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956B1 -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 - Google Patents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956B1
KR100913956B1 KR1020080001463A KR20080001463A KR100913956B1 KR 100913956 B1 KR100913956 B1 KR 100913956B1 KR 1020080001463 A KR1020080001463 A KR 1020080001463A KR 20080001463 A KR20080001463 A KR 20080001463A KR 100913956 B1 KR100913956 B1 KR 100913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lutch
actuator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564A (ko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956B1/ko
Priority to CN2008101670965A priority patent/CN101476417B/zh
Publication of KR2009007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6Clutch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잠금장치에 마련된 락레버를 전동을 통해 절환시키는 것으로, 특히 간소화된 동력 전달구조를 가지고 또 내부적으로 스위치 구조가 마련되어 경량화와 생산에 따른 부대비용을 대폭 절감시킨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01463
엑츄에이터, 도어 잠금장치, 클러치 기어, 클러치 레버, 스위칭 구조, 연결단자, 에탁스

Description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Actuator for vehicle door latch}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잠금장치에 마련된 락레버를 전동을 통해 절환시키는 것으로, 특히 간소화된 동력 전달구조를 가지고 또 내부적으로 스위치 구조가 마련되어 경량화와 생산에 따른 부대비용을 대폭 절감시킨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시해정을 도모하는 도어 잠금장치는, 외력에 의해 절환되는 릴리즈 레버와 래치기어를 견착하여 구속하는 파울레버 사이의 연동상태를 제어하는 락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락레버는, 키실린더나 락노브를 통한 수조작력과 엑츄에이터를 통한 전동 조작력을 제공받아 정역방향으로 절환되어서, 파울과 릴리즈 레버 사이의 연동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엑츄에이터의 하우징의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기어을 전동모터에 치합시킨 복잡한 동력 전달구조를 마련하고 있는 관계로, 요구되는 부품수의 증가로 생산에 따른 부대비용이 증가되었고, 특히 부피가 상대적으로 비대해 져 도어 잠금장치와의 결합시 별도의 연결 브라켓이 요구되었다.
또한, 상기 기어들의 역절환을 위해, 비교적 조립이 어려운 태엽형태의 스프링을 설치하고 있는 관계로, 조립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에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복잡한 스위치 모듈을 설치하여, 에탁스가 상기 스위치 모듈을 통해 락레버의 절환상태를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스위치 모듈은 비교적 고가이고 엑츄에이터에 스위치 모듈의 설치공간을 별도 확보하며, 특히, 장기간 반복 사용시 노후화에 의해 잦은 소음이 발생되므로, 당분야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엑츄에이터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요구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잠금장치에 마련된 락레버를 전동을 통해 절환시키는 것으로, 특히 간소화된 동력 전달구조를 가지고 또 내부적으로 스위치 구조가 마련되어 경량화와 생산에 따른 부대비용을 대폭 절감시킨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는,
하우징과; 전류를 인가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좌우 절환되는 클러치 기어와; 일측에 형성된 축을 통해 상기 클러치 기어를 하우징에 회동구조로 고정하며, 상기 클러치 기어와 연동하여 절환되는 클러치 레버; 및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된 클러치 레버의 축 단부와 직결되어 클러치 기어의 절환에 의해 좌우 절환되며, 작용단이 락레버의 링크단과 링크 결속상태를 이루는 전동 절환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좌우 절환작용을 통해 도어 잠금장치의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의 연동상태를 제어하는 락레버에 전동 절환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대향하는 클러치 레버의 일면에는 연결단자가 편심지게 배설되고, 상기 연결단자의 선회궤적에 위치된 하우징의 내벽에는 에탁스와 연계된 접점단부가 배설되어, 클러치 기어의 절환에 따라 연결단자와 접점단부의 접 점지점이 변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단자는 한쌍의 단부가 형성된 "U"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점단부는, U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단자의 일단부와 항시 접점을 형성하는 베이스 단자와, 상기 연결단자 타단부의 선회궤적 일편에 배설되는 제 1 접점단자, 및 상기 연결단자 타단부의 선회궤적 타편에 배설되는 제 2접점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에탁스는, 연결단자를 통한 베이스 단자와 제 1 접점단자, 또는 베이스 단자와 제 2 접점단자의 택일적인 연결상태를 감지하여, 클러치 레버와 락레버의 절환상태를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러치 레버에 마련된 축의 단부는 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결속되는 전동 절환레버에는 각축공이 형성되어서, 전동 절환레버와 각형으로 이루어진 클러치 레버의 축은 삽입에 의해 상호 규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기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양편에는 권취부가 하우징에 고정된 클러치 스프링의 양단이 탄지되는 한편,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양단 사이에는, 하우징에 돌출된 지지단(P)이 형성되어서,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절환된 상기 클러치 기어는, 클러치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역절환되어 원복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복잡한 변속구조를 마련하지 아니하고 클러치 기어와 클러치 레버로 이루어진 간소화된 동력 구조를 형성하 여 구조의 간소화를 이룩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러치 레버에 연결단자를 이와 대향하는 하우징의 내벽에 접점단부를 각각 형성하여, 클러치 레버의 절환상태를 에탁스가 별도의 스위치 모듈 없이도 간편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간소화된 동력 전달구조와 간소화된 스위치 구조를 채택하면, 부품수의 감소와 조립공정의 간소화로 구현되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엑츄에이터를 마련한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a)는 결합상태를 (b)는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엑츄에이터를 마련한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락레버의 절환에 따른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의 연동상태(락 또는 언락)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연동(언락)상태를 (b)는 비연동(락)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엑츄에이터를 구성하는 클러치 레버와 클러치 기어 및 전동 절환레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엑츄에이터에 있어, 클러치 레버의 절환에 따른 연결단자와 접점단부의 접 점형성 상태와 클러치 스프링에 의한 클러치 기어의 원복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엑츄에이터와 도어 잠금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1)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탄력적으로 축 설치되어 스트라이커(미도시)를 구속하는 래치기어(미도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탄력적으로 축 설치되어 래치기어를 견착하여 구속하는 파울레버(13);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축 설치되어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파울레버(13)를 일방향으로 견착하여 절환시켜 파울레버(13)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즈 레버(14)를 포함하여 구성된 래치모듈(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래치모듈(10)은 공지의 것이다.
그리고, 상기 래치모듈(10)에는 락모듈(20)이 마련되어, 릴리즈 레버(14)와 파울레버(13) 사이의 연동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락모듈(20)은, 엑츄에이터(30)의 구동에 의해 연동하여 절환되는 락레버(21)와, 상기 락레버(21)에 일단이 편심지게 설치되어 락레버(21)의 좌우 절환에 의해 타단에 형성된 락핀(22a)을 변위시켜 릴리즈 레버(14)와 파울레버(13)의 연동상태를 제어하는 락로드(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락레버(21)의 좌우 절환을 통한 락로드(22)에 형성된 락핀(22a)의 변위에 의해 파울레버(13)와 릴리즈 레버(14)의 연동상태(락 또는 언락)를 제어하게 된다.
예컨데, 상기 락레버(21)가 도 2a와 같이 좌방향으로 절환되어 릴리즈 레 버(14)의 안내장공(14a)에 수용된 락로드(22)의 락핀(22a)이 파울레버(13)의 단부 일측에 위치하면, 릴리즈 레버(14)의 절환에 의해 선회되는 락핀(22a)에 파울레버(13)의 단부가 견착 절환되어 파울레버(13)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은 해제된다.(언락상태)
그러나, 락레버(21)가 도 2b와 같이 우방향으로 절환되어 락로드(22)의 락핀(22a)이 파울레버(13)의 단부 일측에서 이탈하면, 릴리즈 레버(14)의 절환에 의해 안내장공(14a)에 수용된 락핀(32a)이 선회되더라도 파울레버(13)의 단부는 연동하여 절환되지 아니하므로, 파울레버(13)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은 유지된다.(락상태)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1)에 본 발명에 따른 엑츄에이터(30)를 설치하여, 엑츄에이터(30)의 구동에 의해 락레버(21)의 좌우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엑츄에이터(3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31)과; 전류를 인가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32)와; 상기 전동모터(32)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좌우 절환되는 클러치 기어(33)와; 일측에 형성된 축(34a)을 통해 상기 클러치 기어(33)를 하우징(31)에 회동구조로 고정하며, 상기 클러치 기어(33)와 연동하여 절환되는 클러치 레버(34); 및 하우징(31)의 외측에 돌출된 클러치 레버(34) 축(34a)의 단부와 직결되며, 작용단(35b)이 락레버(21)의 링크단(21a)과 링크 결속상태를 이루는 전동 절환레버(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동모터(32)에는 웜기어(32a)를 통해 클러치 기 어(33)와 치합되며, 상기 클러치 레버(34)에 마련된 축(34a)의 단부는 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결속되는 전동 절환레버(35)에는 각축공(35a)이 형성되어서, 전동 절환레버(35)와 각형으로 이루어진 클러치 레버(34)의 축(34a)은 삽입에 의해 상호 규합되어 안정된 절환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기어(33)에는 걸림돌기(33b)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33b)의 양편에는 권취부(36a)가 하우징(31)에 고정된 클러치 스프링(36)의 양단(36b, 36b')이 탄지되어서, 외력이 제공되지 않으면 상기 클러치 기어(33)는 클러치 스프링(36) 양단(36b, 36b')에 양편이 각각 탄지되어 항시 중립을 유지한다.
도면을 보면, 상기 권취부(36a)가 하우징(31)에 고정된 클러치 스프링(36)의 양단(36b, 36b') 사이에는, 지지단(P)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기어(33)에는 연동슬롯(33a)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이 클러치 기어(33)를 관통하는 클러치 레버(34)에는 상기 연동슬롯(33a)에 수용되는 연동단(34b)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34)는 연동단(33b)을 통해 전동모터(32)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절환되는 클러치 기어(33)에 형성된 연동슬롯(33b)의 내벽에 간섭되어 좌우 절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러치 기어(33)에 형성된 연동슬롯(33a)과 이에 수용되는 클러치 부재(34)의 연동단(34b) 사이에는 공회전 구간(S)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전동모터(32)의 구동이 아닌 전동 절환레버(35)에 연결로드를 통해 설치되는 락노브나 락레버(21)의 단부에 설치되는 키실린더의 조작에 의해 생성 된 절환력에 의해 클러치 부재(34)가 절환되더라도, 상기 클러치 기어(33) 및 이와 치합된 전동모터(32)가 무단 회전하는 것을 방기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백플레이트에 락레버와 링크 결속상태를 이루어 락레버를 좌우 절환시키는 커넥션 레버를 별도 축 설치하지 아니하는 한편, 이 커넥션 레버와 엑츄에이터의 전동 절환레버 사이에 연결로드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엑츄에이터(30)의 전동 절환레버(35)에 락레버(21)의 링크단(21a)을 직접 링크 결속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이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동 절환레버(35)의 작용단(35b)에 락레버(21)의 링크단(21a)과 링크 결속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하면, 전동모터(31)의 정역구동에 의해 전동 절환레버(35)의 좌우 절환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전동 절환레버(35)의 좌우 절환에 의해 이와 링크 결속된 락레버(21)의 좌우 절환이 이루어져 락과 언락이 택일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전동모터(32)가 구동되면 클러치 기어(33)는 상기 전동모터(32)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절환되며, 이때 상기 연동단(34b)을 통해 클러치 기어(33)와 규합된 클러치 레버(34)도 일방향으로 동시 절환되어서, 이 클러치 레버(34)의 축(34a)에 직결된 전동 절환레버(35)의 절환에 따른 락레버(21)의 연동절환이 구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31)과 대향하는 클러치 레버(34)에 연결단자(34c)를 편심지게 배설하고, 상기 연결단자(34c)의 선회궤적 상 위치된 하우징(31)의 내벽에 에탁스와 연계된 시정회로의 접점단부(31a)를 배설하여 스위치 구 조를 형성함으로써, 에탁스가 상기 연결단자(34c)를 통한 시정회로의 연결 또는 단선상태를 통해 락 또는 언락상태를 인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클러치 부재(34)의 일면에 형성된 연결단자(34c)는 "U"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접점단부(31a)는, U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단자(34c)의 일단부와 항시 접점을 형성하는 베이스 단자(31a-a)와, 상기 연결단자(34c)의 선회궤적 일편에 배설되어 락상태를 인지하는 제 1 접점단자(31a-b), 및 상기 연결단자(34c)의 선회궤적 타편에 배설되어 언락상태를 인지하는 제 2접점단자(31a-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단자(34c)와 접점단부(31a)를 통해 하우징(31)의 내부에 스위치 구조를 형성하면, 상대적으로 고가인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별도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되고, 특히 하우징(31) 자체가 방수성을 겸비하고 있는 관계로 스위치 구조 자체에 방수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전동모터(32)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클러치 레버(34)가 도 4a와 같이 좌방향으로 절환되면 이에 설치된 연결단자(34c)는 접점단부(31a)의 베이스 단자(31a-a)와 제 1 접점단자(31a-b)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전동모터(32)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클러치 레버(34)가 우방향으로 절환되면 도 4b와 같이 연결단자(34c)는 접점단부(31a)의 베이스 단자(31a-a)와 제 2 접점단자(31a-c)를 상호 연결하여서, 에탁스(미도시)로 하여금 락 또는 언락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전동모터(32)의 구동에 의해 우방향으로 절환된 클러치 기어(33)는, 도 4c와 같이 클러치 스프링(36)의 탄발력에 의해 좌방향으로 역절환되어 원복상태를 이룬다.
*** 도면상의 미설명부호 'L'은 전동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한쌍의 리드단자임 ***
또 다른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엑츄에이터(30)를 도어 잠금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함에 있어,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엑츄에이터(30) 사이에 별도의 연결 브라켓을 마련하지 아니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배면을 덮는 백플레이트(15)의 형상을 개량하여, 이 개량된 형상의 백플레이트(15)를 통해 엑츄에이터(30)를 고정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백플레이트(15)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배면을 덮는 수평면(15a)과, 상기 수평면(15a)에 직교하여 형성되는 직교면(15b)이 일체로 형성된 L형의 판상몸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직교면(15b)의 가장자리를 절곡시켜 하나 이상의 판상 절곡편(15b-a)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엑츄에이터(30)의 하우징(31)에는 상기 판상 절곡편(15b-a)이 삽입되는 설치공(31b)을 하나 이상 형성하여, 설치공(31b)에 판상 절곡편(15b-a)의 진입을 통해 엑츄에이터(30)를 백플레이트(15)에 고정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백플레이트(15)의 직교면에는 한쌍의 판상 절곡편(15b-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31)에도 이와 대응되게 설치공(31b)이 형성되어, 엑츄에이터 하우징(31)의 2지점이 백플레이트(15)에 각각 고정되어,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상 절곡편(15b-a)을 통해 백플레이트(15)의 직교면(15b)에 전면이 밀착된 엑츄에이터 하우징(31)의 일측면은 백플레이트(15)의 수평면(15a)에 밀착되어서, 전동 절환레버(35)의 절환에 따른 좌우 뒤틀림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가적으로 상기 백플레이트(15)에 고정공(15b-b)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하우징에 체결공(31c)을 형성하여, 상기 백플레이트(15)의 고정공(15b-b)을 통해 체결볼트(16)를 하우징의 체결공(31c)에 체결하여, 보다 안정된 조립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호 삽입된 설치공(31b)과 판상 절곡편(15b-a) 사이에는 접착제 등이 도포될 수도 있고, 초음파 융착 등이 별도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1)의 사출과정에 상기 백플레이트(15)의 판상 절곡부(15b-a)를 금형에 진입시켜, 상기 백플레이트의 판상 절곡편(15b-a)과 하우징(31)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백플레이트(15)에 엑츄에이터(30)를 삽입하여 설치되면, 연결 브라켓이 불필요하고 또 연결 브라켓의 설치가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생산에 따른 부대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엑츄에이터를 마련한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a)는 결합상태를 (b)는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엑츄에이터를 마련한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락레버의 절환에 따른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의 연동상태(락 또는 언락)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연동(언락)상태를 (b)는 비연동(락)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엑츄에이터를 구성하는 클러치 레버와 클러치 기어 및 전동 절환레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엑츄에이터에 있어, 클러치 레버의 절환에 따른 연결단자와 접점단부의 접점형성 상태와 클러치 스프링에 의한 클러치 기어의 원복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엑츄에이터와 도어 잠금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어 잠금장치
10. 래치모듈 11. 베이스 플레이트
13. 파울레버
14. 릴리즈 레버 14a. 안내장공
15. 백플레이트 15a. 수평면
15b. 직교면 15b-a. 판상 절곡편
15b-b. 고정공 16. 체결볼트
20. 락모듈 21. 락레버
21a. 링크단 21b. 키슬롯
22. 락로드 22a. 락핀
30. 엑츄에이터 31. 하우징
31a. 접점단부 31b. 설치공
32. 전동모터 32a. 웜기어
33. 클러치 기어 33a. 연동슬롯
33b. 걸림돌기 S. 공회전 구간
34. 클러치 레버 34a. 축
34b. 연동단 34c. 연결단자
35. 전동 절환레버 35a. 각축공
35b. 작용단 35c. 락로드 연결단
36. 클러치 스프링 36a. 권취부
36b, 36b'. 단부

Claims (4)

  1. 하우징과; 전류를 인가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좌우 절환되는 클러치 기어와; 일측에 형성된 축을 통해 상기 클러치 기어를 하우징에 회동구조로 고정하며, 상기 클러치 기어와 연동하여 절환되는 클러치 레버; 및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된 클러치 레버의 축 단부와 직결되어 클러치 기어의 절환에 의해 좌우 절환되며, 작용단이 락레버의 링크단과 링크 결속상태를 이루는 전동 절환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좌우 절환작용을 통해 도어 잠금장치의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의 연동상태를 제어하는 락레버에 전동 절환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대향하는 클러치 레버의 일면에는 연결단자가 편심지게 배설되고, 상기 연결단자의 선회궤적에 위치된 하우징의 내벽에는 에탁스와 연계된 접점단부가 배설되어, 클러치 기어의 절환에 따라 연결단자와 접점단부의 접점지점이 변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한쌍의 단부가 형성된 "U"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점단부는, U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단자의 일단부와 항시 접점을 형성하는 베이스 단자와, 상기 연결단자 타단부의 선회궤적 일편에 배설되는 제 1 접점단자, 및 상기 연결단자 타단부의 선회궤적 타편에 배설되는 제 2접점단자를 포함 하여 구성되어, 상기 에탁스는, 연결단자를 통한 베이스 단자와 제 1 접점단자, 또는 베이스 단자와 제 2 접점단자의 택일적인 연결상태를 감지하여, 클러치 레버와 락레버의 절환상태를 인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레버에 마련된 축의 단부는 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결속되는 전동 절환레버에는 각축공이 형성되어서, 전동 절환레버와 각형으로 이루어진 클러치 레버의 축은 삽입에 의해 상호 규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양편에는 권취부가 하우징에 고정된 클러치 스프링의 양단이 탄지되는 한편,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양단 사이에는, 하우징에 돌출된 지지단이 형성되어서,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절환된 상기 클러치 기어는, 클러치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역절환되어 원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
KR1020080001463A 2008-01-04 2008-01-04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 KR100913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463A KR100913956B1 (ko) 2008-01-04 2008-01-04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
CN2008101670965A CN101476417B (zh) 2008-01-04 2008-10-10 一种具有简单结构的用于锁门装置的促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463A KR100913956B1 (ko) 2008-01-04 2008-01-04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564A KR20090075564A (ko) 2009-07-08
KR100913956B1 true KR100913956B1 (ko) 2009-08-25

Family

ID=4083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463A KR100913956B1 (ko) 2008-01-04 2008-01-04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3956B1 (ko)
CN (1) CN101476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6053B (zh) * 2018-10-29 2024-05-14 深圳市罗漫斯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离合装置以及一种变速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056A (ko) * 2004-11-23 2006-05-26 평화정공 주식회사 프리휠형 락레버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KR20070118723A (ko) * 2006-06-13 2007-12-18 평화정공 주식회사 키 직결식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7507B (en) * 1995-11-24 1999-09-01 Rockwell Lvs Vehicle door lock actuator
EP1635018A1 (en) * 2004-09-08 2006-03-15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UK) Ltd Latch Release Mechanism
FR2877977B1 (fr) * 2004-11-12 2007-01-19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Serrure de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056A (ko) * 2004-11-23 2006-05-26 평화정공 주식회사 프리휠형 락레버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KR20070118723A (ko) * 2006-06-13 2007-12-18 평화정공 주식회사 키 직결식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6417B (zh) 2012-07-04
CN101476417A (zh) 2009-07-08
KR20090075564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571B2 (en) Door lock system
US6705140B1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KR101552353B1 (ko)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CN203145622U (zh) 车辆用门锁装置
JP5727850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20060214467A1 (en)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KR20100072273A (ko) 자동차 잠금 장치
KR100690035B1 (ko) 차량의 변속 레버 장치
KR100913955B1 (ko) 엑츄에이터의 간소화된 설치구조를 갖는 도어 잠금장치
CN109790730B (zh) 机动车锁
US20170335605A1 (en) Vehicle door lock device
KR100913956B1 (ko)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도어 잠금장치용 엑츄에이터
KR100913954B1 (ko)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차량용 도어래치
GB2527645A (e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CN102016205A (zh) 锁定机构闭锁装置
JP2010274702A (ja) パーキング装置構造
JP2006322199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211900124U (zh) 不联动锁体
JP5685853B2 (ja) 車両ドア開閉装置
CN210397677U (zh) 钥匙换挡杆、换挡座、换挡装置及汽车
CN111963669A (zh) 钥匙换挡杆、换挡座、换挡装置及汽车
JP5025531B2 (ja) 自動変速操作装置
JP6423255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452602B1 (ko) 수동변속기의 셀렉트 핀 조립구조
KR200375058Y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1