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189B1 - 퍼펙트 밀 - Google Patents

퍼펙트 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189B1
KR100921189B1 KR1020090015693A KR20090015693A KR100921189B1 KR 100921189 B1 KR100921189 B1 KR 100921189B1 KR 1020090015693 A KR1020090015693 A KR 1020090015693A KR 20090015693 A KR20090015693 A KR 20090015693A KR 100921189 B1 KR100921189 B1 KR 10092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shaft
drum
liqui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국
Original Assignee
베스트화학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트화학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베스트화학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102009001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02C13/18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2Shape or inner surface of mill-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퍼펙트 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일단부측에 액체 투입을 위한 입구(20a)가 구비되고 타단부측에는 그라인딩된 액체의 배출을 위한 출구(20b)가 구비된 베슬(20)과, 상기 베슬(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핀드럼(42)과, 상기 핀드럼(42)의 외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핀드럼(42) 회전시 상기 베슬(20) 내부로 투입된 액체를 그라인딩하도록 된 복수개의 핀(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슬(20)은 상기 입구(20a)와 인접된 부분의 내주면에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의 확경부(24)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출구(20b)와 인접되는 내측면에 다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축경부(28)가 구비되며, 상기 핀드럼(42)의 앞쪽 부분은 상기 베슬(20)의 상기 확경부(24)에 대응되는 형상의 확경부(44)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핀드럼(42)의 뒷쪽 부분은 상기 베슬(20)의 상기 축경부(28)에 대응되는 형상의 축경부(4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슬, 핀드럼, 확경부, 축경부, 그라인딩, 효율

Description

퍼펙트 밀{Perfect Mill}
본 발명은 퍼펙트 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슬 내부에서 액체에 가해지는 충격(액체 입자를 갈아서 잘게 부수는 힘)을 높이고, 비드가 액체 토출 부분으로 몰리는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그라인딩 효율성을 상당히 높이고, 청소 작업 등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퍼펙트 밀에 관한 것이다.
페인트는 고유 색상의 페인트안료와 수지 및 용제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페인트 등을 그라인딩하기 위하여 밀(mill)이라 칭하는 그라인딩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밀은 페인트를 보다 미세한 입자로 그라인딩함으로써 페인트의 품질 향상을 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밖에도 밀은 잉크, 염료, 의약품과 같은 액체를 그라인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밀의 그라인딩부는 액체가 투입될 베슬(vessel)의 내부에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샤프트에는 핀드럼이 구비되며, 핀드럼의 외주면에는 복 수개의 그라인딩핀이 돌출되어 구성된 것으로, 베슬 내부에 세라믹 구슬과 같은 비드를 투입한 다음, 베슬의 입구를 통해 페인트와 같은 액체를 주입하여 핀드럼과 그라인딩핀을 회전시키면, 비드와 액체 입자 사이의 충돌 에너지에 의해 액체 입자를 잘게 그라인딩되어 베슬의 타측부에 형성된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기존 밀의 경우, 일자형 핀드럼을 채용하고 베슬도 일자형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주요부인 베슬 자체의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청소 작업이 곤란하고 시간 소요가 많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페인트를 그라인딩 작업할 경우, 붉은색 페인트를 그라인딩하고 나서 다른 색상(예를 들어, 검은색)의 페인트를 그라인딩하고자 하면, 베슬의 내부와 핀드럼 등의 주요 부분을 필수적으로 청소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베슬과 핀드럼의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청소 작업이 곤란하고 청소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전체 작업성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기존 밀의 베슬 내부는 대부분 수평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액체가 베슬 내부로 투입되었을 때, 샤프트의 외경 부위나 핀드럼 외경 부위로 지나가는 액체(도료나 잉크 등)는 비드의 운동에 의한 충격(즉, 액체 입자를 잘게 부수어 그라인딩하는 힘)이 매우 약하므로, 그라인딩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액체 그라인딩 도중에는 비드가 액체 토출 부분으로 몰리는 쏠림 현상이 발생되고 베슬의 입구측 부분은 공간이 형성되므로, 그라인딩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가 베슬 내부로 투입되었을 때, 비드의 운동에 의한 충격력을 높이고, 그라인딩 도중에 비드가 액체 토출 부분으로 몰리는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그라인딩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도록 된 퍼펙트 밀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요부인 베슬의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길이를 줄이는 구조를 취하여, 청소 작업이 신속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퍼펙트 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단부측에 액체 투입을 위한 입구가 구비되고 타단부측에는 그라인딩된 액체의 배출을 위한 출구가 구비된 베슬과, 상기 베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핀드럼과, 상기 핀드럼의 외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핀드럼 회전시 상기 베슬 내부로 투입된 액체를 그라인딩하도록 된 복수개의 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슬은 상기 입구와 인접된 부분의 내주면에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의 확경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출구와 인접되는 내측면에 다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축경부가 구비되며, 상기 핀드럼의 앞쪽 부분은 상기 베슬의 상기 확경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확경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핀드럼의 뒷쪽 부분은 상기 베슬의 상기 축경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축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펙트 밀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슬 내부로 유입되는 도료, 잉크 등의 액체가 베슬 내부 입구 부분에서는 직경이 좁게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넓어져서 비드의 와류가 크게 일어나게 되며, 이때, 핀드럼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므로, 핀드럼 외경 주위를 거쳐 충격 에너지를 크게 받지 못하고 지나가는 도료, 잉크 등의 액체가 와류에 의해 비드와 같이 낙하하면서 베슬 내벽쪽으로 밀려나감으로써, 액체가 효과적으로 그라인딩 된다. 또한, 베슬의 중심부는 약간의 평면 형상을 하고 있어서 비드의 운동 에너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부에서 액체가 토출되는 출구 방향으로 가면서 다시 베슬의 직경이 좁게 설계되어 있어서, 비드가 원심력 운동시 위에서 아래 사선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중심부에서 출구 방향으로 베슬의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져서, 비드와 액체가 큰 압박을 받으므로, 그라인딩 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베슬 내부 입구측과 출구측이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비드의 수평을 항상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베슬의 투입측에 비드가 쏠리는 현상이 없이 베슬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 끝까지 항상 균일한 그라인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주요부인 베슬을 축경부와 확경부를 갖도록 구성하고, 동시에 핀드럼도 확경부와 축경부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베슬의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거리가 상당히 줄어들기 때문에, 베슬 내부 등의 청소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청소 작업시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전체 작업성 면에서 여러 가지로 상당한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슬과 핀드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단부측에 액체 투입을 위한 입구(20a)가 구비되고 타단부측에는 액체 배출을 위한 출구(20b)가 구비된 베슬(20)과, 이 베슬(20)에 내장되어 회전구동장치(모터와 풀리 등)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30)와, 이 샤프트(30)의 둘레부에 장착되어 베슬(20)에 내장된 핀드럼(42)과, 이 핀드럼(42) 둘레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액체 그라인딩용 핀(50)을 포함한다.
상기 베슬(20)은 대략 단면 육각형의 외부 케이싱(10)에 내장 지지되고, 외부 케이싱(10)은 밀(mill)의 본체를 구성하는 베슬 하우징(90)에 지지되어, 베슬(20)이 베슬 하우징(90)에 고정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베슬(20)의 일단부에는 페인트 등의 액체가 투입되는 입구(20a)가 형성되고, 베슬(20)의 타단부측에는 내부와 연통된 액체 배출용 출구(20b)가 형성되어 있다. 베슬 하우징(90)의 내부로는 샤프트(30)가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어, 샤프트(30)의 앞쪽 둘레부가 베슬(20)의 내부에 배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베슬(20)은 입구(20a)와 인접된 부분의 내주면에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의 확경부(24)가 구비되고, 대략 중간 부분에는 확경부(24)에 이어지는 평면부(26)가 구비되며, 출구(20b)와 인접되는 내측면에는 평면부(26)에 이어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다시 줄어드는 형상의 축경부(28)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베슬(20)의 단면적이 대략 단면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슬(20)은 대략 육각 형상 형상의 외부 케이싱(10)에 내장되어, 베슬(20)의 외주면과 외부 케이싱(10) 사이에 워터챔버(29)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전후단부에 각각 전단 결합공(10a)과 후단 결합공(10b)이 형성된 대략 육각 형상 형상의 외부 케이싱(10)에 베슬(20) 일단부의 입구(20a) 부분과 베슬(20) 타단부의 출구(20b) 부분이 결합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외부 케이싱(10)과 베슬(20) 사이에 냉각수 순환을 위한 워터챔버(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케이싱(10)은 전단 결합공(10a)과 후단 결합공(10b)과 교차되는 상하면에 통공부(10c 및 10d)가 형성되어, 베슬(20) 상면의 비드 투입구(21)은 외부 케이싱(10)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부(10c)에 끼워져 결합되고, 베슬(20) 하면의 비드 배출구(23) 부분은 외부 케이싱(10)의 하면에 형성된 통공부(10d)에 끼워져 결합된다. 물론, 외부 케이싱(10)과 베슬(20)의 결합부 사이(즉, 베슬(20)의 입구(20a) 부분, 출구(20b) 부분, 비드 투입구(21) 및 비드 배출구(23) 부분)에는 패킹이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워터챔버(29)로 순환하는 냉각수의 누수 현상 등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베슬(2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오목홈부(25)가 형성되어, 이러한 오목홈부(25)로 인해 워터챔버(29)로 투입되는 냉각수와의 열 교환 효율이 보다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부호 12는 냉각수 입구이고 부호 14는 냉각수 출구로서, 냉각수 입구(12)를 통해 워터챔버(29)로 유입되어 열교환된 냉각수가 냉각수 출구(14)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베슬(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핀드럼(42)의 앞쪽 부분은 베슬(20)의 확경부(24)에 대응되는 형상의 확경부(44)가 형성되고, 핀드럼(42)의 대략 중간 부분에는 확경부(44)에 이어지는 평면부(46)가 구비되며, 베슬(20)의 출구(20b)와 인접되는 뒷쪽 부분에는 베슬(20)의 축경부(28)에 대응되도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다시 줄어드는 형상의 축경부(48)가 구비된다.
정리하면, 베슬(20)과 핀드럼(42)은 액체의 투입을 위한 입구(20a)와 인접되는 부분에 점차적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확경부(24,44)가 형성되고, 베슬(20)과 핀드럼(42)의 중간 부분에는 확경부(24,44)와 이어지는 평면부(26,46)가 형성되며, 베슬(20)과 핀드럼(42)의 출구(20b)와 인접되는 부분에는 다시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축경부(28,48)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핀드럼(42)은 두 개의 제1분할 드럼체(42a)와 제2분할 드럼체(42b)가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핀드럼(42)을 구성하는 제1분할 드럼체(42a)와 제2분할 드럼체(42b)는 샤프트(30)의 둘레부에 장착되고, 샤프트(30)는 선단부에 전방의 제1분할 드럼체(42a)를 관통하는 볼트(80)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샤프트(30)의 둘레부에는 후방의 제2분할 드럼체(42b)가 걸려져 지지되는 걸림단턱(38)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분할 드럼체(42a)와 제2분할 드럼체(42b)를 서로 맞닿도록 결 합하고, 이렇게 두 개가 합쳐져 조립된 핀드럼(42)을 제2분할 드럼체(42b)를 뒤로하여 샤프트(30)에 끼우면, 샤프트(30)의 둘레부에 구비된 걸림단턱(38)에 의해 제2분할 드럼체(42b)의 후단부측이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방의 제1분할 드럼체(42a)의 전단부를 관통하는 볼트(80)를 샤프트(30) 선단부의 나사부에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그러면, 볼트(80)의 조여주는 힘과 샤프트(30) 둘레부의 걸림단턱(38)에 걸려지는 힘에 의해 제1분할 드럼체(42a)와 제2분할 드럼체(42b)가 강하게 서로 가압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샤프트(30)의 둘레부에 핀드럼(42)이 장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분할 드럼체(42a)와 제2분할 드럼체(42b)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별도의 패킹이 더 구비되어, 제1분할 드럼체(42a)와 제2분할 드럼체(42b) 사이의 결합 부위로 누수되는 현상 등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핀드럼(42)의 내주면과 샤프트(30)의 외주면 사이에는 워터챔버(49)가 형성되어, 이러한 워터챔버(49)를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 핀드럼(42) 자체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아울러, 제2분할 드럼체(42b)의 후단 부분과 베슬(20)의 출구(20b) 사이에는 그라인딩된 액체를 통과시키 위한 필터유닛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제2분할 드럼체(42b)의 후단 부분과 베슬(20)의 출구(20b) 사이의 그냥 액체 소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핀드럼(42)과 베슬(20) 사이의 액체 그라인딩 공간에서 그라인딩된 액체가 베슬(20)의 출구(20b)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베슬(20)의 둘레부측에 형성된 비드 투입구(21)를 통해 베슬(20)의 내측면과 핀드럼(42)의 외측면 사이의 그라인딩 공간부에 비드(세라믹볼 등)를 충전한 다음, 베슬(20)의 일단부측 입구(20a)를 통해 그라인딩하기 위한 페인트 등의 액체를 투입한 다음, 샤프트(30)와 핀드럼(42) 및 복수개의 핀(50)을 회전시켜 비드와 액체 사이의 충돌력에 의해 액체를 그라인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슬(20)과 핀드럼(42)은 입구(20a)에서 중간까지는 직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확경부(24,44)가 있고, 중간에서 출구(20b)까지는 다시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축경부(28,48)가 있어서, 확경부(24,44) 영역에서는 원심력에 의한 운동에너지 크기의 증가가 일어나고, 이러한 운동에너지의 증가에 따라 비드의 와류가 크게 발생하므로, 입구(20a)에서 중간까지의 확경부(24,44) 영역에서는 비드와 액체가 넓게 퍼지면서 와류가 형성되는 동시에 핀(50)과의 충돌에 의한 운동에너지 상실이 적게 발생되어 높은 운동에너지를 갖게 되고, 이러한 높은 운동에너지에 의해 액체가 효과적으로 그라인딩될 수 있게 된다. 즉, 핀드럼(42) 외경 주위를 거쳐 충격 에너지를 크게 받지 못하고 지나가는 도료, 잉크 등의 액체가 와류에 의해 비드와 같이 낙하하면서 베슬(20) 내벽쪽으로 밀려나감으로써, 액체가 효과적으로 그라인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베슬(20) 내부 입구(20a)측 부분의 확경부(24,44) 영역과 출구(20b)측 부분의 축경부(28,48) 영역의 중간 부분에는 평면부(26,46)가 구비되어 있어서, 확경부(24,44) 영역에서 축경부(28,48) 영역으로 액체가 넘어갈 때, 급격한 운동에너지 감소 없이 부드럽게 액체가 축경부(28,48) 영역으로 넘어가도록 유도되므로, 그 라인딩에 필요한 운동에너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처럼 비드의 운동 에너지를 극대화시킨다는 것은 액체 입자의 그라인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베슬(20) 내주면의 축경부(28)와 핀드럼(42) 외주면의 축경부(48)에 의해 중심부에서 액체가 토출되는 출구(20b) 방향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비드가 원심력 운동시 위에서 아래 사선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으며, 베슬(20)의 입구(20a)측에서 중간 부분 사이의 확경부(24) 영역에서 축적된 에너지가 축경부(28) 영역을 통과하면서 비드와 액체가 보다 큰 압박을 받아 보다 강한 그라인딩력으로 발휘되므로, 그라인딩 효율을 매우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일자형 베슬(20)과 핀드럼(42)과는 달리 베슬(20)을 확경부(24)와 축경부(28)를 갖도록 구성하고, 핀드럼(42)도 확경부(44)와 축경부(48)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베슬(20)의 입구(20a)에서 출구(20b)까지의 거리가 상당히 줄어들어, 청소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청소 시간 소요가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즉, 페인트를 그라인딩 작업할 경우, 붉은색 페인트를 그라인딩하고 나서 다른 색상(예를 들어, 검은색)의 페인트를 그라인딩하고자 하면, 베슬(20)의 내부와 핀드럼(42) 등의 주요 부분을 필수적으로 청소해야 하는데, 본 발명은 베슬(20)과 핀드럼(42)의 길이를 줄인 구조이기 때문에, 청소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청소 시간 소요도 그만큼 많이 줄어들며, 이로 인해, 전체 작업성 면에서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핀드럼(42)은 두 개의 제1분할 드럼체(42a)와 제2분할 드럼체(42b)를 상호 조립하여 구성되므로, 핀드럼(42) 내측면의 열전달률을 높이기 위한 오목홈부(45) 가공 작업 등을 보다 원활하게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제작시의 효율성을 높이고, 나아가, 제작 코스트 절감 등의 효과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핀드럼(42)의 내부에는 워터챔버(49)가 구비되고, 샤프트(3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결합공(32)이 형성되고, 이러한 샤프트(30)의 관결합공(32)에는 냉각수 유입관(34)이 내장되어 샤프트(30)의 관결합공(32) 내주면과 냉각수 유입관(34)의 외주면 사이에 냉각수 배출로(36)가 형성되며, 핀드럼(42)의 워터챔버(49) 내부에 배치되는 샤프트(30)의 둘레부에는 냉각수 유입관(34)과 연통되는 유입구(34a)와 냉각수 배출로와 연통되는 유출구(32a)가 형성되어, 외부의 냉각수 공급유닛으로부터 샤프트(30) 내부의 냉각수 유입관(34)과 샤프트(30)의 유입구(34a)를 통해 핀드럼(42) 내부의 워터챔버(49)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그라인딩 작업시 열교환되므로, 핀드럼(42)의 열에 의한 액체의 물성 변화 등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열교환된 냉각수는 다시 샤프트(30)의 유출구(32a)와 냉각수 배출로(36)를 통해 냉각수 공급유닛으로 배출되어 다시 냉각수 유입관(34)과 샤프트(30)의 입구(20a)로 다시 공급되는 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는 출구(20b)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밀(mill) 본체에 옆으로 눕혀져 설치된다. 즉, 도 1과 2에서는 주요 부분이 세워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주요 부분이 실제로는 출구(20b)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밀 본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슬과 핀드럼의 확대된 단면도

Claims (4)

  1. 일단부측에 액체 투입을 위한 입구(20a)가 구비되고 타단부측에는 그라인딩된 액체의 배출을 위한 출구(20b)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입구(20a)를 통해 유입된 그라인딩 원료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베슬(20)과, 상기 베슬(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방측 일부가 상기 베슬(20) 내부의 공간부에 배치된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의 상기 베슬(20) 내부의 공간부에 배치된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슬(20)의 안쪽면과의 사이에 그리인딩 원료를 갈아주기 위한 그라인딩 간격부를 확보한 핀드럼(42)과, 상기 핀드럼(42)의 외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핀드럼(42) 회전시 상기 베슬(20) 내부로 투입된 액체를 그라인딩하도록 된 복수개의 핀(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슬(20)의 안쪽면에는 일단부측의 상기 입구(20a)에서 길이 방향 중앙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의 확경부(24)와, 상기 확경부(24)에 이어지며 상기 베슬(20)의 타단부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다시 줄어드는 형상의 축경부(28)가 구비되고, 상기 핀드럼(42)의 바깥면에는 상기 베슬(20)의 일단부측의 입구(20a) 방향에서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는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상의 확경부(44)와, 상기 확경부(44)에 이어지며 상기 베슬(20)의 타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다시 줄어드는 형상의 축경부(4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펙트 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슬(20)은 중간 부분에 상기 확경부(24)와 상기 축경부(28)에 이어지는 평면부(26)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핀드럼(42)은 중간 부분에 상기 확경부(44)와 축경부(48)에 이어지는 평면부(46)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펙트 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드럼(42)은 한 쌍의 제1분할 드럼체(42a)와 제2분할 드럼체(42b)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펙트 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 드럼체(42a)와 상기 제2분할 드럼체(42b)는 회전하는 샤프트(30)의 둘레부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30)는 선단부에 전방의 제1분할 드럼체(42a)를 관통하는 볼트(80)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30)의 둘레부에는 후방의 제2분할 드럼체(42b)가 걸려져 지지되는 걸림단턱(3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펙트 밀.
KR1020090015693A 2009-02-25 2009-02-25 퍼펙트 밀 KR100921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693A KR100921189B1 (ko) 2009-02-25 2009-02-25 퍼펙트 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693A KR100921189B1 (ko) 2009-02-25 2009-02-25 퍼펙트 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189B1 true KR100921189B1 (ko) 2009-10-13

Family

ID=4157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693A KR100921189B1 (ko) 2009-02-25 2009-02-25 퍼펙트 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0550A (zh) * 2020-12-11 2021-02-19 新邵县四杰竹业发展有限公司 一种竹筷子加工用消毒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998A (en) 1996-09-19 1999-04-20 Draiswerke, Inc. Agitator mill
JPH11332467A (ja) 1998-05-25 1999-12-07 Noriya Ikeda 茶葉粉砕機
KR100461563B1 (ko) 2001-11-26 2004-12-14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수분을 함유하는 화합물 및 천연물의 분쇄 방법 및 장치
KR20080069979A (ko) * 2005-10-11 2008-07-29 뷔홀러 아게 교반기 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998A (en) 1996-09-19 1999-04-20 Draiswerke, Inc. Agitator mill
JPH11332467A (ja) 1998-05-25 1999-12-07 Noriya Ikeda 茶葉粉砕機
KR100461563B1 (ko) 2001-11-26 2004-12-14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수분을 함유하는 화합물 및 천연물의 분쇄 방법 및 장치
KR20080069979A (ko) * 2005-10-11 2008-07-29 뷔홀러 아게 교반기 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0550A (zh) * 2020-12-11 2021-02-19 新邵县四杰竹业发展有限公司 一种竹筷子加工用消毒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3066B (fi) Jauhinlevykokoonpanot ja -menetelmä massan jauhamiseksi
WO2021212712A1 (zh) 一种砂磨机用分散研磨筒装置
US6123271A (en) Vessel cleaning apparatus
KR100928076B1 (ko) 나노 분쇄기
KR100921189B1 (ko) 퍼펙트 밀
CN108435341B (zh) 用于制备颗粒分散体的研磨设备
CN202778587U (zh) 纳米级动态分离式研磨机
CN213315339U (zh) 一种棒销式砂磨机
CN110947471A (zh) 一种高效性能稳定砂磨机
KR100748233B1 (ko)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CN104971799A (zh) 一种环隙式纳米砂磨机
CN210434626U (zh) 一种研磨机分离装置和研磨机
CN214636928U (zh) 料球分离机构及其砂磨机
CN212596098U (zh) 一种实验室用轴芯出料陶瓷棒销砂磨机
KR100862329B1 (ko) 공급 유로가 형성된 나노 파우더 밀
CN104226426A (zh) 全尺寸动态分离纳米砂磨机
KR100815883B1 (ko) 고로 출선구 연삭장치
CN208082605U (zh) 一种间隙分离式研磨机
CN206526880U (zh) 重型拼装式纳米棒销砂磨机
CN104941760A (zh) 一种油墨加工砂磨机
JP2002119836A (ja) 静止型混合装置
KR101999316B1 (ko) 요동분쇄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KR100727029B1 (ko) 횡형밀
CN211678195U (zh) 一种高速中药粉碎机的冷却装置
KR100921190B1 (ko)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