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854B1 -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 Google Patents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854B1
KR100914854B1 KR1020077014735A KR20077014735A KR100914854B1 KR 100914854 B1 KR100914854 B1 KR 100914854B1 KR 1020077014735 A KR1020077014735 A KR 1020077014735A KR 20077014735 A KR20077014735 A KR 20077014735A KR 100914854 B1 KR100914854 B1 KR 100914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ealing
connecting portion
convex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746A (ko
Inventor
테츠야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1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85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out packing between the surfaces, e.g. with ground surfaces, with cutting e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7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수지로 이루어진 매니폴드 베이스(3)와 수지로 이루어진 밸브부(4)가 서로 접속되어 마련된 약액 밸브(1)의 접속부 실링 구조는, 베이스(3)의 접속부(7)와 밸브부(4)의 접속부(19)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지로 이루어진 H형 링(20)을 구비한다. 베이스(3)의 접속부(7)와 H형 링(20)의 대응 부위에는,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요철조(21, 22)가 각각 형성된다. 밸브부(4)의 접속부(19)와 H형 링(20)의 대응 부위에는,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요철조(23, 24)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대응하는 각 요철조(21, 22)의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각 요철조(23, 24)의 적어도 하나에, 각 요철조(21 내지 24)의 두께 방향으로 압입대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CONNECTION SEAL STRUCTURE FOR FLUIDIC DEVICE}
이 발명은, 유체용 기기와 관련되어, 그 접속부의 실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접속부 실링 구조로서는, 고무 등의 탄성체를 개재시킨 실링 구조, 이음새에 의한 실링 구조, 용착이나 접착에 의한 실링 구조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탄성체, 이음새 및 용착이나 접착 수단을 이용하지 않는 실링 구조의 일례가 아래와 같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실링 구조는, 약액 밸브를 구성하는 중앙 블록과 하부 블록의 접속부와 관련되는 실링 구조이며, 양 블록을 요철의 관계로 접속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JP-A-2001-149844
도 1은 약액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약액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접속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H형 링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원주 모양 홈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H형 링과 대응하는 각 접속부의 요철조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약액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약액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9는 매니폴드 베이스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약액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약액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12는 접속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3은 접속부를 나타내는 분해 확대 단면도이고,
도 14는 접속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5는 접속부를 나타내는 분해 확대 단면도이고,
도 16은 접속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7은 접속부를 나타내는 분해 확대 단면도이고,
도 18은 약액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약액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20은 접속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21은 접속부를 나타내는 분해 확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약액 밸브(유체용 기기)
3   매니폴드 베이스(제1 부품)
4   밸브부(제2 부품)
7   접속부
19   접속부
20   H형 링(실링 부품)
21   요철조
22   요철조
23   요철조
24   요철조
27   압입대
31   약액 밸브(유체용 기기)
32   제1 소 직경 요철조
33   제1 대 직경 요철조
34   제1 유로구
36   제2 유로구
38   제2 소 직경 요철조
39   제2 대 직경 요철조
40   제3 유로구
42   제4 유로구
44   소 직경 H형 링(소 직경 실링 부품)
45   대 직경 H형 링(대 직경 실링 부품)
61   약액 밸브(유체용 기기)
63   매니폴드 베이스(제1 부품)
64   밸브부(제2 부품)
67   유로구
68   접속부
75   유로구
76   접속부
77   요철조
78   요철조
79   압입대
81   실링 부재
82   요철조
83   요철조
84   요철조
85   요철조
87   압입대
91   약액 밸브(유체용 기기)
96   환 모양 실링 부품
97   환 모양 실링 부품
98   원주 모양 돌기
99  원주 모양 돌기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상술한 탄성체를 사용한 실링 구조는, 산이나 알칼리에 대해서 내식성이 충분하지 않고, 약액 등의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 이음새를 사용한 실링 구조에서는, 이음새 그 자체나 이음새 시공을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여,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게다가 용착이나 접착에서는, 접속 후의 제거나 분해를 하지 못하고, 유지보수에 적합하지 않았다. 
한편,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실링 구조는, 2개의 블록을 요철의 관계로 접속하고 있지만, 실링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이 어디에도 기재되지 않았었다.
이 발명은 상기 내용에서 착안 된 것이며, 그 목적은, 내식성이 있고, 유지보수에도 대응가능하며 소형화에도 기여 가능한 유체용 기기의 실링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부품과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부품이 서로 접속되어 마련된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이며,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제2 부품의 접속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요철조(groove-ridge line)와 양 요철조의 적어도 하나에 요철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된 압입대를 구비하는 것을 취지로 한다.
상기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부품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요철조와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부품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요철조가 서로 감합되는 것으로써, 각 요철조가 압입대에 의해 체결되어 끼워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접속부가 서로 실링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부품과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부품이 서로 접속되어 마련된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이며,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제2 부품의 접속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지로 이루어진 실링 부품과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실링 부품의 대응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요철조와 제2 부품의 접속부와 실링 부품의 대응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요철조와 대응하는 각 요철조의 적어도 하나에 요철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되는 압입대를 구비하는 것을 취지로 한다.
상기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부품의 접속부를 서로 접속할 때, 제1 부품의 요철조와 실링 부품의 요철조가 서로 감합되어, 제2 부품의 요철조와 실링 부품의 요철조가 서로 감합된다. 이것에 의해, 각 요철조가 압입대에 의해 체결되어 끼워진다. 따라서,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접속부는 서로 실링 부품을 개재시켜 실링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부품과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부품이 서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이며,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제2 부품의 접속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지로 이루어진 환 모양 실링 부품과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제2 부품의 접속부에 각각 형성된 원주 모양 돌기를 구비하여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제2 부품의 접속부를 환 모양 실링 부품에 축선방향으로 압착시킨 때 각 원주 모양 돌기가 환 모양 실링 부품에 먹혀들어가 접속되는 것을 취지로 한다.
상기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부품의 접속부를 서로 접속할 때, 환 모양 실링 부품이 제1 부품의 접속부 및 제2 부품의 접속부에 압접 됨과 동시에, 제1 부품의 원주 모양 돌기와 제2 부품의 원주 모양 돌기가 각각 사이에 끼워진 환 모양 실링 부품에 먹혀들어가 밀착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제2 부품의 접속부는 서로 환 모양 실링 부품에 의해 실링 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이 각각 수지에 의해 형성되므로, 산이나 알칼리의 약액을 취급하는 유체용 기기에 대해, 그 실링 구조에 내식성을 발휘시킬 수가 있다. 또, 이음새 및 이음새 시공을 위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가 있다. 게다가 용착이나 접착에 의한 실링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접속 후에 제거나 분해를 실시할 수가 있어 제1 및 제2 부품의 유지보수에도 대응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부품, 제2 부품 및 실링 부품이 각각 수지에 의해 형성되므로, 산이나 알칼리의 약액을 취급하는 유체용 기기에 대해, 그 실링 구조에 내식성을 발휘시킬 수가 있다. 또, 이음새 및 이음새 시공을 위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가 있다. 게다가 용착이나 접착에 의한 실링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접속 후에 제거나 분해를 실시할 수가 있어 제1 및 제2 부품의 유지보수에도 대응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부품, 제2 부품 및 환 모양 실링 부품이 각각 수지에 의해 형성되므로, 산이나 알칼리의 약액을 취급하는 유체용 기기에 대해, 그 실링 구조에 내식성을 발휘시킬 수가 있다. 또, 이음새 및 이음새 시공을 위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가 있다. 게다가 용착이나 접착에 의한 실링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접속 후에 제거나 분해를 실시할 수가 있어 제1 및 제2 부품의 유지보수에도 대응할 수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를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유체용 기기로서의 매니폴드 타입의 약액 밸브(1)를 단면도에 의해 도시한다. 도 2에, 그 약액 밸브(1)를 분해 단면도에 의해 도시한다. 이 약액 밸브(1)는, 설치 플레이트(2)와 같은 플레이트(2) 상에 고정된 수지로 이루어진 매니폴드 베이스(3)와 같은 베이스(3) 상에 고정된 수지로 이루어진 밸브부(4)를 구비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베이스(3)로 밸브부(4)를 서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약액 밸브(1)가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베이스(3)가 본 발명의 제1 부품에 대응하고, 밸브부(4)는 본 발명의 제2 부품에 대응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베이스(3) 및 밸브부(4)의 유로 블록(9)은 함께, PTFE로 형성된다.
매니폴드 베이스(3)에는, 유로(5)가 형성된다. 매니폴드 베이스(3)의 표면에는, 유로(5)와 통하는 유로구(6)가 형성된다. 이 유로구(6)의 주위는, 매니폴드 베이스(3)의 접속부(7)로 되어 있다.
밸브부(4)는, 유로(8)를 포함하는 유로 블록(9)과 피스톤(10)을 내장하는 실린더(11)를 포함한다. 유로 블록(9)에는, 유로(8)에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새(12)가 설치된다. 유로 블록(9)과 실린더(11)의 사이에는, 유로(8)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본체(13)가 설치된다. 다이아프램 밸브 본체(13)는 피스톤(10)에 연결된다. 피스톤(1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실린더(11)의 하측부실(15)에는, 대응하는 에어 포트(17)를 통해서 파일럿 에어가 출입한다. 이 파일럿 에어를 받아 피스톤(10)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다이아프램 밸브 본체(13)가 작동해, 유로(8)가 열린다. 유로 블록(9)의 아래쪽 면에는, 유로구(18)가 설치된다. 이 유로구(18)의 주위가, 유로 블록(9)의 접속부(19)로 되어 있다.
매니폴드 베이스(3)의 접속부(7)와 유로 블록(9)의 접속부(19) 사이에는, 본 발명의 수지로 이루어진 실링 부품으로서의 H형 링(20)이 개재된다. 이 실시 형태로, H형 링(20)은, PTFE 보다 약간 딱딱한 PFA에 의해 형성된다. 
도 3에, 상술한 접속부(7, 19)를 확대 단면도로 나타낸다. 매니폴드 베이스(3)의 접속부(7)와 H형 링(20)의 대응 부위에는,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요철조(21, 22)가 각각 형성된다. 동일하게, 유로 블록(9)의 접속부(19)와 H형 링(20)의 대응 부위에는,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요철조(23, 24)가 각각 형성된다.
도 4에, H형 링(20)을 확대 단면도에 의해 도시한다. 이 H형 링(20)은, 그 단면이 H형을 이루고 있다. H형 링(20)은, 두꺼운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아래쪽 면에 있어, 화살표 X로 도시된 두께 방향(반경 방향) 중앙에 원주 모양 홈(25)이 형성되어 링 모양의 요철조(22)를 이루고 있다. 동일하게, H형 링(20)은, 그 위쪽 면에 있어, 화살표 X로 도시된 두께 방향(반경 방향) 중앙에 원주 모양 홈(26)이 형성되어 링 모양의 요철조(24)를 이루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각 원주 모양 홈(25, 26)의 내벽에는, 도 4에 파선으로 둘러 싸여있는 것 같이, H형 링(20)의 두께 방향(반경 방향)으로의 두께를 포함하는 압입대(27)가 설치된다.
도 5에, 위쪽의 원주 모양 홈(26)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원주 모양 홈(26)은, 테이퍼 모양의 개구부(26a)로 그 아래 쪽에 위치하는 상단부(26b) 및 하단부(26c)를 포함한다. 상단부(26b)의 폭(W1)는 하단부(26c)의 폭(W2) 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어 그 폭의 차분(ΔW)이 하단부(26c)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압입대(27)로 되어 있다. 즉, 원주 모양 홈(26)의 하단부(26c)의 서로 대향 하는 내측 부분이 압입대(27)로 되어 있다.
도 6에, H형 링(20)에 대응하는 각 접속부(7, 19)의 요철조(21, 23)의 일부를 확대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아래 쪽 접속부(7)의 요철조(21)는, 원주 모양의 단부의 반경 방향 중앙에, H형 링(20)의 원주 모양 홈(25)에 대응하는 원주 모양 볼록조(21a)를 포함하고, 링 모양으로 구성된다. 위쪽의 접속부(19)의 요철조(23)는, 원주 모양의 단부의 반경 방향 중앙에, H형 링(20)의 원주 모양 홈(26)에 대응하는 원주 모양 볼록조(23a)를 포함하며, 링 모양으로 구성된다. 각 원주 모양 볼록조(21a, 23a)의 두께 방향의 폭(W3)은, H형 링(20)의 각 원주 모양 홈(25, 26)의 상단부(25b, 26b)의 폭(W1)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각 접속부(7, 19)의 실링 구조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접속부 실링 구조에 의하면, 수지로 이루어진 매니폴드 베이스(3)의 접속부(7)와 수지로 이루어진 유로 블록(9)의 접속부(19)를 서로 접속할 때, 매니폴드 베이스(3)의 요철조(21)와 H형 링(20)의 요철조(22)를 서로 감합하여, 유로 블록(9)의 요철조(23)와 H형 링(20)의 요철조(24)를 서로 감합한다. 이에 의해, 각 요철조(21, 23)의 원주 모양 볼록조(21a, 23a)가 H형 링(20)의 각 원주 모양 홈(25, 26)에 감합될 때, 각 원주 모양 홈(25, 26)의 압입대(27)에 의해 각 원주 모양 볼록조(21a, 23a)가 그 두께 방향(반경 방향)으로 체결되어 끼워지게 된다. 즉, 각 원주 모양 볼록조(21a, 23a)가 그 반경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각 요철조(21, 23)와 H형 링(20)의 사이가 실링 된다. 이 때문에, 매니폴드 베이스(3)와 유로 블록(9)의 접속부(7, 19)는 서로 H형 링(20)을 개재시켜 확실히 실링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베이스(3), 유로 블록(9) 및 H형 링(20)이 각각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므로, 산이나 알칼리의 약액을 취급하는 약액 밸브(1)에 대해, 그 실링 구조에 내식성을 발휘시킬 수가 있다. 또, 매니폴드 베이스(3)와 밸브부(4)를 서로 접속하는데 이음새를 특히 사용하지 않고, 양 부품(3, 4)의 사이에 H형 링(20)을 개재시킨 것뿐인 구조이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적고,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가 있다. 게다가 용착이나 접착에 의한 실링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접속 후에 제거나 분해를 실시할 수가 있어 양 부품(3, 4)의 유지보수에도 대응할 수가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를 구체화한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링 구조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본 발명의 수지제 기기로서의 매니폴드 타입의 약액 밸브(31)를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도 8에, 그 약액 밸브(31)를 분해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도 9에, 매니폴드 베이스(3)의 일부를 평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부 실링 구조를 이중 실링으로 한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 베이스(3)의 접속부(7)에는, 동일점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소 직경 요철조(32) 및 제1 대 직경 요철조(33)가 형성된다. 제1 소 직경 요철조(32)의 안쪽에는, 제1 유로구(34)가 형성된다. 이 유로구(34)는, 매니폴드 베이스(3)에 형성된 유로(35)로 통한다. 제1 소 직경 요철조(32)와 제1 대 직경 요철조(33)의 사이에는, 제2 유로구(36)가 형성된다. 이 유로구(36)는, 동일하게 매니폴드 베이스(3)에 형성된 유로(37)로 통한다.
밸브부(4)(유로 블록(9))의 접속부(19)에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점을 중심으로 하는 제2 소 직경 요철조(38) 및 제2 대 직경 요철조(39)가 형성된다. 제2 소 직경 요철조(38)의 안쪽에는, 제3 유로구(40)가 형성된다. 이 유로구(40)는, 유로 블록(9)에 형성된 유로(41)로 통한다. 이 유로구(40)는, 제1 유로구(34)에 정합한다. 제2 소 직경 요철조(38)와 제2 대 직경 요철조(39)의 사이에는, 제4 유로구(42)가 형성된다. 이 유로구(42)도, 유로 블록(9)에 형성된 유로(43)로 통한다. 이 유로구(42)는, 제2 유로구(36)에 대응한다.
여기에서, 각 소 직경 요철조(32, 38) 및 각 대 직경 요철조(33, 39)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각 요철조(21, 23)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원주 모양 볼록조를 포함한다.
2개의 접속부(7, 19)의 사이에서, 2개의 소 직경 요철조(32, 38)의 사이에는, 본 발명의 수지로 이루어진 소 직경 실링 부품으로서의 소 직경 H형 링(44)이 개재된다. 이 소 직경 H형 링(44)의 아래 쪽에는, 제1 소 직경 요철조(32)에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제1 소 직경 실링 요철조(44a)가 형성된다. 이 소 직경 H형 링(44)의 위쪽에는, 제2 소 직경 요철조(38)와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제2 소 직경 실링 요철조(44b)가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소 직경 H형 링(44)의 구성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H형 링(20)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또, 각 소 직경 실링 요철조(44a, 44 b)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요철조(22, 24)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원주 모양 홈을 포함한다.
2개의 접속부(7, 19)의 사이에서, 2개의 대 직경 요철조(33, 39)의 사이에는, 본 발명의 수지로 이루어진 대 직경 실링 부품으로서의 대 직경 H형 링(45)이 개재된다. 이 대 직경 H형 링(45)의 아래 쪽에는, 제1 대 직경 요철조(33)에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제1 대 직경 실링 요철조(45a)가 형성된다. 이 대 직경 H형 링(45)의 위쪽에는, 제2 대 직경 요철조(39)에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제2 대 직경 실링 요철조(45b)가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대 직경 H형 링(45)의 구성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H형 링(20)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또, 각 대 직경 실링 요철조(45a, 45b)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요철조(22, 24)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원주 모양 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의 실링 구조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를 구체화한 제3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는, 접속부 실링 구조가 실링 부품을 가지지 않는 점에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도 10에, 본 발명의 유체용 기기로서의 매니폴드 타입의 약액 밸브(61)을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도 11에, 그 약액 밸브(61)의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약액 밸브(61)는, 설치 플레이트(62)와 동일한 플레이트(62) 상에 고정된 수지제의 매니폴드 베이스(63)과 동베이스(63) 상에 고정된 수지제의 밸브부(64)를 구비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도, 매니폴드 베이스(63)와 밸브부(64)를 서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약액 밸브(61)가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베이스(63)가 본 발명의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부품에 대응하고, 밸브부(64)는 본 발명의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부품에 대응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본체(63) 및 밸브부(64)의 유로 블록(70)은 함께, PTFE로 형성된다.
매니폴드 베이스(63)는, 유로(65)와 그 유로(65)에 배관을 접속하는 관이음새(66)를 포함한다. 이 베이스(63) 표면에는, 유로구(67)가 설치된다. 이 유로구(67)의 주위가, 매니폴드 베이스(63)의 접속부(68)로 되어 있다.
밸브부(64)는, 유로(69)를 포함하는 유로 블록(70), 샤프트(71)을 내장하는 수동 액츄에이터(72) 등을 포함한다. 유로 블록(70)에는, 유로(69)에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새(73)가 설치된다. 유로 블록(70)과 수동 액츄에이터(72)의 사이에는, 유로(69)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본체(74)가 설치된다. 다이아프램 밸브 본체(74)는 샤프트(71)에 연결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71)가 나사로 결합되어 있는 수동 손잡이를 돌리는 것에 의해 이동되고, 다이아프램 밸브 본체(74)가 작동되어, 유로(69)가 개폐되게 되어 있다. 유로 블록(70)의 아래쪽 면에는, 유로구(75)가 설치된다. 이 유로구(75)의 주위가, 유로 블록(70)의 접속부(76)로 되어 있다.
도 12에, 상술한 접속부(68, 76)를 확대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도 13에, 그 접속부(68, 76)를 분해해 확대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매니폴드 베이스(63)의 접속부(68)와 유로 블록(70)의 접속부(76)에는,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요철조(77, 78)가 각각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매니폴드 베이스(63)의 요철조(77)는, 유로구(67)를 중심으로 형성된 링 모양의 오목부의 밖 근접 위치에 원주 모양 볼록조(77a)를 포함한다. 또, 유로 블록(70)의 요철조(78)는, 유로구(75)를 중심으로 형성된 원통 모양의 볼록부의 밖 근접 위치에 원주 모양 홈(78a)을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요철조(77)의 원주 모양 볼록조(77a)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반경 방향) 양측으로 압입대(79)가 설치된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요철조(78)의 원주 모양 홈(78a)의 폭(W11)보다 요철조(77)의 원주 모양 볼록조(77a)의 폭(W12)이 약간 크게 설정되어 그 폭(W11, W12)의 차이가 원주 모양 볼록조(77a)의 압입대(79)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의 접속부 실링 구조에 의하면, 수지로 이루어진 매니폴드 베이스(63)의 접속부(68)에 있어서의 요철조(77)와 수지로 이루어진 유로 블록(70)의 접속부(76)에 있어서의 요철조(78)를 서로 감합하는 것에 의하여, 각 요철조(77, 78)가 압입대(79)에 의해 체결되어 끼워지게 된다. 이 때, 원주 모양 볼록조(77a)가 원주 모양 홈(78a)에 감합되어 압입대(79)에 의해 각 원주 모양 볼록조(77a)가 그 두께 방향(반경 방향)으로 체결되어 끼워지게 된다. 즉, 원주 모양 볼록조(77a)가 그 반경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2개의 요철조(77, 78)의 사이가 실링 된다. 이 때문에, 매니폴드 베이스(63) 및 유로 블록(70)의 접속부(68, 76)가 서로 확실히 실링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베이스(63) 및 유로 블록(70)이 각각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므로, 산이나 알칼리의 약액을 취급하는 약액 밸브(61)에 대해, 그 실링 구조에 내식성을 발휘할 수가 있다. 또, 매니폴드 베이스(63)와 밸브부(64)를 서로 접속하는데 이음새를 특히 사용하지 않고, H형 링과 같은 실링 부품을 개재시키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적고,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가 있다. 게다가 용착이나 접착에 의한 실링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접속 후에 제거나 분해를 실시할 수가 있어 양쪽 부품(63, 64)의 유지보수에도 대응할 수가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를 구체화한 제4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접속부 실링 구조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매니폴드 베이스(3) 및 유로 블록(9)의 접속부(7, 19)를 확대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도 15에, 그 접속부(7, 19)를 분해해 확대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수지로 이루어진 매니폴드 베이스(3)의 접속부(7)와 수지로 이루어진 유로 블록(9)의 접속부(19)의 사이에는, 수지로 이루어진 링 모양의 실링 부품 (81)이 개재된다. 매니폴드 베이스(3)의 접속부(7)와 실링 부품(81)의 대응 부위에는,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요철조(82, 83)가 각각 형성된다. 유로 블록(9)의 접속부(19)와 실링 부품(81)의 대응 부위에는,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요철조(84, 85)가 각각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매니폴드 베이스(3)의 요철조(82)는, 유로구(6)를 중심으로 형성된 원주 모양 홈(82a)과 그 원주 모양 홈(82a)의 안쪽에서 유로구(6)을 중심으로 형성된 슬리브관(82b)을 포함하는 형상을 이룬다. 유로구(6)에 이어지는 슬리브관(82b)의 개구부는 테이퍼면(82c)으로 되어 있다. 또, 유로 블록(9)의 요철조(84)는, 유로구(18)를 중심으로 형성된 원주 모양 홈(84a)과 그 원주 모양 홈(84a)의 안쪽에서 유로구(18)를 중심으로 형성된 슬리브관(84b)을 포함하는 형상을 이룬다. 유로구(18)에 연결되는 슬리브관(84b)의 개구부는 테이퍼면(84c)으로 되어 있다.
매니폴드 베이스(3)의 요철조(82)에 대응하는 실링 부품(81)의 요철조(83)는, 상술한 원주 모양 홈(82a)에 압입되는 원주 모양 볼록조(83a)와 그 원주 모양 볼록조(83a)의 안쪽에 위치해, 상술한 슬리브관(82b)이 압입되는 원주 모양 오목조(83b)를 포함하는 형상을 이룬다. 원주 모양 오목조(83b)는, 슬리브관(82b)의 테이퍼면(82c)에 정합되는 테이퍼면(83c)을 포함한다. 동일하게, 유로 블록(9)의 요철조(84)에 대응하는 실링 부품(81)의 요철조(85)는, 상술한 원주 모양 홈(84a)에 압입되는 원주 모양 볼록조(85a)로 그 원주 모양 볼록조(85a)의 안쪽에 위치해, 상술한 슬리브관(84b)이 압입되는 원주 모양 오목조(85b)를 포함하는 형상을 이룬다. 원주 모양 오목조(85b)는, 슬리브관(84b)의 테이퍼(84c)에 정합되는 테이퍼면(85c)을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실링 부품(81)의 각 원주 모양 볼록조(83a, 85a)의 두께 방향(반경 방향) 내측에는, 압입대(87)가 설치된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요철조(82, 84)의 원주 모양 홈(82a, 84 a)의 폭(W21) 보다 실링 부품(81)의 각 원주 모양 볼록조(83a, 85a)의 근원 부분의 폭(W22)이 약간 크게 설정된다. 그리고, 그것들 폭(W21, W22)의 차이가 각 원주 모양 볼록조(83a, 85a)의 압입대(87)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베이스(3)및 실링 부품(81)의 2개 요철조(82, 83)가 서로 감합할 때, 슬리브관(82b)의 테이퍼면(82c)과 원주 모양 오목조(83b)의 테이퍼면(83c)이 서로 압접하는 것으로, 원주 모양 볼록조(83a)의 압입대(87)가 원주 모양 홈(82a) 내에서 체결되어 끼워지게 된다. 동일하게 유로 블록(9) 및 실링 부품(81)의 2개 요철조(84, 85)가 서로 감합할 때, 슬리브관(84b)의 테이퍼면(84c)과 원주 모양 오목조(85b)의 테이퍼면(85c)이 서로 압접하는 것으로, 원주 모양 볼록조(85a)의 압입대(87)가 원주 모양 홈(84a) 내에서 체결되어 끼워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매니폴드 베이스(3) 및 밸브부(4)의 접속부(7, 19)는 서로 실링 부품(81)을 개재시켜 실링 된다. 이 결과, 이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를 구체화한 제5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4 실시 형태의 접속부 실링 구조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에, 매니폴드 베이스(3) 및 유로 블록(9)의 접속부(7, 19)를 확대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도 17에, 그 접속부(7, 19)를 분해해 확대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베이스(3) 및 유로 블록(9)의 요철조(82, 84)의 형상 및 실링 부품(81)의 각 요철조(83, 85)의 형상인 점에서 제4 실시 형태와 구성이 다르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베이스(3) 및 유로 블록(9)의 요철조(82, 84)는, 슬리브관(82b, 84 b)에 더해 그러한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슬리브관(82d, 84d)를 포함한다. 그리고, 그 외부슬리브관(82d, 84d)의 외주에는, 각각 테이퍼면(82e, 84e)이 형성된다. 한편, 이 실시 형태에서는, 실링 부품(81)의 각 요철조(83, 85)가, 원주 모양 오목조(83b, 85b)에 더해 각 원주 모양 볼록조(83a, 85a)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원주 모양 오목조(83d, 85d)를 포함한다. 외부 원주 모양 오목조(83d, 85d)에는, 각각 테이퍼면(83e, 85e)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원주 모양 볼록조(83a, 85a)의 두께 방향(반경 방향) 외측에도, 압입대(87)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베이스(3) 및 실링 부품(81)의 양요철조(82, 83)가 서로 감합할 때, 슬리브관(82b)의 테이퍼면(82c)과 원주 모양 오목조(83b)의 테이퍼면(83c)이, 및, 외부슬리브관(82d)의 테이퍼면(82e)과 외부 원주 모양 오목조(83d)의 테이퍼면(83e)이 각각 서로 압접하는 것에 의해, 원주 모양 볼록조(83a)의 압입대(87)가 원주 모양 홈(82a) 내에서 체결되어 끼워진다. 동일하게 유로 블록(9) 및 실링 부품(81)의 양 요철조(84, 85)가 서로 감합할 때, 슬리브관(84b)의 테이퍼면(84c)과 원주 모양 오목조(85b)의 테이퍼면(85c)이, 및, 외부슬리브관(84d)의 테이퍼면(84e)과 외부 원주 모양 오목조(85d)의 테이퍼면(85e)이 각각 서로 압접하는 것에 의해, 원주 모양 볼록조(85a)의 압입대(87)가 원주 모양 홈(84a) 내에서 체결되어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매니폴드 베이스(3) 및 밸브부(4)의 접속부(7, 19)는 서로 실링 부품(81)을 개재시켜 실링 된다. 이 결과, 이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를 구체화한 제6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접속부 실링 구조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실링 부품을 개재해 요철의 관계로 감합해 접속하는 것은 아니고,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환 모양 실링 부품을 개재해 축선방향으로 압착시켜 접속하는 타입인 점에서, 제1~ 제5 실시 형태의 접속부 실링 구조와 구성이 다르다. 즉, 도 18에, 본 발명의 유체용 기기로서의 매니폴드 타입의 약액 밸브(91)를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도 19에, 그 약액 밸브(91)의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다. 매니폴드 베이스(3)의 접속부(7)에는, 제1 오목부(92) 및 제2 오목부(93)가 형성된다. 제1 오목부(92)의 안쪽에는, 유로(35)로 통하는 제1 유로구(34)가 형성된다. 제2 오목부(93)의 안쪽에는, 유로(37)로 통하는 제2 유로구(36)가 형성된다.
밸브부(4)(유로 블록(9))의 접속부(19)에는, 제3 오목부(94) 및 제4 오목부(95)가 형성된다. 제3 오목부(94)의 안쪽에는, 유로(41)로 통하는 제3 유로구(40)가 형성된다. 이 유로구(40)는, 제1 유로구(34)에 정합한다. 제4 오목부(95)의 안쪽에는, 유로(43)로 통하는 제4 유로구(42)가 형성된다. 이 유로구(42)는, 제2 유로구(36)에 정합한다.
2개의 접속부(7, 19)의 사이에서, 제1 오목부(92)와 제3 오목부(94)의 사이에는, 본 발명의 수지로 이루어진 환 모양 실링 부품(96)이 개재된다. 동일하게, 제2 오목부(93)와 제4 오목부(95)의 사이에는, 본 발명의 수지로 이루어진 환 모양 실링 부품(97)이 개재된다.
도 20에, 상술한 접속부(7, 19)에 있어서의 제1 및 제3 오목부(92, 94)를 확대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도 21에, 제1 및 제3 오목부(92, 94)를 분해해 확대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제2 및 제4 오목부(93, 95)의 구성은, 제1 및 제3 오목부(92, 94)의 구성과 같은 것으로 설명을 생략 한다. 제1 및 제3 오목부(92, 94)의 저면에는, 원주 모양 돌기(98, 99)가 각각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각 원주 모양 돌기(98, 99)는, 첨단을 날카롭게 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매니폴드 베이스(3)의 접속부(7)와 밸브부(4)의 접속부(19)를 환 모양 실링 부품(96, 97)을 사이에 끼워 축선방향으로 압착시켰을 때 각 원주 모양 돌기(98, 99)가 환 모양 실링 부품(96, 97)의 아래쪽 면 및 위쪽 면에 먹혀들어 접속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접속부 실링 구조에 의하면,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매니폴드 베이스(3)의 접속부(7)와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밸브부(4)의 접속부(19)를 서로 접속할 때,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환 모양 실링 부품(96, 97)이 양 접속부(7, 19)의 각 오목부(92 내지 95)의 저면에 압접된다. 이것과 함께, 매니폴드 베이스(3)의 각 오목부(92, 93)에 형성된 원주 모양 돌기(98)와 밸브부(4)의 각 오목부(94, 95)에 형성된 원주 모양 돌기(99)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사이에 끼워진 환 모양 실링 부품(96)의 아래쪽 면 및 위쪽 면에 먹혀들어 밀착된다. 이것에 의해, 매니폴드 베이스(3)의 접속부(7)와 밸브부(4)의 접속부(19)는 서로 환 모양 실링 부품(96, 97)을 개재시켜 실링 된다. 이 때문에, 매니폴드 베이스(3), 밸브부(4) 및 환 모양 실링 부품(96, 97)이 각각 불소 수지로 형성되므로, 산이나 알칼리 등의 약액을 취급하는 약액 밸브(91)에 대해, 그 실링 구조에 내식성을 발휘시킬 수가 있다. 또, 이음새 및 이음새 시공을 위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가 있다. 게다가 용착이나 접착에 의한 실링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접속 후에 제거나 분해를 실시할 수가 있어 매니폴드 베이스(3) 및 밸브부(4)의 유지보수에도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하와 같이 실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중 실링의 접속부 실링 구조를,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에 소 직경 실링 부품 및 대 직경 실링 부품을 개재시킨 경우로 구체화했다. 이에 대해, 이중 실링의 접속부 실링 구조를,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에 실링 부품을 개재시키지 않는 경우로 구체화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매니폴드 베이스와 본체를 서로 접속하여 이루어진 약액 밸브의 접속부 실링 구조에 대해, 매니폴드 베이스의 접속부에, 동일점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소 직경 요철조 및 제1 대 직경 요철조를 형성해, 제1 소 직경 요철조의 안쪽에 제1 유로구를 형성한다. 제1 소 직경 요철조와 제1 대 직경 요철조의 사이에 제2 유로구를 형성한다. 또, 본체의 접속부에, 동일점을 중심으로 하는 제2 소 직경 요철조 및 제2 대 직경 요철조를 형성해, 제2 소 직경 요철조의 안쪽에, 제1 유로구에 정합하는 제3 유로구를 형성한다. 제2 소 직경 요철조와 제2 대 직경 요철조의 사이에, 제2 유로구에 대응하는 제4 유로구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 소 직경 요철조와 제2 소 직경 요철조가,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 함과 동시에, 각 소 직경 요철조의 적어도 한편에서 소 직경 요철조의 두께 방향으로 압입대를 마련한다. 또, 제1 대 직경 요철조와 제2 대 직경 요철조가, 서로 요철의 관계로 감합 함과 동시에, 각 대 직경 요철조의 적어도 한편에서 대 직경 요철조의 두께 방향으로 압입대를 마련한다. 이것들 소 직경 요철조 및 대 직경 요철조를, 예를 들면, 도 12, 13에 도시된 요철조(77, 78)에 준하는 형상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매니폴드 베이스 접속부와 본체의 접속부를 서로 접속할 때, 매니폴드 베이스의 제1 소 직경 요철조와 본체의 제2 소 직경 요철조가 서로 감합되는 것으로써, 2개의 소 직경 요철조가 압입대에 의해 체결되어 끼워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유로구와 제3 유로구가 실링 되면서 접속된다. 또, 매니폴드 베이스의 제1 대 직경 요철조와 본체의 제2 대 직경 요철조가 서로 감합되는 것에 의해, 2개의 대 직경 요철조가 압입대에 의해 체결되어 끼워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소 직경 요철조와 2개의 대 직경 요철조의 사이의 공간에 있어 제2 유로구와 제4 유로구가 실링 되면서 접속된다. 여기서, 매니폴드 베이스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제1 소 직경 요철조와 제1 대 직경 요철조가 동일점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본체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제2 소 직경 요철조와 제2 대 직경 요철조가 동일점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대응하는 소 직경 요철조끼리, 대응하는 대 직경 요철조끼리가 각각 위치 엇갈림이 적고, 정합 정밀도가 좋아진다. 이 결과, 제1 및 제2 소 직경 요철조의 사이를 확실하게 실링 할 수가 있어, 제1 및 제2 대 직경 요철조의 사이를 확실히 실링 할 수가 있다.
더불어, 상술한 제2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 이하에 부기한다.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부품과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부품을 서로 접속하여 이루어진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의 접속부에 형성되어 동일점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소 직경 요철조 및 제1 대 직경 요철조와,
상기 제1 소 직경 요철조의 안쪽에 형성된 제1 유로구와,
상기 제1 소 직경 요철조와 상기 제1 대 직경 요철조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유로구와,
상기 제2 부품의 접속부에 형성되어 동일점을 중심으로 하는 제2 소 직경 요철조 및 제2 대 직경 요철조와,
상기 제2 소 직경 요철조의 안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구에 정합하는 제3 유로구와,
상기 제2 소 직경 요철조와 상기 제2 대 직경 요철조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로구에 대응하는 제4 유로구와,
상기 제1 및 제2 소 직경 요철조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지로 이루어진 소 직경 실링 부품과,
상기 소 직경 실링 부품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소 직경 요철조에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제1 소 직경 실링 요철조와,
상기 소 직경 실링 부품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소 직경 요철조에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제2 소 직경 실링 요철조와,
상기 제1 소 직경 요철조와 상기 제1 소 직경 실링 요철조의 적어도 한편에서 상기 제1 소 직경 요철조 또는 상기 제1 소 직경 실링 요철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된 압입대와,
상기 제2 소 직경 요철조와 상기 제2 소 직경 실링 요철조의 적어도 한편에서 상기 제2 소 직경 요철조 또는 상기 제2 소 직경 실링 요철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된 압입대와,
상기 제1 및 제2 대 직경 소 직경 요철조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지로 이루어진 대 직경 실링 부품과,
상기 대 직경 실링 부품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대 직경 요철조에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제1 대 직경 실링 요철조와,
상기 대 직경 실링 부품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대 직경 요철조에 요철의 관계로 감합되는 제2 대 직경 실링 요철조와,
상기 제1 대 직경 요철조와 상기 제1 대 직경 실링 요철조의 적어도 한편에서 상기 제1 대 직경 요철조 또는 상기 제1 대 직경 실링 요철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된 압입대와,
상기 제2 대 직경 요철조와 상기 제2 대 직경 실링 요철조의 적어도 한편에서 상기 제2 대 직경 요철조 또는 상기 제2 대 직경 실링 요철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된 압입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Claims (3)

  1. 약액을 취급하는 유체용 기기에 사용되는,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부품과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부품을 서로 접속한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이고,
    상기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상기 제2 부품의 접속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수지로 이루어지고,양 단면의 각각에,두께 방향으로 설치된 압입대를 가지는 제1 원주 모양 홈과 제2 원주 모양 홈이 형성된 환상 실링 부품과,
    상기 제1 부품의 접속부에 형성된 제1 원주 모양 돌기와,상기 제2 부품의 접속부에 형성된 제2 원주 모양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이 단지 축선 방향으로만 이동함으로써 접속할 때, 상기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상기 제2 부품의 접속부를 상기 환상 실링 부품을 사이에 끼우고 축선 방향으로만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압착시킨 때에 상기 제1 원주 모양 돌기가 상기 제1 원주 모양 홈의 상기 압입대에 끼워지고,상기 제2 원주 모양 돌기가 상기 제2 원주 모양 홈의 상기 압입대에 끼워져서, 상기 제 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이 상기 실링 부품을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2. 약액을 취급하는 유체용 기기에 사용되는,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부품과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부품이 서로 접속한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이고,
    상기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상기 제2 부품의 접속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양 단면의 각각에,두께 방향으로 설치된 압입대를 가지는 제1 원주 모양 돌기와 제2 원주 모양 돌기가 형성된 환상 실링 부품과,
    상기 제1 부품의 접속부에 형성된 제1 원주 모양 홈과,상기 제2의 부품의 접속부에 형성된 제2 원주 모양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이 단지 축선 방향으로만 이동함으로써 서로 접속할 때, 상기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상기 제2 부품의 접속부를 상기 환상 실링 부품을 사이에 끼우고 축선 방향으로만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압착시킨 때에 상기 제1 원주 모양 돌기의 상기 압입대가 상기 제1 원주 모양 홈에 끼워지고,상기 제2 원주 모양 돌기의 상기 압입대가 상기 제2 원주 모양 홈에 끼워져서, 상기 제 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이 상기 실링 부품을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3. 약액을 취급하는 유체용 기기에 사용되는,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부품과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부품을 서로 접속한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이고,
    상기 제1 부품의 접속부와 상기 제2 부품의 접속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수지로 이루어지고,양 단면의 각각에,두께 방향으로 설치된 압입대를 가지는 제1 및 제 2 요조,또는 제1 및 제 2 철조의 어느 한쪽이 형성된 환상 실링 부품과,
    상기 제1 부품의 접속부에 형성되며,상기 제1 요철조에 끼워지는 요철조와,
    상기 제2 부품의 접속부에 형성되며,상기 제2 요철조에 끼워지는 요철조와,
    상기 요조를 형성한 환상 벽의 선단이고,상기 철조와 상기 압입대에 의하여 끼워지는 쪽과 반대쪽에 요조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철조의,상기 요조 경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철조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이 축선 방향으로만 이동함으로써 서로 접속할 때에,상기 철조 경사부가 상기 요조 경사부를,상기 환상 벽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 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이 상기 실링 부품을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KR1020077014735A 2004-11-30 2004-11-30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KR100914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4735A KR100914854B1 (ko) 2004-11-30 2004-11-30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4735A KR100914854B1 (ko) 2004-11-30 2004-11-30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746A KR20070086746A (ko) 2007-08-27
KR100914854B1 true KR100914854B1 (ko) 2009-09-02

Family

ID=3861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735A KR100914854B1 (ko) 2004-11-30 2004-11-30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366A (ko) * 2018-03-22 2020-12-02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6018A (en) * 1992-03-12 1995-11-14 Techlok Limited Seal ring and joint
JPH10227361A (ja) * 1997-02-17 1998-08-25 Masahiro Furusawa 樹脂部品の結合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6018A (en) * 1992-03-12 1995-11-14 Techlok Limited Seal ring and joint
JPH10227361A (ja) * 1997-02-17 1998-08-25 Masahiro Furusawa 樹脂部品の結合シール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366A (ko) * 2018-03-22 2020-12-02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디바이스
KR102617567B1 (ko) * 2018-03-22 2023-12-22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디바이스
US11906080B2 (en) 2018-03-22 2024-02-20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Flui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746A (ko) 200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0277B2 (ja) 流体用機器の接続部シール構造
US7581764B2 (en) Connection seal structure for fluidic device
US5645301A (en) Fluid transport coupling
KR19990024027A (ko) 조절가능한 누출방지 체결시스템
US20090273143A1 (en) Gasket
JP2007534893A (ja) 延伸ストロークバルブおよびダイアフラム
US7634962B2 (en) Diaphragm for a diaphragm valve
EP1803983A1 (en) Structure for connection between integrated panel and fluid device
JP2005249196A (ja) シール組立体
JP2004316667A (ja) 配管部材の接続構造
JP5213636B2 (ja) 継手用シール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継手
JP2009052572A (ja) 樹脂製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14854B1 (ko)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WO2021199570A1 (ja) シール部材
JP2009068583A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WO2008056743A1 (ja) 管継手用oリング付きメタルパッキン
JP2007024307A (ja) マニホールド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バルブユニット
JP5087555B2 (ja) 流体継手
JP2008032113A (ja) ダイヤフラム式バルブ
EP0005584B1 (en) Side-split ball valve construction
US8333387B2 (en) High pressure fluid sealing mechanism
JP2019178726A (ja) ガスケット、及び流路継手構造
JP2006153230A (ja) 流体制御器用ダイヤフラム及びこれを用いたバルブ装置
CN212616475U (zh) 一种整体结构的卡压式球阀
JP2007046745A (ja) 集積パネルと流体デバイスと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