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182B1 - Af 검파의 광학 줌 보정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Af 검파의 광학 줌 보정 촬상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182B1
KR100915182B1 KR1020070085049A KR20070085049A KR100915182B1 KR 100915182 B1 KR100915182 B1 KR 100915182B1 KR 1020070085049 A KR1020070085049 A KR 1020070085049A KR 20070085049 A KR20070085049 A KR 20070085049A KR 100915182 B1 KR100915182 B1 KR 100915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detection value
correction
calculated
f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8764A (ko
Inventor
아키라 오카와
다카아키 요네카와
노리유키 우에니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6Bracketing for image capture at varying focus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Focu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F 검파값에 의한 포커스 상태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촬상 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커스 렌즈(11)를 이동시키는 오토 포커스 구동부(12)와, 촬상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상태를 나타내는 AF 검파값을 산출하는 AF 처리부(15, 16)와, 촬상 데이터로부터 휘도값을 산출하는 휘도 처리부(15, 16)와, 산출한 AF 검파값을, 산출한 휘도값에 의해 보정하여 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는 보정부(15, 16)와, 산출한 보정 AF 검파값에 기초하여 오토 포커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한다. 촬상 데이터는 자동 노광 처리가 행해져 있지 않은 데이터이다.

Description

AF 검파의 광학 줌 보정 촬상 장치{IMAGING APPARATUS WITH AF OPTICAL ZOOM}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 전화에 부착된 카메라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갖는 디지털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촬상 장치의 합초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는, 고화소화·고기능화가 진행되어 카메라가 자동적으로 포커스를 맞추는 오토 포커스 기능의 탑재가 보급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초점(핀트)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측정 포인트마다의 검파값에 의해 합초 위치를 판정하는 오토 포커스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화상의 합초(포커스) 상태는 CCD나 CMOS 센서 등의 촬상 소자로부터 얻어지는 촬상 데이터를 고역 필터에 통과시켜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고, 그 성분량에 의해 판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외에도 각종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오토 포커스 방식에 대해서는 예컨대, 특허 문헌 1 및 2 등에 기재되어 있고,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어떠한 합초 상태의 검출 방법에도 사용 가능하며, 여기서는 촬상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포커스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AF 검파값이라 칭하는 것으로 한다.
일반적인 오토 포커스 방식에서는, 포커스 렌즈를 이동 범위(포커스 범위)의 최근점(포커스 범위의 무한단측)으로부터 최원점(最遠点)(포커스 범위의 근접단측)을 향해 소정 피치로 이동시키고, 각 점의 촬상 데이터로부터 AF 검파값을 산출하며, AF 검파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포커스 위치로 하여 포커스 렌즈를 이 위치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포커스 렌즈를 최근점에서 최원점을 향해 이동시키고, AF 검파값이 피크값을 지나 감소를 시작하는 것을 검출하여 포커스 렌즈를 피크값이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방법은 마운틴 클라이밍(mountain-climbing) 방식이라 불린다.
도 1은 상기 종래 방식에 의해 합초 위치를 판정하는 처리를 설명한 도면으로서, (A)가 측정 포인트에 있어서의 초점 거리와 AF 검파값의 측정치를 나타내고, (B)가 횡축을 초점 거리, 종축을 평가값(AF 검파값)으로 했을 때의 그래프 A이다.
이 예에서는,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범위의 무한단측(50000 ㎜)으로부터 AF 검파값을 산출하면서 순차 포커스 범위의 근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산출한 AF 검파값을 평가값으로 한다. AF 검파값이 최대(피크값)가 되는 초점 거리를 초점 위치로서 판정하지만, 이 예에서는 P로 나타내는 최근방측인 50 ㎜ 위치에 가장 핀트가 맞고 있다고 판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거기로 이동시킨다.
AF 검파값의 산출은 촬상 장치가 취득하는 촬상 데이터 중, 소정의 범위(AF 검파 프레임) 내의 촬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범위를 복수 갖는 경우도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범위는 화상의 중앙부에 1개의 범위를 갖는 경우이다.
도 2의 (A) 및 (B)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상한 어느 화상의 예로서, 참조 번호 1이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프레임을 나타내고, 2가 AF 검파 프레임을 나타내며, 인간(3)이 화상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도이다. 도 2의 (A)는 포커스 렌즈를 무한단으로 한 경우의 화상이고, 도 2의 (B)는 포커스 렌즈를 근방단으로 한 경우의 화상이다. 이 경우, 광학줌의 영향이 나타나 (B)의 화상은 (A)의 화상보다 확대(렌즈 구성에 따라서는 반대로 축소하는 경우도 있음)된다. 확대의 정도는 렌즈 구성에 따라 다르다. AF 검파 프레임(2)은 입력 화상에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이기 때문에, (B)의 화상에서는, AF 검파 프레임(2) 내의 피사체(인간)가 커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 검파 프레임(2) 내에 형광등(4)과 같은 휘도가 높은 물체가 들어 있으면, 이 형광등(4)도 광학줌의 영향에 의해 커지고, 고휘도의 형광등(4)의 AF 검파 프레임(2) 내에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여 AF 검파값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AF 검파값만을 평가값으로 하여 합초 위치를 판정하면, 근방측에서 광학줌의 영향에 의한 고휘도 물체의 확대 현상이 크게 나타나게 되어 본래의 피사체의 위치보다도 근방측에 포커스 위치가 있다고 잘못 판정하게 된다.
특허 문헌 1은 자동 노광(AE) 제어된 촬상 신호(데이터) 중의 휘도 신호의 고역 성분의 피크값(AF 검파값에 상당)을 검파하는 동시에, 적분 회로에서 휘도 신호의 고역 성분의 평균치를 검출하고, 이것에 소정의 계수를 곱하여 직류 레벨을 산출하여 고역 성분의 피크값에서 뺌으로써, 휘도의 영향을 저감한 오토 포커스 회로를 기재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는 휘도값에 소정 계수가 곱해진 값과 콘트라스트값(AF 검파값에 상당)과의 차분값을 산출하여 차분값이 임계치보다 클 때에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변경하는 렌즈 제어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평성 제8-1560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제2005-338514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부터, AF 검파값으로의 휘도값의 영향을 저감하는 것이 행해져 왔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성은 AE 제어된 촬상 신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고 있고,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AE 제어를 행하면서 오토 포커스 처리를 행하는 것은 연산 처리량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나 AE 수속(收束) 도중의 상태에서 AF를 개시했을 때에 피사체의 밝기가 변화됨으로써 안정된 AF 검파값을 취득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 오토 포커스 처리를 행할 때에는 AE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휴대 전화에 부착된 카메라 등 저렴한 카메라의 경우에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처리를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인용 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산출한 차분값의 변동이 반드시 적절한 보정을 지시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AF 검파값에 의한 포커스 상태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촬상 장치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포커스 렌즈 구동에 의한 광학줌의 영향이 발생한 것에 따른 AF 검파값의 편차를 휘도값의 변화율에 의해 보정하고, 보정한 값을 AF 평가값으로서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F 검파시에 검파점마다의 휘도도 산출해 두고, 휘도의 변화의 역수를 AF 검파값에 계수로서 곱하여 휘도에 의한 상승을 억제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정 AF 검파값은 개시점의 휘도값과 각 점에서 산출한 휘도값과의 비를 AF 검파값에 곱한 값이다.
본 발명은 자동 노광 처리가 행해져 있지 않은 촬상 데이터에 적용된다.
AF 검파값은 촬상 데이터 내의 소정의 오토 포커스 테두리 내의 AF 검파값의 적산값이며, 휘도값은 오토 포커스 테두리 내의 휘도값의 적산값이다.
본 발명은 상기 마운틴 클라이밍 방식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오토 포커스 범위의 개시점에서 종료점까지 포커스 위치를 변경하여 오토 포커스 범위의 모든 포인트에서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촬상 데이터로부터 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며, 산출한 보정 AF 검파값이 피크값을 나타낸 위치를 포커스 위치라고 판정하고, 판정한 포커스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촬상 데이터에 개시점의 휘도값과 각 점에서 산출한 휘도값과의 비를 곱하여 보정 촬상 데이터를 산출하고, 보정 촬상 데이터로부터 AF 검파값을 산출하여 이것을 평가값으로 하여도 좋다.
종래 기술과 같이 검파값만으로 합초 위치 판정을 행하면 검파값에 다른 요인이 있었던 경우에 합초 위치를 잘못 판정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휘도값을 보정 계수로 함으로써 정확하게 합초 위치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처리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 장치(디지털 카메라)는 광학줌에 의한 영향을 상쇄시킴으로써 적절한 평가값을 도출하고, 그 평가값을 이용하여 합초 위치를 판정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잘못 판정하지 않고 정확하게 피사체의 초점 거리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합초 위치 산출 처리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설명에 사용하는 화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AF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실시예의 합초 위치 산출 처리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합초 위치 산출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합초 위치 산출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합초 위치 산출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렌즈부
12 : 오토 포커스 구동부
13 : 센서부
14 : A/D 변환부
15 : 신호 처리부
16 : 제어부
17 : 표시부
18 : 조작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오토 포커스(AF) 카메라(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 카메라(10)는 피사체(3)로부터의 광을 받아들여 화상을 투영하는 렌즈부(11)와, 렌즈부(11)의 렌즈를 이동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변동시키는 오토 포커스 구동부(12)와, 렌즈부(11)에 의해 투영된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13)와, 센서부(13)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하는 A/D 변환부(14)와, A/D 변환부(14)로부터의 디지털 촬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5)와, 각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6)와,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7)와, 카메라의 기동/정지, 오토 포커스 개시/정지, 촬영 개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그 제어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조작부(18)를 갖는다.
오토 포커스 구동부(12)는 제어부(16)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렌즈를 이동함으로써 센서부와의 거리를 변경하여 핀트가 맞는 피사체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센서부(13)는 CCD나 C-MOS 센서 등을 가지며, 투영된 화상에 대응하는 RGB 3색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생성한다. 신호 처리부(15)는 A/D 변환부(14)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바탕으로 오토 포커스 테두리 내의 AF 검파값의 적산값 및 휘도값의 적산값을 산출하는 신호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16)는 조작부(18)로부터 오토 포커스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신호 처리부(15) 및 오토 포커스 구동부(12)에 대하여 제어를 행하고, 표시부(17)에도 화상 데이터를 전달한다. 신호 처리부(15) 및 제어부(16)는 하나의 컴퓨터로 실현된다.
이상 설명한 도 3의 AF 카메라의 구성은 종래예와 동일하며, 본 실시예의 AF 카메라는 신호 처리부(15) 및 제어부(16)에서 행하는 포커스 위치의 검출 처리가 종래예와 다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합초 위치 판정 처리를 설명한 도면으로서, (A)가 측정점(포인트)에 있어서의 초점 거리, AF 검파값, 휘도값 및 AF 평가값을 나타내고, (B)가 횡축을 초점 거리, 종축을 AF 검파값, 휘도값 및 AF 평가값(보정 AF 검파값)으로 했을 때의 그래프로서, A가 AF 검파값의 그래프이며, B가 휘도값의 그래프이고, C가 AF 평가값(보정 AF 검파값)의 그래프이다. 도 4의 AF 검파값(그래프 A)은 도 1의 AF 검파값과 동일하게 변화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 검파값은 초점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증가하지만, 증가율은 서서히 감소한다. 휘도값은 초점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증가하며, 증가율은 거의 일정하다.
제1 실시예에서는, 개시점에 있어서의 휘도값을 기준 휘도(L0)로 하고, 각 점에서의 휘도값을 L, AF 검파값을 S라고 하면, AF 평가값(보정 AF 검파값) H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다.
H = S × L0 / L
도 4 의 (A)의 값의 경우에는, AF 평가값(보정 AF 검파값) H는 도 4의 (B)와 같이 변화되고, 초점 거리가 2000 ㎜인 위치에서 최대값(피크값)이 된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예와 비교하여 밝혀진 바와 같이, AF 검파값은 동일하게 변화되지만, 종래예에서는 초점 거리 50 ㎜인 위치가 합초(포커스) 위치였지만, 제1 실시예에서는 초점 거리 2000 ㎜인 위치가 포커스 위치가 되었다. 실제로 포커스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제1 실시예의 초점 거리 2000 ㎜인 위치가 포커스 위치로서 적당하였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합초(포커스) 위치의 산출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조작부(18)로부터 오토 포커스 개시 요구가 발생했을 때에 AF 처리가 개시된다(단계 100). 오토 포커스 처리가 개시되면, 단계 101에서 포커스 렌즈를 무한단측인 측정 포인트 1[도 4의 (A) 참조]로 이동시킨다.
단계 102에서 AF 검파 프레임(2) 내의 AF 검파값을 적산하여 그 측정 포인트에 있어서의 AF 검파값을 산출한다.
단계 103에서 동일한 측정 포인트에서 AF 검파 프레임(2) 내의 휘도값을 적산하여 그 측정 포인트에 있어서의 휘도값도 산출한다.
단계 104에서 전술한 식(1)에 따라 AF 평가값을 산출하고, 측정 포인트마다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단계 105에서 산출한 AF 평가값을 앞의 수 포인트의 AF 평가값과 비교하여 피크값의 피크 판정을 행함으로써, 합초 위치의 검출을 행한다. 만일 피크값이라고 판정되지 않을 때에는 단계 106으로 진행하고, 피크값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단계 108로 진행한다.
단계 106에서 측정 포인트가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고, 최대 측정 포인트(도 2의 예에서는 20포인트)까지 도달하지 않을 때에는 단계 107로 진행하고, 도달하고 있을 때에는 단계 109로 진행한다.
단계 107에서 측정 포인트를 +1 어긋나게 하기 위해서 렌즈 위치 이동을 실시한 후, 단계 102로 되돌아가며, 단계 102에서 107을 반복한다.
단계 105에서 피크값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단계 108에서, 단계 105의 결과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를 합초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단계 105에서 피크값이라고 판정하기 위해서는 산출한 AF 평가값이 앞의 측정 포인트의 AF 평가값보다 작게 되어 있을 필요가 있고, 최대의 AF 평가값인 앞의 측정 포인트를 합초 위치로 하여 거기로 이동시킨다.
단계 106에서 측정 포인트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합초 위치가 검출되지 않게 되고, 단계 109에서 비합초 종료 처리, 즉 팬 포커스 위치로 이동하는 처리를 행한다.
단계 108 또는 109의 처리를 행하여 AF 처리가 종료된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합초 위치 산출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마운틴 클라이밍 방식에 의해 합초 위치를 산출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일단 모든 측정 포인트에서의 AF 평가값(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여 기억하고, 모든 측정 포인트에서의 측정이 종료된 후, AF 평가값의 피크 위치를 산출한다. 제2 실시예는 AF 평가값이 단조롭게 변화되지 않는 경우에 유효하다.
오토 포커스 처리가 개시되면, 단계 201에서 포커스 렌즈를 무한단측인 측정 포인트 1로 이동시킨다.
단계 202에서 AF 검파 프레임(2) 내의 AF 검파값을 적산하여 그 측정 포인트에 있어서의 AF 검파값을 산출한다.
단계 203에서 동일한 측정 포인트에서 AF 검파 프레임(2) 내의 휘도값을 적산하여 그 측정 포인트에 있어서의 휘도값도 산출한다.
단계 204에서 전술한 식(1)에 따라 AF 평가값을 산출하고, 측정 포인트마다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단계 205에서 측정 포인트를 +1 어긋나게 하기 위해서 렌즈 위치 이동을 실시한다.
단계 206에서 측정 포인트가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고, 최대 측정 포인트까지 도달하지 않을 때에는 단계 202로 되돌아가고, 도달하고 있을 때에는 단계 207로 진행한다.
단계 207에서 모든 측정 포인트에 있어서의 AF 평가값을 비교하여 최대가 되는 위치를 합초 위치로서 검출한다.
단계 208에서 단계 207의 결과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를 합초 위치로 이동시켜 AF 처리를 종료한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합초 위치 산출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단계 302 내지 단계 304는 제1 실시예의 합초 위치 산출 처리의 단계 102 내지 단계 104 또는 제2 실시예의 합초 위치 산출 처리의 단계 202 내지 단계 204 대신에 행하는 처리로서, 다른 처리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AF 검파값, 개시점(측정 포인트 1)에 있어서의 휘도값 및 각 점의 휘도값으로부터, 전술한 식(1)에 따라 AF 평가값(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였지만, 제3 실시예에서는, 이 AF 평가값의 산출 방법이 다르다.
단계 302에서는, 각 측정 포인트에서의 휘도값을 산출한다.
단계 303에서는, 각 측정 포인트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개시점(측정 포인트 1)에 있어서의 휘도값과 각 측정 포인트의 휘도값의 비를 곱하여 보정 화상 데이터를 산출한다.
단계 304에서는, 보정 화상 데이터로부터 종래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AF 검파값을 산출하여 이것을 AF 평가값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AF 기능을 갖는 촬상 장치라면, 어떠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오토 포커스 구동부와,
    촬상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상태를 나타내는 AF 검파값을 산출하는 AF 처리부와,
    촬상 데이터로부터 휘도값을 산출하는 휘도 처리부와,
    산출한 상기 AF 검파값을, 산출한 상기 휘도값의 변화율에 의해 보정하여 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는 보정부와,
    산출한 상기 보정 AF 검파값에 기초하여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토 포커스 범위의 한쪽 끝을 개시점으로 하고 다른 쪽 끝을 종료점으로 하여, 상기 개시점에서 상기 종료점을 향해 포커스 위치를 변경하여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며, 이 촬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고, 상기 보정 AF 검파값이 피크값을 나타내었을 때에 포커스 위치라고 판정하여 포커스 위치의 변경을 정지하는 것인, 촬상 장치.
  6.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오토 포커스 구동부와,
    촬상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상태를 나타내는 AF 검파값을 산출하는 AF 처리부와,
    촬상 데이터로부터 휘도값을 산출하는 휘도 처리부와,
    산출한 상기 AF 검파값을, 산출한 상기 휘도값의 변화율에 의해 보정하여 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는 보정부와,
    산출한 상기 보정 AF 검파값에 기초하여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토 포커스 범위의 한쪽 끝을 개시점으로 하고 다른 쪽 끝을 종료점으로 하여, 상기 개시점에서 상기 종료점까지 포커스 위치를 변경하여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며, 이 촬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보정 AF 검파값이 피크값을 나타낸 위치를 포커스 위치라고 판정하며, 판정한 상기 포커스 위치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것인, 촬상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AF 검파값은 상기 개시점의 휘도값과 각 점의 상기 휘도값의 비를 상기 AF 검파값에 곱한 값인 것인, 촬상 장치.
  8. 삭제
  9.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오토 포커스 구동부와,
    촬상 데이터로부터 휘도값을 산출하는 휘도 처리부와,
    상기 촬상 데이터를, 산출한 상기 휘도값의 변화율에 의해 보정하여 보정 촬상 데이터를 산출하는 보정부와,
    상기 보정 촬상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상태를 나타내는 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는 AF 처리부와,
    산출한 상기 보정 AF 검파값에 기초하여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토 포커스 범위의 한쪽 끝을 개시점으로 하고 다른 쪽 끝을 종료점으로 하여, 상기 개시점에서 상기 종료점을 향해 포커스 위치를 변경하여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며, 이 촬상 데이터를 보정하여 산출된 보정 촬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고, 상기 보정 AF 검파값이 피크값을 나타내었을 때에 포커스 위치라고 판정하여 포커스 위치의 변경을 정지하며,
    상기 보정 AF 검파값은 상기 휘도값과 상기 개시점의 휘도값의 비를 상기 촬상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포커스 상태를 나타내는 AF 검파값에 곱한 값인 것인, 촬상 장치.
  10.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오토 포커스 구동부와,
    촬상 데이터로부터 휘도값을 산출하는 휘도 처리부와,
    상기 촬상 데이터를, 산출한 상기 휘도값의 변화율에 의해 보정하여 보정 촬상 데이터를 산출하는 보정부와,
    상기 보정 촬상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상태를 나타내는 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는 AF 처리부와,
    산출한 상기 보정 AF 검파값에 기초하여 상기 오토 포커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토 포커스 범위의 한쪽 끝을 개시점으로 하고 다른 쪽 끝을 종료점으로 하여, 상기 개시점에서 상기 종료점까지 포커스 위치를 변경하여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며, 이 촬상 데이터를 보정하여 산출된 보정 촬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정 AF 검파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보정 AF 검파값이 피크값을 나타내었을 때에 포커스 위치라고 판정하여, 판정한 상기 포커스 위치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며,
    상기 보정 AF 검파값은 상기 휘도값과 상기 개시점의 휘도값의 비를 상기 촬상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포커스 상태를 나타내는 AF검파값에 곱한 값인 것인, 촬상 장치.
KR1020070085049A 2006-09-27 2007-08-23 Af 검파의 광학 줌 보정 촬상 장치 KR100915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62533 2006-09-27
JP2006262533A JP2008083338A (ja) 2006-09-27 2006-09-27 Af検波の光学ズーム補正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764A KR20080028764A (ko) 2008-04-01
KR100915182B1 true KR100915182B1 (ko) 2009-09-02

Family

ID=3922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049A KR100915182B1 (ko) 2006-09-27 2007-08-23 Af 검파의 광학 줌 보정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47854B2 (ko)
JP (1) JP2008083338A (ko)
KR (1) KR100915182B1 (ko)
CN (1) CN10059050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9032B2 (en) 2015-11-11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tofocus processing method for maintaining continuity of autofocus search in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6017A (ja) * 2007-05-01 2008-11-13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724013B2 (en) * 2007-12-27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with fast camera auto focus
US8274596B2 (en) 2008-04-30 2012-09-2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detection in auto-focus applications
JP2010101951A (ja) * 2008-10-21 2010-05-06 Ricoh Co Ltd 撮像装置
US8436893B2 (en) * 2009-07-31 2013-05-07 3Dmedia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selecting image capture positions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3D) images
JP5352377B2 (ja) * 2009-08-10 2013-11-27 三星電子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720189B1 (ko) * 2010-09-13 201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95604B1 (ko) * 2011-11-24 2017-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941743B2 (en) 2012-09-24 2015-01-2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reventing motion artifacts by intelligently disabling video stabilization
US9554042B2 (en) 2012-09-24 2017-01-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reventing motion artifacts by intelligently disabling video stabilization
GB2523163A (en) * 2014-02-17 2015-08-19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lens movements
CN104202518A (zh) * 2014-08-25 2014-12-10 深圳市菲特数码技术有限公司 一体化摄像机的变焦方法及系统
CN106506973B (zh) * 2016-12-06 2020-02-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对焦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终端设备
TWI781490B (zh) * 2020-02-27 2022-10-21 日商斯庫林集團股份有限公司 對焦位置檢測方法、對焦位置檢測裝置、記錄媒體及對焦位置檢測用程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67B1 (ko) * 1990-08-31 1995-07-20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자동 촛점 촬상 장치
KR20040036401A (ko) * 2002-10-25 200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123001A (ko) * 2004-06-26 2005-12-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구동 클럭 가변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9274A (ja) * 1986-08-29 1988-03-15 Victor Co Of Japan Ltd オ−トフオ−カス装置
US5369461A (en) * 1988-07-29 1994-11-29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focus adjusting device in camera system
JPH0360580A (ja) * 1989-07-28 1991-03-15 Sanyo Electric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H04111683A (ja) 1990-08-31 1992-04-13 Victor Co Of Japan Ltd オートフォーカス撮像装置
JPH04172779A (ja) 1990-11-06 1992-06-19 Victor Co Of Japan Ltd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3430647B2 (ja) 1994-07-01 2003-07-28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回路
US6163340A (en) * 1995-03-27 2000-12-19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focus adjusting device
US6972798B1 (en) * 1999-08-31 2005-12-06 Canon Kabushiki Kaisha Focusing device and method
US7515200B2 (en) * 2001-08-10 2009-04-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focus adjustment method, and focus adjustment computer control program
JP4055463B2 (ja) * 2002-04-26 2008-03-05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JP4038103B2 (ja) * 2002-09-25 2008-01-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4396231B2 (ja) * 2003-11-11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これに用いられる画像オートフォーカスモジュール及び部品の製造方法
JP2005156597A (ja) * 2003-11-20 2005-06-16 Canon Inc 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5244311A (ja) * 2004-02-24 2005-09-08 Canon Inc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5338514A (ja) 2004-05-27 2005-12-08 Sharp Corp レンズ制御装置及び撮像機器
JP4371074B2 (ja) * 2005-04-15 2009-11-25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カメ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67B1 (ko) * 1990-08-31 1995-07-20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자동 촛점 촬상 장치
KR20040036401A (ko) * 2002-10-25 200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초점 조절기능을 갖는 촬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123001A (ko) * 2004-06-26 2005-12-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구동 클럭 가변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9032B2 (en) 2015-11-11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tofocus processing method for maintaining continuity of autofocus search i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83338A (ja) 2008-04-10
US20080074530A1 (en) 2008-03-27
CN101154016A (zh) 2008-04-02
US7847854B2 (en) 2010-12-07
CN100590508C (zh) 2010-02-17
KR20080028764A (ko) 200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182B1 (ko) Af 검파의 광학 줌 보정 촬상 장치
KR100795343B1 (ko) 이미지 캡쳐링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97648A1 (en) Focus detection apparatus
JP3679693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2011248181A (ja) 撮像装置
JP2008170508A (ja) 撮像装置
JP2007108412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1039454A (ja) 自動合焦装置、自動合焦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51867B2 (ja) 撮影装置、撮影装置本体、及びレンズ鏡筒
JP7271188B2 (ja) 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430258B (zh) 对焦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摄像装置、内窥镜系统
JP2008262049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撮像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
KR101795604B1 (ko)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667438A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cessing program
JP2008170507A (ja) 撮像装置、焦点自動調節方法
JPH11103408A (ja) カメラのレンズ駆動装置
JP4907956B2 (ja) 撮像装置
US20190094656A1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08051871A (ja) 自動焦点調節装置
KR20110035512A (ko) 오토 포커스 방법
JP6794185B2 (ja) 焦点検出装置
JP6191131B2 (ja) 撮像装置
JPH11331676A (ja) 自動焦点制御装置
JP2004151183A (ja) 自動合焦装置並びにこれを有するデジタルカメラ及び携帯型情報端末機器
JP2005338514A (ja) レンズ制御装置及び撮像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