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772B1 -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772B1
KR100537772B1 KR10-1999-0047155A KR19990047155A KR100537772B1 KR 100537772 B1 KR100537772 B1 KR 100537772B1 KR 19990047155 A KR19990047155 A KR 19990047155A KR 100537772 B1 KR100537772 B1 KR 10053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water
steel
steel buoy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955A (ko
Inventor
조철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인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인하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인하학원
Priority to KR10-1999-004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772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 부이(steel buoy)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양 및 강에 설치되는 관로를 시공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공법으로 해저풀링, 해저인양, 수상풀링, 수상인양 등의 작업시 관로를 설치할 때 관로에 스틸 부이를 부착시킴으로써 수중무게를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각종 장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도 시공이 가능하며 안정성, 경제성, 시공성이 뛰어나게 향상되는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유를 비롯하여 가스, 용수, 식수 등을 수송하기 위하여 관로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강체를 관로에 연결하는 강체설치단계와, 상기 강체가 설치된 관로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관로설치단계로 이루어져, 수상과 해저의 위치에 상관없이 그 외형이 변하지 않아 부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안정성, 경제성, 그리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Subsea Pipeline Installation Technique with Steel Buoy}
본 발명은 스틸 부이(steel buoy)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양 및 강에 설치되는 관로를 시공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공법으로 해저풀링, 해저인양, 수상풀링, 수상인양 등의 작업시 관로를 설치할 때 관로에 스틸 부이를 부착시킴으로써 수중무게를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각종 장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도 시공이 가능하며 안정성, 경제성, 시공성이 뛰어나게 향상되는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를 비롯하여 가스, 용수, 식수 등을 수송하기 위해 가장 많이 쓰이는 수단은 관로(파이프라인)이다. 해저관로를 크게 분류하면 원유나 기름을 수송하는 송유관, 물을 수송하는 송수관, 가스를 전달하는 가스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런 관로들은 설치장소에 따라 크게 육상관로와 비육상관로(강/해양/해안 장소)로 분류되어 진다. 비육상관로는 육상관로와는 달리 여러 가지 설치방법 및 장치들이 요구된다. 설치방법은 주변 환경과 동원장비에 따라 달라지며 주변환경은 육상작업장 크기, 수심, 해류속도, 파도, 관로 길이 등이 포함되고, 동원장비는 전용부설선, 윈치, 풀링능력, 파지력 등이 포함된다. 같은 해저관로를 설치하는데도 여러 가지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런 방법에 따라 공기 및 공사비가 달라진다.
종래에는 관로의 수중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튜브형식의 부이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튜브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그 부피가 줄어들어 부력이 감소된다. 이로 인해 잠수부가 특수 장치로 튜브에 공기를 주입시켜야 하는 어려움과, 경제적 부담을 가졌다. 또한 튜브의 가격이 고가이고 시공 중에 손상될 경우도 있어 여러 가지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튜브부이의 단점인 깊이에 따라 부피변화와 손상에 의한 문제점인 고가의 비용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스틸로 이루어진 스틸 부이를 사용하여 관로를 설치함으로써 안정성, 경제성, 그리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유를 비롯하여 가스, 용수, 식수 등을 수송하기 위하여 관로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강체를 관로에 연결하는 강체설치단계와, 상기 강체가 설치된 관로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관로설치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한 개의 관로에 스틸 부이가 설치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두 개의 관로에 스틸 부이가 설치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 개의 관로에 스틸 부이가 설치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한 개의 관로에 대형의 스틸 부이가 설치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틸 부이가 설치된 관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을 해저풀링에 적용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을 해저인양에 적용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을 수상인양에 적용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을 해상풀링에 적용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참조 번호, 1은 스틸 부이를 나타내고, 2는 번들 밴드(bundle band)를 나타내며, 3은 관로를 나타내고, 4는 번들 빔 일체(bundle beam and fittings)를 각각 나타낸다.
즉, 도 1은 한 개의 관로에 번들 밴드를 사용하여 스틸 부이를 설치한 것으로서, 번들 빔 일체가 설치되지 않아도 되는 구조이고, 도 2는 두 개의 관로를 번들 빔 일체에 의해 연결시킨 상태에서 그 관로 사이의 상면에 번들 밴드를 사용하여 스틸 부이를 결합시킨 구조이며, 도 3은 세 개의 관로를 번들 빔 일체에 의해 연결시킨 상태에서 그 관로 사이의 상면에 번들 밴드를 사용하여 두 개의 스틸 부이를 연결시킨 구조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는 한 개의 관로에 한 개의 스틸 부이를 번들 밴드를 사용하여 결합시킨 구조이나, 도 1과 다른 점은 스틸 부이가 도 1의 스틸 부이보다 대형인 경우이다. 즉, 필요에 따라 다른 용량의 스틸 부이를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두 개의 관로 사이에 한 개의 스틸 부이가 번들 밴드에 의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소정 길이의 스틸 부이가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스틸부이의 부력과 관로의 무게에 따라 스틸부이의 개수를 결정함으로써 적용되는 관로의 설치 종류에 대응할 수 있고, 스틸부이 자체의 부력을 조절하여 상기와 같은 조절을 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틸부이를 해저풀링에 적용한 예가 도시된 도면으로, 스틸부이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함으로써 그 부력을 조절하여 육상작업장으로부터 해저로 풀링하는 것이다. 즉, 스틸부이의 부력은 관로가 해저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부력을 가지게 하고 이를 앞에서 끌어 해저풀링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틸부이를 해저인양에 적용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6의 내용과 마찬가지로 스틸부이의 부력을 관로가 해저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부력을 가지게 한 다음, 터그 보트에 의해 관로를 해저에서 인양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틸부이를 수상인양에 적용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터그 보트에 연결된 관로가 스틸부이의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뜬 상태에서 인양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틸부이를 수상풀링에 적용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8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육상작업장으로부터 터그 보트에 의해 관로가 수면에 뜬 상태에서 풀링되는 것을 나타낸다. 물론, 이때의 부력은 스틸부이가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스틸부이의 부력을 조절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방법으로 스틸부이에 밸브 등을 설치하고, 부력이 상승되도록 공기를 불어넣거나 뺌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은 수면과 해저의 위치에 상관없이 그 외형이 변하지 않아 부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안정성, 경제성, 그리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은 간단한 방법으로 스틸부이의 부력을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은 해저풀링, 해저인양, 수상풀링, 수상인양 등의 모든 작업 종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한 개의 관로에 스틸 부이가 설치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두 개의 관로에 스틸 부이가 설치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 개의 관로에 스틸 부이가 설치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한 개의 관로에 대형의 스틸 부이가 설치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틸 부이가 설치된 관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해저풀링에 적용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을 해저인양에 적용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수상인양에 적용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을 해상풀링에 적용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틸 부이 2 : 번들 밴드
3 : 관로(파이프라인) 4 : 번들 빔 일체
5 : 풀링 와이어 6 : 터그 보트

Claims (5)

  1. 원유를 비롯하여 가스, 용수, 식수 등을 수송하기 위하여 관로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강체를 관로에 연결하는 강체설치단계와;
    상기 강체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강체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부력조절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강체가 설치된 관로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관로설치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단계는 부력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부력을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물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는 그 재질로 스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설치단계는 해저풀링, 해저인양, 수상풀링, 수상인양 중 어느 하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KR10-1999-0047155A 1999-10-28 1999-10-28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KR100537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155A KR100537772B1 (ko) 1999-10-28 1999-10-28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155A KR100537772B1 (ko) 1999-10-28 1999-10-28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955A KR20010038955A (ko) 2001-05-15
KR100537772B1 true KR100537772B1 (ko) 2005-12-20

Family

ID=1961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155A KR100537772B1 (ko) 1999-10-28 1999-10-28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11B1 (ko) * 2012-09-18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력이 조절되는 파이프라인
KR101455640B1 (ko) * 2013-02-26 2014-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저 파이프 부설용 풀링헤드
KR101526838B1 (ko) * 2015-01-30 2015-06-10 우림해양개발 주식회사 공기밸브를 이용한 해저 수송관로 및 이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955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9187A (en) Marine steel catenary riser system
US7025533B1 (en) Concentrated buoyancy subsea pipeline apparatus and method
GB2393980A (en) A ris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20050158126A1 (en) Flexible riser system
JPS62147186A (ja) 大型パイプラインの進水方法
US3724224A (en) Method for installing double-walled pipelines
US36983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urface towing of flowlines
US3777499A (en) Offshore pipeline recovery
EP1022501A1 (en) Marine pipeline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03031765A1 (en) A ris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5702205A (en) Steel catenary riser system for marine platform
US3479831A (en) Method and system for laying pipe under water
KR100537772B1 (ko) 스틸 부이를 이용한 관로 설치방법
EP3874191B1 (en) Installation of subsea pipelines
AU2007244951B2 (en) Towing and recovery method for deepwater pipelines and risers
US7241075B2 (en) Umbilical anchoring clamp
WO2004033848A1 (en) A ris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11884368B2 (en) Launching elongate subsea structures
CN220130293U (zh) 一种具有升降补偿功能的双船体水上钻探平台
JPH06213372A (ja) 海底パイプライン敷設用フローターの着脱方法
JPH06219372A (ja) 浮沈自在な浮体の係留方法
JPH06159553A (ja) 水底沈設管布設方法
JP2001200955A (ja) 海中浮遊パイプラインの敷設方法および係留方法
JPS6041271B2 (ja) 海中送水装置
JP2000297881A (ja) 管路の水底部設置治具及び管路の水底部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30110

Effective date: 200408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016

Effective date: 2005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