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343A - 심해 해수 취수공법 - Google Patents

심해 해수 취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343A
KR20190033343A KR1020170122006A KR20170122006A KR20190033343A KR 20190033343 A KR20190033343 A KR 20190033343A KR 1020170122006 A KR1020170122006 A KR 1020170122006A KR 20170122006 A KR20170122006 A KR 20170122006A KR 20190033343 A KR20190033343 A KR 20190033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take
intake pipe
deep sea
deep
guid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999B1 (ko
Inventor
권상길
김명립
Original Assignee
(주)부성
김명립
권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성, 김명립, 권상길 filed Critical (주)부성
Priority to KR102017012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9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vet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지에서부터 심해 취수지점까지 길게 배관되는 심해 해수취수배관을 해저에 파손없이 안정되게 침강 배치할 수 있도록 한 심해 해수 취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심해 해수 취수공법은, (a) 음파탐지기를 이용하여 심해 해저의 지형도를 작성하여 가이드 구조물의 투하지점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심해 해저의 지형에 적합한 경질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심해 해수취수배관을 작업바지선을 통해 육지에서부터 목표 심해해수 취수지점까지 길게 늘어뜨려 배치하고,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육지쪽 말단에 공기제어밸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c)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투하지점마다 작업바지선을 대기시켜 놓고, 자기위치발신기가 장착된 가이드 구조물에 침하성로프를 연결해 놓고, 각기 작업바지선에서 가이드 구조물을 해저로 침강시켜 자기위치발신기의 위치 추적을 수행하면서 해저지반의 목표하는 투하지점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d) 공기제어밸브를 열고 각기 작업바지선에서 가이드 구조물에 연결된 침하성로프를 순차적으로 감아올려 심해 해수취수배관이 해저지반의 투하지점에 위치된 가이드 구조물측에 도달되어 심해 해수취수배관이 투하지점을 따라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심해 해수 취수공법{Deep seawater intake method}
본 발명은 해양에서 청정한 심층수를 안정적으로 취수하기 위한 심해 해수 취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지에서부터 심해 취수지점까지 길게 배관되는 심해 해수취수배관을 해저에 파손없이 안정되게 침강 배치할 수 있도록 한 심해 해수 취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 심층수는 수심 200미터 아래의 깊은 바다에 있는 물로서, 수심이 깊고 움직임이 적은 '안정된 바다'에 있는 물이다. 심층수는 대체로 온도가 낮고 영양 염류가 풍부하며 가장 청정한 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심층수를 채취 가능한 식수로 활용하기 위해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심층수를 채취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육지와 심층수 취수지점을 취수배관으로 연결한다. 이 경우 준비해 취수배관을 바다측으로 심층수 지점까지 끌고나가 단순히 침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 침강시 취수배관이 조류에 밀려 꺽임이 일어나고 침강시 해저의 돌출 지형에 접촉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공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94228호로서, '해수취수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해수여과체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드하우징 내부를 청소할 수 있어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수명을 용이하게 연장하고, 관체를 원활하게 고정하여 파도와 해류 등에 의한 관체의 휨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해수취수장치는 근해에 설치되는 것으로 심층수를 취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관체가 파손없이 설치될 수 있는 구체적인 설치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55653호로서, '해양 심층수의 취수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취수배관이 해저의 해구 또는 해산 지역을 지나면서 피그테일(Pigtail) 형태로 설치되면서 철부의 마루부분에 기포가 차게 되면서 취수량이 서서히 감소하여 나아가서는 베이퍼록(Vapor-lock) 현상이 야기되어 취수가 되지 않은 경우, 취수펌프로 표층해수를 역류(Back flow)시켜 취수배관에 차있는 기포를 제거하여 안전하게 해양 심층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배경기술은 취수배관의 설치장소를 해구(海丘) 또는 해산(海山) 지역을 피해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공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취수배관이 해구 또는 해산을 타고 넘을 경우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94228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55653호
본 발명은 육지에서부터 심해 취수지점까지 길게 배관되는 심해 해수취수배관을 해저에 파손없이 안정되게 침강 배치할 수 있도록 한 심해 해수 취수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심해 해수 취수공법은, (a) 음파탐지기를 이용하여 심해 해저의 지형도를 작성하여 가이드 구조물의 투하지점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심해 해저의 지형에 적합한 경질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심해 해수취수배관을 작업바지선을 통해 육지에서부터 목표 심해해수 취수지점까지 길게 늘어뜨려 배치하고,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육지쪽 말단에 공기제어밸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c)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투하지점마다 작업바지선을 대기시켜 놓고, 자기위치발신기가 장착된 가이드 구조물에 침하성로프를 연결해 놓고, 각기 작업바지선에서 가이드 구조물을 해저로 침강시켜 자기위치발신기의 위치 추적을 수행하면서 해저지반의 목표하는 투하지점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d) 공기제어밸브를 열고 각기 작업바지선에서 가이드 구조물에 연결된 침하성로프를 순차적으로 감아올려 심해 해수취수배관이 해저지반의 투하지점에 위치된 가이드 구조물측에 도달되어 심해 해수취수배관이 투하지점을 따라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가이드 구조물의 투하지점투하지점을 심해 해저 지반의 지형도에서 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심해 해수취수배관이 허용하는 곡률 반경 이내를 벗어나지 않도록 작업바지선을 통해 붙잡아 두는 단계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침하성로프는 일단이 가이드 구조물을 삽통시켜 심해 해수취수배관에 고정되고 그의 타단이 작업바지선에 각기 탑재된 크레인의 윈치에 권취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심해 해수취수배관을 심해해수 취수지점에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하여 육지쪽으로 순차적으로 침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 구조물은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삼각뿔 또는 사각뿔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 중량체, 가이드 중량체의 꼭지점에 설치된 로프연결용 베어링슈벨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보강이 필요한 보강구간에 심해 해수취수배관 보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심해 해수취수배관 보강장치는, 보강구간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고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보강구간에 플랜지 접합을 통해 연결된 단관과; 상기 단관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 이상의 와이어 정열원판과; 상기 와이어 정열원판을 삽통하여 보강구간의 플랜지에 양단이 각기 정착되고 동시에 중간에 조임용 턴버클이 설치되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원형 배열되어 있는 보강용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취수구측에 심해 해수 취수장치가 설치되어 침강되고, 심해 해수 취수장치는, 4각뿔 형태를 이루어 4개소에 삼각다리를 갖는 취수프레임과; 상기 취수프레임의 4개소의 삼각다리 중 어느 한 곳 말단에 설치되어 침강 및 인양시 사용되는 침하성로프가 연결되는 슈벨과; 외주면에 천공된 천공홀이 분포되고 상기 취수프레임의 중앙에 배치 고정되어 상기 심해 해수취수배관에 연결되는 심해 해수 흡입후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취수프레임 및 심해 해수 흡입후드는 FRP 코팅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심해 해수 취수공법에 따르면, 심해 해수취수배관이 목표하는 투하지점을 따라 가급적 해저의 돌출 부분을 회피하여 배치됨으로써 급격하게 꺽임되는 부분이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시공시 파손 및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심해 해수취수배관은 투하지점의 골을 선택하게 되어 위치됨으로써 조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안정된 배치위치를 확보하게 되어 심해 해수의 안정된 취수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심해 해수 취수장치는 취수프레임에 4개소의 삼각다리가 구비되어 있어 어느 방향으로 침강이 이루어지더라도 흡입후드가 해저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해저 뻘층을 흡입하는 현상을 발생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심해 해수취수배관에 보강이 필요한 구간이 발생되는 경우, 이 구간에 원형 배열된 보강용 와이어가 설치되어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공법에서 심해 해수취수배관을 시공하기 위한 음파탐지기를 통해 획득된 심해 해저의 지형 예시도.
도 2는 본 공법에 따른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해상에서의 견인상태도.
도 3은 본 공법에 따른 가이드 구조물을 해상의 바지선에 탑재하여 침하성로프에 연결시킨 상태도.
도 4a는 본 공법에 따른 가이드 구조물을 해상의 바지선에서 가이드 구조물을 침하성로프를 연결시켜 놓고 침강시키는 상태도.
도 4b는 본 공법에 따라 심해 해수취수배관을 해저지반의 목표지점에 위치된 가이드 구조물이 있는 쪽으로 침강시키는 상태도.
도 4c는 본 공법에 따른 가이드 구조물과 침하성로프 및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연결상태도.
도 5는 본 공법에 따른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해저지반측 배치상태도.
도 6은 본 공법에 따른 심해 해수취수장치의 사시도.
도 7a는 본 공법에 따른 심해 해수취수배관 보강장치의 구성도.
도 7b는 도 7a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공법에 따른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시공 흐름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심해 해저의 지형도 작성 및 가이드 구조물의 투하지점 설정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심해 해수 취수공법은 도 1 및 도 8에서와 같이 심해 해저의 지형도(M)를 작성하여 가이드 구조물(12)의 투하지점(P1,P2,..,Pn)을 설정한다. 여기서 투하지점(P1)은 심해취수지점(P0)에 가장 가까운 곳을 나타내며, 투하지점(Pn)은 육지쪽에 가장 가까운 곳을 나타낸다.
이때 심해 해저의 지형도(M)는 음파탐지기를 탑재한 선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4군데의 투하지점(P1,P2,P3,P4)을 설정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단계에서 가이드 구조물(20)의 투하지점(P1,P2,P3,P4)은 심해 해저의 지형도(M)에서 돌출지형(예로, 해산)에서의 꺽임을 피하고 조류의 영향을 최소로 받도록 골을 선택하여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해면상 배치
그 다음, 도 2와 같이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을 작업바지선(S)을 통해 육지에서부터 목표 심해해수 취수지점(P0)까지 길게 늘어뜨려 배치하고,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육지쪽 말단에 공기제어밸브(16)를 설치한다.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은 심해 해저의 지형에 적합토록 경질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예로 PE 관으로 제작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은 육지쪽에서 원형으로 말아진 상태에서 준비되어 작업바지선(S)에 이끌려 풀리도록 할 수 있다.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은 육지에서 목표 심해해수 취수지점(P0)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수킬로미터의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파손을 막기 위해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이 허용하는 곡률 반경 이내를 벗어나지 않도록 도 3과 같이 다수의 작업바지선(S1,S2,..,Sn)을 통해 붙잡아 둘 수 있다. 이는 작업바지선(S1,S2,S3,S4)에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을 로프 등으로 묶어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배치를 위해 4대의 작업바지선(S1,S2,S3.S4)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작업바지선(S1,S2,S3.S4)은 도시안된 예인선에 의해 해상 이동 및 정지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가이드 구조물의 투하 준비
그 다음, 도 3과 같이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투하지점(P1,P2,P3,P4)마다 작업바지선(S1,S2,S3.S4)을 대기시켜 놓고, 각기 작업바지선(S1,S2,S3.S4)에서 도 4b와 같이 자기위치발신기(22)가 장착된 가이드 구조물(20)을 침하성로프(30)를 통해 심해 해수취수배관(14)에 연결시켜 놓고 목표하는 투하지점(P1,P2,P3,P4) 위치에 투하시킬 준비를 갖는다.
이때 도 4b와 같이 침하성로프(30)는 일단이 가이드 구조물(20)을 삽통시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에 고정되고 그의 타단이 작업바지선(S1,S2,S3.S4)에 각기 탑재된 크레인(100)의 윈치에 권취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침하성로프(30)는 해저로 가라앉을 수 있는 낙줄(금속 체인을 통해 연결된 줄)이 될 수 있다.
도 4b에서와 같이 가이드 구조물(20)은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삼각뿔 또는 사각뿔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 중량체(201), 가이드 중량체(201)의 꼭지점에 설치된 로프연결용 베어링슈벨(202)이 포함되어 제작된다. 베어링슈벨(202)은 가이드 구조물(20)에 연결되어 가이드 구조물(20)을 침강시킬 때 회전이 이루어저 침하성로프(30)의 꼬임을 방지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취수구측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해 해수 취수장치(50)가 설치되어 침강 준비를 하게 된다.
심해 해수 취수장치(50)는, 도 7에서와 같이 4각뿔 형태를 이루어 4개소에 삼각다리(511)를 갖는 취수프레임(51)과, 취수프레임(51)의 4개소의 삼각다리(511) 중 어느 한 곳 말단에 설치되어 침강 및 인양시 사용되는 침하성로프(30)가 연결되는 슈벨(52)과, 외주면에 천공된 천공홀(53a)이 분포되고 상기 취수프레임(51)의 중앙에 배치 고정되어 상기 심해 해수취수배관(14)에 연결되는 심해 해수 흡입후드(53)로 구성되어 있다. 심해 해수취수배관(14)과 심해 해수 흡입후드(53)는 통상의 플랜지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천공홀(53a)은 심해 해수의 취수시 심해 해수가 유입되는 통로의 기능과 함께 불필요한 바다 생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슈벨(52)이 설치되는 아니한 3개소의 삼각다리(511)의 말단에는 취수프레임(51)이 해저의 뻘층에 침입하지 않도록 원형 지지판(512)이 설치된다. 여기서 취수프레임(51) 및 심해 해수 흡입후드(53)는 부식방지를 위해 FRP(섬유강화플라스틱)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심해 해수 취수장치(50)는 취수프레임(51)에 4개소의 삼각다리(511)가 구비되어 있어 어느 방향으로 침강이 이루어지더라도 흡입후드(53)가 해저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심해 해수의 쉬수시 해저 뻘층을 흡입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가이드 구조물의 목표 투하지점 침강
그 다음, 도 4a와 같이 각기 작업바지선(S1,S2,S3.S4)에서 가이드 구조물(20)을 해상에 투입 침강시켜 해저의 투하지점(P1,P2,P3.P4)에 위치시킨다. 이때 자기위치발신기(22)의 위치 추적을 모니터링하면서 가이드 구조물(20)을 해저로 목표하는 투하지점(P1,P2,P3.P4)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침하성로프(30)는 가이드 구조물(2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풀어져 길게 늘어지게 된다. 이때 각기 작업바지선(S1,S2,S3.S4)에서 가이드 구조물(20)의 투하는 특정한 순서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심해 해수취수배관의 침강 작업
그 다음, 도 4b와 같이 침하성로프(30)를 심해 해수취수배관(14)에 연결시켜 놓고, 각기 작업바지선(S1,S2,..,Sn)에서 가이드 구조물(20)에 연결된 침하성로프(30)를 순차적으로 감아올려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침강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심해 해수취수배관(14) 내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공기제어밸브(16)를 열고 작업이 이루어진다.
단계에서는 심해 해수취수배관(14)내의 공기가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바다측 해수취수구로부터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육지쪽 해수취출구쪽으로 빠져나가도록 유도하기 위해 가이드 구조물(20)은 심해해수 취수지점(P0)에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하여 육지쪽으로 순차적으로 침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투하지점(P1,P2,P3.P4)의 순으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을 침강되어 해저지반의 투하지점(P1,P2,..,Pn)에 위치된 가이드 구조물(20)측에 도달됨으로써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이 목표하는 투하지점(P1,P2,P3.P4)을 따라 도 5와 같이 해저 지반에 배치된다.
이같이 본 발명의 심해 해수 취수공법에 따르면,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이 목표하는 투하지점(P1,P2,P3.P4)을 따라 해저의 돌출 부분을 회피하여 배치됨으로써 급격하게 꺽임되는 부분이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파손 및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은 투하지점(P1,P2,P3.P4)의 골을 선택하게 되어 위치됨으로써 조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안정된 배치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여기서, 해당 투하지점(P1,P2,P3.P4)마다 해저로 침강된 가이드 구조물(20)에 연결된 침하성로프(30)는 각기 작업바지선(S1,S2,S3.S4)에서 절단하여 해저로 침하시킨다. 침하된 침하성로프(30)는 다시 인양되어 회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심해 해수 취수공법에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보강이 필요한 보강구간(L)에 심해 해수취수배관 보강장치(140)가 설치될 수 있다. 보강구간(L)은 해저에서 돌출된 지형을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이 지나가는 일정 구간이 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심해 해수취수배관 보강장치(140)는, 보강구간(L)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고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보강구간에 플랜지 접합을 통해 연결된 단관(141)과, 단관(141)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 이상의 와이어 정열원판(142)과, 와이어 정열원판(142)에 원형 배열된 홀(142a)을 삽통하여 보강구간(L)의 플랜지에 양단이 각기 정착되고 동시에 중간에 조임용 턴버클(143)이 설치되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원형 배열되어 있는 보강용 와이어(144)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임용 턴버클(143)은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보강용 와이어(144)를 긴장시켜 단관(141)에 압축력을 도입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은 단관(141)이 그 둘레에 긴장되게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 보강용 와이어(144)에 의해 보호를 받으므로 침강시나 안착후에도 안정된 보강구간(L)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심해 해수취수배관 보강장치(140)는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해면상 배치전 육지쪽에서 설치될 수 있다.
이같이 가이드 구조물(20)의 목표 투하지점 침강이 완료되면,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설치도 완료되고, 이후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해수취출구측에 도시안된 펌핑장치를 연결하여 가동시키면, 심해 해수 취수장치(50)의 심해 해수 흡입후드(53)를 통해 심해 해수가 흡입되어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을 경유함으로써 심해 해수의 취수가 이루어진다. 펌핑장치는 구동모터 및 펌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심층수를 취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심층수가 아닌 근해의 해수를 취수하는 공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4: 심해 해수취수배관
16: 공기제어밸브
20: 가이드 구조물
30: 침하성로프

Claims (9)

  1. (a) 음파탐지기를 이용하여 심해 해저의 지형도(M)를 작성하여 가이드 구조물(12)의 투하지점(P1,P2,..,Pn)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심해 해저의 지형에 적합한 경질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을 작업바지선(S)을 통해 육지에서부터 목표 심해해수 취수지점(P0)까지 길게 늘어뜨려 배치하고,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육지쪽 말단에 공기제어밸브(16)를 설치하는 단계와;
    (c)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투하지점(P1,P2,..,Pn)마다 작업바지선(S1,S2,..,Sn)을 대기시켜 놓고, 자기위치발신기(22)가 장착된 가이드 구조물(20)에 침하성로프(30)를 연결해 놓고, 각기 작업바지선(S1,S2,..,Sn)에서 가이드 구조물(20)을 해저로 침강시켜 자기위치발신기(22)의 위치 추적을 수행하면서 해저지반의 목표하는 투하지점(P1,P2,..,Pn)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d) 공기제어밸브(16)를 열고 각기 작업바지선(S1,S2,..,Sn)에서 가이드 구조물(20)에 연결된 침하성로프(30)를 순차적으로 감아올려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이 해저지반의 투하지점(P1,P2,..,Pn)에 위치된 가이드 구조물(20)측에 도달되어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이 투하지점(P1,P2,..,Pn)을 따라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해수 취수공법.
  2. 상기 (a)단계에서, 가이드 구조물(20)의 투하지점투하지점(P1,P2,..,Pn)을 심해 해저 지반의 지형도에서 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해수 취수공법.
  3. 상기 (b)단계에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이 허용하는 곡률 반경 이내를 벗어나지 않도록 작업바지선(S1,S2,..,Sn)을 통해 붙잡아 두는 단계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해수 취수공법.
  4. 상기 (c)단계에서, 침하성로프(30)는 일단이 가이드 구조물(20)을 삽통시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에 고정되고 그의 타단이 작업바지선(S1,S2,..,Sn)에 각기 탑재된 크레인(100)의 윈치에 권취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해수 취수공법.
  5. 상기 (d)단계에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을 심해해수 취수지점(P0)에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하여 육지쪽으로 순차적으로 침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해수 취수공법.
  6.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 구조물(20)은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삼각뿔 또는 사각뿔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 중량체(201), 가이드 중량체(201)의 꼭지점에 설치된 로프연결용 베어링슈벨(202)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해수 취수공법.
  7. 제 1항에 있어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보강이 필요한 보강구간(L)에 심해 해수취수배관 보강장치(140)가 설치되고;
    상기 심해 해수취수배관 보강장치(140)는,
    보강구간(L)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고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보강구간에 플랜지 접합을 통해 연결된 단관(141)과;
    상기 단관(141)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 이상의 와이어 정열원판(142)과;
    상기 와이어 정열원판(142)을 삽통하여 보강구간의 플랜지에 양단이 각기 정착되고 동시에 중간에 조임용 턴버클(143)이 설치되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원형 배열되어 있는 보강용 와이어(1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해수 취수공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심해 해수취수배관(14)의 취수구측에 심해 해수 취수장치(50)가 설치되어 침강되고,
    심해 해수 취수장치(50)는,
    4각뿔 형태를 이루어 4개소에 삼각다리(511)를 갖는 취수프레임(51)과;
    상기 취수프레임(51)의 4개소의 삼각다리(511) 중 어느 한 곳 말단에 설치되어 침강 및 인양시 사용되는 침하성로프(30)가 연결되는 슈벨(52)과;
    외주면에 천공된 천공홀(53a)이 분포되고 상기 취수프레임(51)의 중앙에 배치 고정되어 상기 심해 해수취수배관(14)에 연결되는 심해 해수 흡입후드(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해수 취수공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프레임(51) 및 심해 해수 흡입후드(53)는 FRP 코팅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해 해수 취수공법.
KR1020170122006A 2017-09-21 2017-09-21 심해 해수 취수공법 KR10202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06A KR102022999B1 (ko) 2017-09-21 2017-09-21 심해 해수 취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06A KR102022999B1 (ko) 2017-09-21 2017-09-21 심해 해수 취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43A true KR20190033343A (ko) 2019-03-29
KR102022999B1 KR102022999B1 (ko) 2019-09-19

Family

ID=6589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006A KR102022999B1 (ko) 2017-09-21 2017-09-21 심해 해수 취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2105A (zh) * 2023-05-15 2023-08-04 广东省水利水电第三工程局有限公司 一种在超深动水区的河床底摊铺作业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753A (ja) * 2002-10-17 2004-05-13 Maeda Corp 取水口構造
JP2005121077A (ja) * 2003-10-15 2005-05-12 Nippon Steel Corp 海底管敷設工法
KR101355653B1 (ko) 2007-07-19 2014-02-03 서희동 해양 심층수의 취수방법
KR101394228B1 (ko) 2013-09-26 2014-05-14 에스에이치개발 주식회사 해수취수장치
KR101508004B1 (ko) * 2014-06-09 2015-04-07 최해곤 구조물용 파이프 및 형강재 보강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753A (ja) * 2002-10-17 2004-05-13 Maeda Corp 取水口構造
JP2005121077A (ja) * 2003-10-15 2005-05-12 Nippon Steel Corp 海底管敷設工法
KR101355653B1 (ko) 2007-07-19 2014-02-03 서희동 해양 심층수의 취수방법
KR101394228B1 (ko) 2013-09-26 2014-05-14 에스에이치개발 주식회사 해수취수장치
KR101508004B1 (ko) * 2014-06-09 2015-04-07 최해곤 구조물용 파이프 및 형강재 보강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2105A (zh) * 2023-05-15 2023-08-04 广东省水利水电第三工程局有限公司 一种在超深动水区的河床底摊铺作业方法及系统
CN116542105B (zh) * 2023-05-15 2023-10-27 广东省水利水电第三工程局有限公司 一种在超深动水区的河床底摊铺作业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999B1 (ko)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4535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foundation for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6575662B2 (en)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657529B2 (en) Method for planarizing unevenness of the seabed
US20140017012A1 (en) Method for protecting submarine cable and submarine long tube
US7025533B1 (en) Concentrated buoyancy subsea pipeline apparatus and method
CN104878779A (zh) 沉管隧道碎石基床覆盖式防淤盖板、防淤系统及施工方法
KR20190033343A (ko) 심해 해수 취수공법
CN106704705B (zh) 一种水上管线组装作业方法及系统
EP3767035A1 (en) Method for assembling an offshore wind turbine, tower foundation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and offshore wind turbine
KR100993580B1 (ko) 수중 관로 부설방법
CN115823351A (zh) 一种浅滩段海底管道安装方法及安装参数设计方法
JP2007303248A (ja) ダム湖および清水バイパス管の敷設方法
NL1040430C2 (en) Method of laying a pipe under water.
KR102111790B1 (ko) 심해 말뚝박는 유압해머 장치
KR20050032066A (ko) 부설선 없이 심해 파이트라인 부설방법
JP2003171955A (ja) 水中モータポンプ使用小口径管大容量海洋表層水又は深層水取水システム、水中モータポンプ使用陸上設置型海洋表層水又は深層水取水施設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並びにその工法
CN111619760B (zh) 一种自然江河内大型浮排的拼装、对接与就位方法
DK3081701T3 (da)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støjdæmpning
KR20200075176A (ko)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해수 취수 장치
JP2004300704A (ja) 水底土砂除去工法、及び水底土砂除去装置
RU22729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полевых сборно-разбор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на дно водоема
JPH0331405B2 (ko)
RU2565118C2 (ru) Способ демонтажа магистраль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Bekendam et al. Montpellier sea outfall: Europe’s longest marine PE pipe project
JPS61517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