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182B1 - 연마대상 제품의 슬립방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연마대상 제품의 슬립방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182B1
KR100917182B1 KR1020090035218A KR20090035218A KR100917182B1 KR 100917182 B1 KR100917182 B1 KR 100917182B1 KR 1020090035218 A KR1020090035218 A KR 1020090035218A KR 20090035218 A KR20090035218 A KR 20090035218A KR 100917182 B1 KR100917182 B1 KR 100917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ed
abrasive
product
casting
shot bl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세광쇼트기계인천공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광쇼트기계인천공장 filed Critical (주)세광쇼트기계인천공장
Priority to KR102009003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083Transfer or fee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 B24C3/14Apparatus using im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6Impeller wheels; Rotor blad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연마대상 제품의 슬립방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연마대상 주물 제품이 내부로 이송되어 연마제가 분출되는 하우징, 구동모터에 의해 연마대상 주물 제품의 표면에 연마제를 분출하는 임펠러, 연마대상 주물 제품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며, 이송수단은 연마대상 주물 제품을 지지하는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지지바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수단에 구비된 걸개부에 의해 연마대상 주물 제품이 견인 이송됨으로써, 연마대상 주물 제품이 이송수단상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쇼트 블라스팅 장치, 이송수단, 걸개부, 슬립 방지

Description

연마대상 제품의 슬립방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Shot Blasting Device Preventing Slip of Product}
본 발명은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대상 주물제품 이송시의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로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공고번호 특0165652호(공고일 1999년 02월 01일) 등 다수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서는 연마대상 주물 제품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연마대상 주물 제품의 하면에 연마제가 분출되게 되면 연마대상 주물 제품과 이송면과의 접지력이 약해져서, 연마대상 주물 제품이 이송시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대상 주물제품 이송시의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는,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이 내부로 이송되어 연마제가 분출되는 하우징(100);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의 표면에 연마제를 분출하는 임펠러(151,152);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이송하는 이송수단(130)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130)은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지지하는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지지바(1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지지바(138)는, 상기 복수의 지지바(138)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송수단(130)이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이송함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견인하는 복수의 걸개부(1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130)은 측면에 체인기어(13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기어(137)의 구동에 의해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151,152)는, 상기 이송수단(130)의 위쪽에서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의 상면에 연마제를 분출하는 상부 임펠러(151)와, 상기 이송수 단(130)의 아래쪽에서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의 하면에 연마제를 분출하는 하부 임펠러(1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바(138)는, 상기 복수의 지지바(138)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송수단(130)이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이송함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견인하는 복수의 톱니부(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수단에 구비된 걸개부에 의해 연마대상 주물 제품이 견인 이송됨으로써, 연마대상 주물 제품이 이송수단상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연마대상 주물 제품의 하면까지도 대부분이 노출되는 결과, 연마대상 주물 제품의 하면에서의 연마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장치는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제에 의해 연마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로 떨어지는 연마제를 제1 호퍼(102)에 의해 수집하여 이송하도록 상기 제1 호퍼(102)의 길이방향 하부에 배설되는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와, 체인 또는 벨트를 개재해서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제1 구동모터(106)와,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에 의해 이송되어 온 연마제를 다시 이송하도록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의 중간 하부에 설치된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와, 체인 또는 벨트를 개재해서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 구동 모터(110)와, 상기 제2 구동 모터(110)로부터 체인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는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의해 이송되어 온 연마제 및 이물질(먼지 및 버어(burr))를 버켓(도시하지 않음)에서 받아 상부로 이송하는 버켓 엘리베이터(112)와,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를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구동 및 제1 종동 스프로킷(114,116)과, 상기 제1 구동 스프로킷(114)에 체인을 개재해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3 구동 모터(118)와, 상기 제3 구동모터(118)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가 상승한 후에 하강함에 따라 뒤집혀진 버켓에서 쏟아지는 연마제 및 이물질(먼지 및 버어)을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20)를 통해 받아서 연마제에 섞여있는 이물질(먼지 및 버어 등)을 필터링해서 제2 호퍼(121)로 배출하는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와,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체인 또는 벨트를 개재해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되는 제4 구동모터(124)와,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의 하부로 떨어지는 연마제와 이물질 중에서 가벼운 이물질(먼지 등)을 흡입해서 외부로 배출하는 먼지 배출 세퍼레이터(126)와,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의 하부로 떨어지는 연마제를 받아서 저장하는 연마제 저장탱크(128)와, 상기 연마제 저장탱크(128)에 저장된 연마제를 도시하지 않은 연마재 배출배관을 통해서 상부 및 하부 호퍼(151a, 152a)에 배출하는 연마제 배출 게이트(131)와, 연마에 따라 발생된 상기 하우징(100)의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다수의 먼지 배출용 후드(13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쇼트 블라스팅장치는 상기 하우징(100)의 좌ㆍ우측 프레임(133,134)에 각각 설치된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과,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되는 이송수단(130)과,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수단(130)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제1 및 제2방향전환 롤러(144,146)와, 상기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된 상부측의 상기 이송수단(130)의 하부에서 상기 이송수단(130)을 지지하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이송수단 지지롤러(148)와, 도시하지 않은 메인 구동모터에 의해 제2 구동 및 제2 종동 스프로킷(135,13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수단(130) 상부에 재치되어 이송되어 오는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를 통과하는 상기 이송수단(130)의 상ㆍ하부 및 상기 이송수단(130)의 폭방향에 서로 각각 일정한 각도를 두고 대향되게 배설되어 상기 연마제 배출 게이트(131)에서 배출되는 연마제를 도시하지 않은 연마제 배출배관을 통해 받아서 주물제품의 표면에 동시에 분출하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와,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가 연마제를 분출시키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를 구동하는 상부 및 하부 임펠러 구동모터(153,154)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에서 분출되는 연마제에 의해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 및 주물사(주물모래)를 제거하도록 연마된 주물 제품을 뒤집어지게 떨어지도록 설치된 텀블링유닛(1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구동 스프로킷(114)의 회전중심축에는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제3 장력조절부재(1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텀블링유닛(160)은 프레임(161)과, 상기 이송수단(130)에서 뒤집혀서 떨어지는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받음과 동시에 상기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털어내도록 상기 프레임(161)의 좌ㆍ우측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제3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2,163)에 현가된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와, 상기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4 장력조절부재(165)와, 상기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에서 뒤집혀서 떨어지는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다시 받음과 동시에 상기 주물제품에 부착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다시 털어내도록 상기 제3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2,163)의 하부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제4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6,167)에 현가된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와, 상기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5 장력조절부재(169)와, 상기 제1 및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168)에서 떨어지는 연마제 및 이물질을 수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168)의 하부에 설치된 제3 호퍼(169)와, 상기 제3 호퍼(169)에 수집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배면측으로 이송하도록 상기 제3 호퍼(169)의 하부에 설치된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와, 상기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에 의해 이송되어온 연마제 및 이물질을 받아서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이송하는 제4 스크류 컨베이어(17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종동 스프로킷(136)은 작업자가 연마할 주물제품을 상기 이송수단(130) 상에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제2 구동 스프로킷(135)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임펠러(151)는 상기 이송수단(130) 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주물제품의 상부를 향해서 연마제를 분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상부에 상기 하부 임펠러(152)에 대향해서 상기 이송수단(130)의 길이방향 중앙을 향해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임펠러(152)는 상기 이송수단(130) 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주물제품의 하부를 향해서 연마제를 분출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지나가는 상기 이송수단(130)의 하부에 상기 이송수단(130)의 길이방향 중앙을 향해서 경사 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는 상기 제1 호퍼(102)에 수집된 연마제 및 이물질을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의 좌측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의 우측은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스크류가 설치되어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82는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발판이고, 184는 상기 이송수단(130)상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주물제품을 올려놓도록 작업자가 올라서는 작업 발판으로서 본 발명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186은 텀블링유닛(160)에서 배출되는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을 받는 트레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 구비된 이송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 구비된 이송수단(130)은 체인기어(137), 및 지지바(138)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바(138)는 복수개가 이송수단(130)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연마대상 주물제품(20)을 지지한다. 체인기어(137)는 이송수단(130)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복수의 지지바(138)에 의해 지지된 주물제품(20)은 체인기어(137)의 구동에 의해 이송된다.
한편, 복수개의 지지바(138)의 각각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걸개부(139)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걸개부(139)는 이송수단(130)이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이송함에 있어서,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고정하여 견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이 지지바(138)에 의해 지지되게 되면,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의 상면뿐만 아니라, 하면까지도 노출될 수 있게 되는 결과, 상부 임펠러(151)는 이송수단(130)의 위쪽에서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의 상면에 연마제를 분출하고, 하부 임펠러(152)는 이송수단(130)의 아래쪽에서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의 하면에 연마제를 분출하게 된다.
도 5는 도 4에서의 이송수단과 연마대상 주물 제품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바(138)에 돌출형성된 걸개부(139)에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의 홈이 걸린 상태에서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이 이송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되는 경우에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이 이송수단(130)상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이송수단에 구비된 지지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이송수단(130)에 구비된 지지바(138)의 상면에는 복수의 톱니부(140)가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복수의 톱니부(140)는 이송수단(130)이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이송함에 있어서, 도 5에서의 걸개부(139)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이 이송수단(130)상에서 이송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이 이송수단(130)상에서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메인 스위치를 스위칭 온하면, 상기 하우징(100)의 좌ㆍ우측 프레임(133,134)에 각각 설치된 제2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35,13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35,136)에 현가된 이송수단(1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3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2,163), 제4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6,167)이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3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2,163), 상기 제4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6,167)에 각각 현가된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와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가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 및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 제4 스크류 컨베이어(172)가 구동되기 시작하며, 또 상기 제3 구동모터(11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스프로킷(114)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 종동 스프로킷(116)이 회전되어 버켓 엘리베이터(11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의해 이송되어 온 연마제 및 이물질과 상기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 및 제4 스크류 컨베이어(172)를 통해서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이송되어 온 연마제 및 이물질을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버켓에 실어서 이송스크류 컨베이어(120)를 개재하여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 공급된 연마제와 이물질은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분류하여 이물질을 제2 호퍼(121)에 배출하 고, 연마제를 연마제 저장탱크(128)에 배출하고,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분류된 연마제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는 먼지 배출 세퍼레이터(126)에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연마제 저장탱크(128)에 저장되어 있는 연마제 배출 게이트(131) 및 도시하지 않은 연마제 배출배관을 통해서 상부 및 하부 호퍼(151a,152a)에 공급되어 상부 및 하부 임펠러 구동모터(153,154)의 구동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의 구동에 의해 연마제를 상기 이송수단(130)의 상ㆍ하부를 향해서 분출한다.
이때,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로 구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제3 구동 스프로킷(162)의 구동에 따라 상기 텀블링 유닛(160)의 제3 구동 스프로킷(162)과 제3 종동 스프로킷(163)에 현가되어 있는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4 구동 스프로킷(166)과 제4 종동 스프로킷(167)에 현가되어 있는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구성 요소가 구동되고 있을 때, 작업자가 작업 발판(184)에 올라서서 상기 이송수단(130) 상에 표면 가공할 주물제품을 올려놓으면,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제2 구동 스프로킷(135)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표면 가공할 주물제품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이송되며,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 구동모터(153,154)의 구동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가 구동되면서 상부 및 하부 호퍼(151a,152a)에 공급된 연마제를 계 속해서 분출하여 주물제품의 표면을 연마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에서 연마제가 배출됨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은 먼지 배출용 후드(132)에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에서 분출된 연마제는 제1 호퍼(102)에 수집되어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4)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의 상부에 배출되며,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에 공급된 이물질이 섞인 연마제는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버켓에 담겨서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의 상승에 따라 상부, 즉 제1 구동 스프로킷(114)에 도달하여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의 하향 회전시에 버켓이 뒤집어지면서 그 내부에 담겨있는 이물질이 포함된 연마제를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20)에 쏟는다.
상기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20)에 쏟아진 이물질이 포함된 연마제는 상기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20)에 의해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 이송되어서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버어 등의 이물질이 분류되어 제2 호퍼(121)로 배출되고,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연마제 저장탱크(128)로 떨어지면서 먼지 등은 먼지 배출 세퍼레이터(126)에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130) 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주물제품의 표면은 상부 및 하부 임펠러(151,152)에서 분출되는 연마제에 의해 표면이 연마된 후에 상기 하우징(100)의 밖으로 이송되어서 상기 제2 구동 스프로킷(135)에서 상기 이송수단(130)이 하강함에 따라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이 뒤집혀지면서 상기 제3 구동 스프로킷(162) 및 제3 종동 스프로킷(16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 하고 있는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 상에 떨어짐과 동시에, 이송되면서 주물제품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연마제 및 이물질(버어를 포함)이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3 호퍼(169)에 수집된다.
또한,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 상에 재치되어 이송되어 온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은 상기 제3 구동 스프로킷(162) 상에서 상기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가 하향됨에 따라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이 뒤집혀지면서 상기 제4 구동 스프로킷(166) 및 제4 종동 스프로킷(16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 상에 떨어짐과 동시에, 이송되면서 주물제품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연마제 및 이물질(버어를 포함)이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3 호퍼(169)에 수집되고, 표면이 연마된 주물제품은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에 의해 이송되어서 트레이(186) 상에 떨어진다.
상기 제3 호퍼(169)에 수집된 이물질을 함유하는 연마제는 제3 스크류 컨베이어(170)에 의해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배면쪽으로 이송되어 제4 스크류 컨베이어(172)에 공급되어서 상기 제4 스크류 컨베이어(172)에 의해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 상에 배출되고,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108) 상에 공급된 이물질을 함유하는 연마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버켓에 담겨서 상기 버켓 컨베이어(112)의 상승에 따라 상부, 즉 제1 구동 스프로킷(114)에 도달하여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112)의 하향 회전시에 버켓이 뒤집어지면서 그 내부에 담겨있는 이물질이 포함된 연마제를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20)에 쏟으며, 상기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20)에 쏟아진 이물질이 포함된 연마제는 상기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20)에 의해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 이송되어서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버어 등의 이물질이 분류되어 제2 호퍼(121)로 배출되고, 상기 로타리 스크린 컨베이어(122)에서 연마제 저장탱크(128)로 떨어지면서 먼지 등은 먼지 배출 세퍼레이터(126)에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텀블링유닛(160)의 제3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2,163)에 현가된 제1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4)의 장력이 느슨해졌을 경우에는 제4 장력조절부재(165)를 사용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4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66,167)에 현가된 제2 무단 와이어 메쉬벨트(168)의 장력이 느슨해졌을 경우에는 제5 장력조절부재(169)를 사용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에 구비된 이송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의 이송수단과 연마대상 주물 제품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이송수단에 구비된 지지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5)

  1.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이 내부로 이송되어 연마제가 분출되는 하우징(100);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의 표면에 연마제를 분출하는 임펠러(151,152);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이송하는 이송수단(130)
    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130)은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지지하는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지지바(138)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138)는, 상기 복수의 지지바(138)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송수단(130)이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이송함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견인하는 복수의 걸개부(1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130)은 측면에 체인기어(13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 기어(137)의 구동에 의해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51,152)는, 상기 이송수단(130)의 위쪽에서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의 상면에 연마제를 분출하는 상부 임펠러(151)와, 상기 이송수단(130)의 아래쪽에서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의 하면에 연마제를 분출하는 하부 임펠러(1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138)는, 상기 복수의 지지바(138)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송수단(130)이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이송함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연마대상 주물 제품(20)을 견인하는 복수의 톱니부(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
KR1020090035218A 2009-04-22 2009-04-22 연마대상 제품의 슬립방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 KR100917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218A KR100917182B1 (ko) 2009-04-22 2009-04-22 연마대상 제품의 슬립방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218A KR100917182B1 (ko) 2009-04-22 2009-04-22 연마대상 제품의 슬립방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182B1 true KR100917182B1 (ko) 2009-09-15

Family

ID=41355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218A KR100917182B1 (ko) 2009-04-22 2009-04-22 연마대상 제품의 슬립방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1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1788U (ko) * 1976-03-10 1977-09-16
JPS6124158U (ja) 1984-07-13 1986-02-13 新東工業株式会社 型鋼類の研掃用シヨツトブラスト装置
JPH0678322U (ja) * 1993-04-20 1994-11-04 桑野電機株式会社 基板搬送用コンベア
JP2002370169A (ja) * 2001-06-18 2002-12-24 Shibuya Kogyo Co Ltd ブラスト装置におけるワーク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1788U (ko) * 1976-03-10 1977-09-16
JPS6124158U (ja) 1984-07-13 1986-02-13 新東工業株式会社 型鋼類の研掃用シヨツトブラスト装置
JPH0678322U (ja) * 1993-04-20 1994-11-04 桑野電機株式会社 基板搬送用コンベア
JP2002370169A (ja) * 2001-06-18 2002-12-24 Shibuya Kogyo Co Ltd ブラスト装置におけるワーク搬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01045B (zh) 履带式喷砂清理机
KR101928748B1 (ko) 쇼트볼 분리 및 세정장치를 구비한 연속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쇼트 블라스트 시스템
CN101306757A (zh) 一种片式输送带及清洗装置
KR100646754B1 (ko) 석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JPH0798310B2 (ja) 平面研磨機
JP2007138285A (ja) 連続式部品処理装置
JP6195751B2 (ja) 無端ベルトコンベアの落下物受板の自動ローラー傾動式水洗浄装置
KR100917182B1 (ko) 연마대상 제품의 슬립방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
KR100864453B1 (ko) 와이어 메쉬벨트를 채용한 쇼트 블라스팅장치
KR101195971B1 (ko) 표면가공장치
JP2003018953A (ja) 鮮魚搬送計量装置
KR101676029B1 (ko) 콘베이어 슈트
CN110421478B (zh) 多种类中空工件表面研磨抛光处理自动化生产线
CN205471128U (zh) 一种斗式提升机
CN209834734U (zh) 斗式提升机
CN109676536B (zh) 一种清洁型滚筒式喷砂机以及喷砂方法
KR200366331Y1 (ko) 석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100742925B1 (ko) 스트립 그라인딩라인의 연마유 필터링 장치
KR20240074343A (ko) 표면처리 검사가 가능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
KR200459703Y1 (ko) 쇼트 블라스팅장치
CA2929712C (en) A self cleaning apparatus for a belt conveyor
JP4241566B2 (ja) ホッパー及びホッパー付き貝表面清浄機
CN205217072U (zh) 用于加工钢渣的辊磨机垂直提升装置
CN109382151A (zh) 一种去杂质效果好的刷麦机
KR101246325B1 (ko) 코크스 오븐 도어의 이물질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