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057B1 - 단자장치 - Google Patents

단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057B1
KR100915057B1 KR1020070136279A KR20070136279A KR100915057B1 KR 100915057 B1 KR100915057 B1 KR 100915057B1 KR 1020070136279 A KR1020070136279 A KR 1020070136279A KR 20070136279 A KR20070136279 A KR 20070136279A KR 100915057 B1 KR100915057 B1 KR 10091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re wire
terminal
contact
terminal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9521A (ko
Inventor
기미오 구사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5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심선의 삽입력을 작게 억제하면서도,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심선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압이 크고, 또한 심선의 접속상태의 불균일이 잘 발생하지 않는 않는 단자장치를 제공한다.
잠금 스프링(15)은 중앙편(15a)에 있어서 심선(34)이 삽입되는 측의 한쪽끝 가장자리로부터,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에 단자편(14b)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연장되고, 선단 가장자리를 심선(34)에 탄성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단자편(14b)과의 사이에 심선(34)을 협지하는 쇄정편(15b)을 갖고, 기체(3)내에 마련된 맞닿음편(14c) 및 연결편(14a)에 맞닿음으로써 단자편(14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해제버튼(17)에는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쇄정편(15b)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쇄정편(15b)을 휘게 하는 압접부(17b)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단자장치{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전선을 접속 가능하게 한 소위 속결 단자 구조의 단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에의 전선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전선을 접속 가능하게 한 소위 속결 단자 구조의 단자장치가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단자장치의 구성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에서는 누름 조작되는 누름 버튼 핸들(2)을 기체(3)의 앞면측에 구비하고, 누름 버튼 핸들(2)의 누름 조작시마다 반전하는 접점장치 B를 기체(3)내에 가진 스위치(1)에 이용되는 단자장치 A1, A3을 예시하고 있다. 이 단자장치 A1, A3은 접점장치 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편(14b, 18b)과, 기체(3)의 뒷벽에 뚫어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19)을 통해 기체(3)에 도입되는 전선(33)(도 7b 참조)의 심선(34)(도 7b참조)을 단자편(14b, 18b)과의 사이에 각각 협지하는 잠금 스프링(15)을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단자장치 A1, A3에 있어서는 잠금 스프링(15)에 의한 단자편(14b)과 심선(34)의 기계적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17)이 마련되어 있다. 또, 도 6의 예에서는 4개의 전선(33)을 접속할 수 있도록, 기체(3)에 전선 삽입 구멍이 4개 형성되고, 단자편(14b, 18b) 및 잠금 스프링(15)이 각각 4개씩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1개의 단자장치 A1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 잠금 스프링(15)은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단자편(14b)에 대향하는 형태로 심선(34)의 삽입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중앙편(15a)과, 중앙편(15a)에 있어서 심선(34)이 삽입되는 측의 한쪽끝 가장자리로부터,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단자편(14b)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연장된 쇄정편(15b)과, 중앙편(15a)의 다른쪽끝 가장자리로부터 단자편(14b)측으로 연장된 압압편(15c)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삽입된 심선(34)은 잠금 스프링(15)의 쇄정편(15b) 및 압압편(15c)과 단자편(14b, 18b)의 사이에서 협지되는 것에 의해 단자편(14b, 18b)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가 심선(34)에 조여들어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단자편(14b, 18b)에 대해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상술한 단자장치 A1에서는 단자편(14b)과의 사이에 잠금 스프링(15)을 개재시키도록 배치된 맞닿음편(14c)과, 잠금 스프링(15) 중심선(34)의 삽입방향에 있어서 심선(34)이 삽입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단자편(14b)과 맞닿음편(14c)을 연결하는 연결편(14a)이 단자편(14b)과 연속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편(14c)은 잠금 스프링(15)에 맞닿는 것에 의해 단자편(14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이동을 규제하고, 연결편(14a)은 잠금 스프링(15)에 맞닿는 것에 의해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단자장치 A1에 있어서는 쇄정편(15b)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심선(34)을 삽입할 때에,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대해 심선(34)을 단자편(14b)에 밀어 붙이는 방향의 반력과, 심선(34)의 삽입방향으로 심선(34)을 되누르는 방향의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심선(34)을 되누르는 방향의 반력에 대항하는 심선(34) 삽입시의 삽입력을 작게 억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잠금 스프링(15)은 단자편(14b)과 맞닿음편(14c)의 대향방향의 치수가 단자편(14b)과 맞닿음편(14c)의 간격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에 의해 기체(3)내에 위치 결정되지 않고 수납되며,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 7a와 같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구성에 비해, 단자편(14b) 에 대한 쇄정편(15b)의 경사각도가 작아지고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을 되누르는 방향에 작용하는 반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심선(34)의 삽입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구성과 마찬가지의 경사각도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가 심선(34)에 조여들어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3-217400호(제2-3쪽)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경우에 비해,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작용하는 심선(34)을 단자편(14b)에 밀어 붙이는 방향의 반력은 작아지고,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심선(34)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압이 작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단자장치 A1은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7b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스프링(15)이 맞닿음편(14c) 및 연결편(14a)에 밀어 붙여지는 것에 의해 기체(3)내에서 위치 결정되지만,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 스프링(15)이 기체(3)내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잠금 스프링(15)이 기체(3)내에서 덜컹거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심선(34)의 삽입시에 잠금 스프링(15)의 회전 등에 의해 단자편(14b)에 대한 잠금 스프링(15)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며, 심선(34)의 접속상태가 불균일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심선 삽입시의 삽입력을 작게 억제하면서도,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심선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압이 크고, 또한 심선의 접속상태의 불균일이 잘 발생하지 않는 단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자 장치는, 기체에 뚫어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기체내에 도입된 전선의 심선에 접촉하는 단자편과, 단자편과 별체이고 단자편과의 사이에 상기 심선을 협지하는 것에 의해 단자편에 대해 심선을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잠금 스프링과, 기체에 있어서 전선 삽입 구멍의 근방에 뚫어 마련한 조작구멍을 통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 잠금 스프링에 의한 단자편과 심선의 기계적 접속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기체내에 구비하고, 잠금 스프링은 단자편에 대향하는 형태로 심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중앙편과, 중앙편에 있어서 심선이 삽입되는 측의 한쪽끝 가장자리로부터 심선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단자편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연장되고, 선단 가장자리를 상기 심선에 탄성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단자편과의 사이에 심선을 협지하는 쇄정편을 갖고, 기체내에 마련된 규제부에 맞닿음으로써 단자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심선을 삽입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기체와 해제버튼의 어느 한쪽에는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쇄정편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쇄정편을 휘게 하는 압접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압접부가 쇄정편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경우에 비해,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심선을 삽입할 때의 삽입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압접부가 쇄정편을 압압하여 쇄정편을 휘게 함으로써 쇄정편에는 반력이 생기고 있으므로, 심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쇄정편으로부터 심선에 작용하는 심선을 단자편에 밀어 붙이는 방향의 반력은 종래 구성에 비해 커지고,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심선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압이 커진다. 또한, 잠금 스프링은 쇄정편이 휘면 쇄정편의 탄성에 의해 규제부에 대해 밀어 붙여지게 되어,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잠금 스프링이 기체내에서 덜컹거리는 것은 없다. 따라서, 심선의 삽입시에 잠금 스프링의 회전 등에 의해 단자편에 대한 잠금 스프링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은 없고, 심선의 접속상태의 불균일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심선을 접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체에는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각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도입되는 전선의 심선을 각각 상기 단자편에 접속하는 복수의 잠금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잠금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접부로부터 쇄정편으로의 압압력에 대항하여 잠금 스프링을 기체에 조립할 때에, 복수의 잠금 스프링이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잠금 스프링의 위치가 안정되고, 기체에의 잠금 스프링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 조립기에 의한 잠금 스프링의 조립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심선을 삽입할 때의 삽입력을 작게 억제하면서도,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압접부가 쇄정편을 압압하여 쇄정편을 휘게 함으로써 쇄정편에는 반력이 생기고 있으므로, 심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쇄정편으로부터 심선에 작용하는 반력은 커지고, 쇄정편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의 사이에 심선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압이 커진다. 또한,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잠금 스프링이 기체내에서덜컹거리는 일은 없으므로, 심선의 삽입시에 잠금 스프링의 회전 등에 의해 단자편에 대한 잠금 스프링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일은 없고, 심선의 접속상태의 불균일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심선을 접속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단자장치를 나타내며, 도 1a는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1b는 심선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D-D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접점장치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c는 종래 구성의 접점장치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예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D-D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예의 단자장치를 나타내며, 도 7a는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7b는 심선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3 기체
14, 16, 18 단자판
14a, 16a, 18a 연결편
14b, 16b, 18b 단자편
14c, 16c, 18c 맞닿음편
15 잠금 스프링
15a 중앙편
15b 쇄정편
17 해제버튼
17b 압접부
19 전선 삽입 구멍
33 전선
34 심선
A1∼A3 단자장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단자장치를 스위치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겠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은 스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치 이외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나, 그 밖의 전기기기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스위치(1)는 도 2와 같이, 누름 조작되는 누름 버튼 핸들(2)을 기체(3)의 앞면(도 2에서는 상면)측에 구비하고, 누름 버튼 핸들(2)의 누름 조작시마다 기체(3)내에 수납된 접점장치의 접속 상태의 전환이 실행되는 3로형(3路型)의 것이다. 이하에, 이 스위치(1)의 구성에 대해 도 2,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도 3a의 상하 좌우를 상하 좌우로 해서 설명하겠지만, 스위치(1)의 부착 방향은 이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체(3)는 앞면 개구된 보디(4)와 보디(4)의 앞면측에 결합되는 후면 개구된 커버(5)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5)에 있어서의 폭방향(상하 방향)의 각 측벽의 뒤가장자리로부터는 후방을 향해 조립편(6)이 한쌍씩 연장되어 마련되고, 조립편(6)에 마련한 조립구멍(7)이 보디(4)의 폭방향의 각 측면에 돌출해서 마련된 조립돌기(8)에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보디(4)와 커버(5)가 결합된다. 조립돌기(8)에는 보디(4)로부터의 돌출치수를 앞쪽일수록 작아지는 경사면(8a)이 형성되고, 커버(5)를 보디(4)에 근접시키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것만으로 조립편(6)이 조립돌기(8)에 간단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스위치(1)는 매립형의 배선기구를 벽 등에 부착할 때에 이용하는 주지의 부착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벽 등에 부착 가능하고, 커버(5)의 긴쪽 방향(좌우 방향)의 각 측면에는 부착 프레임에 마련된 기구 부착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걸어 맞춤 가능한 부착발톱(9)이 각각 한쌍씩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고, 부착발톱(9)을 기구 부착 구멍에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기체(3)가 부착 프레임에 유지된다. 또, 커버(5)의 긴쪽 방향의 한쪽의 측벽에는 한쌍의 부착발톱(9)의 양측에 후단이 개방된 절결홈(10)이 전후방향을 따라 2개 형성되어 있고, 절결홈(10)의 사이의 부위를 커버(5)의 내측으로 휘게 하면, 부착발톱(9)과 기구 부착 구멍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기체(3)를 부착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보디(4)의 내부 공간은 긴쪽 방향(좌우 방향)으로 3실로 구획되고, 양측의 구획은 단자장치 A가 각각 수납되는 단자 수납실(11, 12)로 되며, 중앙부는 접점장치 B가 수납되는 접점 수납실(13)을 형성하고 있다. 좌측(도면의 좌측상부)의 단자 수납실(11)에는 제 1 접속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1을 구성하는 단자판(14) 및 잠금 스프링(15)과, 제 2 접속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2를 구성하는 단자판(16) 및 잠금 스프링(15)과, 제 1 및 제 2 접속단자에 공용되는 해제버튼(17)이 수납되고, 우측(도면의 우측 하부)의 단자 수납실(12)에는 공통단자로 되는 단자장치 A3을 구성하는 단자판(18)과 2개의 잠금 스프링(15)과 해제버튼(17)이 수납된다. 이하, 각 단자장치 A1∼A3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단자장치 A1∼A3을 단자장치 A라고 한다. 또한, 단자 수납실(11, 12)에 대응하는 보디(4)의 뒷벽에는 각 한쌍의 전선 삽입 구멍(19)(도 3b 참조)이 뚫어 마련되고, 각 한쌍의 전선 삽입 구멍(19)의 근방에 각각 1개씩의 조작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뚫어 마련되어 있다. 단자장치 A는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기체(3)내에 도입된 전선의 심선을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각 단자장치 A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접점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1, A2를 구성하는 각 단자판(14, 16)에는 접점 수납실(13)에 삽입되는 접점 유지편(14d, 16d)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접점 유지편(14d, 16d)의 선단부에는 각각 고정 접점(20, 21)이 마련된다. 양 접점 유지편(14d, 16d)은 접점 수납실(13)내에서 좌우방향으로 고정 접점(20, 21)끼리를 대향시키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통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3을 구성하는 단자판(18)으로부터는 접점 수납실(13)까지 연장되는 연락편(18d)(도 2 참조)이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고, 연락편(18d)은 접점 수납실(13)의 뒷벽을 향해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락편(18d)의 선단 가장자리는 접점 수납실(13)의 뒷벽 내면을 따라 배치된 지지편(18e)에 연결되어 있다.
양 고정 접점(20, 21)의 사이에는 각 고정 접점(20, 21)에 대향하는 부위에 고정 접점(20, 21)과 함께 접점장치 B를 구성하는 가동 접점(22, 23)이 각각 마련된 개폐자(24)가 배치된다. 가동 접점(22, 23)은 개폐자(24)의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개폐자(24)는 한쪽의 고정 접점(20)에 가동 접점(22)을 접촉시키는 위치와, 다른쪽의 고정 접점(21)에 가동 접점(23)을 접촉시키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편(18e)에 후단 가장자리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후단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개폐자(24)의 상하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규제 돌기부(24a)(도 2 참조)가 돌출해서 마련되고, 접점 수납실(13)내에 마련한 전단측이 넓은 V자형상의 규제 오목부(25)에 규제 돌기부(24a)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개폐자(24)는 규제 오목부(25)의 범위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된다. 즉, 개폐자(24)가 회전운동하는 것에 의해, 한쪽의 고정 접점(20)에 가동 접점(22)을 접촉시키는 상태와, 다른쪽의 고정 접점(21)에 가동 접점(23)을 접촉시키는 상태가 전환된다. 또, 개폐자(24)의 후단 가장자리는 지지편(18e)의 앞면측에 형성된 V홈(18f)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누름 버튼 핸들(2)과 개폐자(24)의 사이에는 누름 버튼 핸들(2)의 누름조작시마다 개폐자(24)를 교대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접점장치 B의 접속상태를 전환하는 반전기구 C가 개재된다. 이 반전기구 C는 커버(5)의 관통구멍(26)(도 2참조)을 통해 전단부가 커버(5)의 앞면측에 노출되는 상태에서 커버(5)에 부착되는 요동자(27)를 구비한다. 요동자(27)의 양측면에는 전단부가 끝이 가늘게 되는 삼각형상의 지점 돌기(27a)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관통구멍(26)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뒤쪽으로 개방된 축받이홈(28)에 지점 돌기(27a)가 축지지되는 것에 의해, 요동자(27)는 커버(5)에 대해 요동 자유롭게 부착된다. 요동자(27)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반전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개폐자(24)에 연결되고, 요동자(27)가 요동하면 요동 범위의 중간에서 반전 스프링이 가장 압축되는 위치를 통과한다. 이 위치의 전후에 있어서 반전 스프링으로부터 개폐자(24)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의 방향이 반전하고, 반전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개폐자(24)를 급속하게 이동시켜 접점장치 B의 접속상태를 전환한다.
여기서, 요동자(27)는 좌우방향의 어느 하나의 일단부를 앞쪽으로 해서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기운 상태에서 안정된다. 누름 버튼 핸들(2)은 커버(5)와의 사이에 마련된 복귀 스프링(29)에 의해서 앞쪽으로 스프링 부세되어 있고, 복귀 스프링(29)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뒤쪽에 밀어 넣었을 때에, 요동자(27)의 앞면의 좌우 양단부에 돌출해서 마련된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27b) 중 앞쪽 부근에 위치하는 한쪽의 걸어맞춤 돌기를 뒤쪽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요동자(27)를 요동시켜 반대방향으로 기울인다.
요컨대, 스위치(1)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누름 버튼 핸들(2)이 뒤쪽으로 밀어 넣어질 때마다, 단자장치 A3(공통단자)과 단자장치 A1(제 1 접속단자)의 사이를 도통시키는 상태와, 단자장치 A3(공통단자)과 단자장치 A2(제 2 접속단자)의 사이를 도통시키는 상태가 전환되는 것이다.
또,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의 앞면의 좌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앞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축부(30)는 누름 버튼 핸들(2)을 누름조작하는 피아노핸들(도시하지 않음)을 기체(3)에 피봇(pivot)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커버(5)의 한쌍의 축부(30)의 사이에는 표시등(31)용의 표시창(3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단자장치 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접속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1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지만, 특히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단자장치 A2, A3(제 2 접속단자, 공통단자)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잠금 스프링(15)은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의 띠판(band plate)의 중앙부를 중앙편(15a)으로 하고, 띠판의 일단부가 J자형상으로 구부려져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서 중앙편(15a)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선단을 향해 중앙편(15a)과의 거리를 넓히도록 경사지는 쇄정편(15b)이 형성됨과 동시에, 띠판의 타단부가 S자형상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서 중앙편(15a)의 두께 방향에 탄성을 갖는 압압편(15c)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단자판(14)은 연결편(14a)과 연결편(14a)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대향하는 단자편(14b) 및 맞닿음편(14c)을 구비한다. 잠금 스프링(15)은 평판형상의 중앙편(15a)을 단자판(14)의 맞닿음편(14c)에 맞닿게 하고, 또한 쇄정편(15b) 및 압압편(15c)을 단자판(14)의 단자편(14b)에 대향시키도록 맞닿음편(14c)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에, 제 2 접속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2에 있어서는 단자판(16)은 단자판(14)과 마찬가지로, 연결편(16a)과 연결편(16a)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대향하는 단자편(16b) 및 맞닿음편(16c)을 구비하고, 한편, 공통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3에 있어서는 단자판(18)은 각 2개의 단자편(18b) 및 맞닿음편(18c)이 각각 대향하도록 1개의 연결편(18a)에 의해서 연결된 구성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각 맞닿음편(18c)과 각 단자편(18b)의 사이에 각각 잠금 스프링(15)이 1개씩 배치된다.
단자판(14) 및 잠금 스프링(15)과 전선 삽입 구멍(19)의 위치관계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기체(3)에 도입되는 전선(33)의 심선(34)이 잠금 스프링(15)의 쇄정편(15b) 및 압압편(15c)과 단자판(14)의 단자편(14b)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전선 삽입 구멍(19)은 기체(3)의 내측면측일수록 가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기체(3)내에 삽입된 심선(34)은 잠금 스프링(15)과 단자편(14)의 사이에 확실하게 안내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잠금 스프링(15)을 단자판(14)과 함께 기체(3)내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중앙편(15a)은 단자편(14b)에 대향하는 형태로 심선(34)의 삽입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쇄정편(15b)은 중앙편(15a)에 있어서 심선(34)이 삽입되는 측의 한쪽끝 가장자리(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단자편(14b)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연장되고, 압압편(15c)은 중앙편(15a)의 다른쪽끝 가장자리(전단 가장자리)로부터 단자편(14b)측으로 연장된 형태가 된다. 여기서 압압편(15c) 중 긴쪽 방향의 중간부보다도 선단 부근의 부위는 압압편(15c)의 중간부로부터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단자편(14b)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연장되고, 또한 선단부를 단자편(14b)측에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킨 형태가 된다. 여기서, 맞닿음편(14c)이 중앙편(15a)에 맞닿음으로써 단자편(14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이동을 규제하고, 연결편(14a)이 압압편(15c) 중 중앙편(15a)측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이동을 규제한다. 즉, 맞닿음편(14c) 및 연결편(14a)은 잠금 스프링(15)에 맞닿음으로써 단자편(14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심선(34)을 삽입하는 방향으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전선(33)의 심선(34)이 삽입되면, 심선(34)의 선단부는 쇄정편(15b)을 중앙편(15a)측으로 휘게 하면서 쇄정편(15b)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삽입되고, 쇄정편(15b)과 단자편(14b)의 사이를 통과한 심선(34)의 선단부는 압압편(15c)의 선단부를 중앙편(15a)측으로 휘게 하면서 압압편(15c)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그 결과, 전선 삽입 구멍(19)으로부터 삽입된 심선(34)은 잠금 스프링(15)의 쇄정편(15b) 및 압압편(15c)과 단자판(14)의 단자편(14b)의 사이에서 협지되는 것에 의해 단자판(14)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가 심선(34)에 조여들어가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단자판(14)에 대해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해제버튼(17)은 뒷부를 조작구멍에 향하게 하는 형태로 보디(4)의 단자 수납실(11)에 수납된다. 해제버튼(17)의 일부로부터 쇄정편(15b)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해제돌기(17a)는 쇄정편(15b)에 접촉 가능하고, 조작구멍을 통해 마이너스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선단부에서 해제버튼(17)을 누름조작하면, 이 해제돌기(17a)가 쇄정편(15b)에 맞닿아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를 단자편(14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심선(34)의 유지력을 약하게 하며, 이 상태에서 전선(33)을 뽑을 수 있다. 여기에, 각 해제버튼(17)에 해제 돌기(17a)는 2개씩 마련되어 있으며, 해제버튼(17)은 각 단자 수납실(11, 12)에 수납되는 각 한쌍의 잠금 스프링(15)에 각각 걸치도록 배치되고, 각 한쌍의 잠금 스프링(15)의 쇄정편(15b)을 1개의 해제버튼(17)으로 동시에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해제버튼(17)은 합성 수지 성형품이며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치수를 정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단자장치 A에 있어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버튼(17)에 있어서의 해제돌기(17a)의 앞쪽에, 쇄정편(15b)의 선단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압접부(17b)가 마련되어 있고, 이 압접부(17b)는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쇄정편(15b)의 선단부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쇄정편(15b)을 휘게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쇄정편(15b)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쇄정편(15b)의 위치를 초기위치로 한다. 즉, 초기위치에 있는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는 압접부(17b)가 개재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확보된다. 구체적으로는 압접부(17b)에 있어서의 쇄정편(15b)과의 접촉 부위는 심선(34)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중앙편(15a)과의 거리를 넓히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쇄정편(15b)과 면접촉되어 있으며, 쇄정편(15b)을 중앙편(15a)측으로 휘게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구성에 비하면, 단자편(14b)에 대한 쇄정편(15b)의 경사각도가 작아지고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을 되누르는 방향에 작용하는 반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심선(34) 삽입시에 필요한 삽입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구성과 마찬가지의 경사각도로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가 심선(34)에 조여들어가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해제버튼(17)은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치수를 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해제버튼(17)에 마련한 압접부(17b)에 의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구성에서는 도 7a에 나타낸 종래 구성과 같이 잠금 스프링(15) 자체의 형상에 의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구성에 비해, 상기 간극의 치수를 정밀도 좋게 설정할 수 있고, 단자장치 A마다 상기 간극의 치수의 불균일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 초기위치에 있는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의 간극은 단자장치 A의 접속대상으로 되는 전선(33)의 심선(34)의 직경보다 작은 범위에서 설정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고 쇄정편(15b)이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도, 압접부(17b)가 쇄정편(15b)을 압압하여 쇄정편(15b)을 휘게 함으로써 쇄정편(15b)에는 반력이 발생하고 있다. 즉, 초기위치에 있는 쇄정편(15b)은 압접부(17b)에 압압됨으로써, 중앙편(15a)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선단부를 중앙편(15a)에 근접시키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의 힘을 받고 있으므로, 중앙편(15a)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선단부를 중앙편(15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의 반력을 압접부(17b)에 대해 작용한다. 한편, 도 1b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쇄정편(15b)과 단자편(14b)의 사이에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쇄정편(15b)이 또한 휘는 것에 의해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는 초기위치로부터 이동거리 S1만큼 중앙편(15a)측으로 이동하고,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대해서는 초기위치에서 쇄정편(15b)에 발생하고 있는 상기 반력에 부가하여 상기 이동거리 S1에 따른 반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작용하는 심선(34)을 단자편(14b)에 밀어 붙이는 방향의 반력은 비교적 커지고,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심선(34)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압이 커진다. 예를 들면, 도 7b의 종래 구성과 비교하면, 동일 직경의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의 초기위치로부터의 이동거리 S1, S2가 본 실시형태와 종래 구성에서 동일하면,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작용하는 심선(34)을 단자편(14b)에 밀어 붙이는 방향의 반력은 초기위치에서 쇄정편(15b)에 발생하고 있는 상기 반력의 분만큼 본 실시형태가 종래 구성보다 커진다. 그 때문에, 쇄정편(15b)으로부터 심선(34)에 작용하는 심선(34)을 단자편(14b)에 밀어붙이는 방향의 반력을 종래 구성과 본 실시형태에서 동등하게 하는 경우에는 동일 직경의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의 초기위치로부터의 이동거리 S1, S2는 본 실시형태가 종래 구성보다 짧아지고,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 구성에 비해, 초기위치에서의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의 간극을 크게 확보하여 심선(34) 삽입시의 삽입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스프링(15)은 쇄정편(15b)이 초기위치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압접부(17b)에 압압되어 휘어 있기 때문에, 심선(3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쇄정편(15b)의 탄성에 의해 중앙편(15a)이 맞닿음편(14c)에 밀어 붙여지고 또한 압압편(15c)이 연결편(14a)에 밀어 붙여진다. 즉, 쇄정편(15b)이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잠금 스프링(15)으로부터 압접부(17b)와 맞닿음편(14c) 및 연결편(14a)에 대해 각각 도 1a에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작용하므로, 잠금 스프링(15)이 기체(3)내에서 덜컹거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심선(34)의 삽입시에 심선(34)의 선단부에서 쇄정편(15b)이 눌려지더라도, 잠금 스프링(15)이 회전하거나 함으로써 단자편(14b)에 대한 잠금 스프링(15)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일은 없으며, 심선(34)의 접속상태의 불균일을 억제하여, 안정하게 심선(34)을 접속하게 된다.
다음에, 단자장치 A의 조립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잠금 스프링(15)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4)의 단자 수납실(11)내에 해제버튼(17)을 조립한 후에, 단자 수납실(11)내에 조립된다. 이 때, 쇄정편(15b)의 선단부가 해제버튼(17)의 압접부(17b)로부터의 압압력을 받으므로, 잠금 스프링(15)을 단자 수납실(11)내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압접부(17b)로부터 쇄정편(15b)으로의 압압력에 대항하여 잠금 스프링(15)을 보디(4)내에 밀어 넣을 필요가 있다.
여기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판(14)을 보디(4)에 조립할 때에 단자판(14)의 연결편(14a) 및 맞닿음편(14c)에 의해서 잠금 스프링(15)을 밀어 넣음으로써, 보디(4)에 대해 잠금 스프링(15)과 단자판(14)을 조립하도록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잠금 스프링(15)은 단자 수납실(11)내에 밀어 넣어지게 되기 때문에,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스프링(15)이 밀어 넣어지는 일 없이 보디(4)에 조립되는 종래 구성과 같이 잠금 스프링(15)이 덜컹거리는 일은 없다. 그리고, 다른 단자장치 A(제 2 접속단자, 공통단자)의 구성부품도 마찬가지로 보디(4)에 조립하고, 개폐자(24) 등 다른 부품을 조립한 상태에서 보디(4)와 커버(5)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단자장치 A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단자판(14, 16, 18)은 각 단자 수납실(11, 12)의 내측면과의 대향부위의 복수 개소에 각각 돌기부(35)를 돌출하여 마련하고, 이 돌기부(35)를 단자 수납실(11, 12)의 내측면에 맞닿게 하고 있으므로, 커버(5)가 보디(4)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자판(14, 16, 18)이 보디(4)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버리는 일은 없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체(3)내에 수납되는 4개의 잠금 스프링(15)이 모두 별체로 형성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복수개의 잠금 스프링(15)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통단자로서의 단자장치 A3의 2개의 잠금 스프링(15)을 결합편(15d)에 의해서 연속 일체로 결합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되는 2개의 잠금 스프링(15)은 동일극이며,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단자판(18)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잠금 스프링(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접부(17b)로부터 쇄정편(15b)으로의 압압력에 대항하여 잠금 스프링(15)을 기체(3)에 조립할 때에, 각 잠금 스프링(15)이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기체(3)내에서의 잠금 스프링(15)의 회전 등이 억제되어 잠금 스프링(15)의 위치가 안정하고, 기체(3)로의 잠금 스프링(15)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 조립기에 의한 잠금 스프링(15)의 조립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해제버튼(17)에 압접부(17b)를 마련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체(3)의 내측면의 일부에, 초기 상태에 있는 쇄정편(15b)을 압압함으로써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와 단자편(14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쇄정편(15b)을 휘게 하는 압접부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해제버튼(17) 중, 전선(33)의 접속상태를 해제할 때에 쇄정편(15b)에 맞닿아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를 단자편(14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해제 돌기(17a)를 압접부(17b)와 별도로 마련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압접부(17b)가 해제돌기(17a)로서의 기능을 겸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압접부(17b)는 전선(34)의 접속상태를 해제할 때에, 해제버튼(17)이 누름 조작됨으로써 쇄정편(15b)에 맞닿아 쇄정편(15b)의 선단 가장자리를 단자편(14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압접부(17b)는 초기 상태에 있는 쇄정편(15b)에도 맞닿으므로, 심선(34)이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쇄정편(15b)에 맞닿을 때까지의 거리는 해제돌기(17a)가 쇄정편(15b)에 맞닿을 때까지의 거리에 비해 짧아지며, 따라서, 전선(33)의 접속상태를 해제할 때에 해제버튼(17)을 이동시키는 거리가 비교적 짧아진다. 그 결과, 마이너스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조작구멍의 안쪽깊이까지 삽입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전선(33)의 접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단자장치 A를 적용 가능한 스위치(1)는 상술한 3로형의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극형이나 2극형, 4로형(4路型) 등의 스위치(1)에 본 발명의 단자장치 A를 적용해도 좋다.

Claims (2)

  1. 기체(器體)에 뚫어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기체내에 도입된 전선의 심선(芯線)에 접촉하는 단자편과,
    상기 단자편과 별체이고 상기 단자편과의 사이에 상기 심선을 협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편에 대해 상기 심선을 기계적이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잠금 스프링과,
    상기 기체에 있어서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의 근방에 뚫어 마련한 조작구멍을 통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잠금 스프링에 의한 상기 단자편과 상기 심선의 기계적 접속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상기 기체 내에 구비하고,
    상기 잠금 스프링은 상기 단자편에 대향하는 형태로 상기 심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중앙편과, 중앙편에 있어서 상기 심선이 삽입되는 측의 한쪽끝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심선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자편과의 거리를 작게 하도록 연장되고, 선단 가장자리를 상기 심선에 탄성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편과의 사이에 상기 심선을 협지하는 쇄정편을 갖고,
    상기 기체 내에 마련된 규제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단자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심선을 삽입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기체와 상기 해제버튼의 어느 한쪽에는 상기 심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쇄정편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쇄정편의 상기 선단 가장자리와 상기 단자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쇄정편을 휘게 하는 압접부가 마련되어 있는
    단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는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전선의 상기 심선을 각각 상기 단자편에 접속하는 복수의 상기 잠금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단자장치.
KR1020070136279A 2006-12-25 2007-12-24 단자장치 KR100915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8564 2006-12-25
JP2006348564A JP2008159481A (ja) 2006-12-25 2006-12-25 端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521A KR20080059521A (ko) 2008-06-30
KR100915057B1 true KR100915057B1 (ko) 2009-09-02

Family

ID=3961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279A KR100915057B1 (ko) 2006-12-25 2007-12-24 단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159481A (ko)
KR (1) KR100915057B1 (ko)
CN (1) CN100544119C (ko)
TW (1) TWI35511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841B1 (ko) 2010-09-14 2013-03-26 파나소닉 주식회사 단자 장치
KR101258686B1 (ko) 2011-09-05 2013-04-26 주식회사 위너스 콘센트용 강판스프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8116A1 (de) * 2013-07-30 2015-02-1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und Verfahren
JP6238171B2 (ja) * 2014-02-28 2017-11-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器具
EP3116065B1 (en) * 2015-07-07 2019-08-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Push-in clamp retainer, push-in clamp assembly and electric connector element
CN106653414B (zh) * 2015-10-29 2020-02-25 进联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开关接线改良装置
CN106653415B (zh) * 2015-10-29 2020-02-25 进联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开关接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1497A (ja) * 1997-02-25 1998-09-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押釦スイッチ
JP2002203455A (ja) * 2000-12-27 2002-07-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3217400A (ja) * 2002-01-28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1497A (ja) * 1997-02-25 1998-09-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押釦スイッチ
JP2002203455A (ja) * 2000-12-27 2002-07-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3217400A (ja) * 2002-01-28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841B1 (ko) 2010-09-14 2013-03-26 파나소닉 주식회사 단자 장치
KR101258686B1 (ko) 2011-09-05 2013-04-26 주식회사 위너스 콘센트용 강판스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59481A (ja) 2008-07-10
TWI355114B (en) 2011-12-21
KR20080059521A (ko) 2008-06-30
TW200841522A (en) 2008-10-16
CN100544119C (zh) 2009-09-23
CN101212086A (zh)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057B1 (ko) 단자장치
JP2727869B2 (ja) ボディ固定用コネクタ
US6045410A (en) Connector
JPH1164682A (ja) 光コネクタクリップ
JP2000311747A (ja) コネクタのガタ防止構造
WO2019069653A1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3618569B2 (ja) 合体コネクタ
EP2182588B1 (en) Terminal support structure
JP2003272751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9016042A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2809339B2 (ja) エッジコネクタ
JP2000331743A (ja) コネクタ支持機構
JP2003346933A (ja) 電線接続端子
JP7068252B2 (ja) 電気接続箱ユニット
JP3956806B2 (ja) 押釦スイッチ
JP5617062B1 (ja) 端子台
JPH11353419A (ja) カード排出装置
JPH11260471A (ja) コネクタ
JP3122930B2 (ja) 離脱機構付きコネクタ
KR20090004543A (ko) 메모리 카드용 소켓
JP6727083B2 (ja) スイッチ装置
JPH10125415A (ja)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JP2761840B2 (ja) ガタつき防止機構付き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002141126A (ja) コネクタ
JP2003317832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