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066A - 부설선 없이 심해 파이트라인 부설방법 - Google Patents

부설선 없이 심해 파이트라인 부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066A
KR20050032066A KR1020050016552A KR20050016552A KR20050032066A KR 20050032066 A KR20050032066 A KR 20050032066A KR 1020050016552 A KR1020050016552 A KR 1020050016552A KR 20050016552 A KR20050016552 A KR 20050016552A KR 20050032066 A KR20050032066 A KR 20050032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
pipes
laying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덕환
Original Assignee
문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덕환 filed Critical 문덕환
Priority to KR102005001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2066A/ko
Publication of KR2005003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0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발명은 태양빛이 도달하지 못하는 대수심 200M∼500M의 해양 심층수를 육지로 취수하기 위하여 심해저에 부설하는 해저 파이프 라인에 간단한 설비를 하여 부상과 침전을 조정하고 진공펌프로 관내에 해수를 흡입하여 해수중량으로 장대관이 신속히 침전하여 부설선 없이 파이프 라인 연장 500M∼1,500M씩 동시에 대수심 200M∼500M 해저에 부설하는 방법을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하며 동시에 신속히 500M∼1,500M씩 침전 부설하여 조류와 파랑과 수심등의 영향을 받는 시간이 짧아 파이프 라인이 변곡되지 않으므로 인장력 보강 텐숀 와이야로 보강한 고가의 외국제관이 필요치 않고 부설선, 대형기중기선, 특수장비 대형선, 관운반선이 필요치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설선 없이 심해 파이트라인 부설방법{Method of placement pipe line no use lay barg in the deep sea}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물비중보다 가벼운 재질인 폴리에틸렌제 경량관 관속이 비어있을 때는 해상에 부상하나 관속에 해수를 주입하면 침전하는 중량의 가락지를 관표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끼워 부상과 침전을 조정하는 12M 단관을 만든다. 이들 단관을 전기 용융 소켓(EF소켓)으로 연결 결합하고 용융용접하여 1본 연장 500M∼1,500M의 장대관을 육상 작업장 수평대위에서 제작하고 장대관 좌우 양측끝 관속에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를 삽입하고 밸브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그속에 주입하여 팽창시켜 관내면에 밀착시켜 장대관을 중공 상태로 밀봉한 장대관을 제작하고 해저 부설위치 알림 신호 발신기를 부착하여 육상 작업장에 장대관을 보관한다. 해상파고가 없는날 해상으로 장대관을 진수하여, 관의 부력으로 해상에 띠워놓고 예선 와이야로프를 관 끝에 연결하여 심해 부설 위치로 부유예항한다. 심해 부설 위치에서 심해측 관내에 밀폐 지수 밀봉장치 밸브를 열어 압축공기를 배출하여 수축된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를 관밖으로 제거하면 관속으로 해수가 주입되면서 관중량이 무거워져서 해저로 침강하면서 장대관내 공기를 압축하여 육측관 끝에 있는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를 관밖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는데 육측 밀폐 장치가 자동제거 되기 이전에 육측관 끝을 미리 대기하고 있는 관용접 대선위에 올려 놓고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 밸브를 열어 수축시켜서 관밖으로 밀봉장치를 제거하고 진공펌프호스를 관에 연결하여 펌프힘으로 관내공기를 제거하고 관내에 해수를 신속히 흡입한다.
장대관은 관내에 해수가 흡입되는 순간 중량이 무거워져서 해상에 부상하고 있던 장대관은 신속히 동시에 500M∼1,500M가 침전하여 해저에 부설된다.
다음 차례 구간의 장대관을 부유예항하여다가 용접대선상에 올려서 기부설관과 연결용접한후 해상에 관을 기중기로 옮겨 놓고 용접대선은 해상으로 빠져 나간다. 상기 방법을 반복하여 전연장을 신속하게 부설한다. 심해 부설관 위치를 알리는 신호를 선상에서 수신하고 추적하여 부설위치 상세도면을 작성하여 심층수 파이프라인을 관리보전한다.
본발명은 대수심 200M∼500M 해저에 부설하는 해양 심층수 취수관을 부설선 없이 신속하게 동시에 500m∼1,500M씩 부설함으로 조류, 파랑의 영향을 받는 시간이 기존 공법보다 짧아서 관로에 무리한 축응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관로가 변곡되지 않고, 멀리 유동되지않아 관축방향의 인장력을 부담하는 텐숀 와이야(피아노선)가 내장된 고가인 외국제관이 필요치 않으며 부설선, 대형기중기선, 특수설비 대형선 및 관운반선 없이 신속히 동시에 파이프라인을 500M∼1,500M씩 깊은 해저에 부설코져 하는 목적이 있다.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기존 공법은
1) 레이 바지 공법(Lay Barge Mathed)
2) 릴 바지 공법(Reel Barge Method)
3) 해저 예항법
4) 부유 예항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모두가 공사기간이 길고 고가이고 공법상 피할수 없는 단점으로 1), 2), 4)공법은 부설수심이 200M∼500M로 깊은 곳에서는 조류와 파랑의 영향을 받는 시간이 장시간 임으로 관이 변곡되어 관형상이 S형 및 J형으로 되고 부설선에서 해저까지 수중에 매달린 관연장은 수심 200M∼500M일때는 300M∼600M에 달하므로 1) 공법으로 600M를 부설하는데 소요시간은 600M/12M × 30분 ·=· 1,500분, 즉 25시간이 소요되어 그동안 유동하면서 관이 변곡된다. 특히 1), 2)공법은 많은 작업인원이 선상숙식하는 대형선단으로서 우리나라에는 없고 외국에서 갖고와야 하는데 1일 사용료는 1억원 이상 소요된다. 3)공법은 수심이 200M∼500M로 깊음으로 관저와 해저가 마찰하면서 부설하는 공법임으로 수심이 깊어 적용할수 없다. 3)공법은 부설선이 필요하고 부설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으로 부설중에 관로가 수중에 300M∼600M가 매달려서 조류와 파랑으로 유동하여 관로가 무리한 응력을 받어 S형 및 J형으로 변형된다. 우리나라는 동해에만 4계절 모두 수온 3℃ 이하의 해양심층수가 있다. 심층수 취수관로 방향은 동쪽방향으로 관로를 부설하여야 하는데 동해 조류 방향은 북서∼남동방향으로 표층은 1.0M/sec, 중층은 0.5M/sec로 흐르고 있으므로 기존 공법으로 대수심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려면 부설시간이 장시간이므로 조류와 파랑이 작용하여 관이 변형되어 무리한 축인장력에 견디기 위하여 강선 내장 포리에틸렌관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국산은 없어 외국제품을 수입하여 15배∼20배 고가관을 사용하여야 되고 부설선, 대형기중기선, 특수설비대형선, 관운반선을 사용하는 결점이 있어 고가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부설선 없이 신속히 동시에 부설할수 있도록 장대관 연장 500M∼1,500M에 부상과 침전을 조정하는 중량의 가락지를 끼우고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하고 부유예항하여 제거하고 진공펌프로 관내에 해수를 흡입하여 신속히 동시에 해저에 장대관 500M∼1,500M를 부설할수 있도록 하여 조류와 파랑 작용시간을 줄여 관로가 인장되지 않고 변곡되지 않으며 무리한 축응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기존공법에서 사용하는 외국제 15∼20배 고가인 강선 보강 폴리에틸렌관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고가인 부설선, 대형기중기선, 특수설비 대형선 및 관운반선 없이 파이프라인을 500M∼1,500M씩 신속히 동시에 부설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에 따른 해양 심층수 취수 파이프 라인은 부설선 없이 대수심 200M∼500M 해저에 500M/본∼1,500M/본씩 신속히 동시에 부설할수 있는 방법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비중보다 가벼운 재료로 만든 폴리에틸렌 경량관(1)은 공장에서 생산하여 자동차로 운반할수 있는 길이 12M가 최대이므로 관내가 비어있을 때에도 해상에 부상하고 관내에 해수를 주입해도 해상에 부상한다. 그러므로 본발명은 관내에 해수를 주입하면 해저로 침전할수 있는 중량의 철제 가락지(2) 또는 도-2의 콘크리트제 가락지(3)을 도-1에서 보는바와 같이 균등 간격으로 관표면에 끼워서 관내가 비어 있을때는 해상에 부상할수 있게하고, 관내에 해수를 주입하면 해저로 침전할수 있도록 부상과 침전을 조정할수 있는 중량의 가락지를 끼운다.
상기한 부상과 침전을 조정하는 가락지 중량은 파이프 라인 속이 비어있을 때에는 수면에 부상하고, 파이프 라인 속에 해수를 주입하면 해저로 침전하고, 해저부에 침전된 후에는 조류에 의하여 해저로부터 파이프 라인이 들고 일어나지 않으며 안치될수 있는 중량이다.
상기한 부상과 침전을 조정할수 있는 가락지(2)를 끼운 12M 단관과 단관을 도-3에 나타낸 육상 장대관 접합 용접 작업대(5) 위에서 전기 용융 접합 소켓(E.F 소켓)으로 연결 접합 용융 용접하여 1본단 연장 500M/본∼1,500M/본의 장대관(4)을 제작한다.
상기한 장대관을 전체 파이프 라인 연장 많콤 복수로 전연장을 도-3에서 보는바와 같이 육상 장대관 접합 용접 작업대(5) 위에서 1본 연장 500M/본∼1,500M/본으로 연결 용접한다.
상기한 장대관 연장 500M∼1,500M 관속을 중공상태로 밀봉하기 위하여 관 좌우끝 관속에 끼우는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7)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서 밸브(9)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팽창(8)하고 압축공기를 제거하면 수축(7)된다. 몸체는 팽창과 수축이 가능하도록 신축성을 보유한 고무제품으로서 파이프 내부길이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파이프 안지름보다 긴 길이로 형성한다. 몸체는 압축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유롭게 파이프내에 삽입 및 제거되고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파이프의 안쪽면에 일착 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즉 압축공기를 밸브(9)를 통하여 주입하거나 배출시켜 몸체가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도-4에 일점쇄선과 같이 수축하여 파이프 안지름보다 작아지고,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도-4에 실선과 같이 팽창하며 바깥지름이 파이프의 안지름보다 커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한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7)를 도-5에 장대관 좌우 양쪽 끝 관속에 삽입하고 밸브(9)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한 몸체(8)를 팽창시켜서 파이프 안쪽면에 밀착시켜서 관내를 중공상태로 밀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관속을 밀봉한다. 그리고 상기한 몸체(8)는 팽창하여 상기한 파이프 내면에 밀착되었을 때에 른 마찰력를 보유하도록 마찰계수가 큰 표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관밀봉 과정을 반복하여 계획된 파이프 라인의 부설길이만큼의 복수량의 장대관(4) 모두를 밀봉하여 해상 파고가 없을 때까지 도-6의 육상 장대관 제작 작업대(5) 위에서 대기한다. 동해안은 수일간 파고가 없을 때가 주기적으로 있음으로 주간 해상 예보에 의하여 해상으로 장대관을 진수할때까지 육상에서 대기한다.
상기한바와 같이 해상파고가 없는날 도-6에 경사부 진수대(6) 위에서 장대관(4)을 굴려 해상으로 진수하여 해상에 장대관(4)을 부상시킨다. 중공상태로 밀봉된 장대관(4)은 부력으로 해상에 부상하여 부유한다.
상기한 해상에 부상된 장대관(4) 끝단에 예선(12)의 와이야 로프를 연결하여 도-7과 같이 파이프 라인 부설위치로 예항한다. 이때 상기한 밀봉된 장대관(4)은 내부에 공기가 차있는 상태이므로 부력이 커서 해상에 뜬 상태이므로 예항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아 소형예선(12)으로 쉽게 부설 위치로 부유 예항된다.
상기한 부설위치에 도착한 장대관(4)을 도-9에서 보는 바와같이 심해측 관속에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 밸브(9)를 열어 압축공기를 배출하여 수축된 밀봉장치(7)를 관 밖으로 제거하면 관속으로 해수가 주입되면서 관중량이 무거워져서 해저로 관(23)은 침강하면서 장대관(4)내에 공기를 압축하여 육측관 끝에 있는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를 관밖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는데 육측 밀폐장치가 자동제거 되기 이전에 육측관끝(20)을 미리 대기하고 잇는 관용접대선(13)위에 올려놓고 관밀봉장치벨브(9)를 열고 밀봉장치를 관밖으로 제거하고 진공펌프(15) 호스를 관에 연결하여 펌프힘으로 관내공기를 제거하고 관내에 해수를 신속히 흡입한다. 장대관 500M∼1,500M는 관내(23)해수가 흡입되는 순간 중량이 갑자기 무거워져서 장대관(23-1)은 신속히 동시에 침전하여 장대관(18) 500M∼1,500M은 해저(19)에 부설되어 안치되고 조류에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한 심해측 장대관 다음 차례 구간의 장대관(21) 연장 500M∼1,500M를 새로 예항하여다가 용접대선(13)위에 관끝을 올려 기부설관(20)과 연결 용접 한후 해상에 연결관을 기중기(17)로 들어 옮겨놓고 용접대선(13)은 해상으로 빠져나간다. 상기한 방법을 반복하여 진공펌프로 관내에 해수를 흡입하여 신속히 전 연장을 해저지반위(19)에 부설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500M∼1,500M의 장대한 파이프라인이 해상에서 해저까지 신속히 동시에 침전되는 시간이 짧아 기존 공법처럼 축인장력을 받지 않으며 조류와 파랑으로 인하여 파이프라인이 유동하면서 S형 및 J형으로 변곡되지 않으므로 텐숀보강강선(피아노선)으로 보강된 고가격 수입관(15배∼20배)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부설선, 대형기중기선, 특수설비대형선, 관운반선이 필요치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저지반(19) 위에 부설된 파이프라인(18) 심해측 관끝으로부터 해저 토사유입방지를 위하여 취수구는 해저지반보다 3∼5M 높게 입상된 취수구(11)를 견고히 관 끝에 용융용접결합한 것이고, 상기한 파이프의 육지측 끝부분은 펌프실에 연결한다.
상기한 부설된 파이프 라인(18)은 수심 200M∼500M의 심해저이므로 잠수부가 들어갈수 없고 부설된 위치를 확인할수 없으므로 관에 부착된 부설위치 알림 신호 발신기(10)에 신호를 선상에서 수신하여 부설위치도면을 작성하여 부설된 파이프 라인을 유지관리한다.
상기한 도-10의 용접대선 평면도와 측면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대선은 우리나라에 많이 있는데 대선(13)위에 관용윤용접기(14), 진공펌프(15), 육상기중기(17), 발전기(16)를 적재하고 대선 좌우에서 관을 올리는데 편리한 형상의 스팅거(22)를 장착한 조합대선으로서 파이프라인 부설이 종료되면 쉽게 분리하여 종래 일반대선으로 각각 일반장비로 복귀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본발명에 따른 해양 심층수 취수관에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육지와 섬을 연결하든가 하천이나 바다를 횡당하는가 유조선, 가스선에서 육상 탱크로 양육하든가 송유관, 가스관, 상수도관, 하수도관에도 적용되고 수심 1,000M 이상에도 적용된고 관1본연장 100M∼2,000M에도 적용되고 강관에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천해에서 심해방향으로도 부설한다.
상기에서는 본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와 본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되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조합하여 작동되는 본발명에 따른 해저 파이프 라인 부설방법에 의하여 대수심 200M∼500M에 연장 500M∼1,500M씩 장대관을 동시에 신속히 부설선 없이 해저에 부설함으로 부설시간이 짧아 조류, 파랑, 수심등의 영향을 받는 시간이 짧아 파이프라인이 S형, J형 등으로 변곡 및 신장되지 않음으로 축인장력을 부담하는 텐숀 와이야(피아노선)로 보강된 특수관을 외국에서 15배∼20배 고가로 수입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 파이프의 부력과 침전을 조정하고 이용함으로 해상에 띄워 소형예선으로 쉽게 부유예항하여 부설할수 있음으로 관운반선이 필요치 않고 부설선, 대형기중기선, 특수설비 대형선이 필요치 않으며 국내 보유 일반 장비를 조합하여 가장 빠르게 부설할수 잇는 특성이 있다.
도-1 본발명에 의한 파이프라인 속이 비어있을 때는 해상에 부상하나 관내에 해수를 주입하면 파이프라인이 해저로 침전하는 중량의 철제가락지를 끼운 관의 사시도와 관 단면도
도-2 본발명에 의한 파이프라인 속이 비어있을때는 해상에 부상하나 관내에 해수를 주입하면 파이프라인이 해저로 침전하는 중량조절용 콘크리트 가락지를 부작한 사시도와 상하조립형 사시도
도-3 본발명에 의한 육상 장대관 접합용접 작업대상에서 1본당 연장 500M/본∼1,500M/본의 장대관을 용융용접하고 좌우양단관내에 관밀폐지수밀봉장치를 끼우고 밸브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관을 밀봉하여 보관중인 파이프라인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4 본발명에 의한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 측면 사시도와 평면도
도-5 본발명에 의하여 장대관 연장 500M∼1,500M로 용접하고 관좌우 양단관속에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를 끼우고 밸브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관속을 밀봉한 장대관 단면도
도-6 본발명에 의하여 육상 장대관 작업대 위에서 해상으로 장대관을 진수하여 관부력으로 해상에 부상되는 상황을 보이는 단면의 사시도
도-7 본발명에 의하여 장대관 500∼1,500M을 해상에 부상시키고 예선으로 부유 예항하여 부설지점으로 항행중인 평면도
도-8 본발명에 의하여 설치지점에서 심해측(우측) 관끝관내에 밀폐 지수 밀봉장치를 제거하기 직전 상황 그리고 좌측(육지측) 관끝을 미리 대기하고 있는 용접대선상에 올려놓고 진공펌프를 관 끝에 연결한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
도-9 본발명에 의하여 부설위치 심해측 우측 관 끝에 밀폐 지수 밀봉장치를 제거하여 관내에 해수가 주입하면서 침전하는 상황 및 좌측 용접대선 위에서 진공펌프로 관내공기를 배제하고 해수를 신속히 흡입하여 해수중량으로 동시에 파이프라인을 해지로 침전 부설하는 상황 측면 사시도
그리고 좌측 다음 차례 장대관 끝을 용접대선상에서 기부설관과 연결 용접하려는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10 본발명에 의하여 국내 많이 있는 대선위에 진공펌프, 관접합 용접기, 육상기중기, 발전기를 적재한 관용접대선 평면도 그리고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물의 비중보다 가벼운 비중재료로 만든 폴리에틸렌제 파이프
2 : 철제가락지(부상, 침전 중량 조절용)
3 : 콘크리트제 가락지(부상, 침전 중량 조절용)
4 : 연장 500M/본∼1,500M/본으로 용융용접한 장대관
5 : 육상수평대
6 : 육상에서 해면으로 경사된 진수대
7 : 압축공기 주입전 수축된 관지수 밀봉장치 단면도
8 : 압축공기 주입후 팽창된 관지수 밀봉장치 단면도
9 : 압축공기 주입 및 배출용 밸브
10 : 관부설 위치 알림 신호 발신기
11 : 취수구
12 : 예선
13 : 용접대선
14 : 용접기
15 : 진공펌프
16 : 발전기
17 : 기중기
18 : 수심 200∼500M 대수심 해저에 부설된 관로
19 : 해저지반
20 : 육측관끝을 용접대선상에 올려놓은 관
21 : 다음차례구간의 새로 예항해온 관
22 : 스티잉가(Stinger)
23 : 파이프라인속에 해수를 흡입함으로 해저로 침전되는 파이프라인
23-1 : 파이프라인속에 해수를 흡입함으로 해저로 침전되는 파이프라인
24 : 기부설관끝과 다음차례 구간을 용접대선상에서 용접하려는 관

Claims (5)

  1. 대수심 200M∼500M 되는 깊은 해저에 부설하는 해저 파이프 라인을 부설선 없이 연장 500M∼1,500M씩 신속히 동시에 부설을 반복하여 수천메타의 해저 파이프 라인을 부설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라인 속이 비어 있을때는 해상에 부상하고 관속에 해수를 주입하면 해저로 침전하여 조류에 유동되지 않는 중량의 가락지를 관표면에 균등간격으로 끼우고 연장 500M∼1,500M를 연결하여 용융 용접하고 관좌우 관속에 관밀폐지수 밀봉장치하여 관속을 육상에서 밀봉하는 단계와, 장대관을 해상에 진수하여 부상시켜 부유 예항하여 부설지점에서 심해측 관속 밀봉 장치 밸브를 열어 압축공기를 배제하고 밀봉장치를 제거하여 심해측 관속으로 해수가 주입되는 단계와, 육측관끝을 용접대선상에 올려놓고 관밀봉장치를 제거하고 진공펌프를 관 끝에 연결하여 관내 공기를 배제하고 해수를 흡입하여 500M∼1,500M의 장대관을 신속히 동시에 심해저로 침전하여 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다음 차례의 새로운 500M∼1,500M를 예항하여다가 새관 끝부분을 용접 대선위에 올려놓고 기히 부설한 관과 연결용접하고 기중기로 관을 들어 해상에 전치하고 용접대선은 빠져나간다. 다음 구간에서 새로운 진공펌프로 새관속에 해수를 흡입하여 새파이프라인 부설을 반복하여 전체 계획 연장을 부설하는 해저 파이프 라인 부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관의 부상과 침전을 조정하는 중량의 가락지는 부력에 의하여 파이프벽에 생기는 응력을 최소화하는 간격으로 균등히 부착하고 침전된후 해저에서 파이프라인이 조류에 유동되지 않는 중량의 가락지를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관밀폐 지수 밀봉장치는 파이프 내부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파이프 안지름보다 긴 형상으로서 관내를 견고히 밀봉할수 있도록 압축공기를 밸브를 통하여 주입하면 팽창하여 파이프 안쪽면에 밀착하고 압축공기를 배출하면 수축하여 파이프 내경보다 작아져서 관내에 자유롭게 삽입 및 제거할수 있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몸체로서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압축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한 해저 파이프 라인 부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펌프로 장대관 내에 공기를 배출하고 관내에 해수를 펌프힘으로 신속히 흡입하여 장대관이 해수중량으로 동시에 신속히 해저로 침전할수 있도록 하여 부설선, 대형기중기선, 특수설비 대형선, 관운반선이 필요치 않는 해저 파이프 부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진공펌프로 관내에 해수를 흡입하여 장대관이 신속히 동시에 해저에 부설되어 조류와 파랑과 수심등의 영향을 받지 않아 파이프 라인이 변곡되지 않으므로 축인장력을 부담하는 텐숀 와이야(피아노선)로 보강된 고가의 외국제관이 필요치 않는 해저 파이프 라인 부설 방법
KR1020050016552A 2005-02-28 2005-02-28 부설선 없이 심해 파이트라인 부설방법 KR20050032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552A KR20050032066A (ko) 2005-02-28 2005-02-28 부설선 없이 심해 파이트라인 부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552A KR20050032066A (ko) 2005-02-28 2005-02-28 부설선 없이 심해 파이트라인 부설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161A Division KR100789986B1 (ko) 2007-10-10 2007-10-10 해저 파이프라인의 부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066A true KR20050032066A (ko) 2005-04-06

Family

ID=3723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552A KR20050032066A (ko) 2005-02-28 2005-02-28 부설선 없이 심해 파이트라인 부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20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11B1 (ko) * 2012-09-18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
CN109175655A (zh) * 2018-09-01 2019-01-11 浙江众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用吸水口的装配焊接装置
CN115229313A (zh) * 2022-07-22 2022-10-25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一种水下焊接用夹持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11B1 (ko) * 2012-09-18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
CN109175655A (zh) * 2018-09-01 2019-01-11 浙江众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用吸水口的装配焊接装置
CN109175655B (zh) * 2018-09-01 2021-07-20 浙江众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用吸水口的装配焊接装置
CN115229313A (zh) * 2022-07-22 2022-10-25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一种水下焊接用夹持装置
CN115229313B (zh) * 2022-07-22 2023-04-14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一种水下焊接用夹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1688A (en) Pipe apparatus for the collection of petroleum from deep water wells
CN112728212B (zh) 一种污水海域排放管的海上沉管及水下安装施工方法
JPS62147186A (ja) 大型パイプラインの進水方法
US3777499A (en) Offshore pipeline recovery
EP1022501A1 (en) Marine pipeline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EP0221860A1 (en) Multi-component tubular structure for underwater conveyance of fluids
KR20050032066A (ko) 부설선 없이 심해 파이트라인 부설방법
CN100485138C (zh) 悬浮法海底隧道
KR100789986B1 (ko) 해저 파이프라인의 부설방법
NL1040430C2 (en) Method of laying a pipe under water.
CN100491792C (zh) 充气胶囊运管、布管施工工法
KR100537772B1 (ko)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WO2001096771A1 (en) Method for providing a pipeline connection between two spaced-apart points at sea, and a transport arrangement comprising a pipeline connection between two points at sea
JP6908167B1 (ja) 水底敷設管の更新方法及び装置
CN117006318A (zh) 一种海域尾水管道的铺设方法
KR20190033343A (ko) 심해 해수 취수공법
CN114458830B (zh) 电厂燃气机组扩建工程hdpe取水管道铺设方法、铺管船
JPS586107B2 (ja) カイチユウソウスイカン
KR100776673B1 (ko) 해양 심층수 취수 시스템 및 이의 해양 심층수 취수용파이프 설치 방법
KR101526838B1 (ko) 공기밸브를 이용한 해저 수송관로 및 이의 설치방법
WO2003002848A1 (en) Method of laying an underwater flowline
CN1526888A (zh) 长江南水北调(自海底敷设管道)自压输水方案两套
KR100261880B1 (ko)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방법
JPH08128081A (ja) 揚水方法および揚排水方法
GB2377002A (en) Flowline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