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188B1 - 침매함 결합장치 및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침매함 결합장치 및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188B1
KR100921188B1 KR1020090032724A KR20090032724A KR100921188B1 KR 100921188 B1 KR100921188 B1 KR 100921188B1 KR 1020090032724 A KR1020090032724 A KR 1020090032724A KR 20090032724 A KR20090032724 A KR 20090032724A KR 100921188 B1 KR100921188 B1 KR 100921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box
outside
air
imm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봉철
양보현
조성태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9003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7Tunnels or shuttering therefor preconstructed as a whole or continuously made, and moved into place on the water-bed, e.g. into a preformed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Abstract

본원 발명은 침매터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침매터널을 구성하는 침매함 중 이미 설치된 기설함과 기설함에 설치되는 신설함 사이에 차수를 위해 설치되어 일종의 가스켓 역할을 하는 지나조인트에 수평변위가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챔버 내부와 침매함 외부가 통수되도록 설치되고 개폐밸브가 구비된 순환배관; 챔버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게 챔버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구비된 공기 주입수단; 챔버 내부의 물을 챔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개폐밸브가 구비된 배수배관; 및 챔버 내부와 침매함 내부가 통기될 수 있게 챔버에 구비된 에어밸브; 를 포함하는 것으로 실현 가능하고, 기존 공법에 비해 침매함들을 신속하게 결합하여 침매터널을 설치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침매터널, 침매함, 격벽, 챔버, 순혼배관, 공기 주입수단, 공기층

Description

침매함 결합장치 및 결합방법{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S OF IMMERSED TUNNEL}
본원 발명은 육지와 도서지역을 해저로 연결하는 침매터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매터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침매터널을 구성하는 침매함 중 이미 설치된 기설함과 기설함에 설치되는 신설함 사이에 차수를 위해 설치되어 일종의 가스켓 역할을 하는 지나조인트에 수평변위가 발생되지 않게 하는 침매함 결합방법 및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침매터널은 박스 구조물 형태의 침매함을 연속되게 설치하여 제작하는 일종의 수중터널로서, 침매공법은 터널에 부력이 작용하므로 겉보기 비중이 적고, 지반의 지지력이 크게 필요 없어 연약지반에 적합하다. 또한, 수심이 깊은 곳에서도 안전하게 공사할 수 있고, 시공 효율성이 좋아 공사기간이 짧은 장점 및 선박의 항로에 대한 제약이 적은 이점이 인정되어 점차 교량을 대체하는 시설로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침매터널은 육상에서 콘크리트로 침매함을 제작한 뒤 제작된 침매함을 부력을 이용해 물에 띄워 견인함을 이용해 설치지점으로 운반한 후 설치지점에 서 가라앉혀 설치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침매함을 연결하는 방법은 이미 설치된 침매함(이하, 기설함이라 함)인 기설함에 새롭게 설치되는 침매함(이하, 신설함이라 함)인 신설함 사이에 챔버를 구성하고 챔버와 신설함 외부에 수압차를 발생시켜 기설함과 신설함이 밀착되게 하는 수압접합법이 사용 된다.
침매터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침매터널은 통상 수 내지 수십 킬로미터(㎞)의 해저 구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여러 침매함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침매터널에 사용되는 침매함은 100여 미터(m)의 길이와 수십 미터(m)의 폭과 높이로 육상에서 제작된다. 이때, 침매함은 내부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양측은 개방되게 제작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침매터널(2)에 사용되는 침매함(10)은 양측이 개방되게 제작되고 이동 및 설치 시까지는 격벽(12)에 의해 양측이 밀폐된다. 이때, 침매함의 양측에 설치되는 격벽(12)은 침매함(10)의 끝단에서 침매함(10)의 내부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침매함(10)의 내부로 이격되게 격벽(12)을 설치하는 것은 기설함(10a)과 신설함(10b) 사이의 양측 격벽(12)으로 인해 챔버(11)가 구비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침매함(10)들 사이에 챔버(11)를 구비시킨 것은 챔버(11) 내부의 물을 배수시킬 때 발생되는 침매함(10) 외부의 수압과 챔버(11) 내부의 수압차를 이용해 기설함(10a)을 향해 신설함(10b)이 이동되도록 하여 침매함(10)들이 자연 접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게 하기 위해서이고, 이러한 결합방법은 수압접합법이라 한다.
수압접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침매함(10) 중 기설함(10a)의 접합면에는 엔드프레임(14: END FRAME)이 설치되고 신설함(10b)의 접합면에는 엔드프레임(14)과 접촉되는 고무재질의 일종의 가스켓인 지나조인트(13: GINA JOINT)가 설치된다. 따라서 수중에서 침매함(10)인 기설함(10a)과 신설함(10b)이 접합되는 초기단계에서는 기설함(10a)의 엔드프레임(14)과 신설함(10b)의 지나조인트(13)가 접촉되어 챔버(11) 내부와 외부가 차수된 상태만을 유지하게 된다. 즉, 챔버(11) 내부의 수압과 챔버(11) 외부의 수압은 동일하지만 챔버(11) 내부가 외부와 밀폐된 상태여서 물이 챔버(11) 외부로 빠져나가거나 내부로 유입되지는 않는 상태이다.
이후, 챔버(11) 내부의 물을 챔버(11) 외부로 배출시키면 챔버(11) 내부는 침매함(10) 외부보다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챔버(1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신설함(11b) 외부의 압력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신설함(10b)은 수압에 의해 기설함(10a)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신설함(10b)에 구비된 지나조인트(13)가 기설함(10a)에 구비된 엔드프레임(14)에 압착되어 침매함(10)들의 결합면 사이는 차수 가능하게 압착되어 결합된다.
그러나 침매함(10)들을 접합시키는 초기에 배수하는 과정에서 챔버(11) 내부에서 순간적으로 급격한 내부수압 저하가 발생되는 경우 지나조인트(13)에는 챔버(11) 내부를 향한 수평변위가 발생 되고, 접합 초기에 수평변위가 발생된 지나조인트(13)에는 이상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지나조인트(13)에 이상 변형이 발생되면 침매터널(2)이 완성된 뒤 에도 지나조인트(13)의 이상 변형된 구간에서 효과적인 차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침매함(10)을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지나조인트(13)에 수평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이다.
이를 위해 챔버(11)로부터 물을 배수시키는 과정에서 엔드프레임(14)과 지나조인트(13)의 접촉면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될 때까지는 최대한 천천히 배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매터널을 설치하는 현장에서 침매함들을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차수를 위해 설치되는 지나조인트에 수평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침매함 결합방법 및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침매함 결합장치 및 결합방법은 침매터널을 구성하는 침매함 중 기설함과 신설함의 사이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 형성된 챔버로부터 물을 배수시켜 신설함이 기설함 측으로 압착되게 하여 기설함과 신설함이 결합되게 하는 침매함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와 침매함 외부가 통수되도록 설치되고 개폐밸브가 구비된 순환배관; 상기 챔버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게 챔버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구비된 공기 주입수단;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챔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개폐밸브가 구비된 배수배 관; 및 상기 챔버 내부와 침매함 내부가 통기될 수 있게 챔버에 구비된 에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주입수단은 상기 챔버를 구성하는 격벽에 구비되는 공기 주입관 및 상기 공기 주입관을 통해 상기 챔버의 내부로 공급하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압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침매터널을 구성하는 침매함 중 기설함과 신설함의 사이에 챔버를 형성시키고, 상기 챔버를 외부와 차단되게 폐쇄시킨 뒤 챔버 내부의 물을 챔버 외부로 배수시켜 상기 챔버와 외부 수압의 압력차를 이용해 신설함이 기설함 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침매함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기 이전에 챔버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공기층 형성단계; 챔버에 공기층이 일정량 형성되면 공기 주입을 중단하고 챔버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챔버 내부와 신설함 외부가 통수되는 것을 폐쇄하는 챔버 폐쇄단계; 및 챔버 내부의 물을 챔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침매함 결합방법 및 결합장치는 기존 공법에 비해 침매함들을 신속하게 결합하여 침매터널을 설치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매함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나조인트가 수평변위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침매터널이 완성된 뒤에도 침매함들이 연결된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침매터널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매함 및 침매함 결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침매함 결합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침매함 결합방법에 의해 챔버의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공기층 형성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층 형성단계 후 챔버를 폐쇄시키는 챔버 폐쇄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챔버 폐쇄단계 후 챔버로부터 물을 배수시키는 챔버 배수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침매함 결합방법에 의해 침매함을 결합시킨 뒤 챔버로부터 잔류하는 물을 배수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매함 결합방법 및 결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침매함(100)은 종래 사용되던 침매함(10: 도 1 참조)과 동일하게 이웃하는 침매함(100)과 연결될 수 있게 내부에는 중공부(110)가 구비되고 양측 단부는 개방되게 제작된다. 이때, 개방된 양측 단부 중 일측에는 엔드프레임(103)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다른 침매함(100)의 엔드프레임(103)에 접합되는 지나조인트(10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침매함(100)의 중공부(110)에는 침매함(100)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으로 격벽(120)이 설치된다. 상기 격벽(120)은 침매 함(10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양측 단부로부터 침매함(100)의 중공부(110) 내부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침매함(100)은 먼저 설치된 침매함(100)을 기설함(101)이라 하고 나중에 설치되는 침매함(100)을 신설함(102)이라 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침매함 결합장치(200)는 상기 기설함(101)과 신설함(102)에 설치되는 것으로, 신설함(102) 또는 기설함(101)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고 신설함(102)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설함(101)과 신설함(102)에 모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침매함(100)에는 기설함(101)에 신설함(102)이 수압접합에 의해 결합되게 하는 침매함 결합장치(2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침매함 결합장치(200)는 침매함(100)의 격벽(120)에 설치되는 순환배관(210), 배수배관(230), 에어밸브(240) 및 공기 주입수단(2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순환배관(210)은 신설함(10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신설함(102)의 양측 격벽(1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순환배관(210)은 기설함(101)과 신설함(102)이 접합되어 양측 침매함(100) 사이에 챔버(105)가 형성된 경우 상기 챔버(105)와 침매함(100) 외부가 연통되어 챔버(105) 내부와 침매함(100) 외부의 물이 순환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챔버(105)와 침매함(100) 외부는 상기 순환배관(210)을 통해 서로의 방향으로 물이 유동될 수 있음으로 순환배관(21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챔버(105) 내부와 외부는 동일한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순환배관(210)에는 배관을 폐쇄 하거나 개방할 때 사용되는 개폐밸브(211)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배관(230)은 기설함(101)의 격벽(1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형성된 챔버(105)가 폐쇄된 뒤 상기 챔버(105)로부터 물을 배수시킬 때 사용된다. 따라서 배수배관(230)의 단부에는 챔버(105) 내부에서 배수된 물을 담을 수 있는 저수조(233) 내지는 저수탱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육상으로 즉시 배수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배수배관(230)에도 배수밸브(231)가 구비되어 챔버(105)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양을 상기 배수밸브(231)의 개방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챔버(105) 중 기설함(101)의 격벽(120)에는 공기 주입수단(22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 주입수단(220)은 상기 챔버(105)의 내부에 공기층(a)을 형성시키기 위해 압축공기를 주입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 주입수단(220)은 압축공기가 담기는 압력탱크(222)와 상기 압력탱크(222)로부터 챔버(105)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공기 주입관(221)으로 구성되고, 공기 주입관(221) 또는 압력탱크(222)에는 압축공기의 공급 유무를 제어하는 조작밸브(223)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공기 주입수단(220)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야만 된다. 이는 수중에 설치되는 침매함(100)에 형성된 챔버(105) 내부의 압력이 주변의 수압으로 인해 대기압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압력을 극복하고 챔버(105) 내부의 물을 챔버(105)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챔버(105)와 침매함(100) 외부의 수압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 이다.
상기에서 공기 주입수단(220)은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된 충분한 압축공기가 내입되어 있는 압력탱크(222)가 사용될 수도 있고,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압축공기를 생산 공급할 수 있는 공기압축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챔버(105)에는 지나조인트(104)가 충분한 압력으로 엔드프레임(103)에 압착된 뒤 챔버(105)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때 챔버(105)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하는 에어밸브(240)가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침매함 결합장치(200)를 사용하여 침매함(100)을 결합시키는 침매함 결합방법은 종래 침매함(10)을 결합시키는 방법과 같은 수압접합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침매함(100)을 제작, 운반 및 가라앉히는 단계 및 챔버(105)를 형성시키는 단계까지는 종래와 같지만 그 이후에 진행되는 본원 발명에 따른 침매함 결합방법은 챔버(105)로부터 물을 배수시키기 이전에 공기층 형성단계(S100), 챔버 폐쇄단계(S200) 및 배수단계(S300)로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먼저, 챔버(105)를 형성시키는 단계는 침매함(100) 중 기설함(101)의 접합면에 신설함(102)의 접합면을 접촉시키는 것으로 가능하다. 이때, 기설함(101)의 엔드프레임(103)의 표면에 신설함(102)의 지나조인트(104)가 가접합되게 됨으로 챔버(105) 내부의 물은 기설함(101)과 신설함(102)이 접합된 측면으로는 유동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105)를 형성시키는 단계에서 챔버(105) 내부의 물은 기설함(101)에 설치된 순환배관(210)으로 외부와 유동된다. 즉, 챔버(105)를 형성시키는 단계에서는 챔버(105) 내부의 압력이 챔버(105) 외부의 압력과 항상 동일하게 유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챔버(105)의 형성이 완료되면 챔버(105) 내부에 일정 용적의 공기층(a)을 형성시키는 공기층 형성단계(S100)를 진행시킨다. 상기 공기층 형성단계(S100)는 기설함(101)에 설치된 공기 주입수단(220)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이때, 챔버(105)에 구비된 에어밸브(240)와 배수배관(230)은 폐쇄되어 있어야 한다.
공기 주입수단(220)은 압력탱크(222)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일정량 공기 주입관(221)을 통해 챔버(105) 내부로 공급하고, 챔버(105) 내부에서는 물이 상기 순환배관(210)을 통해 침매함(100) 외부로 공급된 압축공기의 체적만큼 배출된다. 따라서 챔버(105)는 내부에 상기 배출된 물의 체적만큼의 공기층(a)이 형성된다. 이때, 공기층(a) 내부의 압력은 수심과 비례하여 증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공기층 형성단계(S100)에서 챔버(105) 내부에 적당한 공기층(a)이 형성되면, 다음 단계로 챔버(105)를 폐쇄하는 챔버 폐쇄단계(S200)를 진행한다. 상기 챔버 폐쇄단계(S200)는 순환배관(210)에 구비된 개폐밸브(211)를 폐쇄시킴으로 챔버(105)와 침매함(100)의 외부가 연통되지 않게 폐쇄시켜 외부에서 챔버(105) 내부로 어떠한 기체나 액체도 유입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이후 챔버(105) 내부에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단계(S300)를 진행한다. 배수단계(S300)에서는 배수배관(230)의 배수밸브(231)를 개방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상기에서 배수밸브(231)의 개방되는 정도에 따라 시간당 배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배수되는 물의 양은 현장에 따라 다소 다를 수는 있으나 기설함(101)과 신설함(102)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나조인트(104)에 수평변위가 발생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최대한 빠른 속도로 배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일련의 단계를 통해 기설함(101)과 신설함(102) 사이에 형성된 챔버(105) 내부에 공기층(a)을 형성시킨 뒤 챔버(105)를 폐쇄시킨 후 챔버(105)로부터 물을 배수시키면 챔버(105) 내부의 압력이 침매함(100) 주변의 수압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신설함(102)은 상기 챔버(105)의 감압되는 정도에 따라 서서히 기설함(101)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신설함(102)의 무게로 인해 지나조인트(104)는 기설함(101)에 설치된 엔드프레임(103)에 압착된다.
이후, 엔드프레임(103)에 지나조인트(104)가 충분히 압착되어 상기 접촉면에 수평변위에 저항할 수 있을 정도의 마찰력이 발생되면 에어밸브(240)와 배수밸브(231)를 완전히 개방하여 챔버(105) 내부의 물이 챔버(105) 외부로 신속히 배수되게 하여 침매함(100)의 결합을 마무리 한다.
이와 같이 진행되는 본원 발명에 따른 침매함 결합방법에서도 종래의 방법에서와 같이 챔버(105) 내부에 급격한 수압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와 다르게 본원 발명은 챔버(105)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a)이 쿠션 역할을 하여 급격한 수압의 변화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상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지나조인트(104)에는 챔버(105)의 내부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변위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지나조인트(104)에는 이상변형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정상적으로 엔드프레임(103)에 압착되면서 차수가능하게 정상 변형된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원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침매터널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매함 및 침매함 결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침매함 결합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침매함 결합방법에 의해 챔버의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공기층 형성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층 형성단계 후 챔버를 폐쇄시키는 챔버 폐쇄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챔버 폐쇄단계 후 챔버로부터 물을 배수시키는 챔버 배수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침매함 결합방법에 의해 침매함을 결합시킨 뒤 챔버로부터 잔류하는 물을 배수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침매터널 100: 침매함
101: 기설함 102: 신설함
103: 엔드프레임 104: 지나조인트
105: 챔버 110: 중공부
120: 격벽 200: 침매함 결합장치
210: 순환배관 211: 개폐밸브
220: 공기 주입수단 221: 공기 주입관
222: 압력탱크 230: 배수배관
231: 배수밸브 240: 에어밸브
S100: 공기층 형성단계 S200: 챔버 폐쇄단계
S300: 배수단계 a: 공기층

Claims (3)

  1. 침매터널을 구성하는 침매함 중 기설함과 신설함의 사이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 형성된 챔버로부터 물을 배수시켜 신설함이 기설함 측으로 압착되게 하여 기설함과 신설함이 결합되게 하는 침매함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와 침매함 외부가 통수되도록 설치되고 개폐밸브가 구비된 순환배관;
    상기 챔버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게 챔버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상기 챔버를 구성하는 격벽에 구비되는 공기 주입관 및 상기 공기 주입관을 통해 상기 챔버의 내부로 공급하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압력탱크로 구성된 공기 주입수단;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챔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개폐밸브가 구비된 배수배관; 및
    상기 챔버 내부와 침매함 내부가 통기될 수 있게 챔버에 구비된 에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함 결합장치.
  2. 삭제
  3. 침매터널을 구성하는 침매함 중 기설함과 신설함의 사이에 챔버를 형성시키 고, 상기 챔버를 외부와 차단되게 폐쇄시킨 뒤 챔버 내부의 물을 챔버 외부로 배수시켜 상기 챔버와 외부 수압의 압력차를 이용해 신설함이 기설함 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침매함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기 이전에 챔버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공기층 형성단계;
    챔버에 공기층이 일정량 형성되면 공기 주입을 중단하고 챔버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챔버 내부와 신설함 외부가 통수되는 것을 폐쇄하는 챔버 폐쇄단계; 및
    챔버 내부의 물을 챔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함 결합방법.
KR1020090032724A 2009-04-15 2009-04-15 침매함 결합장치 및 결합방법 KR100921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24A KR100921188B1 (ko) 2009-04-15 2009-04-15 침매함 결합장치 및 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24A KR100921188B1 (ko) 2009-04-15 2009-04-15 침매함 결합장치 및 결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188B1 true KR100921188B1 (ko) 2009-10-13

Family

ID=4157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724A KR100921188B1 (ko) 2009-04-15 2009-04-15 침매함 결합장치 및 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1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2016A (zh) * 2012-12-31 2014-07-09 中交一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管节拉合压接方法
CN104674817A (zh) * 2015-02-16 2015-06-03 中交一航局第一工程有限公司 倒压式密封注浆封堵预留孔洞的方法
CN107642100A (zh) * 2017-09-01 2018-01-30 中交第航务工程局有限公司 用于最终接头接合腔排水的装置和方法
WO2020153595A1 (ko) * 2019-01-23 2020-07-30 (주)대우건설 프리캐스트 본체 세그먼트의 활절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본체 세그먼트 접합 방식의 수중터널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
CN112064679A (zh) * 2020-08-28 2020-12-1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沉管隧道钢壳中墙块体的建造方法
CN112663673A (zh) * 2021-01-19 2021-04-16 西京学院 一种海底真空管道排水气结构及排水气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1473B2 (en) * 2001-02-05 2002-12-10 Sidney E. Veazey Precast modular concrete shape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o form shoreline stabilization, marine and terrestrial structures
JP2003082695A (ja) 2001-09-10 2003-03-19 Taisei Corp 沈埋函の水圧接合計測管理システム
JP2004285578A (ja) * 2003-03-19 2004-10-14 Nippon Steel Corp 沈埋函の最終函および最終接合工法
KR100766099B1 (ko) 2007-06-25 2007-10-17 조금원 발파현장의 진동 차단을 위한 도화선을 보호하는 단발식 암반 발파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1473B2 (en) * 2001-02-05 2002-12-10 Sidney E. Veazey Precast modular concrete shape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o form shoreline stabilization, marine and terrestrial structures
JP2003082695A (ja) 2001-09-10 2003-03-19 Taisei Corp 沈埋函の水圧接合計測管理システム
JP2004285578A (ja) * 2003-03-19 2004-10-14 Nippon Steel Corp 沈埋函の最終函および最終接合工法
KR100766099B1 (ko) 2007-06-25 2007-10-17 조금원 발파현장의 진동 차단을 위한 도화선을 보호하는 단발식 암반 발파공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2016A (zh) * 2012-12-31 2014-07-09 中交一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管节拉合压接方法
CN103912016B (zh) * 2012-12-31 2016-02-03 中交一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管节拉合压接方法
CN104674817A (zh) * 2015-02-16 2015-06-03 中交一航局第一工程有限公司 倒压式密封注浆封堵预留孔洞的方法
CN104674817B (zh) * 2015-02-16 2016-06-29 中交一航局第一工程有限公司 倒压式密封注浆封堵预留孔洞的方法
CN107642100A (zh) * 2017-09-01 2018-01-30 中交第航务工程局有限公司 用于最终接头接合腔排水的装置和方法
CN107642100B (zh) * 2017-09-01 2019-06-07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用于最终接头接合腔排水的装置和方法
WO2020153595A1 (ko) * 2019-01-23 2020-07-30 (주)대우건설 프리캐스트 본체 세그먼트의 활절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본체 세그먼트 접합 방식의 수중터널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중터널
US11313099B2 (en) 2019-01-23 2022-04-26 Daewo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Flexible joint connecting device of precast body segment, precast body segment joining-type underwater tun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and underwater tunnel constructed thereby
CN112064679A (zh) * 2020-08-28 2020-12-1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沉管隧道钢壳中墙块体的建造方法
CN112663673A (zh) * 2021-01-19 2021-04-16 西京学院 一种海底真空管道排水气结构及排水气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188B1 (ko) 침매함 결합장치 및 결합방법
US3751932A (en) Recovery and repair of offshore pipelines
FI78341C (fi) Foerfarande och torn foer tillvaratagande och separerande av olja, gas och vatten fraon utbrottshaol i havsbotten.
US3859806A (en) Offshore platform
US37951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subsea pipelines
KR102028133B1 (ko) 팽창성 시일링 섹션을 갖는 케이블 인입 시스템
US9878761B2 (en) Large subsea package deployment methods and devices
CN107676104A (zh) 一体化沉管管节及其安装方法、沉管管节的安装合龙方法
CN107524169A (zh) 最终接头安装方法
US3777499A (en) Offshore pipeline recovery
JP3135833B2 (ja) 水中構造物の構築方法
JP4936206B2 (ja) 二酸化炭素の隔離方法及びその装置
TW202111206A (zh) 用於組裝離岸風力渦輪機的方法、用於離岸風力渦輪機的塔基及離岸風力渦輪機
US8915672B2 (en) Movable breakwater and method of operating movable breakwater
US4009581A (en) Grout line protected pressure lines for setting sleeve packers
JPH09268562A (ja) 乾式作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作業函
CN107687181A (zh) 最终接头整体精确调位方法
USRE30823E (en) Offshore platform
KR100789986B1 (ko) 해저 파이프라인의 부설방법
US20180245302A1 (en) Anchoring system and method
KR20050032066A (ko) 부설선 없이 심해 파이트라인 부설방법
JP4106180B2 (ja) 汲上げパイプ構造体および汲上げパイプ構造体用モジュール
KR100989379B1 (ko) 수중 터널용 수직 터널 구조물 및 이에 사용되는 내측 방수장치
SU1723248A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аглубленного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го сооружен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USRE30825E (en) Offshore platform jo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