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991B1 -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 Google Patents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991B1
KR100916991B1 KR1020070107796A KR20070107796A KR100916991B1 KR 100916991 B1 KR100916991 B1 KR 100916991B1 KR 1020070107796 A KR1020070107796 A KR 1020070107796A KR 20070107796 A KR20070107796 A KR 20070107796A KR 100916991 B1 KR100916991 B1 KR 10091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bypass
collection facilit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976A (ko
Inventor
하천용
Original Assignee
엔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9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관로 상의 마찰을 줄이고 압력 손실을 줄이도록 관경을 증가한 대형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집하장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원심분리기와 쓰레기 컨테이너로 유입되는 늘어난 공기량을 통제하고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우회장치 및 공기우회배관을 제공한다.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Description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AUTOMATIC REFUSE COLLECTION SYSTEM HAVING BY-PASS DEVICE FOR CONTROLLING AIR FLOW}
본 발명은, 관로 상의 마찰을 줄이고 압력 손실을 줄이도록 관경을 증가한 대형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집하장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원심분리기와 쓰레기 컨테이너로 유입되는 늘어난 공기량을 통제하고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거리로부터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관의 직경을 늘린 대형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서 집하장까지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서는 집하장 내 송풍기에서 흡입하는 공기량이 증가하게 된다.
즉, 공기의 유량은 관의 단면적과 속도에 비례하고, 이때, 쓰레기의 이송을 위한 관내 공기 속도는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해야 하지만, 관의 단면적은 관 반지름의 제곱 값에 비례하므로, 쓰레기의 원거리 이송에서 배관의 관경이 증가되었을 때, 공기의 유량은 상당량 증가하게 된다.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관로 시스템에서 관경의 확대에 따른 관 내 풍량의 증가시에 쓰레기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풍량을 통과시킬 수 있는 대용량의 원심분리기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집하장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게 되며, 이는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한정된 집하장 공간을 활용하되, 발생되는 잉여 풍량을 상기 원심분리기를 거치지 않고 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배관 설비에서 원심분리기로 유입되는 증가된 공기의 양 중 일부를 원심분리기를 거치지 않고 원심분리기 상단의 공기이송배관으로 우회시킴으로써, 설비의 단순화 등을 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잉여 공기량을 원심분리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원심분리기 후단의 송풍기로 바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고, 집하장 내 원심분리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줄여주기 위한 공기우회장치 및 공기우회배관을 상기 원심분리기의 전단에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장치는, 관경의 증가에 따르는 필요 이상의 집하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기존 집하장 설계 구조와 동일하게 장비 설비가 가능하도록 하 여, 원가 절감을 실현하는 동시에, 시스템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심분리기의 전단에서 잉여 풍량이 우회됨에 따라 원심분리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관경의 증가에 따르는 필요 이상의 집하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기존 집하장 설계 구조와 동일하게 장비 설비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가 절감을 실현하는 동시에, 시스템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심분리기의 전단에서 잉여 풍량이 우회됨에 따라 원심분리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큰 직경의 관경을 사용 할 경우 늘어난 풍량에 따라 원심분리기에서 쓰레기가 분리되지 못하고 송풍기까지 흡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시스템 운전에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원심분리기뿐만 아니라 박스형 분리기에도 사용가능하다. 박스형 분리기는 일반적으로 풍량이 적은 직경 400mm 관경 미만에 사용하나 400mm 관경 이상 시스템에 사용하는 경우 늘어난 풍량에 따라 필터 망에 이물질 부착이 급격히 늘어나 유지관리 빈도가 늘어나 전체 시스템 운전 신뢰성을 낮추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장치는, 유지관리 빈도를 낮추어 전체 시스템 안전 운전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쓰레기가 원심분리기를 통과 하여 송풍기까지 흡입되어 송풍기 임펠러를 손상하게 하거나 정상운전을 방해하는 현상, 박스형 분리기의 경우 필터 망에 이물질 흡착을 줄여 에너지 절감과 더불어 신뢰성 있는 시스템 운전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회장치(4)의 두가지 예를 도 1과 도 2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1a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우회장치의 일예의 정면도이고, 도1b와 도1c는 각각 그의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 1a의 공기우회장치(4)는, 화살표 방향으로는 공기 및 쓰레기가 유입되는 쓰레기이송배관(2)과 연결되며, 그의 반대쪽 단부로는 공기 및 쓰레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써 원심분리기(1) 또는 필터 내장 컨테이너(6)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공기우회장치(4)는 원심분리기(1) 또는 필터 내장 컨테이너(6)의 전단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기(1)와 쓰레기이송배관(2) 사이에는 공기우회장치(4)가 제공되고, 상기 공기우회장치(4) 상에는 공기우회배관(5)이 제공되어 공기이송배관(3)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a,b 및 도 5a,b 등을 참조하여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a, 도1b 및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두 관부들 사이의 연결은 볼트공(41b)이 제공되는 플랜지(41a)로 체결된다.
상기 공기우회장치(4)에서 두 관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관은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이다. 상기 공기통과부(42)는 상기 관을 통과하는 공기 양의 일부를 공기우회배관(5)(도4a, 도4b 참조)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관의 소정의 부분을 차지하며, 사각망 구조로 되어 있어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통과부(4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통과부(42)만을 감싸도록 상기 공기통과부(42)의 상부에 기밀(氣密) 상태로 제공되는 공기우회배관(5)으로의 연결부인 T자형 분기관(43)을 통하여 상기 공기우회배관(5)으로 이동한다.
상기 T자형 분기관(43)의 소정의 부분, 예컨대, 상기 공기통과부(42)의 상부 부분에는 상기 공기통과부(42)를 청소하고, 발생하는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점검구(44)가 제공된다. 상기 점검구(44)의 한쪽 단부는 힌지점(44c)으로 고정되며, 다른 한쪽 단부에는 상기 점검구(44)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44a) 및 잠금장치(44b)가 제공된다.
도2a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우회장치의 다른 예의 정면도이고, 도2b는 도2a의 A-A'선 단면도, 도2c는 도2a의 B-B'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1a의 장치와 동일하게, 상기 도2a의 공기우회장치(4)는 공기 및 쓰레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는 쓰레기이송배관(2)과 연결되며, 공기 및 쓰레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는 원심분리기 또는 필터 내장 컨테이너와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두 관부들 사이의 연결은 볼트공(41b')이 제공되는 플랜지(41a')로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공기우회장치(4)에서 두 관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관은, 상기 관을 통과하는 공기 양의 일부를 공기우회배관(5)으로 배출하는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이다.
상기 공기통과부(42')는 상기 이송관(41')을 통과하는 공기 양의 일부를 공기우회배관(5)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관의 소정의 부분을 차지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공기통과부(42')를 통해 빠져나오는 공기가 공기우회배관(5)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T자형 분기관(43')은 상기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의 하부로는 지지대(41'c)가 제공되어 상기 이송관(41')이 상기 T자형 분기관(43') 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관의 공기통과부(42')를 통하여 공기 중 일부가 쓰레기와 분리되어 상기 T자형 분기관(43')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잉여 공기가 상기 T자형 분기관(43')을 통하여 공기우회배관(5)으로, 상기 원심분리기(1)나 상기 필터 내장 컨 테이너(6)를 통과하지 않고 우회할 수 있다.
도1a에 나타낸 공기우회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T자형 분기관(43')의 소정의 부분, 즉, 상기 공기통과부(42')의 상부 부분에는 점검구(44')가 제공된다. 상기 점검구(44')는 상기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을 둘러싸는 T자형 분기관(43') 상에 제공되므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곡선형이다. 상기 점검구(44')의 한쪽 단부는 힌지점(44'c)으로 고정되며, 다른 쪽 단부에는 상기 점검구(44')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44'a) 및 잠금장치(44'b)가 제공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우회장치(4)가 원심분리기 또는 필터 내장 컨테이너의 전단에 제공됨에 따라, 상기 쓰레기이송배관(2)을 통하여 상기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 41')으로 유입되면서, 쓰레기 자동집하처리 시스템 내 집하장으로의 쓰레기 수거시에 발생되는 풍량이 모두 상기 원심분리기(1) 또는 필터 내장 컨테이너(6)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유입된 공기의 양 중에서 일부는 상기 공기통과부(42, 42') 및 T자형 분기관(43, 43')을 통하여 공기우회배관(5)으로 배출된다. 이들 공기는 상기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 41')의 후단으로 제공되는 상기 원심분리기(1) 또는 필터 내장 컨테이너(6)를 통과하지 않고, 공기이송배관(3)으로 우회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도3은 본 발명의 공기우회장치에서 공기통과부의 일 예(a) 및 다른 예(b)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우회장치(4)의 일 예 및 다른 예에서 공기통과부(42, 42')는 상기한 바와 같은 사각망 이외에도 다공성 망(42a 또는 42b, 42'a 또는 42'b)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공기통과부는 필요에 따라 그의 형상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상기 공기우회장치(4)를 쓰레기자동집하시설에 적용한 도면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공기우회장치가 장착된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의 집하장 내 원심분리기의 측면도이고, 도4b는 그의 평면도이다.
도4a 및 도4b에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집하장 내 원심분리기(1)는 컨테이너(도시되지 않음)의 상부에 제공되어, 함께 이송되어 오는 쓰레기와 공기를 분리하고, 쓰레기만을 상기 컨테이너로 낙하시킨다.
따라서, 쓰레기는 집하장에 연결되어 있는 쓰레기이송배관(2)을 통하여 원심분리기(1)를 통과한 후에 컨테이너로 집하되며, 이때, 공기는 원심분리기(1)의 상단에 제공되는 공기이송배관(3)을 통하여 송풍기로 흡입되고, 송풍기의 후단에 제공되는 분진제거장치 및 탈취설비 등을 거친 후 대기로 배출된다.
또한, 원심분리기(1)와 쓰레기이송배관(2) 사이에는 공기우회장치(4)가 제공되고, 상기 공기우회장치(4) 상에는 공기우회배관(5)을 제공하여 상기 공기이송배관(3)과 연결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쓰레기의 원거리 이송에서 배관의 관경이 증가되었을 때, 공기의 유량은 관의 단면적과 속도에 비례하고, 관의 단면적은 관 반지름의 제곱 값에 비례하고, 관내의 공기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므로, 공기의 유량은 상당량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늘어난 공기량을 고려하지 않은 종래의 설비에서, 증가된 공기의 일부를 원심분리기(1)의 전단에 제공된 공기우회장치(4) 및 상기 공기우회장치(4)와 원심분리기(1) 상단의 공기이송배관(3)을 연결하는 공기우회배관(5)으로 우회하도록 하여, 상기 원심분리기(1)를 거치지 않고 원심분리기(1) 상단의 공기이송배관(3)으로 바로 이송 되도록 하고 있으며, 그 외 나머지 공기는 쓰레기와 함께 상기 원심분리기(1)로 유입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우회장치는 원심분리기가 제공되지 않은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5a는 본 발명의 공기우회장치가 장착된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의 집하장 내 필터 내장 컨테이너의 정면도이고, 도5b는 그의 평면도이다.
필터 내장 컨테이너(6)에는, 쓰레기와 공기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컨테이너의 내부에 필터(62)와 이물질 거름망(61)이 제공되며, 이 경우에는, 도4에 나타낸 원심분리기(1)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6)의 정면에는 쓰레기이송배관(2)이 연결되고, 상단에는 공기이송배관(3)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6)의 하부에는 쓰레기가 적치되고, 함께 이송되던 공기는 컨테이너 내 상층에 제공되는 필터(62) 및 이물질 거름망(61)을 통과한 후, 상기 컨테이너의 상단에 제공되는 공기이송배관(3)을 통하여 컨테이너(6)를 빠져나간다.
즉,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쓰레기는 집하장으로 연결되어 있는 쓰레 기이송배관(2)을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6)로 집하되며, 이때, 공기는 상기 컨테이너(6)의 상단에 제공되는 공기이송배관(3)을 통하여 송풍기로 흡입되고, 송풍기의 후단에 제공되는 분진제거장치 및 탈취설비 등을 거친 후 대기로 배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쓰레기이송배관(2)이 필터 내장 컨테이너(6)로 연결되는 사이의 지점에 공기우회장치(4)를 제공하고, 상기 공기우회장치(4) 상에는 공기우회배관(5)을 제공하여 상기 공기이송배관(3)과 연결되도록 한다.
도4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우회장치(4) 및 공기우회배관(5)을 상기 필터 내장 컨테이너(6)의 전단에 쓰레기이송배관(2)과 연결되도록 제공하여, 늘어난 공기량을 고려하지 않은 종래의 배관 설비에서 상기 필터 내장 컨테이너(6)로 유입되는 증가된 공기의 양 중 일부를 상기 컨테이너를 거치지 않고 컨테이너 상단의 공기이송배관(3)으로 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도5c는 필터 내장 컨테이너의 정면도이고, 도5d는 필터 및 망 청소장치로서 필터 내장 컨테이너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노즐장치이다.
본 발명의 필터 내장 컨테이너(6)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컨테이너(6) 상단의 공기이송배관(3)으로 빠져나가면서, 이물질 거름망(61)과 필터(62)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때, 상기 공기에는 쓰레기가 이송되면서 발생되는 분진 및 쓰레기 찌꺼기가 포함되어 있고, 이는 컨테이너의 내 상부에 제공되는 필터(62) 및 이물질 거름망(61)을 통과하면서 제거된다.
이때, 상기 필터(62) 및 이물질 거름망(61)에 낀 쓰레기 찌꺼기 및 먼지 등 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노즐(63)이 제공되고, 상기 노즐(63)이 컨테이너의 내부에 제공되는 내부 노즐(64)에 연결된다. 상기 내부 노즐(64)은 컨테이너 내 필터(62)의 상단으로 제공되며, 상기 내부 노즐(64)은 몇 개의 가지관으로 나뉜다. 상기 내부 노즐(64)의 단부에는 분사기(64a)가 각각 제공되어, 상기 필터(62) 및 이물질 거름망(61) 위에서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여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노즐(64)의 배치 형태 및 분사기(64a)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도4과 도5에서의 위치에 한정되어 제공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장치에 역 세척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공기흡입구가 장착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우회장치(4)로부터 쓰레기와 함께 이송되던 공기 중 일부가 우회하는 공기우회배관(5) 상에 상기 공기우회장치(4)와 근접하도록 공기우회장치용 공기흡입구(7)를 장착하였다.
상기 공기우회장치용 공기흡입구(7)는 송풍기의 전단 관로에서 공기흡입의 차단을 조정하는 차단밸브(8)의 개폐 동작과 반대로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집하장 내 송풍기가 공기흡입을 시작하면, 상기 송풍기의 전단에서 차단밸브(8)가 개방되고, 그 흡인력이 전단 관로 상으로 인가되면서 쓰레기 이송이 시작된다. 이때, 차단밸브(8)의 개방 동작과 함께 상기 공기흡입구(7)는 폐쇄 동작을 시작한다.
상기 공기우회장치(4)로 우회되는 공기의 양이 원심분리기(1)로 유입되는 공기량보다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발생하는 압력 차에 의하여, 상기 차단밸브(8)와 공기흡입구(7)의 개폐 동작이 실행되는 수초의 시간 동안에, 공기흡입구(7)로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우회장치(4)로 역 유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우회장치(4) 내 공기통과부(42, 42')에 끼인 이물질이 제거되는 역세척(back washing)을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장치에 역 세척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공기흡입구가 장착된 개략도로서, 상기 도 6에서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공기우회장치의 일 예의 정면도이다.
도1b는 도1a의 측면도이다.
도1c는 도1a의 평면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공기우회장치의 다른 예의 정면도이다.
도2b는 도2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2c는 도2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공기우회장치에서 공기통과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3b는 도3a에 나타낸 공기통과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4a는 원심분리기에 본 발명의 공기우회장치가 장착된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의 측면도이다.
도4b는 도4a의 평면도이다.
도5a는 필터 내장 컨테이너에 본 발명의 공기우회장치가 장착된 쓰레기 자동처리시설의 정면도이다.
도5b는 도5a의 평면도이다.
도5c는 필터 내장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5d는 필터 및 망 청소장치로서 필터 내장 컨테이너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노즐장치이다.
도 6은 도 4의 장치에 역 세척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공기흡입구가 장착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장치에 역 세척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공기흡입구가 장착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심분리기
2: 쓰레기이송배관
3: 공기이송배관
4: 공기우회장치
41, 41':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
41a, 41'a: 플랜지
41b, 41'b: 볼트공
41'c: 지지대
42, 42': 공기통과부
42a, 42'a: 공기통과부 일 예
42b, 42'b: 공기통과부 다른 예
43, 43': T자형 분기관
44, 44': 점검구
44a, 44'a: 점검구 손잡이
44b, 44'b: 점검구 잠금장치
44c, 44'c: 힌지점
5: 공기우회배관
6: 필터 내장 컨테이너
61: 이물질 거름망
62: 필터
63: 외부 노즐
64: 내부 노즐
64a: 분사기
7: 공기우회장치용 공기흡입구
8: 차단밸브

Claims (14)

  1.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있어서, 상기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는,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과,
    상기 이송관(41)의 공기통과부(42)를 감싸도록 상기 공기통과부(42)의 상부에 기밀하게 제공되는 T자형 분기관(43)으로 구성되고,
    상기 T자형 분기관(43)은 공기우회배관(5)과 연결되도록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2.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있어서, 상기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는,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과,
    상기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 전체를 감싸도록 기밀하게 제공되는 T자형 분기관(43')으로 구성되고,
    상기 T자형 분기관(43')은 공기우회배관(5)과 연결되도록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송관(41, 41')은 상기 공기통과부를 갖고,
    공기 및 쓰레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는 쓰레기이송배관(2)과 연결되고,
    공기 및 쓰레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는 원심분리기(1) 또는 필터 내장 컨테이너(6)와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과 쓰레기이송배관 사이의 연결 및 상기 이송관과 원심분리기 또는 필터 내장 컨테이너 사이의 연결은 볼트공이 제공되는 플랜지(41a, 41a')로 체결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과부(42, 42')는, 이 공기통과부를 갖는 이송관(41, 41')의 일부를 점유하고, 또한,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사각망 구조로 되어 있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자형 분기관(43, 43')에는,
    상기 공기통과부(42, 42')를 청소하고,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하기 위한 점검구(44, 44')가 상기 공기통과부(42, 42')의 상부 부분을 차지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점검구(44, 44')의 한쪽 단부는 힌지점(44c, 44'c)으로 고정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는 상기 점검구(44, 44')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44a, 44'a) 및 잠금장치(44b, 44'b)가 제공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는,
    상기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의 하부에 지지대(41'c)를 제공하여 상기 공기통과부를 가지는 이송관(41')이 상기 T자형 분기관(43')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과부(42)는,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다공성망(42a 또는 42b)으로 구성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8.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있어서, 상기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는,
    집하장 내에서 쓰레기이송배관(2)과 원심분리기(1)의 사이에 제공되는 공기우회장치(4)와,
    상기 공기우회장치(4)와 상기 원심분리기(1) 상단의 공기이송배관(3)을 연결하는 공기우회배관(5)으로 구성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9.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있어서, 상기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는,
    집하장 내에서 쓰레기이송배관(2)과 집하장 내 필터 내장 컨테이너(6)의 사이에 제공되는 공기우회장치(4)와,
    상기 공기우회장치(4)와 상기 필터 내장 컨테이너(6) 상단의 공기이송배관(3)을 연결하는 공기우회배관(5)으로 구성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내장 컨테이너(6)에는,
    내부에 제공되는 필터(62) 및 이물질 거름망(61)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노즐(63)이 제공되고,
    상기 노즐(63)이 컨테이너 내부에 제공되는 내부 노즐(64)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노즐(64)은 컨테이너 내 필터(62)의 상단에 제공되고,
    상기 내부 노즐(64)은 복수의 가지관으로 나뉘고,
    상기 내부 노즐(64)의 단부에는 분사기(64a)가 각각 제공되고,
    상기 필터(62) 및 이물질 거름망(61) 위에서 고르게 분포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 시설.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우회배관(5) 상에 상기 공기우회장치(4)와 근접하도록 장착된 공기우회장치용 공기흡입구(7)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우회장치용 공기흡입구(7)는,
    송풍기의 전단 관로에서 공기흡입의 차단을 조정하는 차단밸브(8)의 개폐 동작과 반대로 작동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우회장치용 공기흡입구(7)는,
    차단밸브(8)와 공기흡입구(7)의 개폐 동작이 실행되는 동안에 공기우회장치(4)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우회장치(4) 내 공기통과부(42, 42')에 끼인 이물질이 제거되는 역세척 기능을 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공기 및 쓰레기가 유입되는 쓰레기이송배관(2)의 공기통과부(42, 42')를 통하여 공기의 일부가 쓰레기와 분리되어 T자형 분기관(43, 43')으로 배출되고, 그 잉여 공기는 상기 T자형 분기관(43, 43')을 통하여 공기우회배관(5)으로 이송되며,
    상기 잉여 공기는, 상기 원심분리기(1) 또는 상기 필터 내장 컨테이너(6)를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KR1020070107796A 2007-10-25 2007-10-25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KR100916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796A KR100916991B1 (ko) 2007-10-25 2007-10-25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796A KR100916991B1 (ko) 2007-10-25 2007-10-25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976A KR20090041976A (ko) 2009-04-29
KR100916991B1 true KR100916991B1 (ko) 2009-09-14

Family

ID=4076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796A KR100916991B1 (ko) 2007-10-25 2007-10-25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9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904A (en) 1987-06-23 1989-01-06 Shin Meiwa Ind Co Ltd Garbage container transport system
JP2000255780A (ja) 1999-03-08 2000-09-19 Sumitomo Bakelite Co Ltd 空気輸送方法とその装置
JP2007055712A (ja) 2005-08-23 2007-03-08 Junichi Kashiwagi 生ごみ分別回収補助装置
KR100757174B1 (ko) 2006-08-08 2007-09-07 김재곤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및 그 가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904A (en) 1987-06-23 1989-01-06 Shin Meiwa Ind Co Ltd Garbage container transport system
JP2000255780A (ja) 1999-03-08 2000-09-19 Sumitomo Bakelite Co Ltd 空気輸送方法とその装置
JP2007055712A (ja) 2005-08-23 2007-03-08 Junichi Kashiwagi 生ごみ分別回収補助装置
KR100757174B1 (ko) 2006-08-08 2007-09-07 김재곤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및 그 가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976A (ko)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910B2 (en) Vacuum line clean-out separator system
US729726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1139673B1 (ko) 분급기 입구 및 작은 입자 바이패스를 구비한 집진기
US4490162A (en) Low pressure HEPA filtration system for particulate matter
US9528259B2 (en) Packaged liquid reclamation system
KR960010373B1 (ko) 압축공기용 인-라인 필터장치
US20070251383A1 (en) Sub-Micron Viscous Impingement Particle Collection and Hydraulic Removal System
CN109914213A (zh) 铣刨机除尘装置及铣刨机
US7727295B2 (en) Decentralized oil mist collection system
KR100916991B1 (ko) 풍량 조절용 우회관로 장치를 갖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CN110193240A (zh) 可除湿过滤空气的空压桶
KR200389968Y1 (ko) 상수도배관용 스트레이너 설치구조
KR101203878B1 (ko) 쓰레기의 탈수 시스템 및 방법
US6206943B1 (en) Separator system for aircraft waste system
CA2588600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JP4716802B2 (ja) し尿及び浄化槽汚泥の砂除去システム及び方法
CN209501195U (zh) 一种复合化肥生产线肥料粉尘收集装置
KR20140039272A (ko)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KR20090129231A (ko) 쓰레기 공기 흡입 이송에서의 각종 쓰레기와 고압 공기간분리장치
KR101320446B1 (ko) 쓰레기 자동 집하시스템
CN112807867B (zh) 过滤系统
JPH05193703A (ja) 厨芥収集装置
CN217511484U (zh) 一种除杂除尘装置和风力选煤设备
KR102590939B1 (ko)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버터플라이밸브
CN208066929U (zh) 防堵塞装置与有机垃圾降解设备的排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