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861B1 - 다기능 프린터 및 화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프린터 및 화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861B1
KR100916861B1 KR20070068023A KR20070068023A KR100916861B1 KR 100916861 B1 KR100916861 B1 KR 100916861B1 KR 20070068023 A KR20070068023 A KR 20070068023A KR 20070068023 A KR20070068023 A KR 20070068023A KR 100916861 B1 KR100916861 B1 KR 100916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shading
processing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6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134A (ko
Inventor
아끼히로 요시따니
히사시 이시까와
노리까즈 혼다
히로우 이노우에
미찌아끼 다까사까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1Compensating positionally unequal response of the pick-up or reproducing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Inpu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 기능과 스캐너 기능을 구비한 MFP에 관한 것이다. 라인 센서로부터 A/D 변환부 및 판독 제어부(RCU)를 통해서 DRAM으로, 화상 처리부(IPU)로부터 DRAM을 통해서 프린터로 화상 데이터가 흐르는 MFP는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RCU와 IPU는 모두 쉐이딩 처리를 행할 수 있다. CM에서, RCU는 쉐이딩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화상을 압축하여 DRAM에 저장한다. SM에서, RCU는 쉐이딩 처리를 행하지 않고, 화상을 압축없이 DRAM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IPU는 각 직사각형의 화상 데이터를 DRAM으로부터 쉐이딩 데이터와 함께 판독하고, 쉐이딩 처리 및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DRAM에 출력한다.
Figure R1020070068023
다기능 프린터, 화상 처리 방법, 쉐이딩 처리, 판독 제어부

Description

다기능 프린터 및 화상 처리 방법{MULTIFUNCTION PRINTE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복사 기능과 판독 화상 데이터를 접속된 호스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스캔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프린터 및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복사 기능과 스캔 기능을 구비한 종래의 다기능 프린터(이하, MFP)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서, 제어 칩(10)은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하기의 각 블록(100 내지 1200)은 원칩화되어 있다. 스캐너 I/F(100)는 AFE(2400)에서 A/D 변환된 각 라인의 화상 데이터를 제어 칩(10)의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DMAC(110)를 이용하여 메인 메모리(2000)에 기입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는 DMAC(210)를 이용하여 메인 메모리(200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엣지 강조나 γ-변환 등의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고, 다시 DMAC(210)를 이용하여 그 처리 결과를 메인 메모리(2000)에 기입한다.
프린터 화상 처리부(300)는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출력용의 CMYK(농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이다. 프린터 화상 처리 부(300)는 DMAC(310)를 이용하여 메인 메모리(2000)에 대한 기입 및 판독을 행한다.
프린터 I/F(400)는 프린터 화상 처리부(300)의 처리 결과인 CMYK 데이터를 프린터(2100)에 송신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프린터 I/F(400)는 DMAC(410)를 이용하여 메인 메모리(2000)로부터 판독한다.
스캐너 I/F(100),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 프린터 화상 처리부(300) 및 프린터 I/F(400)는 각각 DMAC 110, 210, 310 및 410을 통해서 공통 화상 버스(1100)에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제어부(500)는 메인 메모리(2000)와 화상 버스(1100) 또는 제어 버스(1200) 사이의 조정 및 인터페이스 제어를 행한다.
CPU(600)는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모터 컨트롤러(700)는 스캐너나 프린터의 모터를 제어한다.
패널 I/F(800)는 조작부(2500)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어를 행한다.
SIO(900)는 ROM(2600)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어를 행한다.
USB 디바이스 I/F(1000)는 MFP에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PC)와의 통신 처리를 행한다.
CPU(600), 모터 컨트롤러(700), 패널 I/F(800), SIO(900) 및 USB 디바이스 I/F(1000)는 각각 공통 제어 버스(1200)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 메모리(2000)는 CPU(600)나 각 처리 블록이 작업용 메모리로서 이용한다. 프린터(2100)는 인쇄 용지 등의 인쇄 매체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화상 판독 처리부(2300)는 CCD나 CIS 등의 광학 소자를 이용한다. AFE(2400)는 화상 판독 처리부(2300)로부터 아날로그 데이터로서 라인 순차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A/D 변환하고, 그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각 라인의 화상 데이터로서 제어 칩(10)의 스캐너 I/F(100)에 출력한다.
조작부(2500)는 MFP의 유저에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LCD와, 유저가 직접 조작하는 키를 포함하며, 패널 I/F(800)를 통해서 제어 칩(10)에 대한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ROM(2600)은 CPU(600)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도 6은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 쉐이딩(shading) 처리부(201)는 CCD 및 CIS의 화소 간의 감도 변동을 보정한다. γ-변환 처리부(202)는 쉐이딩 처리를 거친 화상 데이터의 계조 특성을 변환한다. 문자 판정 처리부(203)는 소정의 화소를 중심으로 한 n×n 화소의 화소값을 조사하여, 그 화소가 문자 화상의 일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필터 처리부(204)는 소정의 화소를 중심으로 한 m×m 화소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필터 연산에 의해 엣지 강조 및 무아레(moire) 억제를 행한다.
쉐이딩 처리부(201), 문자 판정 처리부(203) 및 필터 처리부(204)는 각각 쉐이딩 데이터 또는 복수의 라인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전용 쉐이딩(SHD) 버퍼(201a), 전용 라인 버퍼(203a, 204a)를 구비한다. 메인 메모리(2000)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 또는 쉐이딩 데이터에 대해서는 주 주사 방향(CCD 또는 CIS의 이동 방향)으로 복수의 라인에 대응하여 판독하여, 라인 버퍼에 저장하고, 개별적으로 처리한다.
상기한 종래의 구성을 구비한 종래 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7-17037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 7-170372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화상 처리부 내의 각 화상 처리 블록이 그 화상 처리에 필요한 라인 메모리를 구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매우 큰 용량의 라인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5×5 화소의 필터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원고 폭의 4개의 라인에 대응하는 라인 메모리가 필요하다. 입력 화상이 해상도 600 dpi(= 5000 화소/라인)이고 화소당 16 비트인 A4 컬러 화상인 경우, 제어 칩(10)은 120 kB의 큰 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이 메모리 사이즈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 및 원고의 폭 방향의 실제 사이즈에 비례한 양을 필요로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특개 2004-220584호 공보에서는 새로운 화상 처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일본 특개 2004-220584호 공보에 따르면, 판독 제어부로부터 출력되어 메인 메모리에 라인 순차로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처리에 필요한 "마진"을 포함한 각 직사각형에 대응하여 판독한다. 추가로, 그 직사각형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명암 쉐이딩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로부터 동시에 판독한다. 화상 처리부는 쉐이딩 처리 등의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다시 각 직사각형에 대응하여 메인 메모리에 기입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각 화상 처리부는 원고 폭뿐만 아니라 그 직사각형의 폭에 대응하여 라인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 화상 처리부의 라인 메모리의 총 사이즈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 해상도가 보다 높은 입력 화상 데이터인 경우, 또는 입력 화상의 사이즈 자체가 예를 들면 A4에서 A3로 커지는 경우, 메인 메모리로부터 직사각형을 판독하는 횟수를 늘리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화상의 해상도나 사이즈가 커져도, 쉽게 대처할 수 있다. 여기서, "마진"은 입력 직사각형 전체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입력 직사각형 외측에 부가된 영역으로서 메인 메모리로부터 판독할 필요가 있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5×5 화소의 필터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입력 직사각형의 상하좌우측마다 2개의 여분의 라인을 판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본 특개 2004-220584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은 여전히 문제가 있다.
이 방법에서는, 화상 처리부는 스캐너 I/F가 직사각형의 세로 사이즈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에 출력하기 전에는 처리를 개시할 수 없다. 따라서, 그 메인 메모리는 적어도 1 라인의 화상 데이터의 직사각형의 세로 사이즈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필요가 있다.
물론, 직사각형의 세로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만으로 이 문제는 해결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메인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직사각형에 부가되는 "마진"과, 그 직사각형에 대한 쉐이딩 처리에 필요한 쉐이딩 데이터는 큰 영향을 받는다. 직사각형의 세로 사이즈가 n개의 라인이라고 하면, 5×5 화소 필터 처리는 상하측에 서 총 4개의 라인에 대응하는 마진과, 2개의 라인(명암)에 대응하는 쉐이딩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n+6)개의 라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로부터 판독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n이 작을수록, 메인 메모리로부터 판독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량은 상대적으로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 칩(10)과 메인 메모리(2000) 간에는 넓은 데이터 액세스 대역을 필요로 한다.
이상은 MFP의 스캐너 기능을 이용할 경우에 필요한 메모리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복사 기능을 구비한 MFP의 경우에는, 스캐너 기능과 인쇄 기능의 양자를 위한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도 8은 그러한 경우에서의 MFP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복사 모드에서는, 화상 판독 처리부(2300)에서 판독하여 AFE(2400)에서 A/D 변환한 화상 데이터는 일시적으로 메인 메모리(2000) 내의 버퍼(1)에 라인 순차로 기입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는 버퍼(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마진을 포함한 직사각형에 대응하는 쉐이딩 데이터와 함께 판독하여,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 내의 버퍼(2)에 기입한다. 프린터 화상 처리부(300)는 버퍼(2)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라인 순차로 판독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2100)가 처리 가능한 CMYK 바이너리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2000) 내의 버퍼(3)에 기입한다. 프린터 I/F(400)는 버퍼(3)에 기입된 CMYK 바이너리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데이터를 프린터(2100)에 출력하여, 출력 용지에 인쇄한다.
스캔 모드에서는,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까지의 데이터 흐름은 전술한 것 과 동일하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버퍼(2)가 아닌, USB 디바이스 I/F(1000)에의 송신 버퍼에 저장되고, USB를 경유해서 PC에 송신된다. 따라서, 버퍼(2)와 버퍼(3)는 불필요해진다. 송신 버퍼의 사이즈는 버퍼(2 또는 3)보다 작기 때문에, 필요한 버퍼 메모리의 총 사이즈는 복사 모드에서의 것보다 작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사 모드에서는, MFP 내의 스캐너 I/F, 스캐너 화상 처리부, 프린터 화상 처리부 및 프린터 I/F가 전부 메인 메모리에 액세스한다. 이 때문에, 메인 메모리는 처리 블록 간의 처리 속도의 차를 버퍼링하는 버퍼(1 내지 3)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제어 칩과 메인 메모리 간에는 매우 넓은 데이터 액세스 대역을 필요로 한다.
요약하자면, 일본 특개 2004-220584호 공보에서 제안된 방법은 이하의 문제가 있다.
(1) 스캐너 I/F와 스캐너 화상 처리부 간의 버퍼 메모리(도 8의 버퍼 1)는 비교적 큰 용량을 필요로 한다.
(2) 복사 모드에서, 메인 메모리는 큰 용량의 버퍼 메모리(도 8의 버퍼 1 + 버퍼 2 + 버퍼 3)를 필요로 하고, 제어 칩과 메인 메모리 간에는 넓은 데이터 액세스 대역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복사 기능과 스캐너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프린 터 및 화상 처리 방법은 복사 모드에서의 높은 메모리 사용 효율과 스캔 모드에서의 높은 화질의 양자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화상 원고를 복사하는 제1 기능과 상기 화상 원고를 스캔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를 스캔하여 외부 장치(PC)에 출력하는 제2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프린터로서, 상기 화상 원고를 라인 순차로 판독하도록 구성된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1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2 화상 처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수단과, 상기 압축 수단에 의해 압축된 상기 압축 화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프린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화상 원고를 복사하는 제1 기능과 상기 화상 원고를 스캔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PC)에 출력하는 제2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프린터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원고를 스캔하여 라인 순차로 판독하는 판독 단계와, 상기 제1 기능의 실행 시에 상기 판독 단계에서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 단계와, 상기 압축 단계에서 압축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다기능 프린터가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필요한 총 메모리 사이즈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판독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의 압축을 복사 기능 실행 시에만 행하기 때문에, 스캔 기능 실행 시의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에 관한)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에서, 용어 "인쇄"는, 의미있는 것인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또한 사람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화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인쇄 매체 상에, 문자, 그래픽 등의 의미있는 정보를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도형, 패턴 등을 형성하는 것, 또는 그 인쇄 매체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용어 "인쇄 매체"는, 일반적인 인쇄 장치에서 사용하는 용지뿐만 아니라, 천, 플라스틱 필름, 금속판, 유리, 세라믹, 나무, 가죽 등의 잉크를 받아들일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인 다기능 프린터(MFP)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종래 기술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여,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는, 종래 기술의 MFP의 특징과 본 실시예의 MFP의 특징 간의 차이에 대해서, 도 5에 나타낸 구성과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도 1과 도 5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캐너 I/F의 출력에 복사 화상 처리부(120)가 부가된다. 복사 화상 처리부(120)는 복사 모드에서 필요한 양의 쉐이딩 데이터를 저장하는 쉐이딩 메모리(SRAM)(122)와, 쉐이딩 처리부(121), γ-변환 처리부(123), 그리고 DPCM 압축 처리부(124)를 구비한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쉐이딩 처리부(201)는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에 남겨둔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에는 DPCM 신장 처리부(205)가 부가된다.
그 밖의 구성은 도 5에 나타낸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도 1에서는 제어 버스측에 접속되어 있는 블록을 도시하지 않았다.
이하, 도 1에 나타낸 구성을 갖는 MFP가 복사 및 스캔 모드에서 실행하는 처리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캔 모드에서의 처리>
우선, 스캔 모드에서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처리의 내용은 기본적으로는 일본 특개 2004-22058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으며, 이하 설명한다.
1. 미리 각 색성분의 명암의 쉐이딩 데이터를 취득하여, 메인 메모리(2000)에 유지해둔다.
2. 원고 판독 처리를 개시한다.
AFE(2400)로부터 스캐너 I/F(100)를 경유해서 제어 칩(10)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라인 순차로 입력한다.
3. 복사 화상 처리부(120)를 이용하지 않고, DMAC(110)에 의해 비압축 데이 터를 라인 순차로 메인 메모리(2000)에 기입한다.
4. 메인 메모리(2000)에 출력된 라인 순차의 화상 데이터가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에서 처리되는 직사각형의 높이(마진 포함)를 초과한 경우,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가 처리를 개시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의 출력 직사각형 사이즈가 m×n인 경우, 5×5 화소의 필터 처리에서는 상하좌우측마다 2개의 화소에 대응하는 마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입력 화상은 사이즈가 (m+4)×(n+4) 화소인 직사각형이 된다. DMAC(2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부분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화상 데이터와, 그 부분에 대응하는 (m+4)×2개의 라인(명암)의 쉐이딩 데이터를 동시에 판독한다.
5.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 내의 각 블록은, 쉐이딩 처리, 입력 γ-변환 처리 및 필터 처리를 행한다. DMAC(210)는 마진 부분을 제외한 처리 결과인 m×n 화소의 직사각형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6. 상기 4, 5의 처리를 1 스트라이프(주 주사 방향의 출력 직사각형의 총합)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출력될 때까지 반복한다. CPU(600)는 메인 메모리(2000)에 출력된 1 스트라이프의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USB 디바이스 I/F(1000)를 통해서 접속된 PC에 라인 순차로 송신한다.
7. 화상 판독 처리부(2300)로부터의 출력 화상 데이터가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에서 처리할 다음 직사각형의 높이(최초로부터 카운트하여 (2n + 4)번째 라인)에 도달했을 때,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가 다음 스트라이프에 대한 처리를 개시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화상 판독 처리부(2300)로부터 n개의 라인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출력되어 저장될 때마다 그 처리를 반복한다.
<복사 모드에서의 처리>
다음에, 복사 모드에서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AFE(240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라인 순차로 입력하고, 그것을 메인 메모리(2000)에 출력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1. 미리 복사 해상도의 쉐이딩 데이터를 취득하여, 쉐이딩(SHD) 메모리(SRAM)(122)에 기입한다.
2. 원고 판독 처리를 개시한다. AFE(2400)로부터 스캐너 I/F(100)를 경유해서 제어 칩(10)에 라인 순차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3. 스캐너 I/F(100)로부터 출력된 라인 순차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복사 화상 처리부(120)에 입력한다. 복사 화상 처리부(120) 내의 쉐이딩 처리부(121)가 쉐이딩 처리를 행한다. 필요에 따라 입력 화상 데이터에 동기하여 쉐이딩 메모리(122)로부터 쉐이딩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처리로 센서의 화소 간의 감도 변동을 보정하기 때문에, 후단의 DPCM 압축 처리에 의한 화질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4. γ-변환 처리부(123)가 입력 γ-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로 입력 화상의 계조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후단의 DPCM 압축 처리에 의한 화질 열화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5. 입력 화상의 각 라인에 대하여 DPCM 압축 처리를 실행한다. DPCM 압축 알고리즘은 후술한다.
6. 각 라인의 압축 화상 데이터를 DMAC(110)를 이용하여 메인 메모리(2000)에 기입한다.
DPCM 압축 처리에서는, 쉐이딩 처리와 입력 γ-변환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화소당 16 비트인 화상 데이터를 화소당 8 비트인 고정 길이의 화상 데이터로 압축한다.
도 2는 DPCM 압축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입력 16 비트 디지털 화상의 1 라인에서 좌단으로부터 i번째의 화소값을 p[i](16 비트), 이 화소에 대응하는 부호 데이터를 c[i](8 비트), 그리고 복호 데이터를 q[i](16 비트)라고 하자.
또한,
table[j] = (int)(j/512) + 128
(-65536 < j < 65536)
revtable[k] = (k - 128) * 512
(0 ≤ k < 256)
단계 S601에서는, i의 값을 조사한다. i = 0인 경우, 처리는 단계 S602로 진행한다. i ≠ 0인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6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2에서는, c[i] = p[i] >> 8 및 q[i] = c[i] << 8을 계산한 후, 처리는 단계 S605로 진행한다. ">> 8"은 입력 비트열을 우측으로 8 비트 시프트하는 조작을 의미하고, "<< 8"은 입력 비트열을 좌측으로 8 비트 시프트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작으로, 화소당 16 비트인 화상 데이터의 하위 8 비트는 모두 "0"으로 설정된다.
단계 S603에서는, c[i] = table[p[i] - q[i-1]] 및 q[i] = q[[i-1] + revtable[c[i]]를 계산한 후, 처리는 단계 S604로 진행한다.
단계 S604에서는, q[i] > 65535인 경우, q[i] = 65535이고, q[i] < 0인 경우에는, q[i] = 0이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605로 진행한다.
단계 S605에서는, i의 값을 "+1" 인크리먼트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6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6에서는, 주목 화소가 화상의 우단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단계 S606에서 "예"인 경우, 처리는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603으로 되돌아간다.
입력 화상 데이터의 각 라인마다 DPCM 압축 처리를 행함으로써, 화상 판독 처리부의 출력은 화소당 16 비트에서 8 비트로 고정 길이 압축된다.
다음에, 어떻게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가 메인 메모리(2000)에 기입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지에 대해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에 의한 압축 화상 데이터의 신장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701에서는,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의 DMAC(210)는, 스캔 모드에서와 같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m×n 화소의 출력 직사각형과 그 상하좌우측마다 2개의 화소에 대응하는 마진을 포함한 화상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2000)로부터 판독한다. 화상 데이터는 화소당 16 비트에서 8 비트로 고정 길이 압축되기 때문에, 스캔 모드와 동일한 위치에서 직사각형을 판독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량 및 어드레스 차분값이 1/2로 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쉐이딩 데이터를 판독할 필요는 없다.
단계 S702에서는,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 내의 DPCM 신장 처리부(205)가, 이하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DMAC(210)를 통해서 판독한 화상 데이터에 대한 DPCM 신장 처리를 행한다. 신장 처리는 직사각형의 각 라인마다 행할 필요가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출력 직사각형이 m×n 화소를 포함하는 경우, 입력 직사각형은 (m+2)×(n+2) 화소를 포함한다. 좌표값 (i,j)에서의 부호 데이터(화소당 8 비트)를 c[i,j], 그 신장 결과(화소당 16 비트)를 q[i,j]라고 하자.
단계 S702-1에서는, i = j = 0이다.
단계 S702-2에서는, 입력 직사각형 화상(스트라이프)이 입력 화상의 좌단에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단계 S702-2에서 "예"인 경우, 처리는 단계 S702-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702-11로 진행한다.
단계 S702-3에서는, 입력 직사각형의 j번째 라인에 대한 신장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702-4에서는, 입력 직사각형의 좌단에 있는 2개의 화소는 마진에 대응한다. 그 다음의 입력 화소에서부터 실제의 화상을 나타내는 부호 데이터가 시작된다. 따라서, 좌단에 있는 2개의 화소에 대해서는 항상 백 화소(white pixel)로서 "65535"를 출력한다. 즉, q[0,j] = q[1,j] = 65535이다.
단계 S702-5에서는, 3번째 화소(=원고의 좌단 화소)는 하위 8 비트를 무시함 으로써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8 비트 데이터를 256배하여 16 비트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즉, q[2,j] = c[2,j] << 8이다.
단계 S702-6에서는, 4번째 이후 화소를 다음의 처리에 의해 복호한다.
즉, q[i,j] = q[i-1,j] + revtable[c[i,j]]를 계산한다.
q[i,j] > 65535인 경우, q[i,j] = 65535이고, q[i,j] < 0인 경우에는, q[i,j] = 0이다.
단계 S702-7에서는, 직사각형의 각 라인(j = 0 내지 n + 2 - 1)에 대해서, 입력 직사각형의 좌단에서부터 m번째 화소의 신장 출력값 q[m-1,j]를 q'[j]로서 DPCM 신장 처리부(205)의 내부에 저장한다.
단계 S702-8에서는, 입력 직사각형의 모든 화소를 신장한 경우(j = n + 2 - 1), 처리는 단계 S702-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702-9에서는, 신장 처리가 입력 직사각형의 우단에 도달한 경우(i = m + 2 - 1), 처리는 단계 S702-1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702-11로 진행한다.
단계 S702-10에서는, j의 값을 "+1" 인크리먼트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70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702-11에서는, i의 값을 "+1" 인크리먼트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702-6으로 진행한다.
단계 S702-12에서는, 입력 직사각형의 j번째 라인의 신장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702-13에서는, i = 0인 경우, 단계 S702-7 또는 단계 S702-15의 처리 에서 저장된 신장 출력값 q'[j]를 이용하여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즉, q[0,j] = q'[j] + revtable[c[O,j]]를 계산한다. q[0,j] > 65535인 경우, q[0,j] = 65535이고, q[0,j] < 0인 경우에는, q[0,j] = 0이다.
단계 S702-14에서는,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i ≠ O인 경우, q[i,j] = q[i-1,j] + revtable[c[i,j]]를 계산한다. q[i,j] > 65535인 경우, q[i,j] = 65535이고, q[i,j] < 0인 경우에는, q[i,j] = 0이다.
단계 S702-15에서는, 직사각형의 각 라인(j = 0 내지 n + 2 - 1)에 대해서, 입력 직사각형의 좌단에서부터 m번째 화소의 신장 출력값 q[m-1,j]를 q'[j]로서 DPCM 신장 처리부(205)의 내부에 저장한다.
단계 S702-16에서는, 입력 직사각형의 모든 화소가 신장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j = n + 2 - 1인 경우, 처리는 단계 S702-20으로 진행하고, j ≠ n + 2 - 1인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702-17로 진행한다.
단계 S702-17에서는, 신장 처리가 입력 직사각형의 우단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i = m + 2 - 1인 경우, 처리는 단계 S702-18로 진행하고, i ≠ m + 2 - 1인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702-19로 진행한다.
단계 S702-18에서는, j의 값을 "+1" 인크리먼트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702-12로 진행한다.
단계 S702-19에서는, i의 값을 "+1" 인크리먼트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702-14로 진행한다.
단계 S702-20에서는, 단계 S702-8 또는 단계 S702-16에서 주목 직사각형의 신장 처리가 종료하기 때문에, 신장된 직사각형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문자 판정 처리와 필터 처리를 행한다. 쉐이딩 처리와 γ-변환 처리에 대해서는 이미 복사 화상 처리부에서 행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행하지 않는다. 필터 처리부는 입력 직사각형의 상하좌우측마다 2개의 화소에 대응하는 마진을 제거하고, 그 결과를 DMAC(210)를 이용하여 각 직사각형마다 메인 메모리(2000) 내의 버퍼(2)에 기입한다.
단계 S702-21에서는, 현재의 주목 직사각형이 스트라이프의 우단에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단계 S702-21에서 "예"인 경우, 스트라이프의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702-22로 진행한다.
단계 S702-22에서는, 주목 직사각형을 하나만큼 우측으로 시프트하고, 처리는 단계 S701로 되돌아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는 입력 화상의 1 스트라이프에 대한 처리를 실행한다. 각 스트라이프마다 그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의 처리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복사 모드에서는, AFE(2400)로부터 라인 순차로 입력되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복사 화상 처리부(120) 내의 쉐이딩 메모리(122)에 저장된 쉐이딩 데이터를 이용하여, 쉐이딩 처리와 γ-변환 처리를 행한다. 그 후, DPCM 압축 처리를 행하고, 그 압축된 데이터를 라인 순차로 메인 메모리에 기입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는 각 직사각형에 대응하여 메인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압축 데이터를 신장한 후, 쉐이딩 처리와 γ-변환 처 리를 제외한 필터 처리 등의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한다.
스캔 모드에서는, AFE(2400)로부터 라인 순차로 입력되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복사 화상 처리부(120)에 의한 처리를 행하지 않고, 압축하지 않은 채로 라인 순차로 메인 메모리에 기입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는 각 직사각형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과 동시에 그 직사각형의 위치에 대응하는 쉐이딩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로부터 판독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는 쉐이딩 처리와 입력 γ-변환 처리를 행한 후, 필터 처리 등의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복사와 스캔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버퍼 메모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사 모드에서 필요한 버퍼(1)의 용량은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것의 1/2로 줄어든다. 즉, 압축에 의한 감소분은 복사 모드에서의 버퍼(1)의 사이즈와 스캔 모드에서의 버퍼(1)의 사이즈의 차에 해당한다.
스캔 모드에서 필요한 버퍼 메모리의 총 사이즈는 변하지 않는다. 스캔 모드에서는 본래 복사 모드에 비해서 더 작은 버퍼 메모리 사이즈를 필요로 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스캐너 I/F(100)와 DMAC(110) 사이에 복사 화상 처리부(120)가 부가되고, 스캐너 I/F로부터 입력되는 각 라인의 화상 데이터를 복사 모드에서만 압축한다. 그 후, 압축 화상 데이터를 DMAC(110)를 경유해서 메인 메모리(2000)에 기입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캐너 I/F(100)와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 사이에서 필요한 버퍼(1)의 사이즈와, 제어 칩과 메인 메모리 사이의 메모리 대역을 줄일 수 있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는 메인 메모리(2000)로부터 각 직사각형의 압축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 내에 새롭게 부가한 DPCM 신장 처리부(205)는 그 화상 데이터를 각 라인마다 신장한다. 그 후, 후단의 화상 처리를 행한다.
스캔 모드에서는, 스캐너 I/F로부터 DMAC(110)에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DPCM 신장 처리부(205)에서의 신장 처리도 행하지 않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압축에 의한 화상 열화를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압축 처리로서 현재의 화소와 이전의 입력 화소의 차분값을 부호화하는 고정 길이 DPCM 압축 처리를 채용하고 있다. DPCM 압축 처리는 화상 데이터에서 인접 화소 간의 상관이 높다는 것을 이용한다. 센서의 화소 간의 감도 변동을 보정하는 쉐이딩 처리를 행하기 전에 이 압축 방법을 이용하면, 압축에 의한 화질 열화가 커져버린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실시예에서는, 스캐너 I/F(100)로부터 출력되는 라인 순차의 데이터에 대해서, 우선 쉐이딩 처리와 γ-변환 처리를 행하고 나서, DPCM 압축을 행한다. γ-변환을 행함으로써, 이것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더욱 계조 변화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DPCM 압축에 의한 화상 열화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일본 특개 2004-220584호 공보에서는, 쉐이딩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와 함께 메인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쉐이딩 데이터의 판독 동작을 고속화하고, 메인 메모리로부터의 판독 동작의 횟수를 줄이기 위해서, 복사 화 상 처리부 내에 SRAM으로 구성되는 쉐이딩 메모리(122)를 설치하고 있다. 복사 모드에서 쉐이딩 처리에 필요한 쉐이딩 데이터로는 미리 쉐이딩 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터를 이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사 모드에서 쉐이딩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메인 메모리의 용량을 줄이고, 메인 메모리로부터의 쉐이딩 데이터 판독 동작을 없앨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사 모드에서 필요한 버퍼 메모리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복사 기능과 스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시스템 전체에 필요한 버퍼 메모리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칩과 메인 메모리(버퍼 1) 사이에서의 데이터 입출력 동작수가 반으로 줄어든다. 복사 모드와 스캔 모드에서 버퍼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음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1) 복사 모드에서 필요한 메인 메모리의 용량이 줄어들어, 시스템 전체에 요구되는 메모리 사이즈가 줄어든다. 이것은 장치의 총 비용의 삭감으로 이어진다.
(2) 복사 모드에서 화상 데이터와 쉐이딩 데이터에 관한 메모리 입출력 동작수가 줄어든다.
(3) 복사 모드에서 메인 메모리 내의 쉐이딩 데이터 영역이 불필요해진다.
(4) 스캔 모드에서 DPCM 화상 압축에 의한 화상 열화가 방지된다.
(5) 판독 처리부에서의 쉐이딩 처리를 복사 모드에서만 행함으로써, 복사 화상 처리부에서 필요한 쉐이딩 메모리의 용량이 줄어든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사 화상 처리부(120)와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가 모두, 각각 쉐이딩 처리부(121, 201)와 γ-변환 처리부(123, 202)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복사 화상 처리부(120) 내에 있는 것들과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 내에 있는 것들은 기능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동시에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 쉐이딩 처리부와, 하나의 γ-변환 처리부, 그리고 셀렉터를 구비하고, 셀렉터에서 데이터 흐름을 절환하도록 MPF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복사 모드에서의 동작>
AFE(2400)에서 A/D 변환한 화상 데이터는 스캐너 I/F(100)를 통해서 셀렉터(140)에 의해 공통 화상 처리부(130)에 보내진다. 쉐이딩 처리부(131)는 쉐이딩(SHD) 메모리(132)에 있는 쉐이딩 데이터를 참조하여 쉐이딩 보정을 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캔 모드에서도 쉐이딩 처리부(131)가 보정을 행한다. γ-변환 처리부(133)에서 처리한 후, DPCM 압축 처리부(124)가 셀렉터(150)를 통해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한다. 압축된 데이터는 DMAC(110)를 통해서 메인 메모리(2000)에 저장된다. 메인 메모리(2000)로부터 판독한 압축 화상 데이터는 DMAC(210)를 통해서 셀렉터(160)에 보내진다. 셀렉터(160)는 스캐너 화상 처리부(200)에 화상 데이터를 보내도록 절환한다. 그 화상 데이터는 DPCM 신장 처리부(205)에 의해 신장된 후, 문자 판정 처리부(203)와 필터 처리부(204)에 의해 처리된다. 그 후, 화상 데이터는 DMAC(210, 310)를 통해서 프린터 화상 처리부(300) 에 입력되어, 프린터에 보낼 데이터로 변환된다.
<스캔 모드에서의 동작>
셀렉터(140)까지의 화상 데이터의 흐름은 복사 모드와 동일하다. 셀렉터(140)는 DMAC(110)를 통해서 메인 메모리(2000)에 비압축 화상 데이터를 전달하고 그것을 메모리 제어부(500)의 제어 하에 저장하도록 절환한다.
메인 메모리(2000)로부터 판독된 비압축 화상 데이터는 DMAC(210)를 통해서 셀렉터(160)에 의해 공통 화상 처리부(130)에 보내진다. 그 화상 데이터는, 복사 모드에서와 같이, 쉐이딩 처리와 γ-변환 처리된 후, 셀렉터(150)에 의해 문자 판정 처리부(203)에 직접 보내진다. 스캔 모드에서의 화상 데이터는 비압축 화상 데이터이므로, DPCM 신장 처리부(205)를 통할 필요가 없다. 이후의 데이터 흐름은 복사 모드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공통 화상 처리부(130)가 복사 모드와 스캔 모드에 공통인 처리를 행함으로써, 처리 및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가지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및 균등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인 다기능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화상 복사 모드에서 실행하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DPCM 압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은 화상 복사 모드에서 실행하는 각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 판독과 DPCM 신장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복사 및 스캔 실행 시에 필요한 버퍼 메모리 용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의 다기능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다기능 프린터의 스캐너 화상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일본 특개 2004-220584호 공보에 따른, 스캐너 화상 처리부에서 실행되는 메인 메모리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판독과 화상 처리 후의 메인 메모리에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종래의 다기능 프린터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부와 메인 메모리 내의 버퍼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 칩
100 : 스캐너 I/F
120 : 복사 화상 처리부
121 : 쉐이딩 처리부
122 : SHD 메모리
123 : γ-변환 처리부
124 : DPCM 압축 처리부
130 : 공통 화상 처리부
200 : 스캐너 화상 처리부
201a : SHD 버퍼
201 : 쉐이딩 처리부
202 : γ-변환 처리부
203a : 라인 버퍼
203 : 문자 판정 처리부
204a : 라인 버퍼
204 : 필터 처리부
205 : DPCM 신장 처리부
300 : 프린터 화상 처리부
400 : 프린터 I/F
500 : 메모리 제어부
2000 : 메인 메모리

Claims (9)

  1. 화상 원고를 스캔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제1 기능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PC)에 출력하는 제2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프린터로서,
    상기 화상 원고를 스캔하여 라인 순차로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기능을 실행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1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는 제2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기능을 실행하여 취득한 결과적인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필터링 수단과,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할 때에 상기 필터링 수단에 의해 필터링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인쇄 수단과,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할 때에 상기 필터링 수단에 의해 필터링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라인 순차로 출력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에 의해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쉐이딩 처리를 라인 순차로 실행하는 제1 쉐이딩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쉐이딩 처리 수단에 의해 쉐이딩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 수단과,
    상기 압축 수단에 의해 압축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출력하는 제1 출력 수단과,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화상 원고의 제1 직사각형 화상 영역 사이즈에 대응하는 소정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상기 압축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 판독 수단과,
    상기 제1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라인 순차로 신장하는 신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에 의해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상기 메모리에 출력하는 제2 출력 수단과,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화상 원고의 제2 직사각형 화상 영역 사이즈에 대응하는 소정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비압축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2 판독 수단과,
    상기 제2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직사각형 화상 영역 사이즈를 단위로 하여 판독된 비압축 화상 데이터에 쉐이딩 처리를 실행하는 제2 쉐이딩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프린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수단은 DPCM 방법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다기능 프린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수단은 DPCM 방법에 의해 상기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다기능 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처리 수단, 상기 제2 화상 처리 수단,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필터링 수단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수단은 반도체 칩 상에 실장되는 다기능 프린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쉐이딩 처리 수단에 의해 쉐이딩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에 γ-변환을 실행하는 제1 γ-변환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 수단은 상기 제1 γ-변환 수단에 의해 γ-변환이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다기능 프린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제2 쉐이딩 처리 수단에 의해 쉐이딩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에 γ-변환을 실행하는 제2 γ-변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프린터.
  9. 화상 원고를 스캔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제1 기능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PC)에 출력하는 제2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프린터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원고를 스캔하여 라인 순차로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능의 실행 시에,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라인 순차로 쉐이딩 처리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쉐이딩하는 단계에서 상기 쉐이딩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 단계에서 압축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화상 원고의 제1 직사각형 화상 영역 사이즈에 대응하는 소정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상기 압축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 화상 데이터를 인쇄를 위해 라인 순차로 신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능의 실행 시에,
    상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상기 메모리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화상 원고의 제2 직사각형 화상 영역 사이즈에 대응하는 소정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비압축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직사각형 화상 영역 사이즈를 단위로 하여 판독된 비압축 화상 데이터에 쉐이딩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기능을 실행하여 취득한 결과적인 화상 데이터를 공통 필터링부를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KR20070068023A 2006-07-07 2007-07-06 다기능 프린터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0916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88697 2006-07-07
JP2006188697 2006-07-07
JP2007168087A JP4929073B2 (ja) 2006-07-07 2007-06-26 多機能プリンタ装置
JPJP-P-2007-00168087 2007-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134A KR20080005134A (ko) 2008-01-10
KR100916861B1 true KR100916861B1 (ko) 2009-09-09

Family

ID=3889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68023A KR100916861B1 (ko) 2006-07-07 2007-07-06 다기능 프린터 및 화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33049B2 (ko)
EP (1) EP1892947B1 (ko)
JP (1) JP4929073B2 (ko)
KR (1) KR100916861B1 (ko)
CN (2) CN1011023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2409B2 (ja) * 2006-07-07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US8462377B2 (en) * 2007-07-25 2013-06-11 Aptina Imaging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duction of line processing memory size used in image processing
JP4669901B2 (ja) 2008-10-21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19493B2 (ja) 2009-03-03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38792B2 (ja) * 2009-09-24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63293B2 (ja) * 2010-12-20 2015-02-04 三星テクウィン株式会社Samsung Techwin Co., Ltd ノイズ低減装置、ノイズ低減方法およびノイズ低減プログラム
KR101969965B1 (ko) * 2012-12-24 2019-08-1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독취장치, 이미지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0298987B2 (en) * 2014-05-09 2019-05-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livery of media content to a user device at a particular quality based on a personal quality profile
CN108476269A (zh) 2016-01-06 2018-08-3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包括复印和扫描功能的打印机
US20210157534A1 (en) * 2018-05-18 2021-05-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content based on printing medium geometry
CN111145465B (zh) * 2018-11-05 2022-02-08 厦门拾数科技有限公司 电子打印机系统
CN109995959B (zh) * 2019-04-06 2021-08-10 东莞中科蓝海智能视觉科技有限公司 平板扫描仪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044A (ja) 2001-12-25 2003-07-11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220584A (ja) 2002-12-26 2004-08-0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5262676A (ja) * 2004-03-18 2005-09-29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画像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9047A (en) * 1987-10-27 1993-09-28 Canon Kabushiki Kaisha Predictive coding system
US4982283A (en) * 1988-05-06 1991-01-01 General Electric Company Line-sequential pyramid processing of a plurality of raster-scanned image variables
JP2658897B2 (ja) 1994-09-19 1997-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ファクシミリ装置
JP3537589B2 (ja) * 1996-04-08 2004-06-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US5768445A (en) * 1996-09-13 1998-06-16 Silicon Graphics, Inc.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scheme performed on shared workstation memory by media coprocessor
US7495669B2 (en) 2002-12-26 2009-02-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1186360A (ja) 1999-12-27 2001-07-06 Canon Inc 画像通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030128408A1 (en) * 2002-01-07 2003-07-1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7411694B2 (en) 2002-01-21 2008-08-12 Ricoh Company, Ltd. Data convers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ata conversion for image processing
US20050073703A1 (en) * 2003-10-07 2005-04-0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gamma correction
JP2005164765A (ja) * 2003-11-28 2005-06-23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方法
EP1578108A3 (en) * 2004-03-19 2007-05-30 Ricoh Compan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canned data in a standard format
JP2005333393A (ja) * 2004-05-19 2005-12-02 Sharp Corp 画像圧縮装置,画像出力装置,画像伸張装置,印刷装置,画像処理装置,複写機,画像圧縮方法,画像伸張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618020B2 (ja) * 2005-07-01 2011-01-2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044A (ja) 2001-12-25 2003-07-11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220584A (ja) 2002-12-26 2004-08-0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5262676A (ja) * 2004-03-18 2005-09-29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画像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33049B2 (en) 2011-04-26
JP2008035502A (ja) 2008-02-14
CN101102384B (zh) 2011-08-24
CN102223463B (zh) 2016-06-01
US20080007795A1 (en) 2008-01-10
JP4929073B2 (ja) 2012-05-09
EP1892947A3 (en) 2008-12-10
EP1892947B1 (en) 2016-04-27
EP1892947A2 (en) 2008-02-27
CN102223463A (zh) 2011-10-19
KR20080005134A (ko) 2008-01-10
CN101102384A (zh)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861B1 (ko) 다기능 프린터 및 화상 처리 방법
KR0171655B1 (ko) 화상처리장치
JP513251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764692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159718B2 (en) Image processing to determine if pixel in compressed data is chromatic or achromtic based on selection threshold
JP4755569B2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
JP476493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222409B2 (ja) プリンタ装置
JP4748734B2 (ja) 原稿読取装置
US7933039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orming image
JP2011139162A (ja) 画像符号化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86994B2 (ja) 画像処理装置
JP476658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JP3867857B2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
JP4887880B2 (ja) 複合機
JP3703337B2 (ja) 画像通信装置及び画像通信方法
JP506263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6214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1020556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perform multiple image processes, and storage medium
JP392525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731191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58855A (ja) 画像データの通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4120640A (ja)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H0932197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219069A (ja) 画像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