나노 분쇄 시스템
CN109174386B (zh) 一种超声波漩涡式磨机及具有该磨机的纳米粘土制备系统
CN103170395B (zh) 一种凸销涡轮介质搅拌磨
CN207342791U (zh) 涂料砂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