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862B1 - 영상촬영용 크레인 - Google Patents

영상촬영용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862B1
KR100915862B1 KR1020090007274A KR20090007274A KR100915862B1 KR 100915862 B1 KR100915862 B1 KR 100915862B1 KR 1020090007274 A KR1020090007274 A KR 1020090007274A KR 20090007274 A KR20090007274 A KR 20090007274A KR 100915862 B1 KR100915862 B1 KR 10091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camera
horizontal
rotation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879A (ko
Inventor
황원선
Original Assignee
황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선 filed Critical 황원선
Priority to PCT/KR2009/0004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96732A2/ko
Publication of KR2009008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CA)를 현수하여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50)에 연결된 무빙장치의 편심부재(60)가 조종간(80)의 조작에 의해 편심축(62)을 중심으로 수직축(70)과 함께 이동하면서 붐(BM)을 전방이나 후방 또는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때, 수평트레이(BM1)에 고정된 카메라 받침대(90)는 붐(BM)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카메라(CA)는 사방으로 이동하면서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붐(BM)은 조종간(80)이 승강할 경우 수직축(70)의 상단부에 고정된 힌지(HG)를 중심으로 시이소운동을 하면서 카메라 받침대(90)를 승강시킨다. 이때, 수평트레이(BM1)는 수평유지부재에 의해 항상 수평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50)를 이동하지 않아도 카메라(CA)를 사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 이동, 현수, 편심, 시이소

Description

영상촬영용 크레인{CRANE FOR IMAGE PICKUP}
본 발명은 카메라를 현수하여 촬영위치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가 한곳에 고정된 상태에서 카메라를 상하나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를 전후진시키는 동시에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영상촬영용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촬영에 이용되는 크레인은 주로 상부에서 피사체를 촬영해야 하는 병원의 수술실이나 요리학원 또는 미용학원 등과 같은 조건의 공간에서 사용되며, 일단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촬영위치로 이동시켜서 보다 좋은 촬영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크레인은 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최적의 촬영위치에 카메라를 위치시킨다. 따라서, 카메라는 피사체를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레인은 일본의 등록특허 제3812847호(명칭: 촬영용 크레인)에 개시된 것이 가장대표적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크레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5)을 좌우로 조작할 경우, 붐(10)이 선회축(1)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 받침대(12)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핸들(15)을 상하로 조작할 경우, 붐(10)이 힌지(10-1)를 중심으로 시이소운동하면서 카메라 받침대(12)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즉, 카메라는 붐(10)에 의해 좌우 및 상하로 이동자재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받침대(12)는 붐(10)의 선단에 마련된 수평트레이(11)에 의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는 수평을 유지하면서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선회축(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랙(5)에 설치된 고정관(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때, 랙(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현시하는 디스플레이어(4) 및 후술되는 모터나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선리모컨(3)이 마련된다. 그리고, 핸들(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18)가 마련된다. 이러한 웨이트(18)는 카메라가 장착된 붐(10)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한편, 붐(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링크(10a, 10b, 10c)가 내장된다. 이러한 링크(10a, 10b, 10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수평트레이(11)에 힌지고정되고, 타단부가 선회축(1)의 상단에 힌지고정된다. 따라서, 링크(10a, 10b, 10c)는 붐(10)이 상하로 이동할 경우 수평트레이(11)를 당기면서 수평을 유지시킨다. 즉, 링크(10a, 10b, 10c)는 수평트레이(11)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부재이다.
다른 한편, 수평트레이(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버설 조인트식으로 결합되는 요크(12a)를 통해 카메라 받침대(12)에 연결된다. 이러한 요크(1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을 회전시키는 힌지모터(M1)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카메라 받침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12a)와 인접하는 로터리모터(M2)에 의해 요크(12a)와 연결된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 카메라 받침대(12)는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카메라 회전모터(M3)를 통해 카메라를 회전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영상촬영용 크레인은 붐(10)을 회전시켜서 카메라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는 있으나, 카메라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랙(5)을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수술실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는 사실상 카메라를 전후로 이동할 수 없다.
또, 수평트레이(11)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붐(10)의 내부에 복수개의 링크(10a, 10b, 10c)를 연결상태로 내장하여야 하므로 제조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카메라 받침대(12)가 요크(12a)를 통해 수평트레이(11)에 연결되므로 카메라의 하중이 카메라 받침대(12) 및 요크(12a)에 전달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유선리모컨(3)이 랙(5)에 마련됨에 따라 유선리모컨(3)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한손으로만 핸들(15)을 파지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으며, 붐(1)의 회전에 의해 피사체가 화면에서 벗어날 경우 모터(M1~M3)를 조정하면서 카메라의 줌도 수정하여야 하지만 유선리모컨(3)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5)과 분리된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모터(M1~M3) 및 카메라의 줌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게다가, 핸들(15)을 약하게 파지하거나 핸들(15)의 파지를 해지할 경우 붐(10)의 자중에 의해 붐(10)이 저절로 선회축(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더하여, 붐(10)이 선회축(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좌우로 이동할 경우,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붐(10)이 평면상 대각선 형태를 이루므로, 카메라도 함께 대각선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붐(10)을 좌우로 이동시킬 경우 촬영을 위해 모터(M1~M3)를 구동시켜서 카메라를 일직선으로 조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붐을 좌우 및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이 마련될 뿐만 아니라, 붐을 지지하는 일부분에 붐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붐을 좌우로도 이동시킬 수도 있는 메커니즘이 마련된 영상촬영용 크레인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붐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좌우로 이동시킬 경우 붐을 평면상 일직선상태로 유지시켜서 이동시킬 수 있는 영상촬영용 크레인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선형부재(線形部材)를 이용하여 붐의 선단에 고정된 수평트레이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영상촬영용 크레인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카메라 받침대가 수평트레이에 직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영상촬영용 크레인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리모컨이 붐을 이동시키면서 붐에 설치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 는 구조로 이루어진 영상촬영용 크레인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특히, 사용자의 손이 주로 위치하는 부분에 리모컨이 일체로 구성되어 붐을 조작하면서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카메라의 줌을 조정할 수 있는 영상촬영용 크레인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게다가, 붐의 하부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부재의 회전부위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붐이 저절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영상촬영용 크레인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용 크레인은, 카메라를 현수하여 촬영위치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수직을 이루는 수직축; 상기 수직축에 일부분이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시이소운동을 실시하고, 수직축(70)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붐; 상기 붐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붐의 이동을 조종하는 조종간; 상기 조종간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붐의 선단부에 힌지로 결합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트레이; 상기 수평트레이의 회전을 상기 붐의 운동상태에 따라 제어하여 수평트레이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부재; 상기 수평유지부재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는 상기 수평트레이상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가 촬상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카메라 받침대 및; 상기 수직축과 연결되고, 상기 조종간의 조종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붐을 전후방이나 좌우측으로 견인하여 상기 카메라 받침대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무빙장치;를 포함하며, 전술한 무빙장치는 예컨대, 전술한 베이스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편심축 및; 이 편심축이 일측에 연결되어 편심축을 중심으로 편심회전하고, 전술한 수직축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편심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예컨대, 상기 무빙장치에 연결되는 컬럼 및; 상기 컬럼의 하부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컬럼은 속이 빈 강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대는 컬럼 보다 지면에 대한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된 판재나 금속재 박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베이스는 이동을 위해 캐스터가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는 예컨대, 상기 무빙장치에 연결되고, 수납실을 갖는 랙;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랙은 각각의 선반에 영상촬영에 관련된 기기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랙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장치나, 음향을 튜닝하는 튜닝기 또는 IPTV나 방송중계를 위해 영상을 송출하는 방송송출장치 등과 같은 기기들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기기들이 마련될 경우 본 발명은 영상을 장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에서 비디오테이프를 교환할 필요가 없으며, 송출장치를 통해 실시간 방송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수직축은 전술한 베이스상에 위치하는 전술한 무빙장치에 연결되어 수직을 이룬다. 즉, 수직축은 무빙장치를 통해 베이스상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수직축은 속이 꽉 채워진 금속재 강관이나, 중공을 갖는 강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예컨대, 상기 무빙장치에 연결된 상태로 수직을 이루는 센터돌기; 상기 센터돌기에 끼워져서 상기 붐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하우징 및; 상기 회전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회전하우징과 상기 센터돌기 사이에서 완충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센터돌기는 가운데가 비어있는 금속재 중공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접이나 볼팅으로 베이스에 고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하우징은 센터돌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강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술한 베어링은 예컨대, 상기 회전하우징 및 센터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슬러스트베어링 및; 상기 슬러스트베어링과 함께 마찰저항을 완충하는 구름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슬러스트베이링은 원통형의 부쉬형태로 형성되어 센터돌기에 끼워지는 저널베어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름베어링은 내부에 볼이 삽입된 볼베어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수직축은 회전하우징의 회전을 억제하여, 붐이 수직축과 함께 자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억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회전억제부재는 무빙장치가 저절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회전억제부재는 예컨대, 상기 센터돌기에 체결되면서 상기 베어링을 가압하는 가압너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센터돌기는 가압너트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야한다. 그리고, 베어링은 가압너트에 가압되는 위치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수직축은 카메라의 영상을 현시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수직축은 일측에 모니터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는 카메라에서 촬상되는 영상을 현시한다.
또 한편, 전술한 붐은 예컨대, 일직선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아치형이나 캡(∩) 또는 컵(∪) 모양의 형태 또는 지그재그의 형태로 굴절하여 형성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붐은 속이 막힌 막대 또는 속이 빈 파이프로 구성할 수 있다. 붐은 종단부측이 힌지에 의해 수직축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게중심을 위해 종단부측에 웨이트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조종간은 예컨대, 상기 붐과 정렬을 이루면서 붐의 종단부에 텔레스코픽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바; 상기 슬라이드바에 직교상태로 결합되는 크로스바 및; 상기 크로스바와 상이한 각도를 이루면서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제각기 결합되는 그리퍼;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종간은 크로스바 및 그리퍼에 의해 자전거 핸들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다만, 조종간은 중앙에 슬라이드바가 돌출된 것이 자전거 핸들과 상이한 점이다. 이와 같은 조정간은 붐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전술한 웨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슬라이드바는 단부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바는 돌기를 갖는 단부가 붐의 종단부에 삽입된 후 유니언너트와 같은 부재에 의해 붐의 종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슬라이드바는 돌기가 유니언너트와 같은 부재에 걸림에 따라 붐의 종단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하면서 텔레스코픽작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슬라이더는 단부가 붐의 종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력이 조절됨에 따라 텔레스코픽작동을 실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크로스바는 일직선형태의 막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곡선을 갖는 막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전술한 그리퍼는 크로스바에 용접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크 로스바의 양단부를 경사지게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리퍼는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볼팅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그리퍼는 볼트의 체결력을 조절함에 따라 설치각도가 조절된다.
한편, 전술한 수평트레이는 평판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속이 비어있는 박스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수평상태로 서로 결합된 파이프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평트레이는 다만 수평을 유지하는 부재로 구성되면 족하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수평유지부재는 예컨대, 상기 수직축과 연결된 상기 붐의 종단부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장상태로 배선되어 붐의 선단부에 타측이 위치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트레이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을 상기 붐의 종단부측에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와이어는 붐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선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붐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링크는 일직선의 판재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절곡된 판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고정구는 예컨대, 상기 와이어의 일측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볼트; 상기 볼트가 관통상태로 체결되고, 상기 수직축에 내장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상기 수직축의 내부에 걸림상태로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볼트는 헤드를 갖는 유두볼트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헤드가 없는 무두볼트, 즉 스터드볼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린더는 일측에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공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는 수직축에 수평상태로 내장되어 실린더의 단부가 밀착되는 와셔형태의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평유지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긴장력을 강화시키는 텐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텐션부재는 예컨대,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는 아이들롤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들롤러는 단수개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아이들롤러는 전술한 수직축에 마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붐의 내부나 외주면측에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 받침대는 예컨대, 상기 수평트레이상에 수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측에 수직면을 갖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수평상태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재; 상기 수평회전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가 안착되는 안착판 및; 상기 안착판의 일측에 일부분이 고정되고, 다른 부분이 상기 턴테이블의 수직면에 고정되며, 수직면의 일측을 회전시켜서 안착판을 시이소운동하는 형태로 롤링시키는 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턴테이블은 일측에 수직을 이루는 수직면이 형성되도록 앵글형태의 판재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앵글형태의 박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회전부재는 예컨대, 상기 수평트레이 및 상기 카메라가 상부에 설치되는 턴테이블을 수직상태로 관통하면서 수평트레이 및 턴테이블을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일측의 외주면에 종동기어가 마련된 수직회전축 및; 상기 수직회전축의 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가 마련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수직회전축은 턴테이블만 회전되도록 수평트레이에 피벗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또, 구동모터는 구동력이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수직회전축과 병렬상태로 턴테이블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평회전부재는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제어기는 예컨대, 상기 턴테이블에 돌출형성되어 턴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는 돌기 및; 상기 돌기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밋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기는 턴테이블의 일부분을 절곡시켜서 마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턴테이블과 별개로 구성되어 턴테이블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는 턴테이블이 아닌 수평트레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리밋스위치는 이러한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안착판은 예컨대, 수평회전축이 용이하게 절곡형성되어 일측에 수직면을 갖는 앵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판은 전술한 롤링부재에 의해 롤링이 가능하도록, 수직면이 하부를 향하는 상태로 턴테이블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롤링부재는 예컨대, 상기 안착판의 일측 및 상기 턴테이블의 수직면을 수평상태로 관통하면서 안착판의 일측 및 턴테이블의 수직면을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일측의 외주면에 서브기어가 마련된 수평회전축 및; 상기 수평회전축의 서브기어를 회전시키는 마스터기어가 마련된 롤링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수평회전축은 안착판만 회전되도록 턴테이블의 수직면에 피벗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또, 구동모터는 구동력이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수직회전축과 병렬상태로 턴테이블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롤링부재는 상기 안착판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예컨대, 상기 안착판의 일측에 모서리를 갖는 곡선부를 형성하고, 이 곡선부의 하부에 상기 롤링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밋스위치를 마련하여, 안착판의 회전에 의해 모서리가 리밋스위치를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곡선부는 형상적 특성에 의해 안착판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이다. 그리고, 모서리는 형상적 특성에 의해 리밋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요소이다.
한편, 전술한 모터나 카메라는 리모컨에 의해 원격적으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컨은 예컨대, 상기 모터나 카메라의 작동속도를 제어하는 조이스틱 및; 상기 조이스틱 보다 상기 모터나 카메라의 작동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제어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조이스틱이나 제어버튼은 카메라의 줌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버튼은 카메라의 전원이나 녹화 또는 플레이 등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버튼은 조작이 조이스틱보다 간편하므로 조이스틱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즉, 조이스틱은 하단을 중심으로 경사를 형성하여야 작동을 제어 할 수 있지만, 제어버튼은 짧게 누르면서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응답성이 조이스틱 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제어버튼은 조이스틱 보다 정밀한 제어를 실시한다.
삭제
한편, 전술한 무빙장치의 편심축은 예컨대, 속이 꽉 채워진 금속재 강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예컨대, 상기 베이스에 수직상태로 고정되는 센터돌기; 상기 센터돌기에 끼워지고, 상기 편심부재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편심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하우징 및; 상기 회전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회전하우징과 상기 센터돌기 사이에서 완충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센터돌기와 회전하우징 및 베어링은 전술한 수직축에 적용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편심축은 연결부재를 통해 센터돌기가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편심축은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는 센터돌기가 관통상태로 고정되는 링형태나 관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편심부재는 장방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타원형이나 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심부재는 예컨대, 회로기판과 같은 부품이 내장되도록 속에 공간을 갖는 박스나 블럭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편심부재는 편심축을 중심으로 편심회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용 크레인은, 붐이 수직축 및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및 시이소운동하므로 카메라를 좌우 및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무빙장치의 편심부재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붐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붐의 선단에 마련된 카메라 받침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전후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카메라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와이어를 이용하여 붐의 선단에 고정된 수평트레이의 수평을 유지시키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카메라 받침대의 턴테이블이 수평트레이의 상부에 고정되므로 수평트레이가 카메라 받침대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리모컨을 조이스틱 및 제어버튼으로 구성할 경우 모터의 구동을 보다 정확하면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리모컨을 조종간에 마련할 경우 조종간을 조작하여 붐의 이동(상하, 전후, 좌우의 이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리모컨을 통해 모터의 구동과 카메라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회전억제부재의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되면서 체결력을 통해 수직축이나 편심부재의 회전력을 약화시키므로, 조종간을 약하게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여도 붐이나 편심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용 크레인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용 크레인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크레인에 적용되는 수평유지부재 및 회전억제부재가 확대 도시된 크레인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조종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받침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붐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붐의 또 다른 이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용 크레인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0); 수직축(70); 붐(BM); 조종간(80); 수평트레이(BM1) 및; 카메라 받침대(90), 그리고 후술되는 수평유지부재 및 무빙장치를 포함한다.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와 같은 형태로 절곡된 중공파이프이다.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70) 및 박스형태로 형성된 무빙부재의 편심부재(60)를 통해 베이스(50)에 고정된다.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G)에 의해 수직축(70)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때,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돌출형성된 판상의 브래킷(BK)이 힌지(HG)에 의해 수직축(70)의 상단부에 고정됨에 따라 수직축(7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수평트레이(BM1)가 연결되고, 종단부에 조종간(80)이 연결된다.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수평유지부재의 와이어(WR)가 내장된다.
수평트레이(BM1)는 도시된 바와 같은 평판이며, 힌지(HG)에 의해 붐(BM)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수평트레이(BM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CA)가 설치된 카메라 받침대(90)가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조종간(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82) 및 그리퍼(86)를 갖는다. 조정간(80)은 카메라 받침대(90)와 균형을 이루는 웨이트(WT)가 마련된다.
수직축(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60)의 타측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수직축(70)은 편심부재(60)를 통해 베이스(50)상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수직축(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을 이룸에 따라 편심부재(60) 및 붐(BM)과 직교상태를 이룬다. 즉, 편심부재(60) 및 붐(BM)은 수직을 이루는 수직축(70)과 달리 수평상태를 이룬다. 수직축(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6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수직축(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MT)가 장착된다. 물론, 모니터(MT)는 카메라(CA)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현시한다.
무빙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60) 및 편심축(62)으로 구성된다. 편심부재(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회로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장착부(64)를 갖는다. 편심부재(60)는 일측이 편심축(62)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베이스(50)의 컬럼(52)에 고정된다. 따라서, 컬럼(52)은 지지대(54)에 지지된 상태로 편심부재(60)를 지지한다.
한편, 베이스(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TN)를 갖는다. 이러한 단자부(TN)는 전원단자나 영상입출력단자 또는 케이블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부(TN)는 도면상의 확대도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7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베이스(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52) 및 지지대(54)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의 랙(56)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미도시된 전원케이블이나 카메라 케이블과 같은 전선은 내부가 비어있는 베이스(50)와 편심부재(60), 수직축(70) 및 붐(BM)의 내부로 배선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직축(70)은 확대도 "④"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일직선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하우징(70a), 센터돌기(BT) 및 베어링(BR, BS)로 구성된다. 수직축(7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60)에 수직상태로 고정된 원통식 볼트형태로 형성된 센터돌기(BT)에 회전하우징(70a)이 끼워진다. 회전하우징(70a) 및 센터돌기(BT)는 슬러스트베이링(BS) 및 구름베어링(BR)이 개재된다. 슬러스트베어링(BS)은 부쉬형태로 형성되며, 구름베어링(BR)의 상부에 위치한다. 센터돌기(BT)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너트(NT)가 체결된다. 가압너트(NT)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스트베어링(BS)을 가압한다. 물론, 슬러스트베어링(BS)은 가압력에 의해 볼베어링(BR)을 가압한다.
편심축(62)은 확대도 "⑪"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70)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편심축(62)은 센터돌기(BT), 회전하우징(60a) 및 베어링(BR, BS)로 구성된다. 그리고, 편심축(62)은 센터돌기(BT)의 단부에 회전하우징(60a)이 끼워져서 고정되며, 베어링(BS, BR) 및 가압너트(NT)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편심축(62)은 센터돌기(BT)를 베이스(50)에 고정하기 위해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링형태의 연결부재(62a)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수평유지부재는 확대도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R), 링크(LK) 및 와이어 고정구로 구성된다. 와이어 고정구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T) 및 일측이 폐쇄된 원통형의 실린더(CY)로 구성된다. 이러한 볼트(BT)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CY)의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너트(NT)에 의해 실린더(CY)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와이어(WR)는 용접이나 볼팅에 의해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T)에 일측이 연결된다. 와이어(WR)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T)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붐(BM)의 내부에 내장된다.
여기서, 수평유지부재는 와이어(WR)의 긴장력을 강화시키는 텐션부재에 의해 긴장력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텐션부재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아이들롤러(IR)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WR)는 아이들롤러(IR)에 지지됨에 따라 긴장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와이어(WR)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볼트(BT)에 고정된 상태로 타측에 붐(BM)의 선단측에 마련된 링크(LK)에 고정된다. 즉, 와이어(WR)는 붐(BM)의 종단측에서부터 선단측까지 배선된다. 이때, 링크(LK)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힌지(HG)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수평트레이(BM1)에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아이들롤러(IR)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붐(BM)을 수직축(70)에 고정하는 힌지(HG)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거나, 브래킷(BK) 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볼트(BT)는 너트(NT)가 강하게 체결될 경우 와이어(WR)를 당기면서 긴장시키고, 너트(NT)가 풀릴 경우 와이어(WR)를 이완시킨다. 즉, 볼트(BT)는 체결력을 이용하여 와이어(WR)의 긴장력을 조절한다.
또 한편, 실린더(CY)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된 전선이 배선되는 배선공(WH)이 측방에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미도시된 전선은 배선공(WH)을 통해 붐(BM)으로 유입된다.
다른 한편, 수직축(7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부쉬형태의 스토퍼(ST)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따라서, 실린더(CY)는 스토퍼(ST)의 단부에 끼워져서 수직축(70)의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실린더(CY)는 볼트(BT)가 강하게 체결될 경우 스토퍼(ST)에 걸림에 따라 더 이상 상부로 이동할 수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종간(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82), 크로스바(84) 및 그리퍼(86)로 구성된다. 슬라이드바(8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언너트(UM)와 함께 붐(BM)의 종단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서 고정된다. 크로스바(84)는 슬라이드바(82)에 직교상태로 결합된다. 그리퍼(86)는 크로스바(84)의 단부에 연결된다.
조종간(80)은 확대도 "⑤"에 도시(평면도)된 바와 같이 직교상태로 결합된 슬라이드바(82) 및 크로스바(84)에 의해 실질적으로 "ㅏ"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크로스바(8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T)에 의해 그리퍼(86)가 양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크로스바(84)는 붐(BM)의 균형을 유지하는 웨이트(WT)가 마련된다.
여기서, 한쌍으로 이루어진 전술한 그리퍼(8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이스틱(JS) 및 제어버튼(BN)으로 구성된 리모컨이 마련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그리퍼(86)에 마련된 조이스틱(JS) 및 제어버튼(BN)은 전술한 카메라(CA)의 줌 및 전원 등을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그러퍼(86)에 마련된 조이스틱(JS) 및 제어버튼(BN)은 카메라(CA)를 회전시키는 후술되는 모터(94b, 98b)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물론, 제어버튼(BN)은 조작이 간편하므로 모터(94b, 98b)의 구동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조이스틱(JS)은 세밀하게 조작하기 어려우므로 모터(94b, 98b)의 구동속도를 제어버튼(BN) 보다 덜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슬라이드바(82)는 확대도 "⑥"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돌기(82a)를 갖는다. 이러한 돌기(8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형태로 형성되며, 슬라이드바(82)가 붐(BM)에 결합될 경우 붐(BM)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돌기(8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언너트(UN)에 걸림에 따라 슬라이드바(8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슬라이드바(82)는 붐(BM)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C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받침대(90)에 고정된다. 카메라 받침대(90)는 확대도 "⑩"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수직면(92a)을 갖는 턴테이블(92) 및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안착판(96), 그리고 후술되는 수평회전부재 및 롤링부재로 구성된다.
카메라 받침대(9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92)이 수평트레이(BM1)상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며, 턴테이블(92)의 상부에는 카메라(CA)가 안착되는 안착판(96)이 설치된다. 따라서, 카메라 받침대(9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트레이(BM1)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턴테이블(9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전부재의 수직회전축(94a)를 통해 수평트레이(BM1)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턴테이블(92)은 수직회전축(94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안착판(96)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부재의 수평회전축(98a)을 통해 턴테이블(92)의 수직면(92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안착판(96)은 수평회전축(98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한편, 수직회전축(94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종동기어(G1)가 마련된다. 이러한 종동기어(G1)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94b)의 구동기어(G2)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직회전축(94a)을 회전시킨다. 물론, 수직회전축(94a)은 턴테이블(92)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종동기어(G1)가 마련된 수직회전축(94a) 및 구동기어(G2)가 마련된 구동모터(94b)는 전술한 수평회전부재의 구성요소이다.
또, 수평회전축(98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서브기어(G3)가 마련된다. 이러한 서브기어(G3)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모터(98b)의 마스터기어(G4)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평회전축(98a)을 회전시킨다. 물론, 수평회전축(98a)은 안착판(96)을 회전시킨다. 즉, 안착판(96)은 수평회전축(98a)을 중심으로 롤링한다. 이와 같은 서브기어(G3)가 마련된 수평회전축(98a) 및 마스터기어(G4)가 마련된 롤링모터(98b)는 전술한 롤링부재의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전술한 턴테이블(92)은 확대도 "⑧"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밋스위치(LS) 및 돌기(PT)로 구성된 회전제어기에 의해 회전이 제어된다. 이러한 리밋스위치(LS)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92)에 마련되어 턴테이블(92)과 함께 회전하는 돌기(PT)에 의해 작동한다. 즉, 리밋스위치(LS)는 돌기(PT)가 충돌할 경우 전술한 구동모터(94b)의 전원을 오프(OFF)시킨다. 따라서, 턴테이블(92)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한다.
이와 달리, 전술한 안착판(96)은 확대도 "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곡선부(96b) 및 모서리부(96a)를 갖는다. 물론, 모서리부(96a)는 곡선부(96b)의 곡선이 완료되는 변곡점이다.
안착판(96)은 전술한 곡선부(96b)와 모서리부(96a) 및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일측의 하부에 위치한 리밋스위치(LS)로 이루어진 회전제어수단에 의해 회전이 제어된다. 리밋스위치(LS)는 안착판(96)의 곡선부(96b)가 회전할 경우 곡선부(96b)의 곡선에 의해 곡선부(96b)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작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리밋스위치(LS)는 안착판(96)의 회전에 의해 모서리부(96a)와 충돌할 경우 전술한 롤링모터(98b)의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안착판(96)은 더 이상 롤링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편심축(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60)의 회전중심에 위치한다. 그리고, 수직축(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60)의 이동시 원을 형성하면서 이동한다. 이때,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받침대(90)와 함께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60)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 상태에서 수직축(7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받침대(90)와 함께 회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용 크레인의 작동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붐(BM)은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간(80)이 승강될 경우, 힌지(HG)를 중심으로 시이소 운동하면서 카메라(CA)를 승강시킨다. 이와 달리, 붐(BM)은 조종간(80)이 좌우로 이동될 경우 수직축(70)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카메라(CA)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붐(BM)은 조종간(80)의 웨이트(WT)에 의해 무게중심을 유지한다.
무빙장치의 편심부재(60)는 카메라(CA)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할 경우 확대도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축회전하면서 수직축(70)을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수직축(7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60)가 약간만 편축회전할 경우, 회전반경(CT1)에서 약간만 이동(L1)하고, 편심부재(60)가 크게 편축회전할 경우 회전반경(CT1)에서 많이 이동(L2)한다. 따라서, 카메라(CA)는 확대도 "②"에 도시(평면도)된 바와 같이 전진이나 후진한다.
한편, 편심부재(60)의 편축회전시, 붐(BM)은 수직축(7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평면상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붐(BM)은 수직축(7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편심부재(60)의 회전시 대각선을 형성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 수평트레이(BM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붐(BM)이 시이소운동을 실시하여도 수평유지부재의 와이어(WR)에 의해 항상 수평을 유지한다. 이때, 와이어(WR)는 붐(BM)의 선단에 설치된 링크(LK)를 당겨서 수평트레이(BM1)의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직축(70) 및 편심부재(60)는 확대도 "④"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가압너트(NT)가 센터돌기(BT)에 체결되어 슬러스트베어링(BS)을 가압함에 따라 자체적으로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수직축(70) 및 편심부재(60)는 가압너트(NT)의 가압력으로 인하여 저절로 회전되지 못한다. 이때, 슬러스트베어링(BS)은 가압력은 하부의 구름베어링(BR)에 전달한다. 따라서, 구름베어링(BR)은 가압력에 의해 회전이 억제된다. 즉, 수직축(70) 및 편심부재(60)는 사용자가 조종간(80)을 파지하지 않아도 센터돌기(BT) 및 가압너트(NT)의 체결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다. 물론, 가압너트(NT)는 사용자가 조종간(80)을 조작할 경우 수직축(70) 및 편심부재(60)가 회전될 정도의 압력으로 슬러스트베어링(BS)을 가압하여야 함은 자명하다.
와이어(WR)는 확대도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T)에 고정되고, 아이들롤러(IR)에 가압됨에 따라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와이어(WR)는 실린더(CY)에 체결된 너트(NT)를 풀거나 조이면서 볼트(BT)의 체결력을 조절할 경우 장력이 조절된다. 이러한 와이어(WR)는 카메라 받침대(90)가 하강할 경우 팽팽하게 긴장되면서 붐(BM)의 선단에 설치된 링크(LK)를 당긴다. 이때, 링크(LK)는 수평트레이(BM1)의 단부를 당겨서 수평트레이(BM1)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수평트레이(BM1)는 링크(LK)가 단부를 당김에 따라 하부로 경사를 형성하지 못하고 수평을 이룬다. 따라서, 카메라 받침대(90)는 붐(BM)의 하강시에도 수평을 유지한다. 물론, 와이어(WR)는 붐(BM)이 상승할 경우 이완되면서 링크(LK)의 당김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수평트레이(BM)는 상부로 경사를 형성하지 못하고 수평을 유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종간(80)은 확대도 "⑥"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82)가 붐(BM)의 종단부에서 텔레스코픽함에 따라 붐(BM)의 무게중심을 변경시킨다. 만약, 조종간(80)은 붐(BM)의 선단부에 무게가 무거운 카메라가 설치될 경우 슬라이드바(82)를 인출시켜서 웨이트(WT)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조종간(80)은 붐(BM)의 선단부에 무게가 가벼운 카메라가 설치될 경우 슬라이드바(82)를 붐(BM)의 내측으로 삽입시켜서 웨이트(WT)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붐(BM)은 카메라의 무게와 상관없이 원하는 상태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조종간(80)은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그리퍼(86)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그리퍼(86)는 전술한 볼트(BT)의 체결력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CA)는 카메라 받침대(90)의 턴테이블(92)이 수평회전부재의 구동모터(94b)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수평트레이(BM1)상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촬영을 실시한다. 그리고, 안착판(96)이 롤링부재의 롤링모터(98b)에 의해 롤링됨에 따라 턴테이블(92)상에서 롤링하면서 촬영을 실시한다.
턴테이블(92) 및 안착판(96)은 확대도 "⑧" 및 "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제어기의 리밋스위치(LS)에 의해 회전이 제어된다. 즉, 턴테이블(92) 및 안착판(96)은 리밋스위치(LS)에 의해 과도한 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수평트레이(BM1)는 확대도 "⑩"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붐(BM)에 힌지(HG)로 고정된 상태로 링크(LK)에 힌지고정되므로, 붐(BM)이 시이소 운동할 경우 와이어(WR)의 긴장력에 의해 항상 수평을 유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일직선을 유지한 상태로 전후진될 수 있다. 이때,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장치의 편심부재(60)가 편심축(62)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함에 따라 평면상 일직선을 유지한 상태로 전후진될 수 있다. 물론, 붐(BM)은 편심부재(60)의 편축회전시 수직축(7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일직선을 유지한다. 이러한 붐(BM)은 사용자가 조종간(80)을 좌우로 이동시키지 않고 전후로만 이동시킴에 따라 일직선을 유지한다. 따라서, 카메라 받침대(90)는 일직선상태를 유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60)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한 후 수직축(7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붐(BM)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대각선 방향을 형성한다. 이러한 붐(BM)은 조종간(80)이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대각선 방향을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 받침대(90)는 붐(BM)과 함께 대각선방향을 유지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영상촬영용 크레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붐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받침대 및 수평트레이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용 크레인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크레인에 적용되는 수평유지부재 및 회전억제부재가 확대 도시된 크레인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조종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받침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붐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도 9는 붐의 또 다른 이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50 : 베이스
60 : 편심부재
70 : 수직축
80 : 조종간
90 : 카메라 받침대
BM : 붐
BM1 : 수평트레이

Claims (18)

  1. 카메라(CA)를 현수하여 촬영위치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50);
    상기 베이스(50)의 상부에서 수직을 이루는 수직축(70);
    상기 수직축(70)에 일부분이 힌지(HG)로 결합되어 힌지(HG)를 중심으로 시이소운동을 실시하고, 수직축(70)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붐(BM);
    상기 붐(BM)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붐(BM)의 이동을 조종하는 조종간(80);
    상기 조종간(80)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붐(BM)의 선단부에 힌지(HG)로 결합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트레이(BM1);
    상기 수평트레이(BM1)의 회전을 상기 붐(BM)의 운동상태에 따라 제어하여 수평트레이(BM1)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부재;
    상기 수평유지부재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는 상기 수평트레이(BM1)상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CA)가 촬상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카메라 받침대(90); 및
    상기 수직축(70)과 연결되고, 상기 조종간(80)의 조종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붐(BM)을 전후방이나 좌우측으로 견인하여 상기 카메라 받침대(90)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무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장치는,
    상기 베이스(5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편심축(62); 및
    상기 편심축(62)이 일측에 연결되어 편심축(62)을 중심으로 편심회전하고, 상기 수직축(70)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편심부재(60);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50)는,
    상기 무빙장치에 연결되는 컬럼(52); 및
    상기 컬럼(52)의 하부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시키는 지지대(54);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50)는,
    상기 무빙장치에 연결되고, 수납실을 갖는 랙(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축(70)은,
    상기 무빙장치에 연결된 상태로 수직을 이루는 센터돌기(BT);
    상기 센터돌기(BT)에 끼워져서 상기 붐(BM)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하우징(70a); 및
    상기 회전하우징(70a)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회전하우징(70a)과 상기 센터돌기(BT) 사이에서 완충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간(80)은,
    상기 붐(BM)과 정렬을 이루면서 붐(BM)의 종단부에 텔레스코픽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바(82);
    상기 슬라이드바(82)에 직교상태로 결합되는 크로스바(84); 및
    상기 크로스바(84)와 상이한 각도를 이루면서 크로스바(84)의 양단부에 제각기 결 합되는 그리퍼(86);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부재는,
    상기 수직축(70)과 연결된 상기 붐(BM)의 종단부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붐(BM)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장상태로 배선되어 붐(BM)의 타단부에 타측이 위치하는 와이어(WR);
    상기 와이어(WR)의 타측이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트레이(BM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링크(LK); 및
    상기 링크(LK)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WR)의 일측을 상기 붐(BM)의 일단부측에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구;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구는,
    상기 와이어(WR)의 일측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볼트(BT);
    상기 볼트(BT)가 관통상태로 체결되고, 상기 수직축(70)에 내장되는 실린더(CY); 및
    상기 실린더(CY)를 상기 수직축(70)의 내부에 걸림상태로 지지하는 스토퍼(ST);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부재는,
    상기 와이어(WR)의 긴장력을 강화시키는 텐션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텐션부재는,
    상기 와이어(WR)를 가압하는 아이들롤러(I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받침대(90)는,
    상기 수평트레이(BM1)상에 수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수직면(92a)을 갖는 턴테이블(92);
    상기 턴테이블(92)을 수평상태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재;
    상기 수평회전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턴테이블(92)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CA)가 안착되는 안착판(96); 및
    상기 안착판(96)의 일측에 일부분이 고정되고, 다른 부분이 상기 턴테이블(92)의 수직면(92a)에 고정되며, 수직면(92a)의 일측을 회전시켜서 안착판(96)을 시이소운동하는 형태로 롤링시키는 롤링부재;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부재는,
    상기 수평트레이(BM1) 및 상기 카메라(CA)가 상부에 설치되는 턴테이블(92)을 수직상태로 관통하면서 수평트레이(BM1) 및 턴테이블(92)을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일측의 외주면에 종동기어(G1)가 마련된 수직회전축(94a); 및
    상기 수직회전축(94a)의 종동기어(G1)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G2)가 마련된 구동모터(94b);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92)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어기는,
    상기 턴테이블(92)에 돌출형성되어 턴테이블(92)과 함께 회전하는 돌기(PT); 및
    상기 돌기(PT)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구동모터(94b)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밋스위치(LS);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재는,
    상기 안착판(96)의 일측 및 상기 턴테이블(92)의 수직면(92a)을 수평상태로 관통하면서 안착판(96)의 일측 및 턴테이블(92)의 수직면(92a)을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일측의 외주면에 서브기어(G3)가 마련된 수평회전축(98a); 및
    상기 수평회전축(98)의 서브기어(G3)를 회전시키는 마스터기어(G4)가 마련된 롤링모터(98b);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96)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안착판(96)의 일측에 모서리(96a)를 갖는 곡선부(96b)를 형성하고, 이 곡선부(96b)의 하부에 상기 롤링모터(98b)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밋스위치(LS)를 마련하여, 안착판(96)의 회전에 의해 모서리(96a)가 리밋스위치(LS)를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나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모컨은,
    상기 모터나 카메라의 작동속도를 제어하는 조이스틱(JS); 및
    상기 조이스틱(JS) 보다 상기 모터나 카메라의 작동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제어버튼(BN);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62)은,
    상기 베이스(50)에 수직상태로 고정되는 센터돌기(BT);
    상기 센터돌기(BT)에 끼워지고, 상기 편심부재(60)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편심부재(6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하우징(60a); 및
    상기 회전하우징(60a)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회전하우징(60a)과 상기 센터돌기(BT) 사이에서 완충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17. 제 4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회전하우징 및 센터돌기(BT) 사이에 개재되는 슬러스트베어링(BS); 및
    상기 슬러스트베어링(BS)과 함께 마찰저항을 완충하는 구름베어링(BR);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18. 제 4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우징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억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억제부재는,
    상기 센터돌기(BT)에 체결되면서 상기 베어링을 가압하는 가압너트(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용 크레인.
KR1020090007274A 2008-01-30 2009-01-30 영상촬영용 크레인 KR10091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0460 WO2009096732A2 (ko) 2008-01-30 2009-01-30 영상촬영용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398 2008-01-30
KR20080009398 2008-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879A KR20090083879A (ko) 2009-08-04
KR100915862B1 true KR100915862B1 (ko) 2009-09-07

Family

ID=4120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274A KR100915862B1 (ko) 2008-01-30 2009-01-30 영상촬영용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8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513B1 (ko) 2012-03-22 2013-06-25 (주)헥사시스템즈 근력 지원 링크 장치
KR101366067B1 (ko) 2012-03-22 2014-02-25 (주)헥사시스템즈 근력 지원 링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5740B1 (en) * 2012-06-19 2013-07-16 Chapman/Leonard Studio Equipment, Inc. Camera head with pan, roll and tilt movement
CN112377788B (zh) * 2020-11-14 2022-05-17 徐州长航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角度方位的吊机显示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025Y1 (ko) * 2006-07-13 2006-10-04 백금순 카메라용 크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025Y1 (ko) * 2006-07-13 2006-10-04 백금순 카메라용 크레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513B1 (ko) 2012-03-22 2013-06-25 (주)헥사시스템즈 근력 지원 링크 장치
KR101366067B1 (ko) 2012-03-22 2014-02-25 (주)헥사시스템즈 근력 지원 링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879A (ko)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862B1 (ko) 영상촬영용 크레인
US6517207B2 (en) Camera crane
JP3155340U (ja) 移動式ディスプレイ取付装置
WO2019178881A1 (zh) 竖向增稳机构、云台装置以及拍摄系统
US20080192419A1 (en) Display Screen Turning Apparatus
EP1870140A1 (en) Balance training apparatus
JP2009526573A (ja) 小型ジム
JP2007142993A (ja) カメラ姿勢制御装置及び移動型カメラ装置
WO2016165605A1 (zh) 云台手持架
CN111609281B (zh) 纵向增稳式手持机架及手持摄影器材
US20100264283A1 (en) Support for compact video camera
JP2011118017A (ja) 撮影補助装置
WO2019178882A1 (zh) 竖向增稳机构、云台装置以及拍摄系统
WO2009096732A2 (ko) 영상촬영용 크레인
CN112161181A (zh) 两向增稳式手持机架及手持摄影器材
CN113418106A (zh) 竖向增稳机构及云台装置
JP2013517832A (ja) 競技用移動式バスケットボール台
WO2019178884A1 (zh) 竖向增稳机构、云台装置以及拍摄系统
CN113294671A (zh) 竖向增稳机构
CN114294531A (zh) 竖向增稳机构
CN114110364A (zh) 竖向增稳机构
KR200428025Y1 (ko) 카메라용 크레인
JP2006125583A (ja) カメラ用ペデスタル
JP4443895B2 (ja) 橋梁下面の長尺付属物用点検装置
KR100852248B1 (ko) 카메라용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