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715B1 - 토스터 - Google Patents

토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715B1
KR100918715B1 KR1020070046959A KR20070046959A KR100918715B1 KR 100918715 B1 KR100918715 B1 KR 100918715B1 KR 1020070046959 A KR1020070046959 A KR 1020070046959A KR 20070046959 A KR20070046959 A KR 20070046959A KR 100918715 B1 KR100918715 B1 KR 100918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oaster
hole
toaster case
b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920A (ko
Inventor
이호숭
Original Assignee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71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 A47J37/0814Bread-toasters with automatic bread ejection or tim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 A47J37/0871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여 식빵을 굽는 토스터에 관한 것으로, 토스터 케이스(100)의 핸들 커버(120)를 잡아당겨서 벽체에 설치된 본체(110)의 관통구멍(111)에 식빵(B)을 투입한 후, 핸들 커버(120)를 뒤로 젖혀서 본체(110)의 관통구멍(111) 입구를 닫게 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에 구워진 식빵(B)이 본체(110)의 관통구멍(111) 출구를 통해서 받침대(130)로 자동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토스터, 벽체 설치, 식빵

Description

토스터{Toast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가 닫힌 상태를, 도 2는 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토스터의 우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기적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에 대한 대응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 ; 토스터 케이스, 110 ; 본체,
111 ; 관통구멍, 112 ; 스토퍼,
120 ; 핸들 커버, 130 ; 받침대,
131 ; 걸림턱, 132 ; 통기구,
140 ; 빵부스러기받침, 200 ; 전기히터,
300 ; 출구 개폐장치, 310 ; 구동모터,
311 ; 피니언, 320 ; 랙,
330 ; 받침판, 331 ; 걸림부,
340 ; 스프링, 400 ; 제어유닛,
500 ; 개폐감지센서, B ; 식빵,
h ; 회전축.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여 식빵을 굽는 토스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 전기 토스터는 그 구조에 따라서 턴오버형과 홉업(hop up)형, 오븐형 및 워킹형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턴오버형은 중앙에 판상(板狀)의 전열선을 감은 히터가 있고, 그 양쪽에 빵을 놓고, 2장의 빵을 한 면씩 굽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관찰하는 구멍을 통해 구워진 정도를 보고, 빵이 적당히 구워지면 뚜껑을 연 후에 수평으로 누이면 빵이 반전(反轉)하므로 다시 뚜껑을 닫고 다른 면을 굽는다.
상기 홉업형은 3장의 발열체 사이에 빵을 넣는 것인데, 2장의 빵의 양면을 동시에 구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홉업형은 구워진 정도를 보아 핸들을 누르면 빵이 튀어나오는 수동 방식과, 그때 전기회로가 끊기는 반자동 방식 및, 미리 구워지는 정도를 생각해서 스프링의 시간을 조절해 놓으면 조절 시간 경과후 에 빵이 자동으로 튀어나오고 동시에 회로도 끊기는 자동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오븐형은 토스트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것도 구울 수 있는 오븐형식의 것이다.
상기 워킹형은 빵을 케이스의 한쪽에서 집어 넣으면 내부의 이송(移送)메커니즘에 의해 자동적으로 발열체 사이를 지나는 동안에 구워져서 다른쪽으로 나오게 되어 있는 것인데, 빵의 이송에는 소형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들 중에서 자동식으로 되어 있는 것은 대부분이 바이메탈을 사용하고 있으며, 빵의 온도를 감지(感知)해서 자동적으로 히터의 전원을 절단하고, 원하는 대로 알맞게 구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토스터는 식탁 등에 얹어놓고 사용토록 되어 있어서, 토스터를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내 공간이 협소해서 식탁을 놓을 수 없거나, 식탁이 있다고 하더라도 식탁 면적이 협소한 경우에는 종래 토스터의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특히 여관이나 모텔, 펜션, 호텔 등의 숙박업체의 경우, 각 객실마다 토스터를 설치해서 객실 이용 손님이 간단하게 토스터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요기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종래 토스터는 실내 공간이 협소한 객실에 배치하기가 어렵고, 오히려 객실 내부가 너저분하게 보여지는 문제가 초래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벽체에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토스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구멍을 갖추고서 벽체에 설치되는 본체, 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통구멍의 입구를 개폐하는 핸들 커버,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관통구멍의 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토스트를 받치는 받침대를 갖춘 토스터 케이스와 ; 토스터 케이스의 본체에 내설되어 관통구멍 내부로 삽입된 식빵에 열을 가해서 굽는 전기히터 ; 토스터 케이스의 본체에 설치되어 관통구멍의 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장치 ; 토스터 케이스의 본체에 설치되어 전기히터 및 출구 개폐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토스터 케이스의 본체에 설치되어 핸들 커버에 의한 개폐를 감지해서 이를 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개폐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는,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구멍(111)을 갖추고서 벽체에 설치되는 본체(110), 본체(1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통구멍(111)의 입구를 개폐하는 핸들 커버(120), 본체(110)의 하단에 설치되어 관통구멍(111)의 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토스트를 받치는 받침 대(130)를 갖춘 토스터 케이스(100)와 ;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내설되어 관통구멍(111) 내부로 삽입된 식빵에 열을 가해서 굽는 전기히터(200) ;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설치되어 관통구멍(111)의 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장치(300) ;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설치되어 전기히터(200) 및 출구 개폐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00) 및;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설치되어 핸들 커버(120)에 의한 개폐를 감지해서 이를 제어유닛(400)으로 출력하는 개폐감지센서(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스터 케이스 본체(110)는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벽체에 직접 설치되거나, 브래킷이나 섀시 등의 별도의 지지부재를 매개로 벽체에 간접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커버(120)는 본체(1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통구멍(111)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받침대(130)는 자유 낙하되는 토스트를 자연스럽게 받아낼 수 있도록 라운드 처리되어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31"은 자유 낙하되는 토스트를 받쳐주는 걸림턱을 나타낸다.
상기 전기히터(200)는 종래 토스터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전기히터를 적용하였다.
본 실시예의 경우, 출력단에 피니언(311)을 갖추고서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0)와 ;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수직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310)의 피니언(311)과 상호 연 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랙(320) ; 토스터 케이스 본체(110)의 스토퍼(112)에 맞대어지는 걸림부(331)를 갖추고서 랙(3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토스터 케이스 본체(110)의 관통구멍(111) 출구를 개폐하는 받침판(330) ; 받침판(330)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340)으로 구성된 것을 출구 개폐장치(300)로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어유닛(400)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서, 토스터 케이스 본체(110)의 관통구멍(111) 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유닛(400)은 개폐감지센서(50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서 전기히터(200)와 출구 개폐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핸들 커버(120)의 개폐를 감지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개폐감지센서(500)로 적용하였지만, 개폐감지센서(500)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핸들 커버(120)의 형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30)에 통기구(132)를 형성하고, 통기구(132)를 통해서 배출되는 빵부스러기를 담는 빵부스러기받침(140)을 받침대(130)에 착탈가능하게 보강 설치하면, 손쉽게 빵부스러기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빵부스러기받침(140)이 받침대(13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스터의 작동상태를 설명 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커버(120)를 전방으로 잡아당겨서 관통구멍(111) 입구를 열고 식빵(B)을 관통구멍(111)에 삽입하면, 관통구멍(111)의 입구를 통해서 삽입된 식빵(B)이 출구 개폐장치(300)의 받침판(330)에 얹혀져 고정된다.
이후, 상기 핸들 커버(120)를 후방으로 젖혀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110) 입구를 닫으면, 제어유닛(400)이 개폐감지센서(500)를 매개로 이를 감지하여 전기히터(200)를 일정 시간 동안 가동시켜서 식빵(B)의 전후면을 굽는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유닛(400)이 전기히터(200)를 정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출구 개폐장치(300)의 구동모터(310)를 가동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330)을 열게 된다. 이처럼 상기 받침판(330)을 열게 되면 구워진 식빵(B)이 관통구멍(111)의 출구를 통해서 자유 낙하되어 받침대(130)로 배출된다.
이후, 토스터 이용자는 받침대(130)로 배출된 구워진 식빵(B ; 토스트)을 간편하게 집어서 먹으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토스터 케이스(100)의 핸들 커 버(120)를 잡아당겨서 벽체에 설치된 본체(110)의 관통구멍(111)에 식빵(B)을 투입한 후, 핸들 커버(120)를 뒤로 젖혀서 본체(110)의 관통구멍(111) 입구를 닫게 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에 구워진 식빵(B)이 본체(110)의 관통구멍(111) 출구를 통해서 받침대(130)로 자동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구멍(111)을 갖추고서 벽체에 설치되는 본체(110), 본체(1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통구멍(111)의 입구를 개폐하는 핸들 커버(120), 본체(110)의 하단에 설치되어 관통구멍(111)의 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토스트를 받치는 받침대(130)를 갖춘 토스터 케이스(100)와 ;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내설되어 관통구멍(111) 내부로 삽입된 식빵에 열을 가해서 굽는 전기히터(200) ;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설치되어 관통구멍(111)의 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장치(300) ;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설치되어 전기히터(200) 및 출구 개폐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00) 및;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설치되어 핸들 커버(120)에 의한 개폐를 감지해서 이를 제어유닛(400)으로 출력하는 개폐감지센서(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개폐장치(300)는, 출력단에 피니언(311)을 갖추고서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0)와 ; 토스터 케이스(100)의 본체(110)에 수직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310)의 피니언(311)과 상호 연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랙(320) ; 토스터 케이스 본체(110)의 스토퍼(112)에 맞대어지는 걸림부(331)를 갖추고서 랙(320)에 회전가능 하게 고정되어 토스터 케이스 본체(110)의 관통구멍(111) 출구를 개폐하는 받침판(330) ; 받침판(330)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3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30)에 통기구(132)가 형성되고, 이 통기구(132)를 통해서 배출되는 빵부스러기를 담는 빵부스러기받침(140)이 받침대(130)에 착탈가능하게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스터.
KR1020070046959A 2007-05-15 2007-05-15 토스터 KR100918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959A KR100918715B1 (ko) 2007-05-15 2007-05-15 토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959A KR100918715B1 (ko) 2007-05-15 2007-05-15 토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920A KR20080100920A (ko) 2008-11-21
KR100918715B1 true KR100918715B1 (ko) 2009-09-24

Family

ID=4028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959A KR100918715B1 (ko) 2007-05-15 2007-05-15 토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163B1 (ko) * 2008-11-05 2011-06-13 (주)에스에스생활과학 투명 가열수단을 구비한 토우스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981A (ko) * 2002-01-05 2003-07-12 주식회사 카이젤 토스터 제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981A (ko) * 2002-01-05 2003-07-12 주식회사 카이젤 토스터 제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920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1127B1 (en) Cooking device
US7220945B1 (en) Oven
US20090223380A1 (en) Horizontal toasting device having relatively small top heating means
US7328654B2 (en) Food warming apparatus
US4476848A (en) Countertop oven
BRPI1101311A2 (pt) forno com modo de auto limpeza e baixa temperatura
US6621053B1 (en) Toaster oven rack
KR200468072Y1 (ko) 전기튀김기
KR100918715B1 (ko) 토스터
KR200399831Y1 (ko) 자동숯불구이기
KR101684605B1 (ko)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US4025299A (en) Baking oven
JPH10122576A (ja) ガスオーブンレンジの収納トレー引出装置
KR100473061B1 (ko) 제빵기
JP6386417B2 (ja) オーブン装置
JP4820682B2 (ja) 加熱調理器
JP5759861B2 (ja) 加熱調理器
KR101745712B1 (ko) 후드 연결 친환경 렌지
KR200431719Y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양면 그릴구이기
KR102437040B1 (ko) 양면 인덕션 렌지 시스템
JPH0776624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200266946Y1 (ko) 토스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KR20050081529A (ko) 가스 오븐레인지
JP3719201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JP2504489Y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