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056B1 -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핸들 - Google Patents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056B1
KR100916056B1 KR1020070130296A KR20070130296A KR100916056B1 KR 100916056 B1 KR100916056 B1 KR 100916056B1 KR 1020070130296 A KR1020070130296 A KR 1020070130296A KR 20070130296 A KR20070130296 A KR 20070130296A KR 100916056 B1 KR100916056 B1 KR 10091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handle lever
handle
base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2843A (ko
Inventor
김시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0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E05B77/283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initiated by hand actuation, e.g. by using a mechanical k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8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24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6Tailgates

Abstract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가 닫혀 잠금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의 잠금을 해제하여 테일게이트가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핸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의 바깥쪽 면에 설치되고, 그 안쪽에 힌지부가 구비된 핸들 베이스와; 상기 핸들 베이스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전후 회전 가능토록 상기 힌지부와 힌지 결합된 핸들 레버와; 상기 힌지부와 상기 핸들 레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핸들 레버를 상기 핸들 베이스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핸들 레버 스프링과; 상기 핸들 레버가 전방으로 회전된 후, 상기 핸들 레버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핸들 베이스 쪽으로 복귀될 때, 상기 핸들 레버의 복귀 속도를 감속하는 댐핑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한다.
테일게이트, 핸들, 댐핑

Description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핸들{Out side handle for tail-gate of automobile}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가 닫혀 잠금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의 잠금을 해제하여 테일게이트가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핸들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차량의 테일게이트(1)는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잠금장치에 의해 잠금된 상태이다.
테일게이트(1)가 닫힌 상태에서, 테일게이트(1)의 바깥쪽에 설치된 핸들 레버(2)를 일정각도 들어올리게 되면, 테일게이트(1)의 잠금이 해제되어, 도 1에 은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1)가 열릴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레버(2)를 들어올리게 되면 핸들 레버(2)를 탄성 지지하고 있는 핸들 레버 스프링(4)이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핸들 레버(2)를 들어올린 후 놓게 되면 핸들 레버 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 레 버(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은, 핸들 레버(2)가 복귀될 때, 핸들 레버 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복귀되면서핸들 레버(2)가 핸들 베이스(6)를 타격하는데, 이 타격 소음이 상당히 커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핸들 레버가 들어 올려진 후 복귀될 때, 핸들 레버와 핸들 베이스 간 타격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의 바깥쪽 면에 설치되고, 그 안쪽에 힌지부가 구비된 핸들 베이스와; 상기 핸들 베이스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전후 회전 가능토록 상기 힌지부와 힌지 결합된 핸들 레버와; 상기 힌지부와 상기 핸들 레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핸들 레버를 상기 핸들 베이스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핸들 레버 스프링과; 상기 핸들 레버가 전방으로 회전된 후, 상기 핸들 레버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핸들 베이스 쪽으로 복귀될 때, 상기 핸들 레버의 복귀 속도를 감속하는 댐핑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수단은, 댐핑 베이스와; 상기 댐핑 베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댐핑 베이스와 접촉되는 댐퍼와; 상기 핸들 레버가 복원되면 상기 댐퍼를 회전시켜서 상기 댐퍼와 상기 댐핑 베이스가 마찰되게 하는 댐퍼구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 베이스는,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댐퍼 및 상기 댐 퍼구동기구가 내부에 설치되는 박스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댐핑 베이스는, 상기 댐퍼와 마찰되는 부분에 댐핑고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 베이스와 소정 간격 이격된 댐퍼 본체부와, 상기 댐퍼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댐핑 베이스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댐핑 베이스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 마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기구는 상기 핸들 레버의 힌지 축과 힌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댐퍼와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고, 상기 핸들 레버가 복원될 때에만 스프라켓에 걸림되어 상기 스프라켓과 함께 회전되는 댐퍼 톱니와; 상기 스프라켓을 상기 댐퍼 톱니를 향해 탄성 지지하는 스프라켓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 톱니는 상기 댐퍼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기구는, 상기 핸들 레버의 힌지 축과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고, 상기 스프라켓 및 스프라켓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라켓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은, 핸들 레버가 들어 올려진 후 복귀될 때 그 복귀 속도가 감속됨으로써 핸들 레버와 핸들 베이스 간 타격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구조가 간소하여 효율적인 성능과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핸들 레버가 들어 올려진 상태이고, 도 6은 도 5의 확대 부분과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핸들 레버의 복귀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은, 테일게이트의 바깥쪽 면에 설치되고, 그 안쪽에 힌지부(102)가 구비된 핸들 베이스(100)와; 핸들 베이스(100)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전후 회전 가능토록 힌지부(102)와 힌지 결합된 핸들 레버(110)와; 힌지부(102)와 핸들 레버(110)에 각각 결합되어, 핸들 레버(110)를 핸들 베이스(100)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핸들 레버 스프링(120)과; 핸들 레버(110)가 전방으로 회전된 후, 핸들 레버 스프링(120)에 의해 핸들 베이스(100) 쪽으로 복귀될 때, 핸들 레버(110)의 복귀 속도를 감속하는 댐핑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댐핑수단(130)은, 핸들 레버(110)의 복귀 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취하여도 무방하며, 바람직한 일 예로써 고정체인 댐핑 베이스(140)와; 댐핑 베이스(1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댐핑 베이스(140)와 접촉되는 댐퍼(150)와; 핸들 레버(110)가 복원되면 댐퍼(150)를 회전시켜서 댐퍼(150)와 댐핑 베이스(140)가 마찰되게 하는 댐퍼구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댐핑 베이스(140)는, 힌지부(102)의 일측에 고정되고, 댐퍼(150) 및 댐퍼구동기구가 내부에 설치되는 박스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댐핑 베이스(140)는, 핸들 레버(110)의 힌지 축(112)이 상대 회전 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 축(112)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댐핑 베이스(140)는, 댐퍼(150)와 마찰되는 부분, 즉 내주면에 댐핑고무(142)가 설치될 수 있다. 댐핑고무(142)는, 댐퍼(150)와의 마찰 위치가 제한되지 않도록, 링 형상을 취하여 댐핑 베이스(140)의 내주면 전체에 설치될 수 있다.
댐퍼(150)는, 전 둘레면이 댐핑 베이스(140)와 접촉되어 마찰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댐퍼(150)와 댐핑 베이스(140)의 마찰 저항력이 너무 크게 형성됨으로써 핸들 레버(110)의 복귀 속도를 과도하게 감속하여 핸들 레버(110)가 복귀되지 않을 수도 있는 바, 다음과 같이 일부분만 댐핑 베이스(140)와 접촉되어 마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댐퍼(150)는 댐핑 베이스(140)와 소정 간격 이격된 댐퍼 본체부(152)와, 댐퍼 본체부(152)의 일측으로부터 댐핑 베이스(140)를 향해 돌출되어 댐핑 베이스(140)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 마찰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마찰부(154)는 핸들 레버(110)의 복귀 속도 감속 정도 등 설계 조건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댐퍼 마찰부(154)는, 핸들 레버(110)의 복귀 속도 감속 정도 등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댐퍼구동기구는 핸들 레버(110)의 동작과 연동되어 댐퍼(150)를 구동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취하여도 무방하며, 바람직한 일 예로써 핸들 레버(110)의 힌지 축(112)과 힌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스프라켓(160)과; 댐퍼(150)와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고, 핸들 레버(110)가 복원될 때에만 스프라켓(160)에 걸림되어 스프라켓(160)과 함께 회전되는 댐퍼 톱니(164)와; 스프라켓(160)을 댐퍼 톱니(164)를 향해 탄성 지지하는 스프라켓 스프링(1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프라켓(160)은, 핸들 레버(110)의 복귀시에는 댐퍼 톱니(164)와 걸림되되, 핸들 레버(110)가 들어 올려질 때에는 댐퍼 톱니(164)는 큰 저항없이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댐퍼 톱니(164)를 향해 갈수록 뾰족하도록 첨단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프라켓(160)은, 핸들 레버(110)의 복귀시에는 댐퍼 톱니(164)와 걸림되되, 핸들 레버(110)가 들어 올려질 때에는 댐퍼 톱니(164)는 큰 저항없이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반경방향에 대하여 핸들 레버(110)가 복귀될 때 스프라켓(160)이 회전되는 방향(화살표 B)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퍼 톱니(164) 또한, 핸들 레버(110)의 복귀시에는 스프라켓(160)이 걸림되되, 핸들 레버(110)가 들어 올려질 때에는 스프라켓(160)이 큰 저항없이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반경방향에 대하여 스프라켓(160)과 반대쪽(화살표 A)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퍼 톱니(164)는 댐퍼(150)와 별도로 제작되어 댐퍼(150)와 조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 예와 같이 댐퍼(15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댐퍼구동기구는, 핸들 레버(110)의 힌지 축(112)과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고, 스프라켓(160) 및 스프라켓 스프링(162)을 지지하는 스프라켓 베이스(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작용을 살펴보면, 핸들 레버(110)를 들어올리면, 핸들 레버(110)의 힌지 축(112)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라켓 베이스(166)가 핸들 레버(110)의 힌지 축(112)과 함께 반 시계방향(화살표 A)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스프라켓(160)도 스프라켓 베이스(166)와 함께 회전되는데, 이때, 스프라켓(160)과 댐퍼 톱니(164)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이므로, 도 5에 은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라켓(160)이 댐퍼 톱니(164)에 의해 눕혀지면서 댐퍼 톱니(164)를 타고 넘어간다.
따라서, 스프라켓(160)만 댐퍼 톱니(164)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고, 댐퍼 톱니(164)는 정지 상태가 유지된다.
반면, 핸들 레버(110)가 복귀되면, 핸들 레버(110)의 힌지 축(11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라켓 베이스(166)가 핸들 레버(110)의 힌지 축(112)과 함께 시계방향(화살표 B)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스프라켓(160)도 스프라켓 베이스(166)와 함께 회전되는데, 이때, 스프라켓(160)이 댐퍼 톱니(164)에 걸리게 되어 댐퍼 톱니(164)를 밀게 된다. 따라서, 댐퍼 톱니(164)가 스프라켓(160)에 의해 회전되고, 댐퍼 톱니(164)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댐퍼(150)의 댐퍼 마찰부(154)와 고정되어 있는 댐핑 베이스(140)의 댐퍼(150) 고무(142)가 마찰되면서 핸들 레버(110)의 복귀 속도가 감속된다.
하여, 핸들 레버(110)가 천천히 복구됨에 따라, 핸들 레버(110)의 복귀로 인 한 타격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 적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핸들 레버가 들어 올려진 상태이다.
도 6은 도 5의 확대 부분과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핸들 레버의 복귀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핸들 베이스 102; 힌지부
110; 핸들 레버 112; 힌지 축
120; 핸들 레버 스프링 130; 댐핑수단
140; 댐핑 베이스 142; 댐퍼 고무
150; 댐퍼 154; 댐퍼 마찰부
160; 스프라켓 162; 스프라켓 스프링
164; 댐퍼톱니

Claims (8)

  1. 테일게이트의 바깥쪽 면에 설치되고, 그 안쪽에 힌지부가 구비된 핸들 베이스와;
    상기 핸들 베이스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전후 회전 가능토록 상기 힌지부와 힌지 결합된 핸들 레버와;
    상기 힌지부와 상기 핸들 레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핸들 레버를 상기 핸들 베이스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핸들 레버 스프링과;
    상기 핸들 레버가 전방으로 회전된 후, 상기 핸들 레버 스프링에 의해 상기 핸들 베이스 쪽으로 복귀될 때, 상기 핸들 레버의 복귀 속도를 감속하는 댐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수단은, 댐핑 베이스와;
    상기 댐핑 베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댐핑 베이스와 접촉되는 댐퍼와;
    상기 핸들 레버가 복원되면 상기 댐퍼를 회전시켜서 상기 댐퍼와 상기 댐핑 베이스가 마찰되게 하는 댐퍼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핑 베이스는,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댐퍼 및 상기 댐퍼구동기구가 내부에 설치되는 박스 형태를 취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핑 베이스는, 상기 댐퍼와 마찰되는 부분에 댐핑고무가 설치된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 베이스와 소정 간격 이격된 댐퍼 본체부와, 상기 댐퍼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댐핑 베이스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댐핑 베이스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 마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구동기구는 상기 핸들 레버의 힌지 축 측과 힌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댐퍼와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고, 상기 핸들 레버가 복원될 때에만 스프라켓에 걸림되어 상기 스프라켓과 함께 회전되는 댐퍼 톱니와;
    상기 스프라켓을 상기 댐퍼 톱니를 향해 탄성 지지하는 스프라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댐퍼 톱니는 상기 댐퍼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댐퍼구동기구는, 상기 핸들 레버의 힌지 축과 일체로 회전토록 결합되고, 상기 스프라켓 및 스프라켓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라켓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
KR1020070130296A 2007-12-13 2007-12-13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핸들 KR100916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296A KR100916056B1 (ko) 2007-12-13 2007-12-13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296A KR100916056B1 (ko) 2007-12-13 2007-12-13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843A KR20090062843A (ko) 2009-06-17
KR100916056B1 true KR100916056B1 (ko) 2009-09-08

Family

ID=4099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296A KR100916056B1 (ko) 2007-12-13 2007-12-13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0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163A (ko) * 1996-05-29 1997-12-10 김태구 완충장치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핸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163A (ko) * 1996-05-29 1997-12-10 김태구 완충장치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843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7662B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6427803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US20060208506A1 (en) Latching mechanism
KR100785231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US20110133493A1 (en) Vehicle door latch
JP5993228B2 (ja) 車両用リアバンパー収納箱の安全装置
KR20200037923A (ko) 화물차
US8388040B2 (en) Lock-out device for vehicle compartment with lid
KR100916056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아웃사이드핸들
JP2018001961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などの蓋体用のヒンジ機構
JP6213929B2 (ja) 自動車両ドアロック
EP3502387B1 (en) Closure system for a compartment, in particular for a storage compartment in a motor vehicle
JP6035846B2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構造
JP6840100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2015004195A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2006290163A (ja) 車両用収納装置
US11499347B2 (en) G-sensor for automobile tray
JP4170601B2 (ja) ロック装置
KR100587931B1 (ko) 자동차 필러 도어의 개폐구조
JP4462000B2 (ja) 車体開口部の開閉構造
KR100412546B1 (ko) 트렁크리드와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방 작동을 위한 공용레버장치
JP6469607B2 (ja) カップホルダー
JP4616325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
JP3646618B2 (ja) スライドロック構造
JP2007126863A (ja) 車両用開閉体減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